KR20200091147A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147A
KR20200091147A KR1020190008023A KR20190008023A KR20200091147A KR 20200091147 A KR20200091147 A KR 20200091147A KR 1020190008023 A KR1020190008023 A KR 1020190008023A KR 20190008023 A KR20190008023 A KR 20190008023A KR 20200091147 A KR20200091147 A KR 2020009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packet
controller
received
que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147A/ko
Priority to US16/597,557 priority patent/US20200235950A1/en
Priority to CN201911041876.XA priority patent/CN111464584A/zh
Publication of KR2020009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27Output queu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복수 개의 제어기; 및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제1제어기로부터 제2제어기에 전송할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고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복수 개의 제어기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트;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및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하는 제1마이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Communication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립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기에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 마련된 동력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카메라, 감지 장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제어기) 등의 각종 장치(Device)들은 CAN, FlexRay, MOST, 이더넷(Ethernet)과 같은 통신 장치들을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각종 데이터들을 공유한다.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들은 통신 장치에 의해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즉,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들은 동작하지 않을 때 통신 장치에 의해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다른 장치에서 데이터 제공이 요청되거나 기능이 수행되어야 할 때 통신 장치에 의해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장치들은 다른 장치에서 전송한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한 후 메시지를 갖는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각종 장치들은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된 후 부팅이 완료되기 전까지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하며,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된 후 부팅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장치에서 패킷을 송신하게 되면 다른 장치에서 송신한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 측면은 제1제어기에서 제2제어기로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할 때 패킷을 저장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패킷을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의 웨이크 업을 제어하는 제1마이컴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의 슬립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2마이컴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복수 개의 제어기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트;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및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하는 제1마이컴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 마이컴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2마이컴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동작 모드일 때, 다른 제어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1마이컴은,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웨이크 업 패킷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1마이컴은,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제어기; 및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제1제어기로부터 제2제어기에 전송할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고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는, 복수 개의 제어기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트; 복수 개의 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웨이크 업 패킷의 저장 및 전송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제1마이컴; 복수 개의 제1마이컴에 각각 연결되고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는 복수 개의 큐;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고,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및 복수 개의 포트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어기의 슬립 모드를 제어하고, 복수 개의 제어기 중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2마이컴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웨이크업 패킷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의 제2마이컴은, 복수 개의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는,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한 후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2제어기는,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부팅을 수행하고 부팅이 완료되면 준비 신호를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고,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확인된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제2제어기에 전송한다.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은,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더넷 통신에서도 캔통신(CAN Partial Network)과 같이 차량의 동작 중에 불필요한 일부 제어기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어 차량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킷 전송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추가 없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웨이크업 신호 및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기의 기능 수행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패킷을 큐에 저장한 후, 대상 제어기가 패킷 수신이 준비되면 큐에 저장된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패킷의 전송 성공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패킷의 재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제어기 간에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이크 업 신호의 전송 시간과 웨이크 업을 위한 제어기의 부팅(booting) 시간으로 인해 대상 제어기가 패킷(메시지 포함)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와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내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통신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 및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통신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웨이크 업 패킷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디바이스,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디바이스,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디바이스,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제3, 제4 및 제5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내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IP주소 할당을 위한 예시도이며,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간의 라우팅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복수 개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디바이스(110, 120, 130, 140, 150)는 내부에 각각 마련된 통신 장치(160)를 이용하여 서로 간의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차량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110, 120, 130, 140, 150) 중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메시지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한다.
