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755A -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755A
KR20200087755A KR1020207012639A KR20207012639A KR20200087755A KR 20200087755 A KR20200087755 A KR 20200087755A KR 1020207012639 A KR1020207012639 A KR 1020207012639A KR 20207012639 A KR20207012639 A KR 20207012639A KR 20200087755 A KR20200087755 A KR 2020008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ntity
service
ind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158B1 (ko
Inventor
젠화 류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최초로 네트워크에 등록한 후,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와 일부 서비스 정보, 예를 들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세션 정보 등을 구성하게 된다.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진입할 때도,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이 재차 네트워크에 등록할 때,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와 로컬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모든 서비스를 활성화시킨다. 하지만 모든 서비스를 모두 활성화시켜야 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 상황 하에서 단말이 단지 일부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만 하면 되며, 현재의 서비스 활성화 방식은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가 소속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엔티티(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단말이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하기 서비스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 연결,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에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과정을 개시하는 등록 유닛;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지시 유닛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에서,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가 소속된 PLMN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하기 서비스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PDU 세션, PDN 연결, QoS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여기에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사용하면, 단말이 재차 네트워크로 등록 시, 단지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만 활성화시키고,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릴리스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자원을 절약하고, 아울러 또한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켰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진일보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부에 속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5G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4G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의 흐름도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의 흐름도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의 구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는 바, 첨부된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참조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5G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조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네트워크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에는,
단말(UE, User Equipment),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사용자 평면 기능(UPF, User Plane Function), 데이터 네트워크(DN, Data Network), 코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정책 제어 기능(PCF, Policy Control function), 응용 기능(AF, Application Function), 인증 서버 기능(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통합 데이터 관리(UDM, Unified Data Management)가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4G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조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G 네트워크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에는,
단말(UE, User Equipment), 향상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육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동성 관리 기능(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네트워크 요소,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acket Data Network Gateway), 정책 및 충전 규칙 기능 유닛(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이 포함된다.
상기 도 1, 도 2는 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구조를 구현하는 예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도 1, 도 2의 상기 네트워크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의 흐름도 1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301 단계: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는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를 바탕으로,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또한 서비스가 소속된 PLMN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하기 어느 한 가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방식1: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방식2: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개시하는 등록 과정에는 하기 몇 가지 상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황1: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황2: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황3: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단말이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방안에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하기 서비스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PDU 세션, PDN 연결, QoS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방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이다.
아래, 5G 네트워크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진일보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의 흐름도 2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401 단계: UE가 RAN으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등록 요청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이다.
여기에서,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402 단계: RAN이 AMF의 선택 조작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RAN이 새 AMF를 선택하면, 새 AMF도 목표AMF라 칭한다.
403 단계: RAN이 AMF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등록 요청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이다.
404 단계: 새 AMF가 지난 AMF로 UE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UE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Namf_Communication_UE Context Transfer"이다. 그 중에서, UE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에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정보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지난 AMF는 또한 소스 AMF라 칭한다.
405 단계: 지난 AMF가 새 AMF로 UE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UE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Namf_Communication_UE Context Transfer response"이다. 그 중에서, 지난 AMF가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이 컨텍스트를 UE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새 AMF로 송신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지난 AMF가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406 단계: 새 AMF가 UE로 신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신분 요청 메시지는 "Identity Request"이다.
407 단계: UE가 새 AMF로 신분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신분 응답 메시지는 "Identity Response"이다.
408 단계: 새 AMF가 AUSF의 선택 조작을 진행한다.
409 단계: 새 AMF와 각 네트워크 요소 및 UE 간에 인증/보안 조작을 실행한다.
410 단계: 새 AMF가 지난 AMF로 등록 완성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등록 완성 통지 메시지는 "Namf_Communication_Registration Complete Notify"이다.
411 단계: 새 AMF가 UE로 신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UE가 송신하는 신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신분 요청 메시지는 "Identity Request"이며; 신분 응답 메시지는 "Identity Response"이다.
