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581A -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581A
KR20200087581A KR1020190004079A KR20190004079A KR20200087581A KR 20200087581 A KR20200087581 A KR 20200087581A KR 1020190004079 A KR1020190004079 A KR 1020190004079A KR 20190004079 A KR20190004079 A KR 20190004079A KR 20200087581 A KR20200087581 A KR 20200087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flask
vibration separator
san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7091B1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19000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91B1/en
Publication of KR2020008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1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separator and a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The vibration sepa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vibration separator separating a casting and casting sand from each other by disassembling a sand mold which has been molded, comprises: a frame; a separation unit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ram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bottom to support the casting and discharge the casting sand; and a shaft rotationally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to support the separation unit, and being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to swaying the separation unit when rotated.

Description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Vibration separator and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same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이 발명은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주물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사형에서 주물을 분리할 때, 진동을 이용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separator and a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when separating a casting from a sand mold manufactured using a casting sand, a vibration separator separating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using vibration and a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It is about.

주물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은 크게 금속으로 제조된 금형과 주물사로 제조된 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사형에서 주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사형을 부수어 사형 내부에 위치한 주물을 꺼내게 된다. 이때, 깨끗한 주물을 얻기 위하여 주물에 부착되어 있는 잔여 주물사를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The mold for manufacturing a cast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mold made of metal and a sand mold made of casting sand. Among them, in order to take the casting out of the death penalty, the death penalty is broken and the casting located inside the death penalty is taken out. At this time, in order to obtain a clean casting,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residual casting sand attached to the casting is required.

종래에는 사형을 부수고 주물에서 주물사를 떼어내는 작업을 작업자가 해머, 삽, 꼬챙이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사형에서 분리된 직후의 주물은 아직 수 백℃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등 부상의 위험성이 있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하는 작업 효율이 크게 상이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겨울철에 주물사가 얼어붙으면 이를 분쇄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In the related art, the work of crushing the death penalty and removing the casting sand from the casting was performed manually by a worker using a hammer, shovel, or skewer. However, since the casting immediately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and mold still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of several hundred degrees Celsius, there is a risk of injury such as burn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of separating the casting from the casting sand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In particular, if the casting sand was frozen in winter, it took considerable time to crush it.

이에, 주물과 주물사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셰이크아웃(shake-out)이라는 기기가 도입되었다. 셰이크아웃은 사형을 지지하는 금속제 매쉬와, 이 매쉬에 부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매쉬 위에 사형을 배치한 후 진동모터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면 사형이 분쇄되면서 주물은 매쉬 위에 남고 주물사는 매쉬 아래로 빠져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킬 수 있다.Thus, a device called a shake-out that automatically separates the casting from the foundry was introduced. The shake-out consists of a metal mesh supporting the sand mold and a vibration motor attached to the mesh to generate vibration. After placing the sand mold on the mesh, if the vibration motor generates vibration, the sand mold is crushed and the casting remains on the mesh and the casting sand can fall under the mesh to separate the casting and the sand.

그러나 상기 셰이크아웃을 이용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할 경우, 진동모터와 매쉬 사이의 결합부에서 피로파괴가 발생하여 고장이 일어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렇게 파손이 발생할 경우 수리가 어렵고, 고장 시간동안 작업을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are separated by using the shake-out, there is a problem that a failure is likely to occur due to fatigue failure at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vibration motor and the mesh. In case of such a breakage, repair is difficult and a lot of loss occurs because work must be stopped during the breakdown time.

한편, 진동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그 진폭이 작기 때문에 주물에서 주물사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종래의 셰이크아웃은 보통 복수 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주물에서 주물사를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mplitude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tor is small, it is difficult to easily separate the casting sand from the casting. Therefore, the conventional shake-ou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install a plurality of pieces to sequentially separate the casting sand from the casting.

그러나 복수 개의 셰이크아웃을 설치할 경우 초기 구성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shakeouts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 cost is required for initial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따라서,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고, 주물과 주물사의 분리 효율이 우수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는 주물-주물사 분리를 위한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vibr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a casting-casting sand and a casting separating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less likely to occur, has excellent separation efficiency between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and can be constructed at a low pric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s as background arts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JP 2004-337876 A (2003.05.13)JP 2004-337876 A (2003.05.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물과 주물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깨끗한 주물을 얻을 수 있고, 구조가 견고하여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도입 비용이 저렴한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separate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to obtain a clean casting, the structure is solid and the failure does not occur well, the vibration separator is inexpensive to introduce and It is to provide a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분리기는, 주탕이 완료된 사형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바닥에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주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주물사를 배출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리부를 지지하고,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분리부를 요동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한다.Vibration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br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casting sand and the casting sand to disassemble the sand mold is completed, the frame; A separation part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the bottom to discharge the foundry while supporting the casting; And a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separating portion to support the separating portion and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to swing the separating portion when rotating.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고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일치하는 제1부위와, 상기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불일치하는 제2부위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부위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haft,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the first por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coincide, and the rotation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mismatch It is divided into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one side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am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unit, the secon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2부위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이 변화하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 shape in which a radius change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a rotation axis.

