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669A -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669A
KR20200088669A KR1020190005256A KR20190005256A KR20200088669A KR 20200088669 A KR20200088669 A KR 20200088669A KR 1020190005256 A KR1020190005256 A KR 1020190005256A KR 20190005256 A KR20190005256 A KR 20190005256A KR 20200088669 A KR20200088669 A KR 2020008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frequency band
transceiver
dist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024B1 (ko
Inventor
이한엽
양동일
나효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24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21 priority patent/WO2020149526A1/en
Priority to EP19910230.2A priority patent/EP3871339A4/en
Priority to US16/701,583 priority patent/US11063735B2/en
Publication of KR2020008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1Suppression of signals in the return path, i.e. bidirectional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전자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에 전송하는 증폭기; DPD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트랜시버(tran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증폭기로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A FREQUENCY BAND OF RX SIGNAL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 상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다양한 전자 장치들은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송신 채널)과 수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수신 채널)이 서로 상이함으로써, 데이터의 원활한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수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사이에는 일정 구간의 보호 대역(guard band)을 배치하고,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성능 또는 데이터 송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기 위해서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더라도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채널에 이용되는 신호의 일부는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겹칠 수 있기 때문이다.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송신에 이용되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신호의 출력에 이용되는 증폭기의 경우 일정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포화 현상(saturation)에 의해서, 선형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선형성이 감소하는 경우,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 간의 간섭이 증가할 수 있다.
증폭기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디지털 사전 왜곡을 수행함으로써, 일정 주파수를 초과하더라도 선형성을 최대한 유지시키는 기술이 있다. 다만, 디지털 사전 왜곡의 경우 송신 신호의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에 의한 수신 채널의 노이즈를 줄일 수는 없다. 디지털 사전 왜곡은 송신 성능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에 전송하는 증폭기; DPD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트랜시버(tran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증폭기로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트랜시버가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증폭기로 전송하는 동작;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트랜시버가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 채널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수신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트랜시버 및 모뎀를 제어함으로써, 수신 채널의 잡음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 채널의 잡음이 줄어들어, 데이터 수신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한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주파수 밴드의 송신 채널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다른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밴드의 수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한 통신에서 데이터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신 단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줄이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신 단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줄이기 위해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신 단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 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수신 단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292)와 제2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300)는 안테나(310), 듀플렉서(320), 제 1 증폭기(330), 제 2 증폭기(340), 트랜시버(350) 및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310)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x 신호는 전자 장치(300)가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Rx 신호는 외부의 다양한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전자 장치(300)로 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Tx 신호 및 Rx 신호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는 3세대 통신 네트워크, 4세대 LTE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5G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Tx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Rx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안테나(310)가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장치(300)가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수에 따라서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듀플렉서(320)는 안테나(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듀플렉서(320)로 입력된 신호들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듀플렉서(320)는 제 1 증폭기(330)로부터 Tx 신호를 입력받고, 안테나(310)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듀플렉서(320)는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Tx 신호는 안테나(310)로 전송하고, Rx 신호는 제 2 증폭기(3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듀플렉서(320)가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장치(300)가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수에 따라서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증폭기(330)는 트랜시버(35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듀플렉서(32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랜시버(350)에서 수신한 신호는 Tx 신호일 수 있으며, 제 1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 1 증폭기(330)는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서 트랜시버(350)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 1 증폭기(330)는 제 1 증폭기(330)와 연결된 전력 공급 모듈(미도시)이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은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 1 증폭기(3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증폭기(340)는 듀플렉서(320)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트랜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듀플렉서(320)에서 수신한 신호는 Rx 신호일 수 있으며, 제 2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 2 증폭기(340)는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증폭기(340)는 저 잡음 증폭기로 구현됨으로써, 잡음이 감소된 Rx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증폭기(340)는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서 듀플렉서(320) 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 2 증폭기(340)는 제 2 증폭기(340)와 연결된 전력 공급 모듈(미도시)이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은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 2 증폭기(3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350)는 트랜시버(350)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안테나(310)를 이용하여 신호의 송신, 수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증폭기(330), 제 2 증폭기(340) 및 안테나(31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350)는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350)는 