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100A -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100A
KR20200091100A KR1020190007904A KR20190007904A KR20200091100A KR 20200091100 A KR20200091100 A KR 20200091100A KR 1020190007904 A KR1020190007904 A KR 1020190007904A KR 20190007904 A KR20190007904 A KR 20190007904A KR 20200091100 A KR20200091100 A KR 2020009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irring
food waste
hous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이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성 filed Critical 이기성
Priority to KR102019000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100A/ko
Publication of KR2020009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01F15/00538
    • B01F15/009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01F27/70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with stirrers rotating at different sp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01F2215/0042

Abstract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이 복수로 구분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교반하는 제1교반부와, 제1교반부에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교반하는 제2교반부와,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교반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제2교반부로 이동시키는 중간이동부 및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에 연결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한 후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DEVICE FOR FOOD WASTE TREATMEN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물인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 처리할 경우, 매립장을 일종의 화학 반응장소로 만들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침출수를 배출시킬 뿐 아니라 악취와 유해물질로 오염된 매립지가스를 발생시키는 등 심각한 2차 오염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처리 하거나, 재활용처리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고 물기를 제거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분쇄건조장치와, 적당한 온도와 습도, 그리고 산소공급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를 도모하는 발효장치 및 미생물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생물화학적으로 분해시켜 소멸시키는 소멸장치 등이 있다.
종래에는 습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463호(2002. 01. 16. 등록, 고안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분리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이 복수로 구분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교반하는 제1교반부와, 제1교반부에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교반하는 제2교반부와,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교반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제2교반부로 이동시키는 중간이동부 및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에 연결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한 후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몸체와,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제1교반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저장부와,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제2교반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저장부 및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이동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교반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교반모터와, 제1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1회전기어 및 제1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제1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제1저장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교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교반부는, 제2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회전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기어 및 제2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제2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제2저장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2교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간이동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이송모터와, 연결통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앙회전기어와, 중앙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중앙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제1교반부를 통해 전달받은 음식물 쓰레기를 제2저장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진제거부는,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에 연결되며 분진이 포함된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안내관로부와, 안내관로부를 통해 이동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사부 및 분사부를 통과하며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진제거부는, 분사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분사부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진과 물을 1차 저장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침전부 및 제1침전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침전부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침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는, 제1교반부에서 1차 교반되며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가 중간이동부를 통해 제2교반부로 이동된 후 2차 교반되며 발효된 후 배출되므로 습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와 제3교반부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제1교반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중간이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1차 교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이동부의 동작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제2교반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교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2차 교반된 후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와 제3교반부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제1교반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중간이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1차 교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이동부의 동작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제2교반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교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2차 교반된 후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1)는, 음식물 쓰레기(20)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이 복수로 구분되는 하우징부(30)와,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20)를 1차 교반하는 제1교반부(40)와, 제1교반부(40)에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20)를 2차 교반하는 제2교반부(50)와, 제1교반부(40)와 제2교반부(5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교반부(40)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전달받아 제2교반부(50)로 이동시키는 중간이동부(60) 및 제1교반부(40)와 제2교반부(50)에 연결되며 공기(A) 중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한 후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70)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1)는 이동통로부(12)를 통해 고액분리기(10)와 연결된다. 고액분리기(10)에서 액체가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20)는 이동통로부(12)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1)로 이동된다.
하우징부(30)는 음식물 쓰레기(20)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이 복수로 구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30)는 하우징몸체(32)와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와 연결통로부(38)와 배출도어부(39)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32)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몸체(32)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측에는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와 연결통로부(38)가 형성된다.
제1저장부(34)는 하우징몸체(32)의 내측에 제1교반부(40)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저장부(36)는 하우징몸체(32)의 내측에 제2교반부(50)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연결통로부(38)는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이동부(60)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의 하측은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며, 상측은 개구되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통로부(38)는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 상측에 위치한다.
배출도어부(39)는 제2저장부(36)와 마주하는 하우징몸체(32)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교반부(40)는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20)를 1차 교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40)는 교반모터(42)와 제1회전기어(44)와 제1교반기어부(46)와 동력전달부재(48)를 포함한다.
