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266A -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 Google Patents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266A
KR20200090266A KR1020207020021A KR20207020021A KR20200090266A KR 20200090266 A KR20200090266 A KR 20200090266A KR 1020207020021 A KR1020207020021 A KR 1020207020021A KR 20207020021 A KR20207020021 A KR 20207020021A KR 20200090266 A KR20200090266 A KR 2020009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ble
card
patch
carrier lay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842B1 (ko
Inventor
배리 로이 모스텔러
Original Assignee
씨피아이 카드 그룹-콜로라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아이 카드 그룹-콜로라도, 인크. filed Critical 씨피아이 카드 그룹-콜로라도,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9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single light or small number of lights capable of being switched on or off, e.g. a series of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85Gif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는, 캐리어 층,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 전기적 결합을 위해 캐리어 층 또는 또 다른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를 포함한다. 조명가능한 카드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의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미리결정된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ILLUMINABLE CARDS"인 2017년 12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97,7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가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단일 패널 카드, 특히 지갑류에 두거나 이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크기의 카드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카드는, 콜렉터 카드, 액세스 카드, 신분 카드, 포인트 카드, 회원 카드, 환승 카드 및 거래 카드(예를 들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및 기프트 카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는, 종종, 주어진 금융 기관 및/또는 이러한 카드를 발행하거나 배포/이용을 장려하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의 판매자와 연관된다. 결국, 이러한 카드는, 종종, 대응하는 판매자 및/또는 금융 기관에 고유하거나 이와 연관가능한 시각적 및/또는 기능적 피처를 포함함으로써, 판매자 및/또는 금융 기관과 관련하여 소비자 브랜드 인식 및 영업권을 강화한다.
한 카드를 또 다른 카드와 구별하려는 노력으로, 설명된 성질의 카드들은 점점 더 창의적인 피처를 통합했다. 그러나, 이러한 피처들은 종종 상당한 추가적인 카드 생산 비용을 수반함으로써, 광범위한 구현을 축소시킨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피처의 구현은 소규모의 또는 다른 비용-민감한 금융 기관 및 판매자에 의한 제한적 또는 심지어 광범위한 카드 분배에 대해 너무 비싼 맞춤화 정도를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창의적인 피처의 통합은, 종종, 2개의 경합하는 목표, 즉, 가시적 카드 차별화 또는 기능적 카드 차별화 중 하나만을 달성된다.
본 개시내용은, 카드 맞춤화 및 카드 생산 효율성 양쪽 모두를 제공함으로써 창의적인 시각적/기능적 조명 피처의 구현을 용이화하는 개선된 카드 및 생산 방법론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 제1 코어 층을 포함하는 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가능한 카드는, 외부 전원(즉, 조명가능한 카드 내에 포함되지 않은 비접촉식 및/또는 접촉식 전원) 및 온보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등)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에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의 제1 코어 층을 통한 조명을 위해, 예를 들어 제1 접촉 패드와 제2 접촉 패드들 사이에서,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을 위해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은 심미적 및/또는 기능적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의도된 기능적 이용과 연관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원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조명가능한 카드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일부 위에 놓이고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기 위해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차단 및 허용하도록 패터닝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기 위한 조명가능한 패치 및 그 위에 놓인 마스크의 제공은,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조명원의 맞춤형 구성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설계 접근법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원하는 가시적 이미지를 제공하는 마스크의 이용을 통해 맞춤화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 카드 설계가 확립될 수 있다. 예로서, 미리결정된 가시 이미지는, 주어진 엔티티와 연관되거나 이에 의해 선택된 이름, 로고, 캐릭터, 그래픽 또는 다른 시각적 표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길쭉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이용은, 카드 생산 동안 관련된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준비된 위치결정을 용이화함으로써, 베이스 카드 설계의 이용을 유리하게 수용하면서 카드 맞춤화를 더욱 용이화하여 생산 효율성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 조명가능한 패치의 인접한 대응하는 엣지 부분들의 길이보다 각각 더 큰 제1 차원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관련된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및/또는 등간격의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직사각형 카드 본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길이 엣지 또는 폭 엣지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음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의 길이 또는 폭을 따른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 위치결정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각각,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될 수 있고(즉, 직접, 중첩된 접촉으로),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제1 차원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의 한쪽 또는 양쪽 끝을 넘어 연장). 이러한 구현에서,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중첩되지 않는 제2 부분은, 제1 차원의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중첩된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 또는 심지어 적어도 200%인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인쇄된 마스크, 예를 들어,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및/또는 외향 측면에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된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복수의 인쇄된 잉크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인쇄된 잉크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차단하여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하다.
한 접근법에서, 인쇄된 마스크는 제1 코어 층 상에 인쇄된 제1 인쇄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인쇄 층의 제2 부분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인쇄되고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인쇄되고 볼 수 있는 그래픽;
인쇄되고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실질적으로 모든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인쇄된 플러드 층(flood layer).
또 다른 접근법에서, 마스크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여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층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된 부분이 있는 금속 호일 층(metal foil layer)이, 조명가능한 패치와 제1 코어 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인쇄 층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생산 효율성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연속 인쇄 동작의 일부로서 인쇄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제2 인쇄 층은 제1 인쇄 층이 인쇄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제1 코어 층의 측면에 인쇄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인쇄 층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인쇄되고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인쇄되고 볼 수 있는 그래픽;
인쇄되고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실질적으로 모든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인쇄된 플러드 층.
일부 구성에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전기 전도성 입자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 및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다이오드들은,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 전력 신호가 수신될 때 조명된다. 한 접근법에서, 다이오드는,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의 적어도 일부는 다이오드 위에 배치된 채로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의 일부는 중첩되어 제1 접촉 패드 또는 레일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고, 여기서,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는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과 약간 이격되거나 또는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캐리어 층은,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투명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형광을 내도록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 관계로,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와 마스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대향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는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조명가능한 패치가 그 위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다(예를 들어, 복수의 다이오드가 인광 패치 위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가 다이오드들 위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됨).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조명가능한 패치와 위에 놓인 마스크 사이에서, 조명가능한 패치에 대해 중첩 관계로 위치하고,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로 연장되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선택사항적인 반투명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일부는 반투명 층 내에서 내부적으로 반사될 수 있고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로 향하여 이러한 주변 엣지를 조명함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에 독특한 피처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반투명 층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 전체 및 그 주변으로 연장되는 시트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조명가능한 카드가 제공될 때, 길이 엣지들 및 폭 엣지들 각각은,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에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반투명 층은 형광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카드 본체는, 제1 코어 층과 반대 측면 상의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또는 제1 코어 층과 반대 측면 상의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금속 층(예를 들어, 금속 호일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 코어 층, 및 제2 코어 층 및/또는 금속 층은, 각각의 층이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공통된 주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신호의 수신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구현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중 상이한 것들에 그 오프셋 위치들(예를 들어, 그 대향 단부들 또는 그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가능하여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 전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는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안테나는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안테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및 조명가능한 패치 주변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1 안테나는,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과 반대의,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안테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및 조명가능한 패치에 대해 및 그 주변에 대해 비중첩 관계로 연장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안테나는 캐리어 층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브릿지를 통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가능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필름 층(들)은,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조명가능한 패치, 선택사항적인 제1 안테나, 선택사항적인 인광 패치, 아래에서 언급되는 선택사항적인 제2 안테나 등)과 중첩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의 한쪽 면 또는 양쪽 측면에 상호접속되어,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inlay)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필름 층은,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각각의 측면 전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덮음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의 추가 층(예를 들어, 제2 코어 층, 금속 층, 외측 보호 층, 접착제 및/또는 열경화성 상호접속 층 등)과의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을 통한) 조립 및 상호접속을 용이화하는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그 제1 측면 상에서 조명가능한 카드 내로 연장되는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IC)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IC 칩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또는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비접촉 신호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각각,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및 결합된 전력/데이터 신호를 IC 칩에 제공한다. 나중에, IC 칩과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는, 그들 사이의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고려되는 구성에서, 제2 안테나는 캐리어 부재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및/또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이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동일한 측면 또는 반대쪽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예를 들어 캐리어 층의 동일한 측면에서 또는 반대쪽 측면에서,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된다. 또한,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및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캐리어 층의 동일한 측면 또는 반대쪽 측면 상에서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그 제1 측면 상의 조명가능한 카드 내로 연장되는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IC)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안테나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C 칩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가능하다. 이어서, 비접촉 신호가 제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및 결합된 전력/데이터 신호를 IC 칩에 제공한다. 나중에, IC 칩과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는, 그들 사이의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을 이용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IC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IC 칩 및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가 그들 사이의 접촉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과 관련하여,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은, 조명가능한 패치를 조명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접촉 패드 및/또는 집적 회로 칩의 대응하는 접촉 단자들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IC 칩 및 복수의 접촉 패드는, 그 제1 측면으로부터 조명가능한 카드로 연장되는 포켓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금속성, 제1 및 제2 접속 라인은 캐리어 층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및 복수의 접촉 패드 및/또는 집적 회로 칩의 대응하는 접촉 단자들 중 상이한 것들 사이에서 상호접속될 수 있다.