신호의 증폭, 신호의 위상 변환, 신호의 주파수 변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부품들(예: 전력 증폭기, 위상 변환기 또는 믹서)을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Tx 신호는 트랜시버(350)에 의해 제 1 증폭기(3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Tx 신호는 제 1 증폭기(330)의 특성에 의해 비선형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증폭된 Tx 신호의 비선형적인 특성은 Rx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Tx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잡음은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 미리 설정된 DPD(digital pre distortion) 테이블에 기반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DPD 테이블은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트랜시버(350)의 다양한 부품들의 이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PD 테이블의 수는 제한이 없으며, DPD 테이블이 복수 개로 구현된 경우, 복수의 DPD 테이블들 각각은 Rx 대역의 노이즈의 감소되는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트랜시버(350)가 사전 왜곡된 Tx 신호를 제 1 증폭기(330)로 전송하도록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전 왜곡된 Tx 신호는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프로세서(360)는 출력될 Tx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Tx 신호의 일부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Tx 신호의 왜곡을 수행함으로써, Tx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Tx 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Rx 대역의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300)의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Tx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함으로써, Rx 대역의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다양한 상황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안테나(310)가 수신한 신호의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 갖는 세기를 확인하고, 신호가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 갖는 세기가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 (예: Rx 신호의 RSSI)을 확인하고,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를 확인함에 대응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Tx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노이즈 감소를 위해 생성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예: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Tx 신호의 송신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Tx 신호의 송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Tx 신호에 의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Rx 신호의 수신 성능이 감소하는 경우(제 2 주파수 대역의 Rx 신호의 수신 성능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Tx 신호에 의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Rx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가 증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확인하고, 수신 성능의 확인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300)가 통신을 수행하는 지역이 약전계(low-electric field streng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전자 장치(300)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확인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Tx 신호의 사전 왜곡은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에 포함된 다양한 부품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에 포함된 믹서(mixer), 증폭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60)는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Tx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서, 트랜시버(350)의 I/Q(In-phase, Quadrature) 신호 이득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I/Q 신호 이득과 관련된 부품들(예를 들면, 믹서, 변조기, 복조기 또는 모뎀)을 제어함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360)는 기준 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트랜시버(350) 내의 증폭기의 증폭 이득 값을 감소시키도록 증폭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추출된 제 1 주파수 대역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일부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할 수 있도록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내에 구현된 통신 프로세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듀플렉서(320), 제 1 증폭기(330), 제 2 증폭기(340), 트랜시버(350) 및 프로세서(36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전술된 DPD 테이블은 Rx 신호의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PD 테이블은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하기 위한 DPD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 1 증폭기(330)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지털 사전 왜곡(DPD, digital pre distortion)을 수행함으로써, 제 1 증폭기(3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Rx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다양한 상황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이 아닌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 1 증폭기(330)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지털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서술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 중 도 3에서 서술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간결한 설명을 위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는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Tx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기준 신호를 제 1 증폭기(예: 도 3의 제 1 증폭기(330))에 입력하고,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60)는 기준 신호를 제 1 증폭기(330)에 전송하도록 트랜시버(3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조기(410)는 프로세서(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1 증폭기(330)에 공급되는 전원(420)에 대한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변조기(410)는 제 1 증폭기(330)에 공급되는 전원(420)의 크기 또는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제 1 증폭기(330)에 공급되는 전원(420)에 대한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가 전원 변조기(410)의 동작에 따라서 기준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조기(410)는 기준 신호의 진폭,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제 1 증폭기(330)에 공급되는 전원(420)에 대한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변조기(410)는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를 추적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변조기(410)는 포락선 추적 모드(envelope tracking mode, ET mode) 또는 평균 전력 추적 모드(average power tracking mode, APT mode)를 이용하여 증폭된 기준 신호를 추적할 수 있다. 포락선 추적 모드는 증폭 기준 신호의 포락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신호의 순간 진폭 정보(포락선의 실시간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에 기반하여 제 1 증폭기(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포락선 추적 모드는 송신 신호의 포락선에 따라서 제 1 증폭기(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조기(410)는 제 1 증폭기(330)에 공급되는 전원의 변조(430)를 통해서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동작(예를 들면,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가 변화되는 기준 신호(440)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기준 신호(440)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기준 신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가 주파수 대역의 변화에 따른 기준 신호의 세기(440)를 확인한 결과에 기반하여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주파수 대역의 변화에 따른 기준 신호의 세기(44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기준 신호의 세기(440)에서 Rx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도록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에 포함된 다양한 부품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에 포함된 모뎀의 I/Q 신호 이득 값, 믹서의 이득 값, 드라이버의 이득 값, 증폭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도록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기준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서, 트랜시버(350)의 I/Q(In-phase, Quadrature) 신호 이득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I/Q 신호 이득과 관련된 부품들(예를 들면, 믹서, 변조기, 복조기 또는 모뎀)을 제어함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470)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주파수 대역(460)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는 일부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기준 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470)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트랜시버(350) 내의 증폭기의 증폭 이득 값을 감소시키도록 증폭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제 2 주파수 대역(470) 상의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주파수 대역(460)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는 일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에 포함된 다양한 부품들(모뎀, 믹서, 드라이버 또는 증폭기)의 설정 값을 포함하는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DPD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Item Value