412 단계: 새 AMF가 장치 아이디 레지스터(EIR, Equipment Identity Register)로 ME 신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EIR가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신분 확인 메시지는 "N5g-eir ME Identity Check_Get"이다.
413 단계: 새 AMF가 UDM의 선택 조작을 진행한다.
414A-214b 단계: 새 AMF와 각 네트워크 요소 간에 등록/구독 검색을 진행한다.
414c 단계: UDM이 지난AMF로 UE 컨텍스트 관리 등록 취소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UE 컨텍스트 관리 등록 취소 통지 메시지는 "Nudm_UE Context Management_Deregistration Notify"이다.
415 단계: 새 AMF가 PCF의 선택 조작을 진행한다.
416 단계: 새 AMF와 PCF가 정책 제어 취득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정책 제어 취득 메시지는 "Npcf_AM Policy Control_Get"이다.
417 단계: 새 AMF가 SMF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통시 메시지는 "Namf_Event Exposure_Notify(UE reach ablity state with PDU status)"이다.
418 단계: 새 AMF가 N3IWF로 N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419 단계: N3IWF가 새 AMF로 N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420 단계: 지난 AMF와 PCF가 정책 제어 삭제를 실행한다.
421 단계: 새 AMF가 UE로 등록 접수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등록 접수 메시지는 "Registration Accept"이다.
422 단계: UE가 새 AMF로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등록 완성 메시지는 "Registration Complete"이다.
여기에서,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새 AMF가 단말의 등록 요청을 수신한 후, 지난 AMF로부터 활성화된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취득한다. 일 실시 방식에서, 또한 비활성화된 서비스를 지난 AMF로 통지한다. 지난 AMF는 새 AMF의 통지를 수신한 후,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 있지 않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중의 서비스이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의 구조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에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과정을 개시하는 등록 유닛(501);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지시 유닛(502)이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에서,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가 소속된 PLMN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방식에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상기 지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하기 서비스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PDU 세션, PDN 연결, QoS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이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이다.
당업계의 기술인원들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구체적인 논리 회로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떠한 특정된 형식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여기에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을 구현한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 구성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60)에는 하나 또는 다수(도면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의 프로세서(602)(프로세서(602)에는 마이크 제어장치(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케이스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604) 및 통신 기능을 위한 전송 장치(606)가 포함될 수 있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상기 전자 장치의 구조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말(60)에는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모듈이 포함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억장치(604)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602)는 기억장치(604)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바, 즉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기억장치(604)에는 고속 무작위 기억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기억장치,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자기 저장 장치, 플래시,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기억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기억장치(604)에는 나아가 프로세서(602)에 대하여 원격 구비되는 기억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기억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예시에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그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606)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시에는 단말(60)의 통신 공급상이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송 장치(606)에는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가 포함되고, 이는 기지국을 통하여 기타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송 장치(606)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고, 이는 무선 방식을 통하여 인터넷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방법과 스마트 장치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또는 토론되는 각 구성 부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으며; 또는 실제의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제2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이 각각 독립적인 하나의 유닛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가 소속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엔티티(PLMN)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단말이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연결,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15.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에 등록 과정을 개시하는 등록 유닛;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및/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지시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 및/또는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비활성화 서비스 리스트에는 하나 이상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적어도 서비스가 소속된 PLMN의 아이디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슬라이스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완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등록 완성 메시지에는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부착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위치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에 추적 구역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변경이 발생한 상황 하에서, 상기 지시 유닛은 구체적으로,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가 송신하는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수신하는 조작을 실행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상기 목표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시켜 하기 조작, 즉 상기 지시 정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의 컨텍스트를 삭제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 또는 비활성화시켜야 하는 서비스에는,
    PDU 세션, PDN 연결, QoS 스트림, 베어러, 데이터 스트림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핵심망 네트워크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장치.