이러한 통신 장치(160)는 어느 하나의 포트에서 받은 패킷을 다른 포트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에 송출하는 이더넷용 스위칭 허브일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라우터, 피투피(Point to Poin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량(100)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또는 장치)는, 차체의 외장에 마련되고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와, GPS 위성, 방송국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차량과의 통신(V2V) 및 인프라와의 통신(V2I) 등의 무선 차량 네트워크(V2X: Vehicle to everything)를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와, 차체의 내장에 마련된 클러스터와,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 유닛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AVN 단말기와,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에 표시되도록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투영시키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와, 운전 보조 장치(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중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또는 장치)는,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변속 레버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차량의 서스펜션을 조절하기 위한 현가 장치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는, 휠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조향각 센서, 레인센서, 요센서, 가압 센서, 장애물 센서 등과 같은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는, 운전자가 사고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위험한 상황 시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Warning System)와, 자 차량의 전방에 자 차량과 일정 거리 이내인 타 차량이 위치하면 제동 장치를 동작시키고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켜 비상 제동을 수행하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AEBS: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와,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TPMS)와, 급제동 시 차륜이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ABS(Anti-lock Brake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장치는 자 차로의 이탈을 알리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와, 운전자가 졸음 상태임을 알리는 졸음 경보 장치, 자 차로를 기준으로 좌우의 차로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사각지대 경보 장치(Blind Spot Warning System: BSW, BSA 또는 BSD), 자 차로의 전후방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충돌 경보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S, Back Warning System: BW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의 디바이스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바이스(110)는 AVN 단말기일 수 있고, 제2디바이스(12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제3디바이스(130)는 클러스터일 수 있고, 제4디바이스(140)는 헤드유닛일 수 있으며, 제5디바이스(150)는 운전 보조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디바이스(110, 120, 130, 140, 150)는 통신 장치(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통신 장치(160)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110, 120, 130, 140, 150)는 통신 장치(160)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1, 121, 131, 141, 151)와, 통신부(111, 121, 131, 141, 151)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및 내부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112, 122, 132, 142, 152)와, 메시지의 식별 정보 별로 메시지를 송신할 다른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목적지 IP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114, 124, 134, 144, 15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110, 120, 130, 140)는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부하(113, 123, 133, 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나머지 디바이스(150)는 제어기(152)의 제어 신호를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부하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는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하용 제어기일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는 다른 디바이스의 부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들 중의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수행용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바이스가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때, 제1디바이스의 제1부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제1디바이스의 제1제어기는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정보를 지도 정보에 매치시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길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일 수 있다.
이때 제5 디바이스는 운전 보조 기능을 수행할 때 제5디바이스의 제5제어기는 주행 중 사각 지대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각지대의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각 지대의 장애물과 충돌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각 지대의 경보 정보가 제1디바이스의 제1부하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도록 사각 지대의 경보 정보를 제1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의 통신부(111, 121, 131, 141, 151)는 제어기(112, 122, 132, 142, 152)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되, 슬립 모드 중에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제어기에 전송한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1, 121, 131, 141, 151)를 제어한다.
아울러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디바이스는 통신 장치(160)의 포트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디바이스의 통신 단자를 통해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메시지 송수신 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온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오프되면 슬립 모드를 수행한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모드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의 수행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온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오프되면 슬립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동작 모드 중 슬립 모드의 수행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를 수행하고, 슬립 모드 중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슬립 모드 시에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 통신부(111, 121, 131, 141, 151)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동작 모드 시에는 모든 구성부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메모리(114, 124, 134, 144, 154)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고, 메모리(114, 124, 134, 144, 154)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디바이스의 메모리(114, 124, 134, 144, 154)는 다른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의 메모리(114, 124, 134, 144, 154)는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일 수 있다.
각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는 디바이스기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 디바이스의 메모리(114, 124, 134, 144, 154)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메모리는 각 제어기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150)은 통신 장치(160)를 통해 서로 전기적, 기계적 및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디바이스는 통신 장치(160)를 통해 이더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간, 통신 장치(160)에 의해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통신 장치(160)는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의 통신망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다른 디바이스의 통신망이 사용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른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며, 다른 디바이스의 통신망이 사용 중이라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 중인지를 다시 확인한다.
또한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통신 장치(160)는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의 통신망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의 통신망이 사용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때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60)는 전송할 메시지가 손상되었는지 확인하고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가 사용 중인지를 다시 확인한 후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통신 장치(160)는 충돌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른 두 개의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각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할 때, 통신 장치(160)에서 생성된 경로를 경유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통신 장치(160)는 동일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총 7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제1레이어(Layer1)인 물리(physical) 레이어, 제2레이어(Layer2)인 데이터링크(data link) 레이어, 제3레이어(Layer3)인 네트워크(network) 레이어, 제4레이어(Layer4)인 전송(transport) 레이어, 제5레이어(Layer5)인 세션(session) 레이어, 제6레이어(Layer6)인 표현(presentation) 레이어 및 제7레이어(Layer7)인 응용(application) 레이어를 포함하고, 이 7개 계층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한다. 즉 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송신용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수신용 디바이스)로 이동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레이어인 물리(physical) 레이어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패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 포맷을 규정하며, 두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려고 할 때 통신 장치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규칙 세트를 제공한다. 즉 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흐름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능을 조정한다.
제2레이어인 데이터링크(data link) 레이어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
제3레이어인 네트워크(network) 레이어는 다중 네트워크 링크에서 패킷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한다.
