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753A -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753A
KR20200090753A KR1020207011493A KR20207011493A KR20200090753A KR 20200090753 A KR20200090753 A KR 20200090753A KR 1020207011493 A KR1020207011493 A KR 1020207011493A KR 20207011493 A KR20207011493 A KR 20207011493A KR 20200090753 A KR20200090753 A KR 2020009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input device
screen
inpu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타오 두안
지쳉 딩
펭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종리안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종리안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씨오 filed Critical 상하이 종리안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씨오
Publication of KR2020009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2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details of the interface with the game device, e.g. USB version detection
    • A63F2300/1031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details of the interface with the game device, e.g. USB version detection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luetooth, infrare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통신 연결되며, 수신된 입력 조작을 상기 스마트 단말 내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 조작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 장치의 일단은 내부로 오목져 하나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가 상기 요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이 동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조작부의 투영 범위에 노출된다. 상기 기술 방안을 실시한 후, 단일 측 설치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입력 장치 및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상호작용 조작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며; 스크린을 가리지 않아, 사용자가 모든 디스플레이 내용을 관찰하는데 편리하며; 사용자가 파지 및 휴대하는데 편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크린이 구비된 스마트 단말들이 날로 보급되고 있고, 사람들은 터치스크린 또는 스마트 단말 상의 버튼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상호작용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 복잡한 상호작용 조작, 예를 들면 게임을 진행할 때, 오직 스마트 단말 자체의 입력 장치 즉 터치스크린과 제한적인 버튼에 의거해서는 상호작용 조작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아주 어렵고, 파지 안락감이 모자라고 터치스크린 조작 과정에 엄지가 스크린을 가리며 또한 게임 제어의 정확도에 쉽게 편차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조작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문제에 대하여 외부 입력 장치, 예를 들면 게임패드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 바, 도1, 도2 및 도3에서는 각각 종래의 세 가지 외부 입력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1에서는 스마트 단말을 입력 장치 내부로 삽입하였는 바, 다시 말하면 스마트 단말과 입력 장치를 일체형으로 통합하고, 스마트 단말의 양단에 모두 입력 장치의 조작 부품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입력 장치 상의 방향 버튼과 기능 버튼을 통하여 조작을 진행한다. 도2 중의 스마트 단말은 단독으로 외부 입력 장치를 연결한 것으로서, 스마트 단말은 오직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능을 구현하고, 모든 조작은 모드 외부 입력 장치 상에서 완성한다. 도3에서는 단독으로 방향 버튼을 대체하는 조이스틱 장치를 도시하는 바, 이러한 조이스틱 장치는 직접 스크린 상에 접착되어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조이스틱을 대체하고, 가상 조이스틱 버튼을 실체의 조이스틱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세 가지 입력 장치에는 하기 문제가 존재한다.
1. 조작 시 스크린을 가려 디스플레이된 내용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바, 예를 들면 도3 중의 조이스틱 장치가 스크린을 가린다.
2. 장치 파지가 불편하고, 장시간 손에 들고 있으면 불편을 느끼게 되는 바, 예를 들면 도1 중에서는 원 스마트 단말의 파지 크기를 증가시킨다.
3. 상호작용 조작이 정확하지 못하고, 조작 스킬을 완전하게 구현할 수 없는 바, 예를 들면 도2에서는 터치스크린 보조 조작을 진행할 수 없다.
상기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가리지 않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통신 연결되며, 수신된 입력 조작을 상기 스마트 단말 내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 조작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 장치의 일단은 내부로 오목져 하나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가 상기 요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이 동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조작부의 투영 범위에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의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과 대응되는 측벽에 하나의 노치가 구비되고, 상기 노치의 형상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노치가 상기 스크린을 노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치의 형상은 상기 스크린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한 직사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장치는 직육면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육면체의 측면에는 라운드 코너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에는 조이스틱, 버튼 또는 노브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에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된 방향 제어 버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의 측벽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상기 홀을 통하여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장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조작부가 포함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입력 장치의 동일 측면 상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에는 상호 배합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 기구에는 가이드 홈, 버클, 나사, 자석, 삽입 핀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한 후, 하기 효과를 갖는다.
1. 단일 측 설치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입력 장치 및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상호작용 조작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며;
2. 스크린을 가리지 않아, 사용자가 모든 디스플레이 내용을 관찰하는데 편리하며;
3. 사용자가 파지 및 휴대하는데 편리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기술 중의 한 가지 입력 장치의 도면.
도2는 종래 기술 중의 다른 한 가지 입력 장치의 도면.
도3은 종래 기술 중의 또 다른 한 가지 입력 장치의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 부합되는 구조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스마트 단말에 부합되는 구조 도면.
