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17A -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 Google Patents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17A
KR20200088017A KR1020190004492A KR20190004492A KR20200088017A KR 20200088017 A KR20200088017 A KR 20200088017A KR 1020190004492 A KR1020190004492 A KR 1020190004492A KR 20190004492 A KR20190004492 A KR 20190004492A KR 20200088017 A KR20200088017 A KR 2020008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coating agent
elevating
co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1539B1 (en
Inventor
표대열
Original Assignee
표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대열 filed Critical 표대열
Priority to KR102019000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539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4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special provision for agitating the work or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8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special provision for agitating the work or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and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agitated together in a container, e.g. tu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gnation apparatus for mold wash coating, includ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In particular, the impregnation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100) which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for accommodating a mold wash (I) therein and a placement unit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110); a perforated plate (200)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vertical movement-driving device (300) which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extended upwardly therefrom so as to have a length, to enable vertical movements of the perforated plate (200); and a controller (400)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movement-driving device (300).

Description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본 발명은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붓칠 방식 또는 스프레이 분사 방식과 같은 수동 도포 방식으로 중자의 표면에 도형제를 도포하는 방식과는 달리, 본체에 형성된 도형제가 수용된 수용부 내부로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를 함침시켜 중자의 표면에 자동으로 도형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그 수용부의 일측에 함침되었던 중자를 곧바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중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여 도형제의 탈수를 보다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잔여 도형제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건강 및 작업 능률 향상뿐만 아니라, 도형제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까지 향상시키면서도 환경오염까지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gnation device for coat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type perforated plate, and more specifically,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agent to the surface of a core using a manual coating method such as a conventional brushing method or spray spraying method. Alternatively, the lifting agent perforated plate is impregna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coating agent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coating agent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and the cor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capable of directly mounting the core impregn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Easier dehydration of the residual coating agen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and recycling of the residual coating agent improves worker's health and work efficiency, as well as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due to recycling of the coating agent, and also contaminates the environment. It relates to an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able perforated plate tha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중자란 주물의 중공부를 만들기 위한 외형의 주형과는 별도로 형성된 내부의 주형을 말한다. 특히, 이러한 중자는 제품 내부의 표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품 내부의 표면의 불량을 감소하기 위해 중자의 표면에 액상의 도형제를 도포할 필요가 있다.The core means an inner mold formed separately from the outer mold for making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ting. In particular, since this core forms a surface inside the product, it is necessary to apply a liquid coating agent to the surface of the core to reduce defects in the surface inside the product.

이에 종래에는 주로 도형제를 작업자가 붓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주물사 표면에 도포하고 있었으나, 균일하지 않은 붓칠 수작업에 따른 제품 내부 표면의 불량률 증가와 더불어서 시간적 비효율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었다.Thus, in the prior art, the coating agent was main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asting sand manually by an operator using a brush, bu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an inefficiency of time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defective rat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roduct due to uneven brushing.