  29.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여기에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12639A 2017-11-20 2017-11-20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48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1914 WO2019095379A1 (zh) 2017-11-20 2017-11-20 一种业务激活及去激活的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755A true KR20200087755A (ko) 2020-07-21
KR102484158B1 KR102484158B1 (ko) 2023-01-02

Family

ID=6653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39A KR102484158B1 (ko) 2017-11-20 2017-11-20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51268B2 (ko)
EP (1) EP3703415A4 (ko)
JP (1) JP7100123B6 (ko)
KR (1) KR102484158B1 (ko)
CN (2) CN111770533B (ko)
AU (1) AU2017439969A1 (ko)
BR (1) BR112020009801A2 (ko)
CA (1) CA3080412C (ko)
RU (1) RU2747847C1 (ko)
WO (1) WO2019095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9905B (zh) * 2020-09-30 2023-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62A1 (ko) * 2016-02-17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관련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105B1 (en) * 1999-12-30 2003-07-0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in cellular network with multiple profiles
CN101296504B (zh) * 2007-04-26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在漫游网络实现ip多媒体子系统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US8743887B2 (en) *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CN101540979B (zh) * 2008-03-20 2011-07-2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用于紧急呼叫业务的紧急承载建立方法与通信系统
CN101754181A (zh) * 2008-12-08 2010-06-23 华为终端有限公司 铃音业务处理方法、应用服务器、处理装置和网络系统
US9936472B2 (en) * 2011-02-08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devices related to broadcast data services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KR20130082355A (ko) * 2012-01-11 201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방법
CN103220636B (zh) * 2012-01-19 2016-09-21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应用客户端注册方法和系统、以及设备
EP3127366B1 (en) * 2014-03-31 2021-03-24 Convida Wireless, LLC Overload control and coordination between m2m service layer and 3gpp networks
US20160057723A1 (en) * 2014-08-22 2016-02-2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e registration and paging
CN105722138B (zh) * 2014-12-03 2019-01-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业务处理方法和业务处理系统
EP3456090B1 (en) * 2016-05-12 2021-03-31 Convida Wireless, Llc Connecting to virtualized mobile core networks
US10397892B2 (en) * 2017-02-06 2019-08-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registration and network slic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CN113316223B (zh) * 2017-05-08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状态切换方法及装置
JP2019033416A (ja) * 2017-08-09 2019-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内の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EP3846508A1 (en) * 2017-10-09 2021-07-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licy control for ethernet packet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62A1 (ko) * 2016-02-17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관련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7584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5060A (zh) 2020-06-26
AU2017439969A1 (en) 2020-05-07
RU2747847C1 (ru) 2021-05-17
CN111770533B (zh) 2022-02-11
US20200252897A1 (en) 2020-08-06
JP7100123B6 (ja) 2022-09-30
JP2021512512A (ja) 2021-05-13
EP3703415A1 (en) 2020-09-02
KR102484158B1 (ko) 2023-01-02
WO2019095379A1 (zh) 2019-05-23
EP3703415A4 (en) 2020-11-04
BR112020009801A2 (pt) 2020-11-03
CN111770533A (zh) 2020-10-13
CA3080412C (en) 2023-08-01
CA3080412A1 (en) 2019-05-23
JP7100123B2 (ja) 2022-07-12
US11051268B2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90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ccess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JP6910445B2 (ja) 通信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
JP7128897B6 (ja) Rrc接続の回復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EP298339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ximity service authorization
CN108811009B (zh) 一种pdu会话连接的管理方法和装置
US92587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WO2016174512A1 (en) Resource control for wireless device detach
JP7317865B2 (ja) 端末機能取得方法およ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102484158B1 (ko)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방법,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WO2019136925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US20220400410A1 (en) Enhanced pfcp association procedure for session restoration
KR102076985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70585B1 (en) Stickiness removal of transactions in a 5g network
US1141917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090788A1 (zh) 一种触发网络切换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WO2012000367A1 (zh) Mtc特性的激活方法、移动性管理网元及mtc设备
JP2021513763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