상기 동력부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의 제2부위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휠과, 상기 모터 및 상기 휠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서포트 빔으로 구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벽면으로 구분되되, 상기 바닥면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 중 가장 낮은 위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부의 벽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includes a motor, a wheel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and a belt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wheel, and the separ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t is divided into a bottom surface composed of, and a wall surface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wall surface is the rest of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except for the edge of the lowest position. It may be formed in a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racket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eparating portion, an elastic portion elastically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separat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분리 시스템은,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주탕이 완료된 사형이 결합된 플라스크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면서 상기 사형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 및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진동분리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플라스크와 상기 사형을 분리시키는 펀치아웃기;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ting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line for transporting the flask is formed in the shape opened up and down and the sand mold is completed pouring the inside; A vibration separator which is supported by a shaft formed asymmetrically in a radial direction, and separates the casting from the casting sand by decomposing the sand mold while swinging by rotation of the shaft; And a punch-out machine that separates the flask from the sand mold while moving the flask from the transfer line to the vibration separator.

상기 펀치아웃기는,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진동분리기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진동분리기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을 붙잡아 승강시키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대차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클램핑 유닛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크의 개구된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펀치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진동분리기까지 이동시킬 때는 상기 플라스크를 미리 설정된 제1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플라스크가 상기 진동분리기의 상측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펀치플레이트가 상기 플라스크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punch-out machine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line and the vibration separator bogie to reciprocate between the transfer line and the vibration separator; A clamping unit installed to be lower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t and holding and lif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And a punch plate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gie but is installed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clamping unit,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opened area of the flask. When moving from the transfer line to the vibration separator, the flask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first height, and after the flask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separator, the flask is raised to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punch plate can be operated to be inserted inside the flask.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대차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의 하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을 붙잡을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연결로드를 매개로 상기 대차와 연결될 수 있다.The clamping unit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bogie, a bas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gie, and a clamp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to catc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Including, the punch plate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via a connecting rod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hen lifting the base.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에는 걸림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걸림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A locking flange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and the clamp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fl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을 사용하면, 편심 샤프트를 이용하여 큰 진폭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물과 주물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정비 소요를 최소화하여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When the vibration separator and the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by generating a vibration of a large amplitude using an eccentric shaft, and minimize maintenance costs to minimize the operating cost. It can be reduced, and it has an economic effect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분리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진동분리기에서 서포트빔을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진동분리기에서 샤프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아웃기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ate of the casting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ate of the vibration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n which the support beam is omitted in the vibration separator.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haft in the vibration separator.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unch-ou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은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a vibration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sting separation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분리기(10)는, 주탕이 완료된 사형(M)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vibration sepa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casting sand and the casting sand by disassembling the sand mold (M) is completed.

더 구체적으로, 진동분리기(1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바닥에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주물을 지지하면서 주물사를 배출하는 분리부(120)와, 분리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부(120)를 지지하고,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분리부(120)를 요동시키는 샤프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vibration separator 10 and the frame 110, the frame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the separation unit 120 for discharging the casting sand while supporting the cast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aft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120 to support the separation unit 120 and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to swing the separation unit 120 when rotating.

프레임(110)은 지면 또는 이와 대응되는 구성에 고정되어 후술할 분리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레임(11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하나의 예로서 지면에 꼭지점이 고정된 역U자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역U자형 틀 사이에 분리부(120)가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분리부(120)와 프레임(110)을 평면상에서 이격시킴으로써, 분리부(120)가 상하로 요동할 때 분리부(120)와 프레임(110)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frame 110 is fixed to the ground or a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i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ically limit the shape of the frame 110, as an example, it is formed in an inverted U-shaped frame shape with a vertex fixed to the ground, and the separation part 120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inverted U-shaped frames.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frame 110 by separating th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frame 110 on a plane, when the separation unit 120 swings up and down.