따라서, 최근에는 스프레이건을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2597호의 경우, 도료의 분사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대차에 있어서, 이동대차의 주플레이트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를 힌지 고정시키고 주플레이트 상부 일측 끝단에 운반손잡이를 설치하며 이 주플레이트 상단부에 도료 믹싱탱크와 다이어프램 펌프를 설치하되, 상기 도료 믹싱 탱크 상·하부에 각각 교반기와 복수개의 볼 밸브를 설치함과, 교반기는 에어 헤드에 연결된 에어 디스트리뷰터와 에어 공급호스로 연결되고 다이어프램 펌프에 도료 믹싱탱크 하부의 볼 밴드와 도료 공급호스로 연결되며 다이어프램 펌프에 도료 공급호스를 고정하여 스프레이 건과 연결 설치함과, 또한, 에어 레귤레이터를 에어 디스트리뷰터와 에어 공급호스로 연결한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펌프에 연결하고 스프레이 건에 에어 공급호스를 고정하여 에어 디스트리뷰터와 연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람이 도료의 주제, 경화제, 신나 및 고형물을 혼합하던 작업을 도료믹싱탱크에서 교반기로 혼합을 할 수가 있고, 도료 믹싱탱크에서 다이어프램 펌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으로 도료를 공급하여 스프레이 도장이 가능하도록 기계화함으로써 인력투입 및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 method using a spray gun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In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the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0-0002597, in the mobile cart performing the spraying operation of the paint, a plurality of lower parts of the main plate of the mobile truck The wheels are hinged, a transport handl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plate, and a paint mixing tank and a diaphragm pump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plate.Agitators and a plurality of ball valves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aint mixing tank, respectively. , The stirrer is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air head by an ai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diaphragm pump by a ball band under the paint mixing tank and the paint supply hose, fixed the paint supply hose to the diaphragm pump, and connected to the spray gun.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regulator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pump while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or and the air supply hose, and the air supply hose is fixed to the spray gun and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or. The work of mixing the subject, hardener, thinner, and solids can be mixed with a stirrer in the paint mixing tank, and by supplying the paint with a spray gun in the paint mixing tank with the diaphragm pump installed, it is mechanicalized to enable spray paint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put and the working time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atigue of the operator.

그러나, 이러한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분사식 도포 방식 역시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른 균일하지 못한 도포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공기 중의 도형제 날림으로 인한 작업자의 호흡기 질환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과 함께 도형제가 공기 중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낭비될 수 있고, 게다가 공기 중의 유출에 따른 환경 오염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spray-type coating method using the spray gun also has a problem of non-uniform application due to manual work of the worker, and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blem of respiratory disease of the worker due to blowing of the coating agent in the air may occur. Since it is leaked into the air, it may be wasted more than necessary, and also has a problem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may occur due to air leakage.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3-0002599호(공고일: 1993.05.17.)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Room 1993-0002599 (Notice: 1993.05.17.)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2597호(공개일: 2000.02.07.)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Room 2000-0002597 (Publication date: 2000.02.07.)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도형제가 수용된 수용부 내부로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를 함침시켜 중자의 표면에 자동으로 도형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그 수용부의 일측에 함침되었던 중자를 곧바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중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여 도형제의 탈수를 보다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egnate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into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molded agen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utomatically apply the molded agent to the surface of the core, and by providing a mounting portion capable of directly mounting the core impregn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egnating device for coat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able perforated plate capable of more easily dehydrating the remaining coating agen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ore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의 하부를 수용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거치부에 거치된 중자로부터 흘러나온 잔여 도형제가 다시 수용부로 흘러들어가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도형제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까지 향상시키면서도 환경오염까지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ha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residual coating agent flowing out from the cor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flows back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an be recycl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with a raised perforated plat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while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는,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ing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도형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되, 그 상부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구동디바이스; 및 상기 승하강구동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receiving the coating agent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It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is formed extending to have a lengt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to enable the elevating of the perforated plate;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driv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형제에 에어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에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ir tube for generating bubbles by injecting air into the coat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하강구동디바이스는, 하단부가 상기 타공 플레이트와 장착되며, 상단부의 양측으로 승하강롤러가 구비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롤러가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도록 절곡면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drive device, the lower end is mounted with the perforated plate, the elevating member provided with elevating roller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a fixing member having a bent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vating roller inserted therein, although the pair is formed with the elevat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는 서브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perforated plat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브 타공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edge of the sub-perforat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flange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브 타공 플레이트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perforat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ing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하부는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거치부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length formed by the moun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의 하면에는 케스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aster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도형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to discharge the coating agent to the outsi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에 의하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pregnation device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도형제가 수용된 수용부 내부로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를 함침시켜 중자의 표면에 자동으로 도형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그 수용부의 일측에 함침되었던 중자를 곧바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중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여 도형제의 탈수를 보다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egnate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into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molded agen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utomatically apply the molded agent to the surface of the core, and by providing a mounting portion capable of directly mounting the core impregn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while making dehydration of the residual coating agen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ore easier.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의 하부를 수용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거치부에 거치된 중자로부터 흘러나온 잔여 도형제가 다시 수용부로 흘러들어가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도형제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까지 향상시키면서도 환경오염까지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ha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residual coating agent flowing out from the cor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flows back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an be recycled. It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while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관을 형성하여 도형제에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도형제가 보다 고르게 혼합될 수 있음과 함께, 중자의 표면에 도형제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air tube for injecting air into the receiving portion to generate bubbles in the coating agent, so that the coating agent can be more evenly mixed and the coating agent is even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구동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타공 플레이트의 회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n elevated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inner cross-section of an impregnation device for coat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n elevated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dri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of the sub-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include','have','consist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man'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as a singular number, the plural number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top','~upper','~bottom','~side', '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direct' or'direct' is used.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the time relationship, for example,'after','following','~after','~before', etc., when the temporal sequential relationship is described,'right' or'directly' It may also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is used.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so,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X-axis direction', the'Y-axis direction', and the'Z-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geometric relationship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may mean having a wider directionality.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2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as well as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respectively. It can mean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dog.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may b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ve relationship. It might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구동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타공 플레이트의 회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impregnating device for coat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n elevated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with a lift-typ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of the sub-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는 기본적으로 본체(100), 타공 플레이트(200),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 및 콘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4, the impregnation device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main body 100, a perforated plate 200, an elevating drive device 300 and a controller ( 400).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중자(미도시)에 도형제(l)를 도포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타공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상기 중자를 올려 놓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 플레이트(200)를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를 통해 하강시켜 도형제(l)에 함침시킨 후 다시 상승시켜 상기 중자에 도형제(l)를 도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 그 밖의 기능을 통해 도형제의 도포 작업에 대한 편의성과 안정성을 갖춘 발명이다.First, to briefly describe the impregnating device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ore efficiently perform the application of the coating agent (l) to a core (not shown), basically The cor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00, and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erforated plate 200 is lowered through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driving device 300 to form the coating agent It is an invention having convenience and st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ating agent through other functions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pplying the coating agent (l) to the core by impregnating with (l) and then raising again.