제1 코어 층, 제2 코어 층, 및 보호성 외측 필름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변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층들은, 층들 중 인접한 것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머-계열 층 및/또는 열경화성 폴리머-계열 층이 배치되어, 라미네이션을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피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변형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상호접속된 전기 비전도성 제1 및 제2 캐리어 층, 및 제2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을 포함하는 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외부 전원(즉, 조명가능한 카드에 포함되지 않은 비접촉식 및/또는 접촉식 전원) 및 온보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등)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또한, 조명가능한 패치는, 제1 접촉 패드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제1 캐리어 층을 향하는,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된다. 이러한 조명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의 및/또는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의 제1 코어 층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고려되는 구현에서, 제2 캐리어 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나중에,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반투명 제2 캐리어 층에서 내부적으로 반사되고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로 향하여 주변 엣지를 조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길쭉한 구성일 수 있고,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는 하나의 주변 측면 엣지, 복수의 주변 측면 엣지(예를 들어, 대향 및/또는 인접한 측면 엣지들), 또는 직사각형 조명가능한 카드의 전체 주변 엣지를 따라 및 이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 전체를 따라 연장되어 프레임형 구성(예를 들어, 직사각형 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본 명세서에서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층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관한 중첩된 위치결정을 위한 제2 캐리어 상의 오픈 필드(open field)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인광 패치가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제공될 수 있고, 조명가능한 패치의 구성(예를 들어, 프레임형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길쭉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명가능한 패치는, 관련된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 사이에서의 위치결정 및 이들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는, 다각형, 타원체 또는 다른 닫힌 구성일 수 있고 그 주변 엣지와 이격된 관계로 제2 캐리어의 중앙 필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은 카드 생산 동안 정의될 수 있음으로써, 베이스 카드 설계의 이용을 유리하게 수용하면서 카드 맞춤화를 용이화하여 생산 효율을 준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제1 차원에서 대응하는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 조명가능한 패치의 인접한 대응하는 엣지 부분들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관련된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할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및/또는 등간격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직사각형 카드 본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길이 엣지 또는 폭 엣지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음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의 길이 또는 폭을 따른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 위치결정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각각,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될 수 있고(즉, 직접, 중첩된 접촉으로),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제1 차원의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의 한쪽 또는 양쪽 끝을 넘어 연장). 이러한 구현에서,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중첩되지 않는 제2 부분은, 제1 차원의 제1 접촉 레일의 엣지 부분의 중첩된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 또는 심지어 적어도 200%인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중 상이한 것들에 그 오프셋 위치들(예를 들어, 그 대향 단부들 또는 그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 전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안테나는 제1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안테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주변으로 연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또한, 전기적 결합을 위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사이에 위치한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1 안테나는 직사각형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조명가능한 패치 내에서 및 이와 비중첩 관계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본 명세서에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형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정의된 오픈 필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및 제2 전기 접점은 길쭉한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이한 오프셋 부분들과 제1 및 제2 접촉 패드의 상이한 것들의 사이에서 전기 접촉하여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및 제2 전기 접점과 제1 안테나 사이에 그 중첩된 영역에서 전기 비전도성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고 위치된 조명가능한 패치의 일부 위에 놓이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기 위해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차단 및 허용하도록 패터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스크는 인쇄된 마스크, 예를 들어,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및/또는 외향 측면에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된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복수의 인쇄된 잉크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인쇄된 잉크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차단하여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하다.
한 접근법에서, 인쇄된 마스크는 제1 코어 층 상에 인쇄된 제1 인쇄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인쇄 층의 제2 부분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인쇄되고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인쇄되고 볼 수 있는 그래픽;
인쇄되고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실질적으로 모든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인쇄된 플러드 층(flood layer).
일부 구현에서, 제1 인쇄 층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생산 효율성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연속 인쇄 동작의 일부로서 인쇄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제2 인쇄 층은 제1 인쇄 층이 인쇄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제1 코어 층의 측면에 인쇄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인쇄 층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인쇄되고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인쇄되고 볼 수 있는 그래픽;
인쇄되고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실질적으로 모든 제1 코어 층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인쇄된 플러드 층(flood layer).
또 다른 접근법에서, 마스크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여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층을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된 부분이 있는 금속 호일 층(metal foil layer)이, 조명가능한 패치와 제1 코어 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형광을 내도록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 관계로,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와 마스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에 대향하는 관계로 제2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가 지지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카드 본체는, 제1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즉, 제2 캐리어 층과 반대 측면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또는 하향 측면, 즉, 제2 캐리어 층과 반대 측면 상의 제1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금속 층(예를 들어, 금속 호일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 코어 층 및 제2 코어 층 및/또는 금속 층은, 각각의 층이 조명가능한 카드의 주변 엣지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공통된 주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필름 층(들)은, 제1 캐리어 층 및 제2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조명가능한 패치, 선택사항적인 제1 안테나, 선택사항적인 인광 패치, 아래에서 언급되는 선택사항적인 제2 안테나 등)과 중첩하는 관계로 제1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및/또는 제2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상호접속되어,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필름 층은, 제1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및 제2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 전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덮음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의 추가 층(예를 들어, 제2 코어 층, 금속 층, 외측 보호 층, 접착제 및/또는 열경화성 상호접속 층 등)과의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을 통한) 조립 및 상호접속을 용이화하는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코어 층, 제2 코어 층, 및 보호성 외측 필름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변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캐리어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층들은, 층들 중 인접한 것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머-계열 층 및/또는 열경화성 폴리머-계열 층이 배치되어, 라미네이션을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동일한 또는 또 다른 캐리어 층 상에 제공된 제1 접촉 패드(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 또는 레일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캐리어 층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기 전도성 층, 전기 전도성 층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중간 층, 및 동일한 또는 또 다른 캐리어 층 상에 제공된 제2 접촉 패드(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 또는 레일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중간 층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전기 전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중에, 전기-패드는,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재료 층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가 제공되는 방법 실시예 및 복수의 카드 실시예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카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공통적으로 구성된 카드 본체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상기 제1 코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임―
을 포함함―, 및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과 전기적 결합하도록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대응하는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대응하는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에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추가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과 전기적 결합하도록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 및
대응하는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대응하는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는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여기서,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및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는, 각각,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및 상기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와는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또는 레일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상대 위치 상기 제2 상대 위치는 상이하다.