분리부(120)는 사형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로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닥이 체, 철망 또는 매쉬(mesh)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을 통해 주물사가 배출될 수 있고,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The separating part 120 is a configuration for dismantling the sand mold and separating it into castings and casting sands. The bottom is formed in a sieve, wire mesh, or mesh shape, or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bottom. Casting sand can be discharged, and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rame 110.

분리부(120) 상에 사형이 낙하하면, 후술할 샤프트(130)에 의해 분리부(120)가 요동함에 따라 사형이 분해되어 주물과 주물사로 분리되고, 주물은 분리부(120) 상에 남고 주물사는 분리부(120)의 바닥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주물사가 제거된 깨끗한 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sand mold falls on the separating part 120, the sand mold is decomposed as the separating part 120 swings by the shaf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separated into a casting and a casting sand, and the casting remains on the separating part 120 The casting s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f the separating part 120 to obtain a clean casting from which the casting sand has been removed.

분리부(120)는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데, 이를 통해 분리부(120)에 요동이 발생할 때 과도한 흔들림을 흡수하거나 분리부(120)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parating part 1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rame 110, thereby absorbing excessive shaking when the shaking part occurs in the separating part 120 or preventing the separating part 120 from leaving a predetermined position. Damage can be prevented.

샤프트(13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분리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부(120)를 지지하고,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분리부(120)를 요동시키게 된다. 이때, 샤프트(130)와 분리부(120)는 베어링 등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haft 130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parating part 120 to support the separating part 120, and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in a radial direction to swing the separating part 120 when rotating. Is ordered. At this time, the shaft 130 and the separation unit 120 will preferably be connected via a configuration that can reduce friction, such as bearings.

샤프트(130)는 동력부(1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동력부(140)는 샤프트(130)에 직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샤프트(130)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위치, 예를 들어 프레임(110)이나 지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haft 130 is preferably installed to rotate by the power unit 140, the power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haft 130, in order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130 It would be desirable to transmit power to a separate location, for example, to be installed in the frame 110 or the ground.

샤프트(130)의 형상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부(14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부위(131)와, 제1부위(131)에서 연장되고 분리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부(120)를 지지하는 제2부위(132)로 구분될 수 있다.When the shape of the shaft 13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140 and extends from the first portion 131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first portion 131 and is rotatable on the separation portion 120. It can be combined to be divided into a second portion 132 to support the separation portion 120.

이때, 제1부위(131)를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일치하는 일반적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제1부위(131)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하중을 최소화하여 피로파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forming the first portion 131 in a general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line coinci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atigue fracture by minimizing the abnormal load applied to the first portion 131.

제2부위(132)는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불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130)의 회전에 따라 분리부(120)를 요동시키게 된다. 즉, 샤프트(130)가 회전하면 제1부위(131)는 무게중심선과 회전축선이 일치된 상태로 요동 없이 회전하게 되는 반면, 제2부위(132)는 회전축선이 고정된 상태로 무게중심선이 원을 그리며 이동하게 됨으로써, 분리부(120)에 요동을 제공하게 된다.The second portion 132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line are inconsistent, so that the separation unit 120 is shake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130. That is, when the shaft 130 rotates, the first portion 131 rotates without shaking 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line and the axis of rotation coincide, while the second part 132 h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xis with the axis of rotation fixed. By moving in a circular motion, the separation part 120 is provided with fluctuation.

제2부위(132)의 형상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축선이 단면 원의 중심에서 벗어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하는 진동 조건에 따라, 제2부위(132)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때 회전축선이 단면 원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단면 원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축선이 제2부위(132)의 단면 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진폭이 큰 요동을 생성하는데 유리하고, 회전축선 제2부위(132)의 단면 원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빠른 주파수의 요동을 생성하는데 유리하다.The shape of the second portion 13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otation axis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circle. Depending on the desired vibration conditions, when the second portion 1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rotation axis may be located inside the cross-section circle or outside the cross-section circle. The farther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part 132 is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he greater the amplitude is, and the closer it is to the center of the circle of section of the second axis of rotation 132, the faster the frequency of swing. It is advantageous to produce.

바람직하게는, 제2부위(132)의 단면은 제1부위(131)의 단면보다 큰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제2부위(132)의 단면이 제1부위(131)의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제1부위(131)의 단면 중심과 제2부위(132)의 단면 중심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ortion 13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larger in size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portion 131,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ortion 132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first portion 131 It is formed to include a cross-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center of the first portion 131 and the cross-sectional center of the second portion 132 are formed differently.

