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610A -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 Google Patents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610A
KR20200089610A KR1020200002871A KR20200002871A KR20200089610A KR 20200089610 A KR20200089610 A KR 20200089610A KR 1020200002871 A KR1020200002871 A KR 1020200002871A KR 20200002871 A KR20200002871 A KR 20200002871A KR 20200089610 A KR20200089610 A KR 2020008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user terminal
model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filed Critical 이종민
Publication of KR2020008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구조해석, 모델링 자동화, 제작도 및 견적, 설계, 생산, 시공을 포함하는 BIM 데이터의 공유 및 관리가 가능하며, 시공이 진행하는데 있어 구조 해석에 따른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여 시공에 필요한 건축 부재의 설계, 재료 선정, 생산 및 공정 관리의 복합 관리 운영을 통하여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시공 기간 및 공정 관리가 향상된다고,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 종합 포털 사이트로 운영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포털의 건설정보를 수집 및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뮤니티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여 각 분야의 사용자끼리의 정보 공유 활성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WEB PLATFORM 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개별로 제공되는 건축 관련정보를 하나의 건축포털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건설분야의 각종 소식 및 입찰정보를 제공하며, BIM 정보의 공유와 함께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철골 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합성된 기둥으로 주로 고층 건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내화성은 좋으나 자중이 무겁고, 고층이 될수록 기둥이 굵어지므로 유효면적이 작아지는 결점이 있으며, 반대로 철골구조는 자중은 가볍지만 내화성이 부족하므로 값비싼 내화피복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의 결점을 보완하고 내화성이 좋고 자중이 가벼우면서 고층 건축에 도입이 유용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철골부재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철골부재 주위를 철근콘크리트로 감싸는 형식의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당한 공사기간을 요구하며 특히 건축물이 고층화 될수록 공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장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가 도입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적인 구조 도면을 작성하며, 해당 구조 도면을 기초로 한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각 부재에 따른 구조 해석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 해석된 결과 값을 기초로 부재의 재료, 크기 및 구조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실제 시공을 하기에 앞서 구조 해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계를 수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설계에 따른 최적 시공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있어 각 단계별로 데이터가 각각 개별로 제공됨에 따라 정보공유가 원활하지 못하여 공정관리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하며, 또한 네트워크로 데이터 교환이 공유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보안에 따른 취약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 개별로 제공되어 공유되는 데이터와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접근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대한 커뮤니티 기능이 포함되어 정보공유를 활성화한 건설 종합 포털 사이트의 제공이 가능한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여 구조해석, 모델링 자동화, 제작도 및 견적, 설계, 생산, 시공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진행하는데 있어 구조 해석에 따른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여 시공에 필요한 건축 부재의 설계, 재료 선정, 생산 및 공정 관리의 복합 관리 운영을 통하여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시공 기간 및 공정 관리가 향상되도록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공사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재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건설정보 종합 포털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건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는 출력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정보의 요청에 대응되어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통합 서버(200)와,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의 설계정보, 시공정보, 생산정보 및 가공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해당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자동화 설계 관리 시스템(300)과,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며, 해당 모델링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로 접속 가능하며, 외부 포털에 등록된 건설정보의 수집 및 이를 가공 처리하고, 상기 가공 처리된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계정 DB부(210)와, 포털에 관련되는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DB부(220)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조회 및 처리하는 포털 데이터 처리 모듈(230) 및 포털에 관련되는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는 건설 정보 처리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화 설계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구조물의 도면을 기초로 건축부재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설계정보 생성장치(310)와, 설계정보 생성장치(3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설계정보를 기초로 시공현장에 대한 시공정보를 생성하는 시공정보 생성장치(320)와, 상기 설계정보와 시공정보를 기초로 구조물의 생산가공정보를 생산하는 생산가공정보 생성장치(330) 및 상기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은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구조물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와,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에 의해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편집 및 공유하는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 및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 및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서 가공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상기 건설정보에 새로운 업데이트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건설정보 수집장치(510) 및 건설정보 수집장치(510)에 의해 수집된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건설정보 가공장치(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처리 및 가공된 출력정보를 제공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행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통합 서버(20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S100)와, 상기 통합 서버(200)의 통합계정 DB부(21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요청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200)와, 구조물의 설계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설계정보를 송수신하는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처리단계(S300)와,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처리단계(S400)와, 외부 포털로부터 등록된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외부 포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처리단계(S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접속인증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311)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통합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는 단계(S312)와, 통합 서버(200)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단계(S313)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단계(S314)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한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접속단계(S310)와, 설계정보 생성장치(310)가 구조물의 설계도면에 기초하여 건축부재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1)와, 생성된 설계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2)와, 시공정보 생성장치(320)가 설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공현장에 대한 시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와, 생성된 시공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4)와, 설계정보 및 시공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산정보 생성장치(330)가 구조물에 대한 생산가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5)와, 생성된 생산가공 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6)로 구성되는 상기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구조물에 대한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가공정보가 생성되는 정보생성단계(S320)와, 사용자 단말(100)이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정보획득을 요청하는 단계(S331)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는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322)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조회하는 정보조회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처리단계(S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접속인증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411)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통합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는 