제4레이어인 전송(transport) 레이어는 송신용 디바이스와 수신용 디바이스 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제3레이어인 네트워크(network) 레이어와 제4레이어인 전송(transport) 레이어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바이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Suite라고 알려진 인터넷 표준을 이용한다. 여기서 TCP/IP는 기능적인 네트워크(즉, 하나의 디바이스와 교환 데이터와의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주소 할당 룰과 메커니즘)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 특징을 제공한다.
제5레이어인 세션(session) 레이어는 연결이 손실되는 경우 연결 복구를 시도한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연결이 되지 않으면 연결을 중지하고 다시 연결을 재개한다. 즉 제5레이어인 세션(session) 레이어는 포트 연결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다.
제5레이어인 세션(session) 레이어는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가 있다. 통신 장치 간에 상호 작용을 유지하며 동기화 한다.
제6레이어인 표현(presentation) 레이어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번역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6레이어인 표현(presentation) 레이어는 운영 체계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6레이어인 표현(presentation) 레이어는 문자 코드, 부호화 및 암호화를 수행한다.
제7레이어인 응용(application) 레이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바이스(110)에서 제2디바이스(120)에 메시지를 전송할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1디바이스(110)의 응용 레이어는 메시지를 전송 레이어에 전송한다. 이때 제1디바이스(110)의 전송 레이어는 응용 레이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패킷으로 나누어 TCP 헤더를 추가한 후 네트워크 레이어에 전송한다.
제1디바이스(110)의 네트워크 레이어는 수신된 패킷에 목적지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시킨 후 에러 검출을 위한 트레일러를 포함시키고, 트레일러가 포함된 IP 패킷을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송한다.
제1디바이스(110)의 데이터링크 레이어는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위한 물리적 주소인 맥(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할당하고 맥 주소가 할당된 패킷을 물리 레이어에 전송한다. 이때 제1디바이스(110)의 물리 레이어는 하드웨어적으로 패킷을 통신 장치(160)에 전달한다.
아울러 제1디바이스(110)의 맥 주소 할당 시, 목적지 IP주소에 맥주소를 일대일로 맵핑시킬 수 있다.
제1디바이스(110)의 데이터링크 레이어는 IP 패킷에 이더넷 헤더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제1디바이스(11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IP 패킷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송 방식에 맞게 단위화(Framing)하고 단위화된 패킷을 물리 레이어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위화된 패킷은 프레임일 수 있고, 프레임은 메시지, 헤더, 트레일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더는 맥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디바이스(11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프레임을 물리 레이어에 전송한다.
제1디바이스(110)의 물리 레이어는 프레임을 비트로 변경하고 변경된 비트를 시그널로 변경하여 통신 장치(160)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160)는 물리 레이어를 통해 제1디바이스(110)의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송한다.
통신 장치(16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맥 주소에 일대일로 맵핑된 목적지 IP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IP주소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결정된 디바이스가 제2디바이스(120)이면, 통신 장치(160)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디바이스(120)는 물리 레이어를 통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송한다.
제2디바이스(120)의 물리 레이어는 수신된 신호를 비트로 변경하고 변경된 비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2디바이스(12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이더넷 헤더를 스트립한 IP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에 전송한다.
제2디바이스(12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수신된 IP 패킷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IP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에 전송하며 에러가 존재하면 IP 패킷을 삭제한다.
제2디바이스(120)의 네트워크 레이어는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IP 주소에 기초하여 메시지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고 메시지 수신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수신할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하며 수신할 메시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IP 헤더를 스트립하고 전송 레이어로 패킷을 전송하고, 메시지 수신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거나 수신할 메시지가 없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패킷을 삭제하거나, 데이터 링크 레이어 및 물리 레이어를 통해 되돌려 보낸다.
제2디바이스(120)의 전송 레이어는 TCP 헤더가 존재하는 경우, TCP 헤더를 스트립하여 세선 레이어 및 표현 레이어를 거쳐 응용 레이어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2디바이스(120)의 응용 레이어는 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바이스(110)에서 제2디바이스(120) 및 제4디바이스(140)에 메시지를 전송할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통신 장치(160)는 제1디바이스의 패킷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이때 결정된 디바이스가 제2디바이스(120)와 제4디바이스(140)이면,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통신으로 연결하고, 제1디바이스와 제4디바이스를 통신으로 연결한다.