아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진일보로 본 실용신안의 장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며, 여시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과 연관될 때, 다른 표시가 있는 외, 다른 도면 중의 같은 숫자는 같거나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식은 본 출원과 일치한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하게 기재된, 본 출원의 일부 방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식의 “한 가지”, “상기”와 “해당”도 문맥 상에서 명확하게 기타 뜻을 표시하지 않은 한, 복수의 형식이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된 나열 항목을 포함하는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가리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이 용어 제1, 제2, 제3 등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제1 정보는 또한 제2 정보라 칭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 정보도 또한 제1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비록 문맥에 의하여 결정되기는 하지만,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어”만일”은 “... 때” 또는 “... 할 때” 또는 “...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설명에서, 용어 "세로 방향", "가로 방향",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저부",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한 것으로서, 단지 본 실용신안에 대한 설명의 편리를 위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구비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조작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실용신안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용신안의 설명에서, 다른 규정과 제한이 있는 외,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용어 “설치”, “상호 연결”, “연결”은 광의적으로 이해하여야 하는 바, 예를 들면,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고, 또한 두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상호 연결일 수 있으며, 또한 중간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당업계의 기술자로 말하면, 구체적인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차후의 설명에서, 소자를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부품” 또는 “유닛” 등 접미사를 사용하는 것은 단지 본 실용신안의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일 뿐, 그 자체는 특정된 뜻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모듈”과 “부품”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스마트 단말(1)을 위한 입력 장치(2)에 부합되는 구조 도면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이 통신 연결되며, 수신된 입력 조작을 상기 스마트 단말(1) 내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6) 상에 상기 입력 조작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1)과 상기 입력 장치(2)의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일 수 있고, 연결 시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입력 장치(2)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조작부(3)
상기 조작부(3)는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조이스틱, 버튼 또는 노브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2) 상에는 오직 하나의 조작만(3)만 구비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개 조작부(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는 상기 입력 장치(2)의 동일 측면 상에 구비되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편리를 줄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일단은 내부로 오목져 하나의 요홈(4)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4)은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상부 또는 저부를 수용한다.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상부가 상기 요홈(4)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3)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6)이 동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6)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조작부(3)의 투영 범위에 노출되는 바, 즉 상기 조작부(3)가 상기 스크린(6)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는 조작 과정에 상기 스크린(5)의 모든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다. 도4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외형은 납작하고 긴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상기 요홈(4) 설계는 대응되는 크기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체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4)의 입구의 횡단면적과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상부 또는 저부의 단면 면적이 같다. 상기 스마트 단말(1)은 생산 업체 및 모델이 다름에 따라, 다른 외형 크기를 가지며, 상기 요홈(4)은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상부와 일치한 외형 크기로 설계된다. 상기 요홈(4)의 깊이는 응당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입력 장치(2)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확보하고, 상기 입력 장치(2)의 중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 연결될 때, 응당 상기 조작부(3)가 위치하는 측면과 상기 스크린(6)이 동일측이도록 확보하여야 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스크린을 관찰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3)를 볼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 아울러 상기 요홈(4)의 설계는 응당 상기 스크린(6)이 가려지지 않도록 확보하여, 사용자의 관찰에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하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요홈(4)의 깊이는 응당 상기 요홈(4)의 측벽이 상기 스크린(6)을 가리지 않도록 확보하여야 하는데, 즉 상기 요홈(4)의 깊이는 상기 스크린(6)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상부 변두리 또는 저부 변두리까지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상기 스크린(6)은 또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2)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조작을 진행할 때, 상기 스마트 단말(1)을 가로 놓고, 한 손으로 상기 입력 장치(2)를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하여, 여러 가지 입력 조작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오직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일단에만 상기 입력 장치(2)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자 조작 시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파지가 편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진일보의 개선으로서, 상기 요홈(4)의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6)과 대응되는 측벽에 하나의 노치(5)가 구비되며; 상기 노치(5)의 형상은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6)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연결될 때, 상기 노치(5)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노출시킨다. 