교반모터(42)는 제1교반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교반모터(42)는 하우징부(30)의 내측에 고정되며, 교반모터(42)의 출력축은 제1회전기어(44)와 동력전달부재(48)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제1회전기어(44)는 제1저장부(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모터(42)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제1회전기어(44)는 원판 형상이며, 제1회전기어(44)의 테두리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48)를 통해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제1교반기어부(46)는 제1회전기어(44)에 연결되며 제1회전기어(44)와 함께 회전되어 제1저장부(34)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교반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기어부(46)의 회전축은 제1회전기어(44)에 연결되므로 제1회전기어(44)와 함께 제1교반기어부(46)가 회전된다. 제1교반기어부(46)에는 복수의 교반날개가 달려 있으므로 제1저장부(34)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교반기어부(46)의 분당 회전수(rpm)은 3회 내지 8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회 내지 5회일 수 있다.
제2교반부(50)는 제1교반부(40)에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20)를 2차 교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교반부(50)는 제2회전기어(52)와 제2교반기어부(54)를 포함한다.
제2회전기어(52)는 제2저장부(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회전기어(44)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부재(48)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된다. 벨트나 체인을 사용하는 동력전달부재(48)는 제1회전기어(44)와 제2회전기어(52)의 외측 테두리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제2교반기어부(54)는 제2회전기어(52)에 연결되어 제2회전기어(52)와 함께 회전되며, 제2저장부(36)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교반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교반기어부(54)의 회전축은 제2회전기어(52)에 연결되므로 제2회전기어(52)와 함께 제2교반기어부(54)가 회전된다. 제2교반기어부(54)에는 복수의 교반날개가 달려 있으므로 제2저장부(36)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교반기어부(54)의 분당 회전수(rpm)은 3회 내지 8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회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제1교반기어부(46)와 제2교반기어부(54)의 회전속도비는 1 : 1일 수 있다.
중간이동부(60)는 제1교반부(40)와 제2교반부(5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교반부(40)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전달받아 제2교반부(50)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이동부(60)는 이송모터(62)와 중앙회전기어(64)와 회전전달부(65)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중간이동부(60)의 분당 회전수(rpm)은 15회 내지 25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회 내지 22회일 수 있으며, 제1교반기어부(46) 또는 제2교반기어부(54)와 중간이동부(60)의 회전속도비는 1 : 4 내지 1 : 5일 수 있다. 상기 회전속도비 범위에서 음식물 쓰레기(20)를 효과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모터(62)는 중앙회전기어(64)가 회전되기 위한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이송모터(62)는 하우징부(3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송모터(62)의 출력축과 중앙회전기어(64)는 동력전달부재(48)를 통해 연결된다.
중앙회전기어(64)는 연결통로부(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모터(62)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회전전달부(65)는 중앙회전기어(64)에 연결되며, 중앙회전기어(64)와 함께 회전되어 제1교반부(40)를 통해 전달받은 음식물 쓰레기(20)를 제2저장부(36)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부(65)는 중앙회전축(66)과 격판부재(67)와 테두리부재(68)를 포함한다.
중앙회전축(66)은 봉 형상이며, 중앙회전기어(64)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격판부재(67)는 중앙회전축(66)의 양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중앙회전축(66)과 함께 회전하며 음식물 쓰레기(20)를 이동시킨다.
테두리부재(68)는 격판부재(67)의 양측에 연결되며 원호 형상으로 판을 형성하며 격판부재(67)의 양측에 부채꼴 형상의 판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전달부(65)가 회전될 때 연결통로부(38)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제2저장부(36)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70)는, 제1교반부(40)와 제2교반부(50)에 연결되며 공기(A) 중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한 후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70)는, 제1저장부(34)와 제2저장부(36)에 연결되며 분진(P)이 포함된 공기(A)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안내관로부(100)와,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이동된 공기(A)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A)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하는 분사부(110) 및 분사부(110)를 통과하며 분진(P)이 제거된 공기(A)를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안내관로부(100)는 분진(P)이 포함된 공기(A)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음식물 쓰레기(20)를 처리하며 발생되는 분진(P)이 포함된 공기(A)가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안내관로부(100)는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며, 연결관로부(120)와 연결된다.