제4디바이스 역시 제2디바이스와 동일하게 물리 레이어를 통해 제1디바이스의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송한다.
제4디바이스(140)의 물리 레이어는 수신된 신호를 비트로 변경하고 변경된 비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4디바이스(14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이더넷 헤더를 스트립한 IP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에 전송한다.
제4디바이스(140)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수신된 IP 패킷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IP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에 전송하며 에러가 존재하면 IP 패킷을 삭제한다.
제4디바이스(140)의 네트워크 레이어는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IP 주소에 기초하여 메시지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고 메시지 수신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수신할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하며 수신할 메시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IP 헤더를 스트립하고 전송 레이어로 패킷을 전송하고, 메시지 수신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거나 수신할 메시지가 없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패킷을 삭제하거나, 데이터 링크 레이어 및 물리 레이어를 통해 되돌려 보낸다.
제4디바이스(140)의 네트워크 레이어는 목적지 IP 주소 중 제4디바이스에게 할당된 비트가 1이면 제4디바이스(140)가 메시지 수신 대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4디바이스(140)의 전송 레이어는 TCP 헤더가 존재하는 경우, TCP 헤더를 스트립하여 세선 레이어 및 표현 레이어를 거쳐 응용 레이어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4디바이스(140)의 응용 레이어는 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제1디바이스는 제2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제4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통신 장치(160)는 복수 개의 포트(161), 스위치부(162), 복수 개의 제1마이컴(163), 복수 개의 큐(Queue, 164) 및 제2마이컴(165)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는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연결 단자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에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제어기(112, 122, 132, 142, 15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에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통신부(111, 121, 131, 141, 151)가 각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는 복수 개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63e)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수신된 패킷을 연결된 제1마이컴에 전송한다.
스위치부(162)는 복수 개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63e)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마이컴(165)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162)는 패킷을 송수신하는 두 개의 디바이스의 제어기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부(162)는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다른 제어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다른 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스위치부(162)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스위치부(162)는 복수 개의 제어기의 웨이크 업 패킷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부(162)는 어느 하나의 포트를 통해 수신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웨이크 업 패킷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기를 확인하며 확인된 제어기를 웨이크 업 패키을 전송할 제어기로 판단한다.
이러한 스위치부(162)는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확인된 제어기에 전송한다.
복수 개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에 각각 연결되고, 스위치부(162)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에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스위치부(162)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를 연결된 포트를 통해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하고, 스위치부(162)를 통해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이 연결된 큐에 저장되도록 큐를 제어한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업 패킷 내의 메시지만을 큐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포트를 통해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포트를 통해 디바이스의 제어기에 전송한다.
각각의 제1마이컴은, 포트에 연결된 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삭제를 제어한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포트를 통해 웨이크 업 패킷의 수신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삭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삭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각각의 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일 수 있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치부(162)에 의해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스위치부(162)에 의해 포트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가 디바이스의 제어기에 전송될 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은 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웨이크 업 패킷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웨이크 업 패킷(P)은 슬립 모드의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시키는 웨이크 업 정보 및 웨이크업 후의 기능을 세팅시키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 업 패킷(P)은 헤더(P1), 웨이크 업 정보(P2) 및 동작 정보(P3)를 포함한다.
헤더(P1)는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 방식 또는 프로토콜 형식 등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정보(P2)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시키기 위한 웨이크 업 명령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동작 정보(P3)는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세팅시키기 위한 제어명령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웨이크 업 패킷 내에서의 웨이크 업 정보(P2)와 동작 정보(P3)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동작 정보(P3)는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별 동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 업 패킷 내의 헤더(P1)는 링크 헤더(P11), IP 헤더(P12) 및 TCP 헤더(P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더(P1)에는 통신 장치(160)의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다른 디바이스의 IP 주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웨이크 업 패킷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주소정보가 포함된 경우, 웨이크 업 패킷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웨이크 업 패킷에 하나의 디바이스의 주소정보만이 포함된 경우, 웨이크 업 패킷은 하나의 디바이스에만 전송될 수 있다.