샤프트(130)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시킬 경우, 샤프트(130)의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면서 분리부(120)에 충분한 요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hape of the shaft 13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sufficient swing to the separation unit 120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shaft 130.

동력부(140)는 샤프트(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모터(141), 휠(133) 및 벨트(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unit 140 may use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shaft 130 can be rotated, but may preferably include a motor 141, a wheel 133, and a belt 142.

모터(141)는 지면 또는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의 편의성과 이동성을 고려하면 모터(141)를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휠(133)은 샤프트(1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부위(131)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모터(14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샤프트(130)에 전달할 때 이를 보조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motor 141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frame 110.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and mobility of the installation, it may be desirable to fix the motor 141 to the frame 110. The wheel 133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 the first portion 131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130, and is a configuration for assisting when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141 to the shaft 130.

즉, 휠(133)의 직경을 샤프트(130)의 제1부위(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일종의 감속기 역할을 하도록 하여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부(120) 및 그 위에 적재되는 사형 및 주물은 약 수백 kg의 무게를 가지므로, 이러한 분리부(120)를 요동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토크가 필요하다. 또한, 주물에서 주물사를 제거할 때에는 높은 주파수의 진동보다는 큰 진폭의 요동이 효과적이므로, 샤프트(13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되 토크를 향상시키는 것이 주물과 주물사의 분리 효율을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diameter of the wheel 133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ortion 131 of the shaft 130, it is possible to improve torque while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by acting as a type of reducer. Since th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sand mold and castings loaded thereon have a weight of about several hundred kg, strong torque is required to swing the separation unit 120.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casting sand from the casting, it is effective to swing a large amplitude rather than high frequency vibration, so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aft 130 but improving the torque can help increase the separation efficiency between the casting and the casting sand. have.

벨트(142)는 모터(141)와 휠(133) 사이를 연결하여 모터(141)의 회전력을 휠(133)에 전달시키는 구성이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141)의 회전축과 샤프트(130)는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이 요구된다. 벨트(142)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터(141)의 회전력을 휠(133)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The belt 14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motor 141 and the wheel 133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1 to the wheel 133. Since the rotating shaft and the shaft 130 of the motor 141 installed in the frame 110 are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required. The belt 142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ring shape of rubber material,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1 to the wheel 133.

한편, 분리부(120)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서포트 빔(123)으로 구성된 바닥면(121)과, 바닥면(121)의 모서리에 형성된 벽면(122)으로 구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separation unit 12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ottom surface 121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wall surface 122 formed at the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121 It can be divided into.

바닥면(1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물에서 분리된 주물사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복수 개의 서포트 빔(123) 사이의 간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철사로 구성된 철망과 같은 구성은 주물의 무게를 견디기에 내구도가 부족할 수 있고, 타공 철판을 이용할 경우 주물사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내구도를 가지면서 주물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서포트 빔(123)을 복수 개 나란히 설치하여 바닥면(12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121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so that the casting sand separated from the casting can be discharged downward,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3. A configuration such as a wire mesh composed of wire may have insufficient durability to bear the weight of the casting, and when using a perforated iron plat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asting sand is not easily discharged.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bottom surface 121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upport beams 123 side by side so that the casting sand can be easily discharged while having sufficient durability.

이때, 서포트 빔(123)의 양단은 각각 바닥면(121)의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고, 서포트 빔(123)의 하측에는 서포트 빔(123)의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5)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25)는 바닥면(121)의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에 양단이 고정되되 서포트 빔(12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123 are fixedly installed at opposit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121, respectively, and a support 125 for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eam 123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beam 123. Can be installed. The support 125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121 opposite to each other, but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23.

벽면(122)은 바닥면(121)에 안착되어 있는 주물이 분리부(12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바닥면(121)의 둘레에 설치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ll surface 122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asting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21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unit 120, and is installed around the bottom surface 121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이때, 바닥면(121)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벽면(122)은 바닥면(121)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바닥면(121)의 모서리 중 가장 낮은 위치의 모서리 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물사의 분리가 완료된 주물을 분리부(120)로부터 용이하게 취출시키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2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wall surface 122 does not completely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21, but is at least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s formed in an open shape. This is to easily take out the casting, which has been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sting sand, from the separation unit 120.

즉, 분리부(120)가 샤프트(130)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면, 주물과 주물사가 분리됨과 동시에 주물이 바닥면(121)의 낮은 부위로 점차 이동하여, 벽면(1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주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eparation unit 120 swings by rotation of the shaft 130, the casting and the casting yarn are separated and the casting gradually moves to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21, so that the wall surface 122 is not formed. The casting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 space.