주류의 스마트 단말(1)은 일반적으로 좁은 테두리 설계를 사용하여, 상기 스크린(6)과 상기 스마트 단말(1) 단부 에지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으며, 상기 요홈(4)이 충분한 깊이를 가져 견고하게 연결하는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즉 역학적 성능을 확보하고 아울러 상기 스크린(6)을 가리지 않기 위하여, 상기 요홈(4)의 상기 스크린(6)에 대응되는 측벽 상에 하나의 노치(5)를 구비하여, 상기 스크린(6)을 노출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 단말(1)의 배면(상기 스크린(6)과 마주하는 일 측면) 및 좁은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요홈(4)의 3면 측벽이 충분한 연장 길이를 확보하도록 하여, 비교적 많은 접촉 면적을 제공하여, 역학적 성능을 보강한다. 상기 조작부(3)는 상기 노치(5)와 동일 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6)과 동일측에 위치하도록 유지한다. 상기 노치(5)의 형상은 상기 스크린(6)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하고, 주류의 스크린(6)은 흔히 직사각형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노치(5)도 스크린(6) 크기와 일치한 직사각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진일보의 개선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2)는 직육면체이고, 해당 직육면체의 일 측면 상에 상기 조작부(3)를 배치하며, 상기 조작부(3)가 배치된 면과 수직되는 측면에 상기 요홈(4)의 개구가 구비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1), 특히 스마트 폰이 일반적으로 직육면체로 설계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각적 효과의 일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장치도 직육면체로 설계한다. 사용자를 위하여 더욱 훌륭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직육면체의 측면에는 라운드 코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2)를 파지할 때 편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 중의 게임 패드식의 외형 설계에 비하여, 직육면체의 입력 장치(2) 외형을 사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외형 크기와 맞출 수 있고, 또한 소형화의 특징이 있어, 사용자의 파지가 편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진일보의 개선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2)에는 다른 종류의 조작부(3), 예를 들면 조이스틱과 버튼의 조합, 노브와 버튼의 조합 등을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오직 그 중의 한 가지 조작부(3)만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에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된 방향 제어 버튼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방향 제어 버튼은 사용자가 여러 방향의 조작을 진행하는데 편하도록 하고, 이는 현재 외부 조작 장치 중의 주류 장치이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진일보의 개선으로서, 상기 요홈(4)의 측벽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상기 홀을 통하여 노출된다. 노출시켜야 하는 스마트 단말(1)의 부품 위치가 다름에 따라, 상기 홀의 개공 위치도 다른 바,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단말(1)의 메인 카메라에 있어서, 흔히 상기 스마트 단말(1)의 배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요홈(4)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1) 배면의 측벽 상에 개공하고, 또한 상기 홀의 위치와 상기 메인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마트 단말(1)의 스크린 일측에는 또한 전방 카메라 또는 마이크 또는 수화기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홀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부품의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보하여야 한다.
상기 입력 장치(2)의 진일보의 개선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에는 상호 배합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은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 기구에는 가이드 홈, 버클, 나사, 자석, 삽입 핀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상기 요홈(4) 방식의 기초 상에서, 본 개선된 실시예는 나아가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 상에 상호 배합되는 연결 기구를 추가하여, 상기 입력 장치(2) 및 상기 스마트 단말(1)에 대하여 견고하게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상기 요홈(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 기구에는 적어도 상호 배합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각각 상기 입력 장치(2)와 상기 스마트 단말(1) 상에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1)이 상기 요홈(4)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 기구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상호 배합 고정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1)과 상기 입력 장치(2)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기구는 가이드 홈, 버클, 나사, 자석, 삽입 핀 등 구체적인 구현 구조일 수 있고, 그 중의 어느 한 구조를 선택하여 연결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중의 두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구조를 선택하여 조합하여 상기 연결 기구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가 가이드 홈일 때, 상기 스마트 단말(1) 또는 상기 입력 장치(2)의 중의 하나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가이드 홉과 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기구가 버클일 때, 상기 스마트 단말(1) 또는 상기 입력 장치(2)의 중의 하나에 버클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버클과 배합되는 버클링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기구가 나사일 때, 상기 스마트 단말(1) 또는 상기 입력 장치(2)의 중의 하나에 나사와 배합되는 나사홀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가 관통되도록 하는 나사 고정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기구가 자석일 때, 상기 스마트 단말(1) 또는 상기 입력 장치(2)의 중의 하나에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자석 특성 금속 또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기구가 삽입 핀일 때, 상기 스마트 단말(1) 또는 상기 입력 장치(2)의 중의 하나에 삽입 핀과 배합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삽입 핀이 관통되도록 하는 삽입 핀 고정 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6)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사용 시, 상기 스마트 단말(1)을 가로 놓고, 한 손으로 상기 입력 장치(2)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유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는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성을 갖고 있고, 또한 본 실용신안에 대하여 아무런 형식의 제한을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해당 분야에 익숙한 어떠한 기술자라도 상기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이용하여 동등한 유효 실시예로 변경 또는 동등화시킬 수 있으나, 본 실용신안의 기술 방안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고, 본 실용신안의 기술 본질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진행하는 어떠한 수정 또는 동등한 변화 및 수정이라도, 모두 여전히 본 실용신안의 기술 방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1-스마트 단말; 2-입력 장치; 3-조작부; 4-요홈; 5-노치; 6-스크린

Claims (10)