본체(100)는 액상의 도형제(l)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및 수용부(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수용부(110)는 본체(100) 내부에 도형제(l)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도형제(l)에 함침되었던 중자를 바로 거치할 수 있도록 테이블 형상의 거치부(12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10 in which the liquid coating agent 1 is accommodated and a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receiv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ontainer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so that the coating agent (l)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coating agent ( l) The table-shaped mounting portion 120 may be extended to directly mount the core that has been impregnated.

한편, 수용부(110)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형제(l)에 에어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에어관(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형제(l)에 에어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키게 되면 도형제(l)에 첨가된 약품이 보다 고르게 혼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도형제(l)에 함침된 중자에 도형제(l)를 보다 고르게 도포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pipe 115 to generate bubbles by injecting air into the coating agent (l). If bubbles are generated by injecting air into the mold-forming agent (l), the drug added to the mold-forming agent (l) may be more evenly mixed, and with this, the mold-forming agent (l) in the core impregnated with the mold-forming agent (l) ) May be applied more evenly.

거치부(12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형제(l)에 함침되었던 중자는 거치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제(l)가 수용되는 높이 이상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거치부(120)의 하부는 수용부(110)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120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형제(l)에 함침되었던 중자의 표면에 묻어 흐르는 잔여 도형제는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구멍을 통해 흘러 들어가 거치부(120)의 경사면(120a)을 따라 다시 수용부(1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상의 도형제(l)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A sub-perforated plate 13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unit 120. That is, the core that has been impregnated in the coating agent (l)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mounting unit 120 may be extend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a height above which the coating agent (l) is accommodated. The lower portion of the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120a)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refore, the residual coating agent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core, which has been impregnated with the coating agent (l), flows through the hol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and is received again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0a of the mounting portion 120 (110).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reby,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liquid coating agent (l) again.