일부 구현에서, 공통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공통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이한 구성들일 수 있다. 결국, 공통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공통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실질적으로 공통의 전기 부하들을 정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공통 영역 및 공통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공통의 제1 인쇄(예를 들어, 동일한 그래픽 및/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인쇄)가 대응하는 제1 코어 층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공통의 제2 인쇄(예를 들어, 동일한 그래픽 및/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인쇄)가 대응하는 제1 코어 층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공통 인쇄 및 제2 공통 인쇄는 상이하다.
이러한 방법 및 복수의 카드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드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가시적 계좌 표식 및 기타의 개인화 데이터를 제외하고, 여기서 설명된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된 추가적인 제1 공통 카드 피처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카드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가시적 계좌 표식 및 기타의 개인화 데이터를 제외하고, 여기서 설명된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된 추가적인 제2 공통 카드 피처를 가질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추가적인 제1 공통 카드 피처 및 추가적인 제2 공통 카드 피처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많은 추가적 피처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제공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의 고려시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한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b는 또 다른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의 캐리어 층 및 지지된 컴포넌트들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8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9는 조명가능한 카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만으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이하의 교시 및 관련 분야의 기술 및 지식에 상응하는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알려진 형태를 설명하고 본 기술분야의 다른 통상의 기술자가 이와 같은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응용(들) 또는 이용(들)에 의해 요구되는 다양한 수정과 함께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추가로 의도한다.
도 1은,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10), 및 캐리어 층(10)의 상향 측면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20)을 포함하는 카드 본체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1)의 한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일부 구현에서, 제1 코어 층(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조명가능한 카드(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를 더 포함한다. 추가로, 조명가능한 카드(1)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에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50)를 포함하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된다. 이러한 조명은,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1 측면 상의 제1 코어 층(20)을 통해 및/또는 조명가능한 카드(1)의 주변 엣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조명은 심미적 및/또는 기능적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은 조명가능한 카드의 의도된 기능적 이용과 연관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원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강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는 또한,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1 측면 상에서 미리결정된 이미지(62)를 정의하는 마스크(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스크(60)는 미리결정된 이미지(62)를 제공하기 위해 조명의 상이한 부분들의 통과를 허용하고 통과를 차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70)는 또한, 조명가능한 카드(1)에 포함되어 무선 주파수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70)는 하나 이상의 루프를 정의하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중 상이한 것들에 상호접속된 오프셋 위치들(예를 들어, 대향 말단들)을 갖는 연속 길이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70)는 또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및 조명가능한 패치(50)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및 제1 안테나(70)는, 캐리어 층(10)의 공통 측면 상에 배치되어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및 제1 안테나(70)는,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으며, 제1 안테나(70)와 제1 및 제2 레일(40, 42) 사이에서 캐리어 층(10) 상에 및 이를 통해, 금속성 교차 접속 브릿지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70)는, 캐리어 층의 제1 측면과 반대쪽의,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안테나(70)와 제1 및 제2 레일(40, 42) 사이에서 캐리어 층(10) 상에 및 이를 통해, 금속성 교차 접속 브릿지가 제공된다. 예로서,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텀으로 도시된) 금속성 브릿지(72)는 캐리어 층(10) 상에 배치되고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금속성 교차 접속은 제1 안테나(70)의 말단과 제1 접촉 레일(40) 사이에서 캐리어 층(1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제1 안테나(70), 및 브릿지(72)는, (예를 들어, 도금 및 에칭 동작을 통해)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금속성 층(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안테나(70) 및 브릿지(72)는,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매립된 금속성 와이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및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조 동안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 관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 중 임의의 하나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위치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조명을 위해 기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더 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인접한 대응하는 엣지 부분들의 길이보다 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그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및/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관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및 조명가능한 카드(1)의 주변 엣지와 관련하여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각각은,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 레일(40)의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조명가능한 패치(50)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과 중첩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접촉 레일(40)의 제2 부분은 앞서 언급된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경로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된다(예를 들어, 제2 부분은 제1 차원에서의 중첩된 제1 부분을 넘어 한쪽 방향 또는 양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조 동안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 관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하기 위해, 중첩되지 않는 제2 부분은, 제1 차원에서의 중첩된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00%인,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조명가능한 패치(50)는, 다각형 구성(예를 들어, 아래에서 도 1, 도 7 및 도 9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직사각형 구성), 또는 타원체 구성(예를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원형 구성), 길쭉한 구성(예를 들어, 도 8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 구성)을 포함한, 다양한 상이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이한 대응하는 설계를 갖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1)가 제공되는 적어도 일부 고려되는 응용에서, 실질적으로 공통된 전력 신호의 수신시 각각이 실질적으로 공통된 전기 부하를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패치(50)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구현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를 정의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들)는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1)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음으로써, 조명시 단위 면적당 실질적으로 공통된 부하를 제공한다. 또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실질적으로 공통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상이한 대응하는 설계를 갖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1)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에서 비접촉 전력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와 함께 이용되도록 의도된 응용에서 특히 유리하다(예를 들어, 약 13.56 Mhz의 주파수에서 비접촉식 거래 카드와의 신호 전송을 위해 제공된 비접촉식 거래 카드 판독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미리결정된 부분의 통과를 차단 및 허용하여 미리결정된 이미지(62)를 정의하는 미리결정된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60)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에 대응하는 패턴 영역, 및 주어진 로고, 이름, 캐릭터, 장면 또는 주어진 고객에 의해 선택된 기타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타의 구성을 통한 더 큰 정도의 광 통과를 허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가, 제조 동안에,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대해 위에 놓이는 대응하는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마스크(60)는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선택사항적 인쇄 층(64)의 일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층(64)은, 마스크(60)의 미리결정된 패턴 주변으로 연장됨으로써 이를 정의하여 미리결정된 패턴을 통한 광 통과를 허용하도록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의 적어도 미리결정된 부분에 걸쳐 인쇄되는 불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 층(예를 들어, 임의의 원하는 색상의 잉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쇄 층(64)은 ISO/IEC 표준 7810의 시각적 불투명 요건을 준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쇄 층은, 마스크(60)의 미리결정된 패턴을 제외한,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 위에 놓이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하나 이상의 추가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사항적인 인광 패치(80)는, 아래에 놓인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위에 놓인 마스크(60) 사이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가 제조 동안 위치할 수 있는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 대해 위에 놓이는 대응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위에 놓이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인광 재료를 포함하는 코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 패치(80)는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다.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를 포함하는 다이오드의 가시적인 청색 톤 조명을 가시적인 백색 톤 조명으로 효과적으로 변환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1)의 심미적 및/또는 기능적 피처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추가의 선택사항적인 피처로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위에 놓인 마스크(60) 사이에,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위에 놓이는 관계로 위치하고, 조명가능한 카드(1)의 주변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반투명 층(82)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일부는, 반투명 층(82) 내에서 내부적으로 반사되어 조명가능한 카드(1)의 주변 엣지로 향해 주변 엣지를 조명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반투명 층(82)은, 반투명의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재료)을 포함하고, 조명가능한 카드(1)의 주변 엣지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주변 엣지로 연장되는 시트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어진 응용에 대해 투명하거나 착색될 수 있는 형광 안료, 또는 염료를 역시 포함하는 반투명의 폴리머-계열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선택사항적인 피처로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를 정의하도록,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제1 안테나(70), 및/또는 인광 패치(80)(포함된 경우)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의 한쪽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상호접속된 필름 층(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필름 층이 캐리어 층(10)의 각각의 측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고 측면 전체를 완전히 덮음으로써, 미리-접속된 어셈블리를 생성할 수 있다. 필름 층(들)은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투명할 수 있다. 추가로, 필름 층(들) 상에 인쇄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된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된 인쇄 층(64)과 유사한 방식으로 인쇄 층의 일부로서 인쇄됨). 필름 층(들)은 폴리머-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의 카드 본체는,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예를 들어, 제1 코어 층(20)과 반대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사항적인 제2 코어 층(30)이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쇄는 제1 코어 층(20) 및 제2 코어 층(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인쇄는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결국, 보호성 투명 외측 필름 층(들)이 제1 코어 층(20) 및 제2 코어 층(30)(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외향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필름 층(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개인화 데이터의 제공을 용이화하도록 레이저 조각가능(laser engravable)하다.