벽면(122)의 외측면에는 브라켓(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브라켓(124)의 하면과 프레임(110)의 상면 사이에 탄성부(150)가 설치되어 분리부(120)와 프레임(110)이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50)는 요구되는 물성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오실레이팅 마운팅(oscillating mounting)이나 코일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12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22, and an elastic part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12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0 to separate the part 120 and the frame. 110 may be elast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15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oscillating mounting or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or surrounding environment.

탄성부(150)를 오실레이팅 마운팅으로 구성할 경우, 이는 브라켓(124)에 고정된 상부프레임(151), 프레임(110)에 고정된 하부프레임(152), 상부프레임(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로드(153), 하부프레임(1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연결로드(154) 및 제1연결로드(153)와 제2연결로드(154)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프레임(1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elastic portion 150 is configured as an oscillating mounting,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upper frame 151 fixed to the bracket 124, the lower frame 152 fixed to the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51. The first connecting rod 153 coupled, the second connecting rod 154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frame 152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153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54 are rotatably conn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nk frame 155.

이때, 상부프레임(151), 제1연결로드(153), 링크프레임(155), 제2연결로드(154), 하부프레임(152)의 결합부에는 탄성체가 억지끼움되어 회동을 억제하면서 통상 상태로 복구되려는 힘이 작용하는바, 각각의 연결부에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면서 분리부(120)의 요동에 의한 충격이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rame 151, the first connecting rod 153, the link frame 155, the second connecting rod 154,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is fitted with an elastic body to suppress the rotation while the normal state As the force to be restored to a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separation unit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rame 110 while absorbing shock and vibration at each connection unit.

한편, 분리부(120)의 바닥면(121)에 직접 탄성부(150)를 설치하여 프레임(110)과 연결시킨다면, 바닥면(121)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바닥면(121)의 높이가 높아지면 작업자가 장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유지보수를 수행할 때 별도의 발판이 필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lastic part 15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separating part 120 and connected to the frame 110,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21 may be excessively high. When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21 is increased in this way, when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state of the equipment or performs maintenance, a separate scaffold is required.

따라서, 분리부(120)의 바닥면(121) 높이를 일정 이하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벽면(122)에 별도의 브라켓(124)을 설치하여 여기에 탄성부(1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parate bracket 124 on the wall surface 122 to install the elastic part 150 therein so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separation part 120 can be formed below a certain level. .

또한, 바닥면(121)의 하측에는 주물사의 낙하를 가이드하는 호퍼(12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호퍼(126)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낙하하는 주물사를 모으고, 도시되지 않은 주물사 재생 설비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라인에 주물사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pper 126 for guiding the falling of the foundry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21. The hopper 126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o collect the falling casting sand, and can supply the casting sand to a transfer line for transporting the casting sand to a recycling facility not shown.

한편,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분리 시스템은,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주탕이 완료된 사형(M)이 결합된 플라스크(F)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30)과,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샤프트(130)에 의해 지지되어, 샤프트(130)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면서 사형(M)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10) 및 플라스크(F)를 이송라인(30)에서 진동분리기(10)로 이동시키면서, 플라스크(F)와 사형을 분리시키는 펀치아웃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2 and 5, the casting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sk is formed in the shape opened up and down and the sand mold (M) is completed with the pouring inside (F) is supported by a transfer line 30 for conveying, and a shaft 130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being shaken by rotation of the shaft 130, the sand mold M is disassembled to cast and cast sand. It comprises a vibration separator 10 to separate and the flask (F) while moving from the transfer line 30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the flask (F) and the punch-out 20 to separate the sand mold.

이송라인(30)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롤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그 상측을 플라스크(F)가 슬라이딩 형식으로 이동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이송라인(30)과 플라스크(F)의 사이에 금속 또는 나무 재질의 받침판을 개재시킴으로써, 플라스크(F)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사형(M)이 이송라인(3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transfer line 30 may be,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rollers are continuously installed to move the flask F to the upper side in a sliding form. At this time, by interposing a metal or wood support plate between the transfer line 30 and the flask (F), the sand mold (M) fixed to the inside of the flask (F) is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transfer line (30) It would be desirable.

다만, 이송라인(30)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레일-대차 형식으로 구성되어 플라스크(F)를 이송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line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a rail-carriage type to transport the flask F.