한편,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러한 걸림 플랜지부(131)의 바람직한 예로는,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후방측 및 일외측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거치된 중자가 외력에 의해 가장자리로 이동되더라도 걸림 플랜지부(131)에 의해 걸려 지지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중자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sid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flange portion 13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locking flange portion 131, FIGS. 1 and 4 ( As shown in a) and 4 (b), it may protrude to the rea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Accordingly, even if the jungja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is moved to the edge by an external force, it is hung and supported by the catching flange 131, so that the jungja can be safely mounted.

또한,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는 도 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결합부(132)가 형성되어 거치부(120)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 시켜 들어올려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하부면을 청소한다던가, 경사면(120a)을 청소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perforated plate 130, as shown in Figure 4 (a) and Figure 4 (b), at least one hinge coupling portion 132 is formed on one side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Features are possible. Accordingly, it may be easier to clea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perforated plate 130 or to clean the inclined surface 120a by rotating the sub-perforated plate 130 upward to lift it.

한편, 본체(100)의 하단부는 수용부(110)에 거치부(120)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거치부(12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이러한 거치부(120)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는 하중을 받게 되면 본체(100)는 거치부(120)가 구비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하단부의 길이를 거치부(120)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하게 된다면, 본체(100)가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20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length formed. Since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receives a load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main body 100 inclin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This can lead to dangerous situations. 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length formed by the mounting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main body 100 is inclined.

그리고, 본체(100)의 하단부의 하면에는 케스터(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체(100)를 작업이 필요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aster 14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main body 100 to a position where work is required.

한편, 수용부(110)에는 도형제(l)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6)이 본체(100)의 외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수용부(110)의 내부 바닥면(110a)은 배출관(116)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관(116)이 형성되는 위치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수용부(110)의 내부 바닥면(110a)의 가장 낮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에 수용된 도형제(l)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pipe 116 for discharging the coating agent (l) to the outside penetrat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 inner bottom surface (110a)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Silv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ipe (116). That is, a more preferable example of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116 is form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st height of the inner bottom surface 110a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refore, the coating agent (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can be discharged more efficiently.