제1 코어 층(20)(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1 인치 두께), 제2 코어 층(30)(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1 인치 두께) 및 보호성 외측 필름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 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변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층(10)(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12 인치 두께)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층들은, 층들 중 인접한 것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머-계열 층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계열 층이 배치되어, 라미네이션을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조명가능한 카드(1)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는, 콜렉터 카드, 신분 카드, 액세스 카드, 포인트 카드, 멤버십 카드, 환승 카드, 또는 거래 카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나중에,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는, 거래 카드로서 이용하기 위한 추가 피처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의 카드 본체는, ISO/IEC 표준 7810을 준수하는 길이 L, 폭 W 및 두께를 갖는 카드 구성을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코어 층(20), 제2 코어 층(30)(제공된 경우) 및 외측 필름 층(들)(제공된 경우) 각각은, ISO/IEC 표준 7810을 준수하는 공통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음으로써, 상호접속된 어셈블리에서 이러한 층의 라미네이션을 수용한다. 추가로,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층(10), 및 선택사항적인 반투명 층(82) 및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 필름 층은 각각 ISO/IEC 표준 7810에 따라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상호접속된 어셈블리에서 이러한 층의 라미네이션을 수용한다.
또한,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거래 카드 형태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자기 스트라이프 카드 판독기 및/또는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 및/또는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에서의 이용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IC 칩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IC) 칩 모듈(90) 및 제2 안테나(76)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의/로부터의 비접촉식 신호, 예를 들어, 제2 안테나(76)를 통해 IC 칩 모듈(90)에 전력/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제1 안테나(70)를 통해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주파수 방사 신호 전송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비접촉 신호는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와 IC 칩 모듈(9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의 완료에 수반되는 데이터 전송). 이와 관련하여, IC 칩 모듈(90) 및 제2 안테나(76)는 ISO/IEC 표준 14443을 준수하는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안테나(76)는,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 루프(들)(76a)를 정의하는 연속 길이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외측 루프(들)(76a)는, 캐리어 층(10)의 제1 측면 상의, 제1 안테나(70),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및 조명가능한 패치(50)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루프(들)(76a)는 캐리어 층(10)의 주변 엣지 부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안테나(76)는, 캐리어 층(10)의 제2 측면 상에 대응적으로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안테나(76)는, (예를 들어, 도금 및 에칭 동작을 통해)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금속성 층(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제2 안테나(70)는,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매립된 금속성 와이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76)와 IC 칩 모듈(90)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접근법에서, IC 칩 모듈(90)은 조명가능한 카드(1) 내에 매립될 수 있고 제2 안테나(76)에 직접 상호접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외측 루프(들)(76a)의 2개의 대향하는 말단은, IC 칩 모듈(90)의 IC 칩 상에 제공된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접근법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1 측면 내로 연장되고 제2 안테나(76)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IC 칩 모듈(90)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포켓(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IC 칩 모듈(90)은, 전기 비전도성 기판, 기판의 내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IC 칩, 및 기판의 외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IC 칩의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과 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복수의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중에, 복수의 접촉 패드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의/로부터의 접촉식 신호 전송, 예를 들어, IC 칩 모듈(90)에 전력을 제공하고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와 IC 칩 모듈(90)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전기 신호(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의 완료에 수반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C 칩 모듈(90) 및 복수의 접촉 패드는 ISO/IEC 표준 7816을 준수하는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현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는 이중 인터페이스 거래 카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IC 칩 모듈(90)은, 기판의 내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IC 칩 모듈(90)의 IC 칩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결합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안테나는, IC 칩 주위로 연장되고 IC 칩의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하나 이상의 루프(들)를 정의하는 연속 길이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안테나(76)는 IC 칩 모듈(90)의 결합 안테나와의 유도성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76)는 하나 이상의 내측 루프(들)(76b)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외측 루프(들)(76a) 및 내측 루프(들)(76b)는 연속 길이의 금속에 의해 정의된다. 내측 루프(들)(76b)는, IC 칩 모듈(90)이 포켓(26)에 고정될 때, IC 칩 모듈(90)의 내측 루프(들)(76b) 및 결합 안테나가 유도성 결합을 위해 대향 이격된 관계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텀으로 도시된) 금속성 브릿지(78)는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금속성 교차 접속이 캐리어 층(10)을 통해 제공되어 외측 루프(들)(76a)의 말단 및 내측 루프(들)(76b)의 말단을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IC 칩 모듈(90)은, 제2 안테나(76)의 포함없이, 제1 안테나(70)와의 직접적 또는 유도성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안테나(70)는 비접촉식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R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 전력 신호를 제공하고 IC 칩 모듈(90)의 IC 칩에 전력/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안테나(76)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제1 안테나(70), 및 브릿지(72)(필요한 경우)는, (예를 들어, 도금 및 에칭 동작을 통해)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금속성 층(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제2 안테나(76),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안테나(70) 및 브릿지(72)(필요한 경우)는,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매립된 금속성 와이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제, 각각,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1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선택사항적인 인쇄(22) 및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2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선택사항적인 인쇄(32)를 도시하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다. 인쇄(22 및/또는 32)는, 인쇄 층(64)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그래픽(예를 들어, 그림 장면, 로고, 사진 등), 대응하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예를 들어, 숫자, 문자 및/또는 그 표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머신-판독가능한 마킹(예를 들어, 바코드, 다차원 매트릭스 코드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리결정된 인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22)는 마스크(60)에 대해 오프셋된 관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쇄(22)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인쇄 층(64)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인쇄 층(64)은 복수의 인쇄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연속 인쇄 동작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인쇄(22)는 (예를 들어, 제1 코어 층(2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지에 관계없이) 투명한 제1 코어 층(20)의 외향 측면 상에 순방향 인쇄되거나, 투명한 제1 코어 층(10)의 내향 측면 상에 역방향 인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쇄(32)는, (예를 들어, 제2 코어 층(3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지에 관계없이) 제2 코어 층(30)의 외향 측면 상에 순방향 인쇄되거나, 제2 코어 층(30)이 투명하다면 제2 코어 층(30)의 내향 측면 상에 역방향 인쇄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는 또한, 조명가능한 카드(1)와 고유하게 연관된 계좌 또는 레코드(예를 들어, 카드 발급자 결제 기관에 의해 또는 이를 대신하여 관리되는 결제 계좌, 카드 발급자 판매자 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회원 계좌 등)를 나타내거나 이와 대응하는 가시적인 표식을 포함하는 개인화 데이터(24a, 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시적 개인화 표식(24a 및/또는 24b)은, 조명가능한 카드(1)의 카드 본체를 엠보싱하여 표식을 정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적 개인화 표식(24a 및/또는 24b)은, 제1 코어 층(20) 및/또는 제2 코어 층(30)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 상에 인쇄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적 개인화 표식(24a 및/또는 24b)은, (예를 들어, 레이저 조각, 잉크젯 인쇄 및 열인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명가능한 카드(1)의 외향 표면에 정의될 수 있다.