분사부(110)는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이동된 공기(A)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A)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물 분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110)는 분사노즐부(112)와 공급관로(114)와 펌프부재(116)와 드레인밸브(118)를 포함한다.
분사노즐부(112)는 연결관로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결관로부(120)의 하측을 향하여 물을 분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112)는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 형상이며, 스텐 와이어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공을 형성한다. 연결관로부(1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부(112)의 외측 주변으로 공기(A)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분사노즐부(112)에서 분사된 물은 연결관로부(120)의 내측으로 분사되어 공기(A) 중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한다.
공급관로(114)는 제2침전부(145)와 연결되며, 제2침전부(145)에 저장된 물을 분사노즐부(112)로 전달한다. 펌프부재(116)는 공급관로(114)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펌프부재(116)의 동작으로 제2침전부(145)에 저장된 물은 공급관로(114)를 통해 분사노즐부(112)로 이동한다.
또한 공급관로(114)에는 드레인밸브(118)가 설치되며, 드레인밸브(118)의 개방으로 공급관로(114)에 있는 물을 공급관로(114)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연결관로부(120)는 분사부(110)를 통과하며 분진(P)이 제거된 공기(A)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부(120)는 연결관로(124)하우징(122)과 연결관로(124)와 나선형판(126)을 포함한다.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은 연결관로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상측은 막혀 있으며 하측은 안내관로부(100)에 연결된다.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내측에 연결관로(124)의 일단과 나선형판(126)이 설치된다. 또한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하측에는 분사노즐부(112)와 분진제거필터부(160)가 설치된다.
연결관로(124)는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내부 상측과 송풍기(130)를 연결하는 관로이며, 연결관로(124)의 일측은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선형판(126)은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내측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공기(A)의 유로를 나선형 방향으로 안내한다. 나선형판(126)은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연결관로(124)의 외측에 나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나선형판(126)을 통해 회전되며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A)는 연결관로(124) 흡입되어 송풍기(130)로 이동된다.
송풍기(130)는 연결관로부(120)를 통과한 공기(A)를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모터나 펌프이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송풍기(130)는 벤트관로부(180)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정화된 공기(A)를 배출한다.
제1침전부(140)는 분사부(110)의 분사노즐부(112) 하측에 위치하며, 분사부(11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진(P)과 물을 1차 저장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분사노즐부(112)의 하측에 분진제거필터부(160)가 설치되며, 분진제거필터부(160)의 하측에 물과 분진적재물(D)이 저장되는 제1침전부(140)가 구비된다. 제1침전부(140)는 물과 분진적재물(D)을 저장할 수 있는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제2침전부(145)는 제1침전부(140)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침전부(140)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제2침전부(145)는 제1침전부(140)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격벽의 높이는 제1침전부(140)에 저장된 물의 높이보다는 낮고 분진적재물(D)의 높이보다는 높으므로 분진(P)이 제거된 물만 격벽의 상측을 통해 제2침전부(145)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침전부(145)에 공급관로(114)가 연결되므로, 분진(P)이 제거된 깨끗한 물이 공급관로(114)를 통해 분사노즐부(112)로 이동된다.
급수공급부(150)는 제2침전부(145)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하가 될 경우 자동으로 물을 보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공급부(150)는, 제2침전부(145)에 연결되며 물의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관(152)과, 급수관(152)에 연결되며 제2침전부(145)에 저장된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설정된 물의 높이 이하일 경우 동작되어 급수관(152)을 통한 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부력밸브(15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밸브(154)는 물에 뜨는 부력공을 구비하며, 부력공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밸브가 개폐되는 부력식 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70)는, 분진제거필터부(160)와 체크밸브부(170)와 벤트관로부(180)와 바이패스관로부(190)를 더 포함한다.
분진제거필터부(160)는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며 분사노즐부(112)의 하측에 위치하고, 분사노즐부(112)에서 분사된 물이 통기공에 수막을 형성하므로 공기(A) 중에 포함된 분진(P)을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필터부(160)는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스텐 와이어 필터부재가 복수로 적층된다. 스텐 와이어가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부재가 복수로 적층되어 분진제거필터부(160)를 형성하며,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이동된 공기(A)는 분진제거필터부(160)를 통과한 후 상측으로 이동된다.