Modem I Signal[mV] 100
Modem Q Signal[mV) 150
RFIC Mixer Gain[dB] 10
RFIC Drive AMP Gain[dB] 15
PA VCC[V] 4
...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값은 변경이 가능하며, 전자 장치(300)는 미리 설정된 값을 변경한 후, 다른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서 DPD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수행하고, 복수의 채널들 중 다른 채널들은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채널 대역폭 지연 캘리브레이션(channel bandwidth delay calibration)을 수행한 후, 수행 결과에 따라서 DPD 테이블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채널들 마다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에서,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 및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수행한 기준 신호의 세기(46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수행하지 않은 기준 신호의 세기(440)와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수행된 기준 신호의 세기(450)가 도시되어 있다.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이 수행된 기준 신호의 세기(450)가 제 2 주파수 대역(470) 상에서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수행하지 않은 기준 신호의 세기(440)보다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470) 상에서의 기준 신호의 세기(440)가 감소한 것은, 제 2 주파수 대역(470)상 에서 Tx 신호로 인한 노이즈가 감소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Rx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줄이기 위해 기준 신호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 중 도 3, 도 4a 내지 도 4d에서 서술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간결한 설명을 위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안테나(예: 도 3의 안테나(310)) 및 듀플렉서(예: 도 3의 듀플렉서(320)) 사이에 커넥터(520) 및 커플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제 2 증폭기(340)와 트랜시버(350) 사이에 SAW 필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AW 필터(530)는 제 2 증폭기(340)에서 증폭된 Rx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의 일부만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트랜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510)는 안테나(310)로 방사를 위해 전송되는 Tx 신호와 커플링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커넥터(520)는 커플러(510)와 안테나(310) 사이에 배치되어, 커플러(510)와 안테나(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330)에서 증폭되는 기준 신호가 커플러(510)를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커플러(510)를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 내부의 부품을 제어하고, 부품들의 설정 값을 이용하여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330)에서 증폭되는 기준 신호가 듀플렉서(320) 및 커플러(510)를 통과한 후 안테나(310)로 전달되기 이전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자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외부 측정 장치(예: call box)에 의해서 신호의 추출이 가능할 수 있다. 외부 측정 장치는 측정한 신호의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확인 결과 에 기반하여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 내부의 부품을 제어하고, 부품들의 설정 값을 이용하여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330)에서 증폭되는 기준 신호가 듀플렉서(320)를 통과하기 이전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추출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트랜시버(350) 또는 프로세서(360) 내부의 부품을 제어하고, 부품들의 설정 값을 이용하여 DPD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Rx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 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안테나(310), 듀플렉서(320), 제 1 증폭기(330), 제 2 증폭기(340), SAW 필터(530) 및 트랜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제 1 증폭기(330)로 전송하도록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트랜시버(350)는 제 1 증폭기(330)가 신호를 증폭하도록 제 1 증폭기(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32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안테나(310)를 통해 방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610)는 Rx 신호의 수신을 위한 경로(제 2 증폭기(340) 및 SAW 필터(350)를 통해 트랜시버(350)로 Rx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610)는 트랜시버(350)의 Rx 포트로 전송되어,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서, Rx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예: 제 2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일부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DPD 테이블을 이용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DPD 테이블은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DPD 테이블을 이용한 사전 왜곡을 통해 트랜시버(350)의 Rx 포트로 전달되는 Tx 신호의 일부의 세기를 감소시켜, Tx 신호에 의한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Rx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4세대 데이터 통신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와이파이 본딩(Wi-Fi bonding), 4세대 셀룰러 통신(4G-LTE)과 5세대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서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는 2 개의 주파수 대역(예: B3, B8)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2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B3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는 801로 도시되고, B8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는 803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B3 및 B8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가정하고 도시하였으나, 다른 주파수 대역 역시 지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은 송신 신호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수신 신호를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안테나(310), 다이플렉서(710), 제 1 듀플렉서(720), 제 2 듀플렉서(730), 제 1 저 잡음 증폭기(740), 제 2 저 잡음 증폭기(750), 제 1 SAW 필터(760), 제 1 증폭기(770), 제 2 SAW 필터(770), 제 2 증폭기(790) 및 트랜시버(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310)는 2 개의 주파수 대역(B3, B8)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플렉서(710)는 안테나(310)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 경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710)는 안테나(310)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B3인 경우, B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 경로(제 2 듀플렉서(730), 제 2 저잡음 증폭기(750) 및 제 2 SAW 필터(780)에 의해 연결되는 경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710)는 안테나(310)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B8인 경우, B8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 경로(제 1 듀플렉서(720), 제 1 저잡음 증폭기(740), 제 1 SAW 필터(760)에 의해 연결되는 경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듀플렉서(720), 제 1 저잡음 증폭기(740), 제 1 SAW 필터(760) 및 제 1 증폭기(770)는 B8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에 