가시적 개인화 표식(24a)은, 대응하는 계좌(예를 들어, 계좌 번호)를 나타내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시적 개인화 표식(24b)은, 대응하는 카드 만료 날짜, 대응하는 계좌 서비스 등급 레벨, 및/또는 대응하는 고객-특유의 데이터(예를 들어, 고객 이름, 고객 지속기간, 데이터 등)를 포함한, 주어진 계좌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인간-판독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조명가능한 카드(1) 실시예에서, 가시적 표식(24a, 24b)은, 거래 카드(1)의 제1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적 표식(24a 및/또는 24b)는, 역시 또는 대안으로서, 거래 카드(1)의 제2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시적 표식(24a, 24b)은, 카드 개인화 처리의 일부로서 조명가능한 카드(1) 상에 개인화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는 또한, 조명가능한 카드(1)의 제2 측면에 부착된 자기 스트라이프(26)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26)는, 카드 개인화 동안, 조명가능한 카드(1) 고유의 개인화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적 표식(24a)에 의해 표시된 계좌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인코딩될 수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26)는 ISO/IEC 표준 7811을 준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 블록(27) 및/또는 홀로그램(28)은 또한, (예를 들어, 핫 스탬핑을 통해) 거래 카드(1)의 제2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제1 안테나(70), 및 제2 안테나(76)와 함께, 도 1에 도시된 캐리어 층(10)의 하부 평면도(즉, 캐리어 층(10)의 제1 측면)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54), 및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의 복수의 다이오드(54) 위에 배치된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가 수신될 때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가 조명된다. 한 접근법에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54)는, 캐리어 층(10)의 표면 상에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가, 복수의 다이오드(54) 위에 금속성 입자(예를 들어, 은-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또 다른 현탁액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는 중첩되어 제1 접촉 레일(4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2 접촉 레일(42)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접점(41, 42)을 따른 임의의 연속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캐리어 층(10)의 길이를 가로질러 및 대응적으로 조명가능한 카드(1)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음으로써, 주어진 고객에 대한 맞춤형 배치 및 연관된 마스크 설계를 용이화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어 층(10) 및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제1 안테나(70), 및 제2 안테나(76)(즉, 외측 루프(76a) 및 내측 루프(76b)에 의해 정의됨)는,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브릿지(72) 및 브릿지(78)는 캐리어 층(10)의 제2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연장되어, 본 명세서에서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시된 교차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도 4a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인광 패치(80)의 선택사항적인 포함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4b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캐리어 층(10)의 변형된 실시예 및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76) 및 브릿지(78)는, (예를 들어, 제1 안테나(70)와 비중첩 관계로)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유한 맞춤화 기회에 비추어, 수많은 추가 실시예가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은, 캐리어 층(10)의 제1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제1 안테나(70) 및 제2 안테나(76)와 함께, 도 1에 도시된 캐리어 층(10)의 변형된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즉, 캐리어 층(10)의 제1 측면)를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54), 및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의 복수의 다이오드(54) 위에 배치된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가 수신될 때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가 조명된다. 한 접근법에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54)는, 캐리어 층(10)의 표면 상에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가, 복수의 다이오드(54) 위에 금속성 입자(예를 들어, 은-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또 다른 현탁액을 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매트릭스(52)는 중첩되어 제1 접촉 레일(4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2 접촉 레일(42)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41, 42)을 따른 임의의 연속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캐리어 층(10)의 폭을 가로질러 및 대응적으로 조명가능한 카드(1)의 대응하는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음으로써, 주어진 고객에 대한 맞춤형 배치 및 연관된 마스크 설계를 용이화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세트의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a 및 42a, 40b 및 42b, 40c 및 42c)는,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하기 위해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음으로써, 주어진 고객에 대한 맞춤형 배치 및 연관된 마스크 설계를 용이화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트의 접촉 패드는, 일치된 형상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약간 이격된 관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스터브형 제1 접촉 패드(40a, 40b 및 40c) 및 대응하는 복합형상의 제2 접촉 패드(42a, 42b 및 42c)(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고리형, 링형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유리하게도, 조명가능한 패치(50)의 다중-위치 위치결정을 제공하는 한편, 주어진 구현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복합형상의 조명가능한 패치(50)를 수용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전술된 조명가능한 카드(1)의 피처와 공통되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고 소정의 변형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공통 피처들과 관련하여, 도 7에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이용되고, 도 7과 관련하여 다르게 설명되거나 도시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제공된 피처 설명들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상호접속된 전기 비전도성의 제1 및 제2 캐리어 층(10, 12)(예를 들어, 각각은 폴리머-계열 재료를 포함함), 및 제2 캐리어 층(12)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20)을 포함하는 카드 본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 또는 레일, 및 선택사항으로서 제1 안테나(70) 및/또는 제2 안테나(76)는, 제1 캐리어 층(10)의 공통의 상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을 통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제1 캐리어 층(10)의 상향 측면쪽으로 향하는, 제2 캐리어 층(12)의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에서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된다. 이러한 조명은,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제1 측면 상의 제1 코어 층(20)을 통해 및/또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주변 엣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팬텀으로 도시된) 금속성 브릿지(72)는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대향 말단들에서 제1 캐리어 층(10)을 통해 제1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안테나(70) 및 제1 접촉 레일(40)까지 금속성 교차-접속을 갖는다. 또한, (팬텀으로 도시된) 또 다른 금속성 브릿지는,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대향 말단들에서 제1 캐리어 층(10)을 통해 제1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안테나(76)의 오프셋 위치들(예를 들어, 대향 말단들)까지 금속성 교차-접속을 갖는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제1 안테나(70) 및 선택사항으로서 제2 안테나(76)는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금속성 브릿지는, 대향 말단들에서 제1 안테나(70) 및 제1 접촉 레일(40)까지의 교차 접속을 위해, 제1 캐리어 층(10)을 통해 연장되고, 또 다른 금속성 브릿지는, 대향 말단들에서 제2 안테나(76)의 오프셋 위치들(예를 들어, 대향 말단들)까지의 교차-접속을 위해, 제1 캐리어 층(10)을 통해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및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조 동안 제1 캐리어 층(10) 상의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 관한 제2 캐리어 층(12) 상의 복수의 상이한 위치 중 임의의 하나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위치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조명을 위해 기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이러한 가변적인 위치결정을 수용하기 위해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더 큰,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원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인접한 대응하는 엣지 부분들의 길이보다 더 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예를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캐리어 층(12)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복수 세트의 제1 및 제2 접촉 패드를 제공하도록 변형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의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위치결정을 용이화함으로써, 주어진 고객에 대한 맞춤형 배치를 용이화할 수 있다.