체크밸브누는 연결관로(124)에 설치되며, 연결관로(124)하우징(122)에서 송풍기(130)를 향한 공기(A)의 이동만 허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체크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부(170)는, 체크밸브하우징(172)과 스토퍼(174)와 힌지부(176)와 밸브판(178)을 포함한다.
체크밸브하우징(172)은 연결관로(124)하우징(122)과 송풍기(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급관로(114)에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스토퍼(174)는 체크밸브하우징(172)의 내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밸브판(178)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밸브판(178)은 체크밸브하우징(172)의 내측 관로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체크밸브하우징(172)의 내측을 회전하며 체크밸브하우징(172)의 내측관로를 개폐한다.
밸브판(178)은 힌지부(176)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힌지부(176)는 체크밸브하우징(172)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다.
바이패스관로부(190)는 체크밸브부(170)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관로(124)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안내관로부(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바이패스관로부(190)는 체크밸브부(170)의 전방에 쌓인 분진적재물(D)을 안내관로부(100)의 내측으로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액분리기(10)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20)는 이동통로부(12)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20) 처리장치로 이동한다. 제1저장부(34)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20)는 제1교반부(40)의 동작으로 교반되며 발효가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부(40)에서 음식물 쓰레기(20)의 발효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1회전기어(44)와 제1교반기어부(46)는 시계방향(도 7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전달부(65)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20)의 1차 발효가 완료되면, 제1회전기어(44)와 제1교반기어부(46)는 반시계방향(도 8기준)으로 회전하며, 회전전달부(6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저장부(34)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제2저장부(36)로 전달한다.
그리고 다시 제2교반기어부(5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저장부(36)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20)를 교반하며 발효시킨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제2교반기어부(54)를 회전시켜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음식물 쓰레기(20)를 배출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부(7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송풍기(130)의 동작으로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분진(P)이 포함된 공기(A)가 유입된다. 안내관로부(100)를 통해 이동된 공기(A)와 분진(P)은 분진제거필터부(16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A)의 흐름이 형성된다.
분사부(110)의 펌프부재(116)가 동작되면, 제2침전부(145)에 저장된 물이 공급관로(114)를 통해 이동되어 분사노즐부(112)를 통해 하측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부(112)에서 분사된 물은 분진제거필터부(160)에 분사되어 분진제거필터부(160)에 구비된 복수의 통기공에 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분진제거필터부(160)를 통과하는 분진(P)을 포함하는 공기(A)는, 수막이 형성된 분진제거필터부(160)의 통기공을 통과하며 분진(P)이 1차 제거된다. 그리고 분진제거필터부(160)를 통과한 공기(A) 중의 분진(P)은 분사노즐부(112)에서 분사되는 물에 접촉되어 2차 제거된다.
분진(P)은 물과 함께 낙하되어 제1침전부(140)에 적재되며, 분진(P)과 분리된 물은 제2침전부(145)로 이동되어 공급관로(114)를 통해 분사노즐부(112)로 이동한다.
분사노즐부(112)를 통과하며 분진(P)이 제거된 공기(A)는 나선형판(126)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되며 상측으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124)하우징(122)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연결관로(124)의 일측 단부로 유입되어 이동한다.
송풍기(13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밸브판(178)은 스토퍼(174)에 접하며 송풍기(130)를 향한 공기(A)의 이동은 차단된다. 따라서 연결관로(124)하우징(122)에서 체크밸브부(170)를 향하여 이동되는 공기(A) 중에 분진(P)이 포함된 경우, 체크밸브부(170)의 전방에 위치한 바이패스관로부(190)에 분진(P)이 적재되며, 이러한 분진(P)은 바이패스관로부(190)를 통해 안내관로부(100)로 이동된다.