기재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듀플렉서(730), 제 2 저잡음 증폭기(750), 제 2 SAW 필터(770) 및 제 2 증폭기(790)는 B3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에 기재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데이터를 B8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제 1 증폭기(770)로 전송하도록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트랜시버(350)는 제 1 증폭기(770)가 신호를 증폭하도록 제 1 증폭기(7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증폭기(770)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제 1 듀플렉서(720) 및 다이플렉서(71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안테나(310)를 통해 방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증폭기(770)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705)는 B3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을 위한 경로(다이플렉서(710), 제 2 듀플렉서(730), 제 2 저잡음 증폭기(750) 및 제 2 SAW 필터(780)를 통해 B3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증폭기(770)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705)는 트랜시버(350)의 Rx 포트로 전송되어,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B3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이 감소함을 감지하고, B8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트랜시버(350) 내부의 다양한 부품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B8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770)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서, B3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일부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B8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사전 왜곡을 통해 트랜시버(350)의 Rx 포트로 전달되는 B8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켜, B8 주파수 대역의 Tx 신호에 의한 B3 주파수 대역의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에 전송하는 증폭기; DPD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트랜시버(tran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증폭기로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D 테이블에 포함된 부품들의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트랜시버 내부의 부품들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 1 신호를 분석하고,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증폭된 제 1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D 테이블의 생성에 이용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트랜 시버를 제어하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Rx 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에 포함된 복수의 부품들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부품들의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DPD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되기 이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듀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기 위한 DPD 테이블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제 1 증폭기(예: 도 3의 제 1 증폭기(330))로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Tx 신호를 인가하도록 트랜시버(예: 도 3의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350)는 제 1 증폭기(330)로 Tx 신호를 인가하고, 제 1 증폭기(330)가 Tx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제 1 증폭기(3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300)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x 신호의 수신 성능은 Rx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300)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Tx 신호의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Tx 신호의 사전 왜곡은 Rx 신호의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300)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 Tx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digital pre distortion) 테이블을 이용하여 Tx 신호의 사전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PD 테이블은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트랜시버(350)의 다양한 부품들의 이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PD 테이블의 수는 제한이 없으며, DPD 테이블이 복수 개로 구현된 경우, 복수의 DPD 테이블들 각각은 Rx 대역의 노이즈의 감소되는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트랜시버(350)가 사전 왜곡된 Tx 신호를 제 1 증폭기(330)로 전송하도록 트랜시버(3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전 왜곡된 Tx 신호는 제 1 증폭기(33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출력될 Tx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Tx 신호의 일부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Tx 신호의 왜곡을 수행함으로써, Tx 신호에 의한 Rx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Tx 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Rx 대역의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300)의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DPD 테이블을 이용하여 Tx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함으로써, Rx 대역의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서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트랜시버가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증폭기로 전송하는 동작;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트랜시버가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DPD 테이블에 포함된 부품들의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트랜시버 내부의 부품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 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 및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증폭된 제 1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DPD 테이블의 생성에 이용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트랜 시버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Rx 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에 포함된 복수의 부품들을 제어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부품들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되기 이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기 위한 DPD 테이블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에 전송하는 증폭기;
    DPD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트랜시버(tran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증폭기로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D 테이블에 포함된 부품들의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트랜시버 내부의 부품들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 1 신호를 분석하고,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증폭된 제 1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D 테이블의 생성에 이용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트랜 시버를 제어하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Rx 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에 포함된 복수의 부품들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부품들의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DPD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되기 이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듀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기 위한 DPD 테이블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트랜시버가 Tx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신호를 증폭기로 전송하는 동작;