단계(S412)와, 통합 서버(200)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단계(S413)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단계(S414)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접속단계(S410)와,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가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1)와,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제공하는 단계(S422)와, 사용자 단말(100)이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정보획득을 요청하는 단계(S423)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는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424)로 구성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에 의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하는 모델링 생성단계(S420)와, 사용자 단말(100)이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정보 편집을 요청하는 단계(S431)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로 정보 편집을 요청하는 단계(S432)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가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S433)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 의해 편집된 3차원 모델링 정보의 편집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제공하는 단계(S434)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로 편집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435)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편집 요청에 따라 3차원 모델링을 편집가공하는 모델링 편집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는 건설정보 수집장치(510)가 외부 포털의 건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11)와, 수집된 건설정보를 건설정보 가공장치(520)로 제공하는 단계(S512)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탈에 접속하여 건설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S510)와,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상기 수집된 건설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단계(S521)와,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가공된 건설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단계(S522)로 구성되는 수집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정보가공단계(S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구조해석, 모델링 자동화, 제작도 및 견적, 설계, 생산, 시공을 포함하는 BIM 데이터의 공유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이 진행하는데 있어 구조 해석에 따른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 모델링을 자동화하여 구조 도면의 생성 및 3D 모델링이 가능하여 시공에 필요한 건축 부재의 설계, 재료 선정, 생산 및 공정 관리의 복합 관리 운영을 통하여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시공 기간 및 공정 관리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 종합 포털 사이트로 운영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포털의 건설정보를 수집 및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뮤니티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여 각 분야의 사용자끼리의 정보 공유 활성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를 도시한 블록도로, 상기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합 서버(200)와 함께, 자동화 설계 관리 시스템(300),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 및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는 출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장치로 구성되며,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통상적인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합 서버(200)는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 및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으로 전송하여 해당 입력정보의 요청에 대응되어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합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계정 DB부(210)와, 포털에 관련되는 각종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DB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통합계정 DB부(210)와 데이터 DB부(2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에 해당되는 정보를 조회하고 처리하는 포털 데이터 처리 모듈(230)과, 포털에 관련되는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는 건설 정보 처리 모듈(240)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2는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의 설계정보, 시공정보, 생산정보 및 가공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구조물의 정보는 관리 및 공유가 가능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은 통합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구조물의 도면을 기초로 하여 건축부재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설계정보 생성장치(310)와, 상기 설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공현장에 대한 시공정보를 생성하는 시공정보 생성장치(320) 및 상기 설계정보와 시공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조물에 대한 생산사공정보를 생산하는 생산가공정보 생성장치(3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를 추가로 구성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설계정보 생성장치(310), 시공정보 생성장치(320) 및 생산가공정보 생성장치(330)에 의해 생성된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정보는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전송되며, 상기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는 상기 통합 서버(200)로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되어 해당 정보의 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은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하며, 생성된 모델링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은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구조물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와,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편집 및 공유하는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서 생성 및 편집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20)를 추가로 구성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서 생성 및 편집된 3차원 모델링 정보는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전송되며, 상기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는 상기 통합 서버(200)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되어 해당 정보의 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4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로 접속 가능하며, 외부 포털에 등록된 건설정보를 수집 및 이를 가공처리하고, 상기 가공 처리된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등록된 상기 건설정보에 새로운 업데이트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건설정보 수집장치(510)에 의해 수집되며, 수집된 업데이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은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등록된 건설정보에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것이 감지되면, 해당 업데이트 정보를 수집한 후에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여 통합 서버(200)로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되어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처리 및 가공된 출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실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행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통합 서버(20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S100)와, 상기 통합 서버(200)의 통합계정 DB부(21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200)와, 국조물의 설계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정에 따라 설계정보를 송수신하는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처리단계(S300)와,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처리단계(S400)와, 외부 포털에 접속가능하며, 상기 외부 포털로부터 등록된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외부 포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로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처리단계(S300)는 접속단계(S310), 정보생성단계(S320) 및 정보조회 단계(S3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계(S3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접속인증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311)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통합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는 단계(S312)와, 통합 서버(200)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단계(S313)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단계(S31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접속단계(S31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요청받게 되면, 통합 서버(200)로 해당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여 통합계정 DB부(21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할 경우,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접속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인증이 허가되면 정보생성단계(S320)에서는 구조물의 설계도면에 기초하여 건축부재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1)와, 생성된 설계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2)와, 시공정보 생성장치(320)가 설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공현장에 대한 시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와, 