링크 헤더(P11)는 통신 장치 및 디바이스의 MAC 주소나 이더넷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IP 헤더(P12)는 통신 장치 및 디바이스의 IP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TCP 헤더(P13)는 통신 장치(160) 및 디바이스의 포트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 업 패킷의 웨이크업 정보(P2)는 웨이크업 ID(Wake-up identification, P21) 및 디바이스 주소(P22)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업 ID(P21)는 웨이크 업시키는 웨이크 업 명령 즉, 전원을 켜거나 슬립모드에서 깨어나게 하는 제어명령으로서, WOL(Wake-on-LAN), WoWLAN(Wake on Wireless LAN)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 주소(P22)는 웨이크 업시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웨이크업 ID(P21)와 디바이스 주소(P2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아울러 웨이크업 정보(P2)는 웨이크 업될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시키기 위해 규약된 소정의 표준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웨이크 업 패킷(P)은 헤더(P1), 웨이크 업 정보(P2) 및 동작 정보(P3)를 포함하고, 암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호 정보는 암호 길이(password length) 및 암호(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 길이는 설정된 암호의 길이를 의미하고, 0 내지 16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암호 길이가 0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암호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또한, 암호 길이는 1바이트(byte)로 마련될 수 있다.
암호는 웨이크 업 실행을 위한 암호일 수도 있고, 세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암호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는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는 제1마이컴(163: 163a, 163b, 163c, 163d, 163e)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는 제1마이컴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한다.
각각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는 제1마이컴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만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큐(164: 164a, 164b, 164c, 164d, 164e)는 제1마이컴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큐는 연결된 제1마이컴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에 각각 연결되고, 스위치부(16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각각 확인하고,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제2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동작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디바이스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2마이컴(165)은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가 동작 모드일 때,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2마이컴(165)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패킷 송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부(162)를 통해 하나의 제어기에서 다른 제어기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때, 제2마이컴(165)은 웨이크 업 패킷의 송수신 정보를 스위치부(16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제2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포트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포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하나의 제어기에서 다른 제어기로의 웨이크 업 패킷의 송수신 정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마이컴(165)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부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동작 모드가 수행되도록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마이컴(165)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어기로부터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의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마이컴(165)은 두 개의 디바이스가 동작 모드일 때, 두 개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어기를 통해 수신된 패킷 내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IP 주소를 가진 다른 디바이스의 제어기에 패킷을 전송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통신 장치의 제2 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포트(161: 161a, 161b, 161c, 161d, 161e)를 통해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통신 장치의 제2 마이컴(165)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각각 확인하고,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슬립 모드의 전환 신호를 전송(201)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슬리 모드의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슬립 모드를 수행(202)한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슬립 모드의 전환 신호를 통신 장치의 제2 마이컴(165)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60)는 제2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에 슬립 모드의 전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는 슬립 모드의 전환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변경한다.
제1디바이스의 제1제어기는 동작 모드의 수행 중, 제2디바이스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2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제2디바이스의 현재 모드가 슬립 모드라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에게 보낼 메시지를 웨이크 업 패킷에 포함시켜 통신장치에 전송(203)한다.
이때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162)는 제1포트(161a)에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162)는 웨이크 업 패킷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디바이스에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확인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제2디바이스이면,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제1포트(161a)와 제2포트(161b)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디바이스의 제1제어기는 제2디바이스의 현재 모드가 동작 모드라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는 제1포트(161a)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제2마이컴(165)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제2마이컴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스위치부(162)를 제어하여 제2포트(161b)와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162)는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제2포트(161b)를 통해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에 전송(204)할 수 있다.
통신 장치의 제2포트(161b)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할 때, 제1마이컴(163b)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큐(164b)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제1마이컴 중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에 연결된 제1마이컴(163b)은 웨이크 업 패킷을 큐(164b)에 저장하도록 큐(164b)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큐(164b)는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205)하되, 웨이크업 패킷의 메시지만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122)는 통신 장치의 제2포트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부팅을 수행(206)하고, 부팅이 완료되면 준비 신호를 생성(207)하고, 생성된 준비 신호를 통신 장치의 제2포트(161b)를 통해 제1마이컴(163b)에 전송(208)한다.
통신 장치의 제1마이컴(163b)은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큐(164b)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제2포트(161b)를 통해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에 전송(209)한다. 이때 통신 장치의 제1마이컴(163b)은 웨이크 업 패킷의 메시지만을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122)는 제2포트(161b)를 통해 전송되는 웨이크 업 패킷을 수신(210)하고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의 수신 완료 상태를 확인하고 웨이크 업 패킷의 수신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 장치에 수신 완료 신호를 전송(211)한다.
통신 장치의 제1마이컴(163b)은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122)로부터 수신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큐(164b)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212)한다.