타공 플레이트(20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구성이다. 타공 플레이트(200)는 중자가 올려진 상태로 하강되어 도형제(l)에 함침되게 되는데, 타공 플레이트(200)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자의 바닥면까지 도형제(l)를 도포하는데 유리할 수 있으며, 또한, 타공 플레이트 상승 시 도형제(l)가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도형제(l)가 타공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타공 플레이트(200)는 후술하는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와 연동되어 승하강될 수 있다.The perforated plate 200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 perforated plate 200 is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core is raised and impregnated into the coating agent l. Sinc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perforated plate 200, the coating agent l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e It may be advantageous, and also, when the perforated plate is raised, the coating agent (l) may be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the coating agent (l)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00). The perforated plate 200 may be moved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300 described later.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는 본체(100)의 외측에 장착되되, 그 상부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타공 플레이트(20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단부가 타공 플레이트(200)와 장착되며, 상단부의 양측으로 승하강롤러(313a)가 구비되는 승하강부재(310) 및 승하강부재(3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승하강롤러(313a)가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도록 절곡면(320a)이 형성된 고정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승하강롤러(313a)가 고정부재(320)의 절곡면(320a)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승하강부재(31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The elevation device 30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formed to be extended to have a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thereof, thereby enabling the elev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200.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300, the lower end is mounted with a perforated plate 200, the elevating member 310 and the elevating member provided with the elevating roller 313a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 310) may be made of a pair with a sandwich therebetween, and may include a fixing member 320 having a bent surface 320a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roller 313a inserted. That is, the elevating roller 313a guides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310 while elevating and descending along the bending surface 320a of the fixing member 320.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승하강부재(310)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단부에는 판 형상의 판부재(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판부재(311)의 상면에 타공 플레이트(200)가 올려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판부재(311)의 일측면 중심부 부분에는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연결부재(312)가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12)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승하강롤러(313a)가 구비되는 이송부재(313)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송부재(313)의 후단부에는 길이를 가진 기둥부재(314)가 하단부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재(310)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승하강롤러(313a)가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되어 승하강롤러(313a)와 밀착된 고정부재(320)의 절곡면(320a)을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둥부재(314)의 하단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롤러(미도시)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롤러가 기둥부재(314)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기둥부재(314)는 상기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을 것이다.Here, referring to Figure 3 to look at the lifting member 310 in more detail, a plate-shaped plate member 31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perforated plate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311. It can be mounted in a raised state. And,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311 is formed with a connecting member 312 having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2 is provided with elevating rollers 313a on both sides. The member 313 is formed. In addition, a pillar member 314 having a length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member 313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The elevating member 310 may be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For example, the elevating roller 313a is rotated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and bent of the fixing member 320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vating roller 313a. It may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face 320a. For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roller (not shown) that transmits power to the lower end of the pillar member 314 is provided to contact, and the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pillar member 314 When rotated to, the pillar member 314 may be raised or lower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콘트롤러(400)는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콘트롤러(400)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동 방식으로써, 버튼(미도시)을 1회 푸쉬하면 승하강부재(310)가 하강되었다가 일정 시간 정지한 후 상승되는 방식일 수 있다.The controller 40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driving device 3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or blocking electricity. The controller 400 may be manually op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an automatic method, when the button (not shown) is pushed once,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member 310 descends and then stop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ris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 도형제 100: 본체
110: 수용부 110a: 내부 바닥면
115: 에어관 116: 배출관
120: 거치부 120a: 경사면
130: 서브 타공 플레이트 131: 걸림 플랜지부
132: 힌지결합부 140: 케스터
200: 타공 플레이트 300: 승하강구동디바이스
310: 승하강부재 311: 판부재
312: 연결부재 313: 이송부재
313a: 승하강롤러 314: 기둥부재
320: 고정부재 320a: 절곡면
400: 콘트롤러
l: coating agent 100: main body
110: receiving portion 110a: inner bottom surface
115: air pipe 116: exhaust pipe
120: mounting portion 120a: slope
130: sub-perforated plate 131: engaging flange
132: hinge coupling 140: caster
200: perforated plate 300: elevating drive device
310: elevating member 311: plate member
312: connecting member 313: transfer member
313a: elevating roller 314: pillar member
320: fixing member 320a: bending surface
400: controller

Claims (10)

도형제(l)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및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200);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장착되되, 그 상부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20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 및
상기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The main body 100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110 in which the coating agent (l) is accommodated and a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Perforated plate 200 is installed so as to elevate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t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s formed extending to have a lengt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300 to enable the elevating of the perforated plate 200; And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ing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제(l)에 에어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에어관(1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Impregnating device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n elevat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air pipe 115 for generating bubbles by injecting air into the coating agent (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동디바이스(300)는,
하단부가 상기 타공 플레이트(200)와 장착되며, 상단부의 양측으로 승하강롤러(313a)가 구비되는 승하강부재(310); 및
상기 승하강부재(3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롤러(313a)가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도록 절곡면(320a)이 형성된 고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drive device 300,
The lower end is mounted with the perforated plate 200, the elevating member 310 having elevating rollers 313a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It is made of a pair with the elevating member 310 therebetween, and the elevating roller (313a) is inserted into a fixed member 320 is formed with a bent surface (320a) in close conta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mpregnation device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ing type perforate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의 상부에는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mpregnatio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having a rais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sub-perforated plate 130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4,
An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with a rais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flange portion 13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n edg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sub perforated plate 13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공 플레이트(130)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20)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ub-perforated plate 13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hinge coupling portion 132 on one side, and impregnated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the elevat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의 하부는 상기 수용부(110)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120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impregnated for coating the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rais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120a)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110)에 상기 거치부(120)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impregnated for coating a coating agent provided with a liftable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length formed by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의 하면에는 케스터(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 impregnating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agent with a raised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aster 140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에는 상기 도형제(l)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6)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타공 플레이트가 구비된 도형제 도포용 함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coated with a lifting agent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116 for discharging the coating agent (l) to the outside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Dragon impregnation device.