생성된 시공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4)와, 설계정보 및 시공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산정보 생성장치(330)가 구조물에 대한 생산가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5)와, 생성된 생산가공 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제공하는 단계(S32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보생성단계(S320)에서는 구조물의 설계도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설계정보와, 설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시공정보 및 설계정보와 시공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생산가공 정보를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전송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 정보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전송되면 정보조회 단계(S33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정보획득을 요청하는 단계(S331)와, 자원관리 공유서버(340)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는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3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보조회 단계(S330)는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로 전송된 설계정보, 시공정보, 생산가공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게 되면, 해당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처리단계(S400)는 접속단계(S410), 모델링 생성단계(S420) 및 모델링 편집단계(S4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계(S410)는 사용자 단말(100)이 34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접속인증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S411)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통합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는 단계(S412)와, 통합 서버(200)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단계(S413)아,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단계(41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접속단계(S41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요청받게 되면, 통합 서버(200)로 해당 사용자 정보를 확인요청하여 통합계정 DB부(21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할 경우,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접속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요청을 허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인증이 허가되면 모델링 생성단계(S420)에서는 3차원 모델링 생성장치(410)가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1)와,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제공하는 단계(S422)와, 사용자 단말(100)이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정보획득을 요청하는 단계(S423)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는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4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델링 생성단계(S420)에서는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전송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3차원 모델링 정보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전송되면 모델링 편집단계(S43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정보 편집을 요청하는 단계(S431)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로 정보 편집을 요청하는 단계(S432)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가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S433)와,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 의해 편집된 3차원 모델링 정보의 편집 정보를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제공하는 단계(S434)와,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가 사용자 단말(100)로 편집 정보를 가공 및 전달하는 단계(S435)로 구성된다.
즉, 3차원 모델링 관리서버(430)로 전송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정보 편집을 요청하게 되면, 해당 편집내용에 대응되어 3차원 모델링 관리장치(420)에 의해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의 편집이 진행되고, 편집된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 가공 및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는 수집단계(S510) 및 정보가공단계(S5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집단계(S510)는 건서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건설정보 수집장치(5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11)와, 수집된 건설정보를 건설정보 가공장치(520)로 제공하는 단계(S5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집단계(S510)에서는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설정보 수집장치(510)에 의해 수집된 건설정보를 대상으로 정보가공단계(S52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상기 건설정보를 가공하는 단계와,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가공된 건설정보를 통합 서버(@00)로 제공하는 단계(S5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보가공단계(S520)는 PC, 타블렛 PC, 모바일 등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수집된 건설정보를 가공하며, 가공된 건설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통합 서버(200)로 제공된 건설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요청하게 되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에 의해 각종 건설정보의 생성 및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며, 종합 포털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여 여러 사용자들에 의한 정보수집 및 피드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통합 서버
300 :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 400 :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
500 :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는 출력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정보의 요청에 대응되어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통합 서버(200)와,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의 설계정보, 시공정보, 생산정보 및 가공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해당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자동화 설계 관리 시스템(300)과,
    통합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며, 해당 모델링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하도록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로 접속 가능하며, 외부 포털에 등록된 건설정보의 수집 및 이를 가공 처리하고, 상기 가공 처리된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계정 DB부(210)와,
    포털에 관련되는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DB부(220)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조회 및 처리하는 포털 데이터 처리 모듈(230) 및
    포털에 관련되는 데이터, 뉴스, 건설정보 및 입찰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는 건설 정보 처리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계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구조물의 도면을 기초로 건축부재에 대한 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설계정보 생성장치(310)와,
    설계정보 생성장치(3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설계정보를 기초로 시공현장에 대한 시공정보를 생성하는 시공정보 생성장치(320)와,
    상기 설계정보와 시공정보를 기초로 구조물의 생산가공정보를 생산하는 생산가공정보 생성장치(330) 및
    상기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생산가공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자원관리 공유서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털에 접속하여 건설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상기 건설정보에 새로운 업데이트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건설정보 수집장치(510) 및
    건설정보 수집장치(510)에 의해 수집된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건설정보 가공장치(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5.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어 처리 및 가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처리 및 가공된 출력정보를 제공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행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통합 서버(20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S100)와,
    상기 통합 서버(200)의 통합계정 DB부(21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요청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200)와,
    구조물의 설계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설계정보를 송수신하는 자동화 설계관리 시스템(300)의 처리단계(S300)와,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3차원 모델링 처리 시스템(400)의 처리단계(S400)와,
    외부 포털로부터 등록된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외부 포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정보 크롤링 시스템(500)의 처리단계(S500)는
    건설정보 수집장치(510)가 외부 포털의 건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11)와, 수집된 건설정보를 건설정보 가공장치(520)로 제공하는 단계(S512)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포탈에 접속하여 건설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S510)와,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상기 수집된 건설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단계(S521)와, 건설정보 가공장치(520)가 가공된 건설정보를 통합 서버(200)로 제공하는 단계(S522)로 구성되는 수집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형식에 맞춰 가공하는 정보가공단계(S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의 실행방법.