제2 캐리어 층(12)은 투명 및 반투명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캐리어 층(12)이 반투명할 때,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캐리어 층(12) 내에서 내부적으로 반사되어 조명을 위해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주변 엣지로 향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제2 캐리어 층(12)은 형광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리어 층(12)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때,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조명을 위해 제2 캐리어 층(12)의 제2 측면을 통과할 수 있다. 이후에,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조명시,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제1 측면 상에 미리결정된 이미지(62)를 정의하기 위해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스크(60)는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선택사항적 인쇄 층(64)의 일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층(64)은, 마스크(60)의 미리결정된 패턴 주변으로 연장됨으로써 이를 정의하여 미리결정된 패턴을 통한 광 통과를 허용하도록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의 적어도 미리결정된 부분에 걸쳐 인쇄되는 불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 층(예를 들어, 임의의 원하는 색상의 잉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쇄 층(64)은 ISO/IEC 표준 7810의 시각적 불투명 요건을 준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쇄 층은, 마스크(60)의 미리결정된 패턴을 제외한, 제1 코어 층(20)의 내향 측면 또는 외향 측면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 위에 놓이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인광 패치(80)는,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와 마스크(60) 사이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놓이는 관계로 제2 캐리어 층(12)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인광 패치(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캐리어 층(12)의 상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인광 패치(80)는, 제2 캐리어 층(12)의 하향 측면과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제2 캐리어 층(12)의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적어도 일부는, 인광 패치(80)의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추가의 선택사항적인 피처로서,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미리-라미네이트된 인레이를 정의하도록,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조명가능한 패치(50), 제1 안테나(70), 제2 안테나(80) 및/또는 인광 패치(80)(포함된 경우)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 및/또는 제2 캐리어 층(12)의 상향 측면에 상호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필름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필름 층이 제1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과 제2 캐리어 층(12)의 상향 측면 전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덮음으로써, 미리-접속된 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다. 필름 층(들)은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투명할 수 있다. 추가로, 필름 층(들) 상에 인쇄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된 마스크(6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된 인쇄 층(64)과 유사한 방식으로 인쇄 층의 일부로서 인쇄됨). 필름 층(들)은 폴리머-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카드 본체는,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예를 들어, 제1 코어 층(20)과 반대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추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사항적인 제2 코어 층(30)이 캐리어 층(10)의 하향 측면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조명가능한 카드(1)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인쇄(22, 32)는, 각각, 제1 코어 층(20) 및 제2 코어 층(30)의 한쪽 측면 또는 양쪽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인쇄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결국, 보호성 투명 외측 필름 층(들)이 제1 코어 층(20) 및 제2 코어 층(30)(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외향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코어 층(20)(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01 인치 두께), 제2 코어 층(30)(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01 인치 두께) 및 보호성 외측 필름 층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 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변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캐리어 층(10) 및 제2 캐리어 층(12)(예를 들어, 약 .006 내지 .012 인치 결합된 두께)은 폴리머-계열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층들은, 층들 중 인접한 것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머-계열 층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계열 층이 배치되어, 라미네이션을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콜렉터 카드, 신분 카드, 액세스 카드, 포인트 카드, 멤버십 카드, 환승 카드, 또는 거래 카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나중에,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조명가능한 카드(1)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00)에는 거래 카드로서 이용하기 위한 추가 피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캐리어 층(12) 상의 조명가능한 패치(50) 및 인광 패치(80)의 변형된 구성을 갖는, 도 7의 조명가능한 카드(100)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소정의 변형을 동반한, 도 1 내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각각 도시되고 전술된 조명가능한 카드(1) 및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피처와 공통되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피처들과 관련하여, 도 8에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이용되고, 도 8과 관련하여 다르게 설명되거나 도시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제공된 피처 설명들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주변 엣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예를 들어,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길쭉한 구성일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에 전력 신호를 제공할 때 조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와의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결국, 제2 캐리어 층(12)은,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엣지, 복수의 측면 엣지, 또는 전체 주변 엣지에 주변에서 강화된 엣지 조명을 생성하도록 반투명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및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제2 캐리어 층(12) 상에서 그 내부에 오픈 필드를 정의하는 프레임형 직사각형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단일 엣지, 폭 차원 또는 길이 차원에서 2개의 대향하는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엣지, 또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3개의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인접한 엣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70)는, 프레임형 조명가능한 패치(50) 내에서 및 이에 대해 비중첩 관계로(예를 들어, 프레임형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의해 정의된 오픈 필드 내에서) 연장되도록 제1 캐리어 층(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국, 제1 및 제2 전기 접점(52a, 52b)은 조명가능한 패치(50)의 상이한 오프셋 부분들과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 중 상이한 것들 사이에서 전기 접촉하며, 제2 캐리어 층(12)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기 비전도성 재료(54)는 그 중첩된 영역에서 제1 및 제2 전기 접점(52, 52b)과 제1 안테나(7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사항적인 인광 패치(80)는, 아래에 놓인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위에 놓인 마스크(60) 사이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가 제조 동안 위치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대해 위에 놓이는 대응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 패치는 조명가능한 패치(50)의 프레임형 구성과 일치하는 프레임형 구성일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위에 놓이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인광 재료를 포함하는 코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 패치(80)는 캐리어 층(10)의 하향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조명가능한 패치(50)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캐리어 층(10)의 상향 제2 측면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다. 인광 패치(80)는, 조명가능한 패치(50)를 포함하는 다이오드의 가시적인 청색 톤 조명을 가시적인 백색 톤 조명으로 효과적으로 변환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조명가능한 카드(1)의 심미적 및/또는 기능적 피처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프레임형의 조명가능한 패치(50)에 추가하여, 또 다른 조명가능한 패치(50a)가 제2 캐리어 층(12) 상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또 다른 인광 패치(80a)가, 도 7에 도시된 조명가능한 패치(50)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명가능한 패치(50a)에 대해 중첩하는 관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 및 조명가능한 패치(50a)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된 전기 부하는, 본 명세서에서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설계/동작 목적을 위해, 다른 실시예의 조명가능한 패치(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확립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전술된 조명가능한 카드(1)의 피처와 공통되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고 소정의 변형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공통 피처들과 관련하여, 도 9에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이용되고, 도 9와 관련하여 다르게 설명되거나 도시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제공된 피처 설명들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10) 및 캐리어 층(10)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20)을 포함하는 카드 본체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 또는 레일이 제1 캐리어 층(10)의 공통 측면(예를 들어,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다. 또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을 통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캐리어 층(10)의 동일한 측면(예를 들어, 하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조명가능한 패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에서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된다. 나중에, 단일 안테나(76)는 캐리어 층(10) 상에 배치되고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그 오프셋 위치들에서 제1 및 제2 접촉 패드(40, 42)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어 전력 신호를 제공하고, IC 칩 모듈(90)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어 전력/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IC 칩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IC) 칩 모듈(90) 및 안테나(76)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의/로부터의 비접촉식 신호 전송, 예를 들어, 안테나(76)를 통해 IC 칩 모듈(90)에 전력/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안테나(76)를 통해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에서 전력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주파수 방사 신호 전송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비접촉 신호는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와 IC 칩 모듈(9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의 완료에 수반되는 데이터 전송). 이와 관련하여, IC 칩 모듈(90) 및 안테나(76)는 ISO/IEC 표준 14443을 준수하는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테나(76)는, 캐리어 층(10)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 루프(들)(76a)를 정의하는 연속 길이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외측 루프(들)(76a)는 캐리어 층(10)의 공통 측면 상에서 제1 및 제2 접촉 레일(40, 42) 및 조명가능한 패치(50)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안테나(76)는, (예를 들어, 도금 및 에칭 동작을 통해)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금속성 층(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안테나(76)는, 캐리어 층(10)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매립된 금속성 와이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안테나(76)와 IC 칩 모듈(90)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접근법에서, IC 칩 모듈(90)은 조명가능한 카드(100) 내에 내장될 수 있고 안테나(76)에 직접 상호접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외측 루프(들)(76a)의 2개의 대향하는 말단은, IC 칩 모듈(90)의 IC 칩 상에 제공된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접근법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조명가능한 카드(100)의 제1 측면 내로 연장되고 안테나(76)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IC 칩 모듈(90)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포켓(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IC 칩 모듈(90)은, 전기 비전도성 기판, 기판의 내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IC 칩, 및 기판의 외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IC 칩의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과 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복수의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중에, 복수의 접촉 패드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의/로부터의 접촉식 신호 전송, 예를 들어, IC 칩 모듈(90)에 전력을 제공하고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와 IC 칩 모듈(90)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전기 신호들(예를 들어, 조명가능한 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의 완료에 수반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C 칩 모듈(90) 및 복수의 접촉 패드는 ISO/IEC 표준 7816을 준수하는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현에서, 조명가능한 카드(100)는 이중 인터페이스 거래 카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IC 칩 모듈(90)은, 기판의 내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IC 칩 모듈(90)의 IC 칩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결합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안테나는, IC 칩 주위로 연장되고 IC 칩의 복수의 접점들 중 상이한 것들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하나 이상의 루프(들)를 정의하는 연속 길이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안테나(76)는 IC 칩 모듈(90)의 결합 안테나와의 유도성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76)는 하나 이상의 내측 루프(들)(76b)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외측 루프(들)(76a) 및 내측 루프(들)(76b)는 연속 길이의 금속에 의해 정의된다. 