KR1020190004492A 2019-01-14 2019-01-14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KR102301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92A KR102301539B1 (en) 2019-01-14 2019-01-14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92A KR102301539B1 (en) 2019-01-14 2019-01-14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17A true KR20200088017A (en) 2020-07-22
KR102301539B1 KR102301539B1 (en) 2021-09-10

Family

ID=7189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92A KR102301539B1 (en) 2019-01-14 2019-01-14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53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599A (en) 1991-07-03 1993-02-23 최근선 Spinning Oil Composition for Polyester Fiber
KR930002599U (en) * 1991-07-15 1993-02-25 신환기 Cargo packaging device using film
KR20000002597A (en) 1998-06-22 2000-01-15 구자홍 Audio control head assembly of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292839Y1 (en) * 2002-06-14 2002-10-25 주식회사 국제아르테미스 A ultra sonic dyeing machine for button
JP2009226346A (en) * 2008-03-25 2009-10-08 Ihi Corp Jetting amou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device
JP2011182966A (en) * 2010-03-09 2011-09-22 Fujifilm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endoscope flexible tube and adhesives applier of endoscope flexible tube material
KR101817224B1 (en) * 2016-09-29 2018-01-11 상진정밀주식회사 apparatus for rust prevention of over-drive clutch pist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599A (en) 1991-07-03 1993-02-23 최근선 Spinning Oil Composition for Polyester Fiber
KR930002599U (en) * 1991-07-15 1993-02-25 신환기 Cargo packaging device using film
KR20000002597A (en) 1998-06-22 2000-01-15 구자홍 Audio control head assembly of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292839Y1 (en) * 2002-06-14 2002-10-25 주식회사 국제아르테미스 A ultra sonic dyeing machine for button
JP2009226346A (en) * 2008-03-25 2009-10-08 Ihi Corp Jetting amou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device
JP2011182966A (en) * 2010-03-09 2011-09-22 Fujifilm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endoscope flexible tube and adhesives applier of endoscope flexible tube material
KR101817224B1 (en) * 2016-09-29 2018-01-11 상진정밀주식회사 apparatus for rust prevention of over-drive clutch pis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539B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48B1 (en) Coating method of mold wash using an impregnating apparatus equipped a lift-type perforated plate
CN110616880B (en) Wall whitewashing equipment
CN109013081A (en) The electronic spray-painting plant in column steel construction scene
CN105507565A (en) Automatic spraying machine
CN210935477U (en) Coating spraying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KR20200088017A (en) An impregnating apparatus for coating mold wash having a lift-type perforated plate
CN210333081U (en) Steel pail paint spraying apparatus
JP2006255558A (en) Coating apparatus
CN112663912A (en) Putty spraying equipment for building outer wall and putty scraping method thereof
CN209020610U (en) The electronic spray-painting plant in column steel construction scene
CN207277781U (en) Wall covering paints device
CN206935632U (en) A kind of painting gauge
CN107780633A (en) A kind of wall covering spray equipment
CN213359282U (en) Home decoration whitewashes device with paint
CN211143653U (en) Automatic whitewash device
CN210614123U (en) Convenient and fast's door plant processing apparatus that sprays paint
CN210947620U (en) Building coating construction equipment
CN114367886A (en)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wall self-recognition spraying robot for building decoration
JPH07109826A (en) Self-traveling painting device
CN216704783U (en) Operation lifting device for manual spraying
CN212218802U (en) Pipe die spraying system
CN218133516U (en) Roller wiping device for film coating machine
CN115318530B (en) Auto-parts processing spraying equipment
CN213143766U (en) Wall spraying device with synchronous spraying and brushing
CN213792279U (en) Automatic feeding spra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