KR1020200002871A 2019-01-17 2020-01-09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KR20200089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30 2019-01-17
KR20190006330 2019-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10A true KR20200089610A (ko) 2020-07-27

Family

ID=7189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71A KR20200089610A (ko) 2019-01-17 2020-01-09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61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342A (zh) * 2021-01-29 2021-05-11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建筑构件三维模型的在线编辑方法及装置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CN113656872A (zh) * 2021-08-17 2021-11-16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基于bim的fm智慧建造工地运维管控系统及其方法
KR102375217B1 (ko) * 2021-06-03 2022-03-16 (주)하우스퍼즐 인공지능 기반 건축 시공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447984B1 (ko) * 2022-06-18 2022-09-26 김희준 모듈러 건축 시스템
KR102447982B1 (ko) * 2022-06-18 2022-09-26 김희준 건축 설계 시스템
CN116975990A (zh) * 2023-09-25 2023-10-31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油气化工码头三维模型的管理方法及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342A (zh) * 2021-01-29 2021-05-11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建筑构件三维模型的在线编辑方法及装置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KR102375217B1 (ko) * 2021-06-03 2022-03-16 (주)하우스퍼즐 인공지능 기반 건축 시공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3656872A (zh) * 2021-08-17 2021-11-16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基于bim的fm智慧建造工地运维管控系统及其方法
CN113656872B (zh) * 2021-08-17 2023-04-18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基于bim的fm智慧建造工地运维管控系统及其方法
KR102447984B1 (ko) * 2022-06-18 2022-09-26 김희준 모듈러 건축 시스템
KR102447982B1 (ko) * 2022-06-18 2022-09-26 김희준 건축 설계 시스템
CN116975990A (zh) * 2023-09-25 2023-10-31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油气化工码头三维模型的管理方法及系统
CN116975990B (zh) * 2023-09-25 2024-01-09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油气化工码头三维模型的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610A (ko) 웹 플랫폼 기반의 건설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CN103530354B (zh) 地理信息数据融合系统
CN104360844B (zh) 基于opc ua标准的协议转换服务器和ats系统
CN101836200B (zh) 基于模型的合成应用程序平台
CN101201599A (zh) 用于工业控制系统的模块的人机界面视角
KR20140121145A (ko)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CN102222005A (zh) 面向业务模型的软件运行平台及其运行方式
CN111969718B (zh) 一种低压配电网设备即插即用接入方法及装置
CN108255585A (zh) Sdk异常控制及应用程序运行方法、装置及其设备
CN105718601A (zh) 一种业务动态集成模型及其应用方法
CN108108460A (zh) 一种标准化作业流程智能管理系统架构及系统
CN112907390A (zh) 一种基于bim的建筑全生命周期动态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2363718A (zh) 一种基于微服务架构的工业应用集成系统
Laurini et al. Technology 4.0 for buildings management: from building site to the interactive building book
CN111190950B (zh) 一种资产检索方法和装置
Qing et al. Research Article Study on Building Lifecycle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BIM
CN1333342C (zh) 交换基础设施系统和方法
CN103533094B (zh) 标码一体机及标码系统
WO2014010247A1 (en) General-purpose simulation system using social network interface
CN109598130A (zh) 知识产权数据查询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944960A (zh) 一种智能密集架网络控制方法
CN108833328B (zh) 云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KR20000036963A (ko)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lausen et al. Smart grid security method: Consolidating requirements using a systematic approach
Kenley et al. Procuring OSM: base-line models of off-site manufacture business processes in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