내측 루프(들)(76b)는, IC 칩 모듈(90)이 포켓(26)에 고정될 때, IC 칩 모듈(90)의 내측 루프(들)(76b) 및 결합 안테나가 유도성 결합을 위해 대향 이격된 관계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텀으로 도시된) 금속성 브릿지(78)는 캐리어 층(10)의 제2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금속성 교차 접속이 캐리어 층(10)을 통해 제공되어 외측 루프(들)(76a)의 말단 및 내측 루프(들)(76b)의 말단을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조명가능한 패치(50)는, 캐리어 층(10) 상에 제공된 제1 접촉 패드(40) 또는 레일과의 전기적 결합(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을 위해, 캐리어 층(10) 또는 제공된다면 또 다른 캐리어 층(12)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기 전도성 층, 전기 전도성 층 상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조명가능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중간 층, 및 캐리어 층(10) 상에 제공된 제2 접촉 패드(42) 또는 레일과의 전기적 결합(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용량성 결합)을 위해, 중간 층에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전기 전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중에, 전기 전도성 패드는,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재료 층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전술된 및/또는 후술되는 장치 및/또는 방법 피처들의 임의의 수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들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에 의해 포괄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실시예 1.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의 제1 측면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상기 제1 코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임―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서 전력 신호의 수신시에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사이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 대응하는 길이들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9.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0. 제1 실시예 내지 제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1. 제1 실시예 내지 제1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2. 제1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3. 제1 실시예 내지 제1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4. 제1 실시예 내지 제1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5. 제1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6. 제1 실시예 내지 제1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7. 제1 실시예 내지 제1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8. 제1 실시예 내지 제1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19. 제1 실시예 내지 제1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0. 제1 실시예 내지 제1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1. 제1 실시예 내지 제2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2. 제1 실시예 내지 제2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phosphorescent patch)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3. 제1 실시예 내지 제2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4. 제1 실시예 내지 제2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5. 제1 실시예 내지 제2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6.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각각은 :
공통적으로 구성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상기 제1 코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임―
을 포함함―, 및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대응하는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에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대응하는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는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및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는, 각각,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및 상기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와 상이함―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7. 제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가,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가,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대 위치와 상기 제2 상대 위치는 상이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8. 제26 실시예 또는 제27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또는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큰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29. 제26 실시예 내지 제2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이하고,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실질적으로 공통된 전기 부하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0. 제26 실시예 내지 제2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각각은, 제1 실시예 내지 제25 실시예 또는 제31 실시예 내지 제8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명가능한 카드의 피처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1.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과 전기적 결합하도록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조명가능한 패치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2. 제3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3. 제31 실시예 또는 제3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4. 제31 실시예 내지 제3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5. 제31 실시예 내지 제3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6. 제31 실시예 내지 제3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7. 제31 실시예 내지 제3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8. 제31 실시예 내지 제3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39. 제31 실시예 내지 제3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0. 제31 실시예 내지 제3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1. 제31 실시예 내지 제4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2. 제31 실시예 내지 제4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3. 제31 실시예 내지 제4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4. 제31 실시예 내지 제4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5. 제31 실시예 내지 제4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6. 제31 실시예 내지 제4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7. 제31 실시예 내지 제4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8. 제31 실시예 내지 제4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49. 제31 실시예 내지 제4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0. 제31 실시예 내지 제4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1. 제31 실시예 내지 제5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2. 제31 실시예 내지 제5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3. 제31 실시예 내지 제5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4. 제31 실시예 내지 제5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5. 제31 실시예 내지 제5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6.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제1 캐리어 층; 및
상기 제1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및
상기 제2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제1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에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7. 제5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 대응하는 길이들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8. 제56 실시예 또는 제5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59. 제56 실시예 내지 제5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0. 제56 실시예 내지 제5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1. 제56 실시예 내지 제6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2. 제56 실시예 내지 제6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3. 제56 실시예 내지 제6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4. 제56 실시예 내지 제6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5. 제56 실시예 내지 제6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길쭉한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6. 제56 실시예 내지 제6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길쭉한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복수의 주변 측면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7. 제56 실시예 내지 제6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프레임형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전체 주변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8. 제56 실시예 내지 제6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69. 제56 실시예 내지 제6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2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0. 제56 실시예 내지 제6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1. 제56 실시예 내지 제7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2. 제56 실시예 내지 제7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3. 제56 실시예 내지 제7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4. 제56 실시예 내지 제7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5. 제56 실시예 내지 제7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6. 제56 실시예 내지 제7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7. 제56 실시예 내지 제7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8. 제56 실시예 내지 제7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79. 제56 실시예 내지 제7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0. 제56 실시예 내지 제7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1. 제56 실시예 내지 제8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2. 제56 실시예 내지 제8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3. 제56 실시예 내지 제8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실시예 84. 제56 실시예 내지 제8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본 발명의 상기의 설명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또한, 이 설명은 본 발명의 여기서 개시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교시 및 관련 기술 분야의 기술 및 지식에 상응하는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알려진 형태를 설명하고 본 기술분야의 다른 통상의 기술자가 이와 같은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응용(들) 또는 이용(들)에 의해 요구되는 다양한 수정과 함께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추가로 의도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된 범위까지의 대안적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을 의도한다.

Claims (84)

  1.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의 제1 측면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상기 제1 코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임―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서 전력 신호의 수신시에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사이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 대응하는 길이들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6.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8.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phosphorescent patch)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26.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각각은 :
    공통적으로 구성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상기 제1 코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임―
    을 포함함―, 및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대응하는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에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조명가능한 카드는 :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 수신시 조명을 위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대응하는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는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마스크 및 제1 미리결정된 이미지는, 각각,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마스크 및 상기 제2 미리결정된 이미지와 상이함―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가,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2 부분의 각각의 조명가능한 카드에 대해,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가,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 관해 상대적인 공통의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대 위치와 상기 제2 상대 위치는 상이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28. 제27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또는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큰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이하고,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1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공통적으로 구성된 제2 조명가능한 패치는 실질적으로 공통된 전기 부하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드 각각은, 제1항 내지 제25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명가능한 카드의 피처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가능한 카드.