바이패스관로부(190)를 통해 분진(P)이 안내관로부(100)로 이동됨은 체크밸브부(170)가 닫힌 상태에서 이루어지지만, 체크밸브부(170)가 열린 상태에서도 바이패스관로부(190)를 통해 분진(P)이 하측에 위치한 안내관로부(10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연결관로(12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A)는 체크밸브부(170)의 밸브판(178)을 밀어내며 송풍기(130)로 이동된 후 벤트관로부(18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부(11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분진제거필터부(160)에 생긴 막에 걸려서 공기(A) 중의 분진(P)이 1차 제거되며, 분사노즐부(112)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분진(P)이 2차 제거되므로 공기(A) 중에 포함된 분진(P)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교반부(40)에서 1차 교반되며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20)가 중간이동부(60)를 통해 제2교반부(50)로 이동된 후 2차 교반되며 발효된 후 배출되므로 습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20)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10: 고액분리기 12: 이동통로부
20: 음식물 쓰레기 30: 하우징부
32: 하우징몸체 34: 제1저장부
36: 제2저장부 38: 연결통로부
39: 배출도어부 40: 제1교반부
42: 교반모터 44: 제1회전기어
46: 제1교반기어부 48:동력전달부재
50: 제2교반부 52: 제2회전기어
54: 제2교반기어부 60: 중간이동부
62: 이송모터 64: 중앙회전기어
65: 회전전달부 66: 중앙회전축
67: 격판부재 68: 테두리부재
70: 분진제거부 100: 안내관로부
110: 분사부 112: 분사노즐부
114: 공급관로 116: 펌프부재
118: 드레인밸브 120: 연결관로부
122: 연결관로하우징 124: 연결관로
126: 나선형판 130: 송풍기
140: 제1침전부 145: 제2침전부
150: 급수공급부 152: 급수관
154: 부력밸브 160: 분진제거필터부
170: 체크밸브부 172: 체크밸브하우징
174: 스토퍼 176: 힌지부
178: 밸브판 180: 벤트관로부
190: 바이패스관로부 A: 공기 P: 분진 D: 분진적재물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이 복수로 구분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로 공급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1차 교반하는 제1교반부;
    상기 제1교반부에서 이동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교반하는 제2교반부;
    상기 제1교반부와 상기 제2교반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교반부에 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2교반부로 이동시키는 중간이동부; 및
    상기 제1교반부와 상기 제2교반부에 연결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한 후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상기 제1교반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저장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상기 제2교반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이동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교반모터;
    상기 제1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1회전기어; 및
    상기 제1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저장부에 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1교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제2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기어; 및
    상기 제2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2저장부에 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제2교반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이동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이송모터;
    상기 연결통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앙회전기어;
    상기 중앙회전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교반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제2저장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부는,
    상기 제1교반부와 상기 제2교반부에 연결되며, 분진이 포함된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안내관로부;
    상기 안내관로부를 통해 이동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를 통과하며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부는,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부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진과 물을 1차 저장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침전부; 및
    상기 제1침전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제1침전부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침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KR1020190007904A 2019-01-22 2019-01-22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KR20200091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04A KR20200091100A (ko) 2019-01-22 2019-01-22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04A KR20200091100A (ko) 2019-01-22 2019-01-22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100A true KR20200091100A (ko) 2020-07-30

Family

ID=7183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904A KR20200091100A (ko) 2019-01-22 2019-01-22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11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605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감량 처리장치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425979B1 (ko) 폐수발생이 없는 친환경 미세먼지 제거 및 탈취 시스템
KR101130311B1 (ko) 무폐수, 무악취 유기질 퇴비화 설비시스템
CN209619030U (zh) 一种地埋式医疗废水处理设备
KR101943275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KR20200091100A (ko)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KR20160095489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감량장치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JP2003305307A (ja) テーブルフィーダ及びテーブルフィーダを備えた排水、汚泥、液状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KR102081541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
KR970073760A (ko) 음식물 스레기의 소멸화 장치
CN112645508A (zh) 一种具有增氧功能的垃圾填埋场污水治理装置
KR101753283B1 (ko)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KR101907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9453B1 (ko)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WO2021033271A1 (ja) 紙おむつ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19897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9003225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50015851A (ko) 잔반처리기의 교반장치
CN218107285U (zh) 一种玻璃瓶生产废气处理装置
KR2019003160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20345598U (zh) 一种水污染治理用混药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