  1.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서,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통신 연결되며, 수신된 입력 조작을 상기 스마트 단말 내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 조작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 장치의 일단은 내부로 오목져 하나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부 또는 저부가 상기 요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이 동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조작부의 투영 범위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과 대응되는 측벽에 하나의 노치가 구비되고, 상기 노치의 형상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스크린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노치가 상기 스크린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형상은 상기 스크린의 변두리 형상과 일치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의 측면에는 라운드 코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조이스틱, 버튼 또는 노브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된 방향 제어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측벽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결될 때,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상기 홀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조작부가 포함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입력 장치의 동일 측면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에는 상호 배합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 기구에는 가이드 홈, 버클, 나사, 자석, 삽입 핀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KR1020207011493A 2017-11-24 2018-10-24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KR20200090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592060.2U CN207612285U (zh) 2017-11-24 2017-11-24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
CN201721592060.2 2017-11-24
PCT/CN2018/111752 WO2019100895A1 (zh) 2017-11-24 2018-10-24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53A true KR20200090753A (ko) 2020-07-29

Family

ID=6279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93A KR20200090753A (ko) 2017-11-24 2018-10-24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8044B2 (ko)
EP (1) EP3691229A4 (ko)
JP (1) JP2021504821A (ko)
KR (1) KR20200090753A (ko)
CN (1) CN207612285U (ko)
WO (1) WO2019100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5723B1 (en) 2014-11-18 2021-06-29 Razer (Asia-Pacific) Pte. Ltd. Gaming controller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gaming controller
CN207612285U (zh) * 2017-11-24 2018-07-1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
CN108769349B (zh) * 2018-08-10 2023-05-30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摇杆的操作装置及智能终端组件
US10661161B2 (en) 2018-08-24 2020-05-2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Wireless charging adapter with game control keys for computer game controller
JP7120933B2 (ja) * 2019-01-10 2022-08-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収納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402B2 (en) * 2005-04-29 2013-09-1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te cover having user interface
JP5350862B2 (ja) 2009-04-03 2013-11-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型情報端末および情報入力方法
US20100277415A1 (en) 2009-04-30 2010-11-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medi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78431B1 (ko) * 2009-08-14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장착부재
US8480493B2 (en) * 2011-03-02 2013-07-09 Inmusic Brands, Inc. Arcade-style game controll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CN201965558U (zh) 2011-03-15 2011-09-07 叶尔肯·拜山 手机用游戏手柄
GB2493701B (en) * 2011-08-11 2013-10-16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Input device, system and method
US9138640B2 (en) * 2011-10-26 2015-09-22 David Baum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
US8788348B2 (en) * 2011-12-20 2014-07-22 Wikipad, Inc. Combination game controller and point of sale input device
US9005026B2 (en) * 2011-12-20 2015-04-14 Wikipad, Inc. Game controller for tablet computer
US20140247246A1 (en) * 2012-11-15 2014-09-04 Daryl D Maus Tactile to touch input device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6727081B2 (ja) * 2016-09-05 2020-07-2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拡張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207612285U (zh) 2017-11-24 2018-07-1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
CN207612322U (zh) * 2017-11-24 2018-07-1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外壳及一种智能终端
CN107911511A (zh) 2017-12-15 2018-04-13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及智能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0895A1 (zh) 2019-05-31
US11148044B2 (en) 2021-10-19
EP3691229A1 (en) 2020-08-05
US20200316460A1 (en) 2020-10-08
CN207612285U (zh) 2018-07-13
EP3691229A4 (en) 2021-06-16
JP2021504821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0753A (ko)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US10722783B2 (en) Game console
JP5945100B2 (ja) 入力処理プログラム、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および入力処理システム
JP4838375B1 (ja) 携帯型ゲーム装置のハウジングパーツおよび携帯型ゲーム装置
CN102714743B (zh) 便携式电子设备
KR20200091852A (ko) 스마트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케이스 및 스마트 단말
JP2021012652A (ja) カバー
CN107911511A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及智能终端
JP2013176529A (ja) 変更されたゲーム状態に基づいて仮想カメラの位置を変え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4971497B (zh) 一种带遥控功能手机游戏手柄
CN207694238U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及智能终端
JP59184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2945353B1 (en) Co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cover
US11278793B2 (en) Game console
WO2019114420A1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及智能终端
KR101966825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가상현실 감상기기
JP2016129022A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JP3198197U (ja) 映像操作装置及び操作装置
AU2012101721B4 (en) Case for a touch screen device
JP2014216844A (ja)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TW202011153A (zh) 電子裝置組合及其使用方法
JP2018164740A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JP2012022289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7018678A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JP2005340039A (ja) 料金表示機構及びその機構を備えたコンセント及びスイ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