  31.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캐리어 층; 및
    상기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과 전기적 결합하도록 지지가능하게 배치된 조명가능한 패치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가짐―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6. 제31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8. 제31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5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5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5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56. 조명가능한 카드로서,
    카드 본체 ―상기 카드 본체는
    전기 비전도성 제1 캐리어 층; 및
    상기 제1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및
    상기 제2 캐리어 층 위에 놓이고 상호접속된 제1 코어 층
    을 포함함―;
    외부 전원 및 온보드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상기 제1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에서의 전력 신호의 수신시에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조명가능한 패치
    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레일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최대 교차-차원보다 각각 더 큰 상기 제1 차원에서 대응하는 길이들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일치되게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상기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의 대향하는 엣지 부분들은 상기 카드 본체의 주변 엣지와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레일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길이들을 따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상기 엣지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대응하는 엣지 부분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제1 접촉 레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상기 대응하는 엣지 부분을 넘어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차원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50%인 상기 제1 차원에서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명가능한 카드.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
    다각형 구성; 및
    타원체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정의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65.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길쭉한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6.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길쭉한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복수의 주변 측면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프레임형 구성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전체 주변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6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고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제1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마스크
    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2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된 표면;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마스크는 :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잉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1.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하나 상에 인쇄되고, 인쇄된 층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인쇄된 마스크를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층의 제2 부분은 :
    볼 수 있는 인간-판독가능한 문자;
    볼 수 있는 그래픽;
    볼 수 있고 머신-판독가능한 마킹; 및
    상기 제1 코어 층의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 중 상기 하나의 실질적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플러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상기 제1 코어 층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와 중첩하는 관계로 배치된 반투명 층 ―상기 카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엣지는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조명시 상기 반투명 층에 의해 조명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및
    금속 호일 층이 사이에 상호접속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 상에서 상기 캐리어 층에 상호접속된 제2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5. 제56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안테나; 및
    외부 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촉 패드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집적 회로 칩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이한 접촉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6.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7. 제56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제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카드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위치한 포켓에 배치된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는 외부 비접촉식 칩 카드 판독기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직접 결합되거나 유도성 결합가능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복수의 금속성 루프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금속성 루프는 상기 캐리어 층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및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주위로 연장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8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위에 놓인 패치와 상기 마스크 사이에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인 인광 패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 및 하향 측면 중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는, 조명가능한 카드.
  8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8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는 상기 캐리어 층의 상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위에 놓인 제1 코어 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 비전도성 제2 캐리어 층 ―상기 조명가능한 패치는 상기 제2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됨―; 및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의 외부 소스로부터 비접촉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의 하향 측면에 지지가능하게 상호접속되고 오프셋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 중 상이한 것들에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가능한 카드.
KR1020207020021A 2017-12-12 2018-12-11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KR102210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7762P 2017-12-12 2017-12-12
US62/597,762 2017-12-12
PCT/US2018/065015 WO2019118505A1 (en) 2017-12-12 2018-12-11 Improved illuminable c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66A true KR20200090266A (ko) 2020-07-28
KR102210842B1 KR102210842B1 (ko) 2021-02-01

Family

ID=6682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21A KR102210842B1 (ko) 2017-12-12 2018-12-11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63768B2 (ko)
EP (1) EP3723994A4 (ko)
JP (1) JP6900579B2 (ko)
KR (1) KR102210842B1 (ko)
BR (1) BR112020011683B1 (ko)
CA (1) CA3085336C (ko)
MX (1) MX2020006053A (ko)
WO (1) WO2019118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6961B2 (en) 2019-10-09 2021-08-31 Beauiiful Card Corporation Mini smart c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042329B1 (en) * 2020-08-05 2023-06-07 Smartflex Technology Pte Ltd Smart cards having led and methods for fabrication thereof
USD941919S1 (en) 2020-08-14 2022-01-25 Square, Inc. Glowing data card
USD973665S1 (en) * 2020-08-14 2022-12-27 Block, Inc. Data card
BR112023024912A2 (pt) * 2021-06-02 2024-02-15 Cpi Card Group Colorado Inc Cartão pesado iluminável
FR3131034A1 (fr) * 2021-12-17 2023-06-23 Idemia The Netherlands B.V. Carte à puce avec antennes radiofréquences
FR3137476A1 (fr) * 2022-06-29 2024-01-05 Idemia France Carte à microcircuit comprenant un insert avec une DEL entre des films réfléchissa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0990A (en) * 1997-05-02 2000-06-0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ard light having a cover being an adhesively attached label
US20080156885A1 (en) * 2006-12-29 2008-07-03 Steven Landau Card Configured To Receive Separate Battery
US20140023838A1 (en) * 2011-01-18 2014-01-23 Trub Ag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Data Carrier and Data Carrier Produced by said Method
US20150069132A1 (en) * 2013-09-11 2015-03-12 Infineon Technologies Ag Smart card module arrangement, smart card, method for producing a smart card modul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mart card
US20170246899A1 (en) * 2016-02-29 2017-08-31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7215A (ja) * 2007-03-01 2008-09-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カード
JP3146189U (ja) * 2008-08-26 2008-11-06 飛信半導體股▲フン▼有限公司 発光ダイオードを備える無線rfシステムタグ
JP2013099859A (ja) * 2011-11-07 2013-05-23 Mitsubishi Chemicals Corp 情報表示カード
US8870081B2 (en) 2012-05-29 2014-10-28 Protean Payment, Inc. Payment card and methods
US20150269477A1 (en) * 2012-08-30 2015-09-24 David Finn Dual-interface hybrid metal smartcard with a booster antenna or coupling frame
DE102013102003A1 (de) 2013-02-28 2014-08-28 Bundesdruckerei Gmbh Chipkarte mit integrierten aktiven Komponenten
US9230255B1 (en) * 2014-08-15 2016-01-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Payment card having light-emitting diode indicators coordinated with stored paymen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0990A (en) * 1997-05-02 2000-06-0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ard light having a cover being an adhesively attached label
US20080156885A1 (en) * 2006-12-29 2008-07-03 Steven Landau Card Configured To Receive Separate Battery
US20140023838A1 (en) * 2011-01-18 2014-01-23 Trub Ag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Data Carrier and Data Carrier Produced by said Method
US20150069132A1 (en) * 2013-09-11 2015-03-12 Infineon Technologies Ag Smart card module arrangement, smart card, method for producing a smart card modul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mart card
US20170246899A1 (en) * 2016-02-29 2017-08-31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842B1 (ko) 2021-02-01
CA3085336C (en) 2021-03-30
US10963768B2 (en) 2021-03-30
CA3085336A1 (en) 2019-06-20
EP3723994A4 (en) 2021-01-20
JP6900579B2 (ja) 2021-07-07
EP3723994A1 (en) 2020-10-21
BR112020011683B1 (pt) 2022-12-06
MX2020006053A (es) 2020-10-28
WO2019118505A1 (en) 2019-06-20
BR112020011683A2 (pt) 2020-11-17
US20210056371A1 (en) 2021-02-25
JP2021506618A (ja)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842B1 (ko) 개선된 조명가능한 카드
US11151437B2 (en) Metal, ceramic, or ceramic-coated transaction card with window or window pattern and optional backlighting
US20160004947A1 (en) Chip card with integrated active components
ES2861298T3 (es) Módulo LED
CN114981817B (zh) 具有led的智能卡及其制造方法
AU2023214218A1 (en) Metal, ceramic, or ceramic-coated transaction card with window or window pattern and optional backlighting
KR101308947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티커형 발광 장치
US11989603B2 (en) Illuminating transaction card
KR20240014512A (ko) 조명가능한 가중된 카드
CN216434964U (zh) 具发光显示的交易卡
RU2818686C1 (ru) Платежная смарт-карта с бесконтактным интерфейсом и светодиодами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