통신 장치의 제2마이컴은 제2디바이스의 부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의 현재 모드를 동작 모드로 인식하고, 제1디바이스의 제1제어기와 제2디바이스의 제2제어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제1디바이스
120: 제2디바이스 130: 제3디바이스
140: 제4디바이스150: 제5디바이스
160: 통신 장치

Claims (20)

  1. 복수 개의 제어기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트;
    상기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상기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및
    상기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하는 제1마이컴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이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동작 모드일 때, 다른 제어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컴은,
    상기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웨이크 업 패킷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컴은,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9. 복수 개의 제어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제1제어기로부터 제2제어기에 전송할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고 상기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상기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트;
    상기 복수 개의 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웨이크 업 패킷의 저장 및 전송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제1마이컴;
    상기 복수 개의 제1마이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웨이크 업 패킷을 저장하는 복수 개의 큐;
    상기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슬립 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 중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2마이컴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웨이크업 패킷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제2마이컴은,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상기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한 후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이더넷 스위치 허브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기는,
    웨이크 업 신호가 수신되면 부팅을 수행하고 부팅이 완료되면 준비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복수 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된 제1제어기로부터 웨이크 업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전송할 제2제어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제어기가 연결된 포트와의 스위칭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웨이크 업 패킷을 큐에 저장하고,
    상기 확인된 제2제어기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제어기로부터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상기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상기 제2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은,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 내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웨이크 업 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큐에 저장된 웨이크 업 패킷을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08023A 2019-01-22 2019-01-22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91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3A KR20200091147A (ko) 2019-01-22 2019-01-22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597,557 US20200235950A1 (en) 2019-01-22 2019-10-09 Communication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911041876.XA CN111464584A (zh) 2019-01-22 2019-10-30 通信设备、具有该通信设备的车辆以及控制该通信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3A KR20200091147A (ko) 2019-01-22 2019-01-22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147A true KR20200091147A (ko) 2020-07-30

Family

ID=7160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23A KR20200091147A (ko) 2019-01-22 2019-01-22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35950A1 (ko)
KR (1) KR20200091147A (ko)
CN (1) CN1114645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2407A1 (en) * 2020-01-17 2021-07-21 Nxp B.V. Uhf rfid and uwb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operating method
CN113515034B (zh) * 2021-06-25 2022-12-16 际络科技(上海)有限公司 状态机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3993196B (zh) * 2021-10-25 2024-01-3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以太网的节点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5065574B (zh) * 2022-05-25 2024-01-23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控制器的唤醒方法、装置、电子设备和自动驾驶车辆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3374B2 (en) * 2006-04-27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sleep interval to improve battery life
JP5858626B2 (ja) * 2011-02-25 2016-02-10 任天堂株式会社 無線通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3490995B (zh) * 2013-09-22 2016-09-07 中国科学院大学 报文发送方法和装置
KR20160146045A (ko) * 2015-06-11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CN107872839B (zh) * 2016-09-24 2020-09-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转发的方法、中继设备和网络设备
KR102338503B1 (ko) * 2017-05-30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송수신 방법
CN107466094A (zh) * 2017-08-02 2017-12-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网络数据上报控制方法、协处理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5950A1 (en) 2020-07-23
CN111464584A (zh)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1147A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698320B2 (ja) 処理装置および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524290B1 (ko) 이더넷 스위치, 차량 내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차량
CN109532720A (zh) 一种具有后配置功能的以太网网关的智能汽车
US10979878B2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in vehicle network
KR102486151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350709A1 (en) Redundant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platooning
US11765016B2 (en) Diagnostic system and vehicle
CN110053630B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
JP2007302226A (ja) 車両の電子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00764B1 (ko) 차량 네트워크에서 진단 방법 및 장치
US11102628B2 (en) Message rou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817306A (zh) 车辆的远程操作式驾驶
WO2011019194A3 (ko) 지능형 차량사고 인명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83876A1 (en) In-vehicle network system
KR101714526B1 (ko) 차량 네트워크 해킹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7040483B (zh) 一种汽车通信系统和汽车通信系统的信息发送方法
CN112153019A (zh) 数据交互系统、车载连接器、外设设备、车辆及方法
KR20230100477A (ko) 자율주행차량의 데이터 보안 방법 및 장치
US116650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identical network components, and transportation vehicle
KR20180122779A (ko) 차량 네트워크의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5239633B2 (ja) 車載用画像データ転送装置
KR20220015785A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KR20150128141A (ko) 차량용 이더넷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8102012B (zh) 一种车载芯片、包括其的车载系统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