    제 2 주파수 대역을 갖는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제 1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설정된 D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트랜시버가 왜곡된 제 1 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DPD 테이블에 포함된 부품들의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트랜시버 내부의 부품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 1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 및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증폭된 제 1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DPD 테이블의 생성에 이용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트랜 시버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Rx 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신호의 세기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추출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감소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에 포함된 복수의 부품들을 제어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부품들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상기 DPD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되기 이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듀플렉서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전달된 후의 상기 증폭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Tx 신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기 위한 DPD 테이블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Rx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DPD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05256A 2019-01-15 2019-01-15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2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56A KR102622024B1 (ko) 2019-01-15 2019-01-15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19/016921 WO2020149526A1 (en) 2019-01-15 2019-12-03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frequency band of rx signal and method for the same
EP19910230.2A EP3871339A4 (en) 2019-01-15 2019-12-03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A FREQUENCY BAND OF AN RX SIGNAL AND ITS PROCESS
US16/701,583 US11063735B2 (en) 2019-01-15 2019-12-03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frequency band of Rx signal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56A KR102622024B1 (ko) 2019-01-15 2019-01-15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69A true KR20200088669A (ko) 2020-07-23
KR102622024B1 KR102622024B1 (ko) 2024-01-08

Family

ID=7151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56A KR102622024B1 (ko) 2019-01-15 2019-01-15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63735B2 (ko)
EP (1) EP3871339A4 (ko)
KR (1) KR102622024B1 (ko)
WO (1) WO2020149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01A1 (ko) * 2021-07-08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2 송신 동작에 기반하여 rf 신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619B1 (en) * 2020-10-14 2021-1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tenna uplink power control to avoid performance degrad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2059A (en) * 1997-11-12 2000-08-29 Motorola, Inc. Off-channel leakage power monitor apparatus and method
EP2779555A1 (en) * 2011-11-28 2014-09-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edistortion coefficients
US20160261295A1 (en) * 2015-03-02 2016-09-08 Eta Devices, Inc. Digital pre-distortion (dpd) training and calibration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EP3229375A1 (en) * 2013-07-01 2017-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gital supression of transmitter intermodulation in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6162B3 (de) * 2005-02-10 2006-08-17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Empfangseinrichtung mit einem eine einstellbare Vorverzerrung aufweisenden Polar-Modulator
US20100323641A1 (en) 2009-06-22 2010-1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re-distortion and feedback to mitigate nonlinearity of circuits
US9363068B2 (en) * 2010-08-03 2016-06-07 Intel Corporation Vector processor having instruction set with sliding window non-linear convolutional function
US8995932B2 (en) 2013-01-04 2015-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tter noise suppression in receiver
US9577773B2 (en) * 2014-05-06 2017-02-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tion assisted interference measurement
CN105024960B (zh) * 2015-06-23 2018-11-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dpd系统
CN104980174B (zh) 2015-06-30 2018-02-06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频段双输入功放发射机
CN106817328B (zh) 2015-11-30 2020-08-21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数字预失真表生成方法及装置
WO2019070573A1 (en) * 2017-10-02 2019-04-11 Nanosemi, Inc. DIGITAL PREDISTORSION ADJUSTMENT BASED ON DETERMINATION OF CHARGE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2059A (en) * 1997-11-12 2000-08-29 Motorola, Inc. Off-channel leakage power monitor apparatus and method
EP2779555A1 (en) * 2011-11-28 2014-09-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edistortion coefficients
EP3229375A1 (en) * 2013-07-01 2017-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gital supression of transmitter intermodulation in receiver
US20160261295A1 (en) * 2015-03-02 2016-09-08 Eta Devices, Inc. Digital pre-distortion (dpd) training and calibration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01A1 (ko) * 2021-07-08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2 송신 동작에 기반하여 rf 신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24B1 (ko) 2024-01-08
US20200228300A1 (en) 2020-07-16
US11063735B2 (en) 2021-07-13
EP3871339A1 (en) 2021-09-01
EP3871339A4 (en) 2021-12-08
WO2020149526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4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attenuating at least part of signal received by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ignal
US11729725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US111714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plifier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108048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supplying voltage to multiple amplifiers by using switching regulator
KR102622024B1 (ko)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753175A (zh) 用于基于从天线接收的信号来控制通信电路的电子装置
US20230108502A1 (en) Communication circuit for amplifying signal by using multiple amplifie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030319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증폭기들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7533A (ko)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최대 증폭 레벨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93938A (ko)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119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communication circuit in electronic device
US20230126353A1 (en) Communication circuitry including amplifying modul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circuitry
US202300855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frequency of reference signal used to generate rf signal
US20220416820A1 (en) Dual conn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230327686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220149873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rect or in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KR20240006403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