진동분리기(10)는 앞서 별도로 설명한 바,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vibration separator 10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separately,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펀치아웃기(20)는 플라스크(F)를 이송라인(30)으로부터 진동분리기(10)로 이동시키면서, 플라스크(F) 내측에 고정된 사형(M)을 플라스크(F)로부터 분리시켜 진동분리기(10) 상으로 낙하시키는 구성이다.The punch-out 20 moves the flask F from the transfer line 30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while separating the sand mold M fixed inside the flask F from the flask F, thereby vibrating the separator ( 10) It is a configuration that falls to the top.

펀치아웃기(20)는 이송라인(30)과 진동분리기(10)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라인(30)과 진동분리기(10)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대차(210)와, 대차(210)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라스크(F)의 외측면을 붙잡아 승강시키는 클램핑 유닛(220) 및 대차(2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되 클램핑 유닛(220)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치되고, 플라스크(F)의 개구된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펀치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unch-out machine 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line 30 and the vibration separator 10, and is a bogie moving reciprocally between the transfer line 30 and the vibration separator 10. (210), the vehicle 210 is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on the lower side, the clamping unit 220 for hol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F) and elevating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gie 210, but the clamping unit 220 It is installed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hen lifting,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unch plate 230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open area of the flask (F).

대차(210) 및 레일(R)의 구성은 펀치아웃기(20)를 일정 범위 왕복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그 하나의 실시예로서, 대차(210)에 설치된 대차모터(211)가 대차휠(212)을 회전시켜 레일(R) 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bogie 210 and the rail R need not be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unch-out machine 20 can be reciprocated, but as one embodiment, the bogie motor 211 installed in the bogie 210 It may be installed to run on the rail (R) by rotating the balance wheel (212).

클램핑 유닛(220)은, 대차(210)에 결합된 유압실린더(221)와, 유압실린더(221)에 연결되어 대차(210)의 하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222)와, 베이스(2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라스크(F)의 외측면을 붙잡을 수 있는 클램프(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amping unit 22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221 coupled to the bogie 210, a base 222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221 and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gie 210, and the base 22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 223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F).

이때, 클램프(223)의 일단이 베이스(222)의 모서리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클램프(223)의 타단부가 호를 그리면서 플라스크(F)의 외측면에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lamp 22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base 222,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lamp 223 can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F while drawing an arc.

플라스크(F)의 외측면에는 걸림플랜지(F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플랜지(F1)의 하측면에 클램프(223)의 타단부에 설치된 논슬립부(224)가 접촉하여 클램프(223)를 포함하는 클램핑 유닛(220)이 상승함에 따라 플라스크(F)가 상승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F, a locking flange F1 is formed to protrude, and a non-slip portion 224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lamp 223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flange F1 to clamp 223 The flask F may rise as the clamping unit 220 including the rise.

또한, 펀치아웃기(20)에는 대차(210)와 펀치플레이트(230)를 연결시키되 베이스(222)와 이격 설치되어 베이스(222)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연결로드(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nch-out machine 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od 240 that connects the trolley 210 and the punch plate 230 bu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222 and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hen the base 222 moves up and down. have.

연결로드(240)는 유압실린더(221)의 피스톤이나, 클램핑 유닛(220)이 정확하게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22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베이스(22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그 하단에 펀치플레이트(230)가 결합된다.The connecting rod 240 is installed spaced apa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21 or the guide rod 225 that guides the clamping unit 220 to accurately move vertically, so as to penetrate the base 222 It is configured, the punch plate 230 is coupled to the bottom.

연결로드(240)는 별도의 승강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로드(240) 및 이와 연결된 펀치플레이트(230)는 대차(210)를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Since the connecting rod 240 does not have a separate lifting means, the connecting rod 240 and the punch plate 230 connected there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based on the bogie 210.

펀치플레이트(230)의 하측면에는 사형(M)을 플라스크(F)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니들(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needles 231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unch plate 230 to separate the sand mold M from the flask F and simultaneously crush it.

한편, 클램핑 유닛(220)이 플라스크(F)를 이송라인(30)에서 진동분리기(10)까지 이동시킬 때, 먼저 클램핑 유닛(220)이 플라스크(F)를 미리 설정된 제1높이까지 상승시키고, 대차(210)가 이송라인(30) 상에서 진동분리기(10) 상으로 이동하면, 클램핑 유닛(220)이 플라스크(F)를 제2높이까지 상승시키면서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펀치플레이트(230)가 플라스크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형(M)을 아래쪽으로 밀어내도록 작동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clamping unit 220 moves the flask F from the transfer line 30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the clamping unit 220 first raises the flask F to a preset first height, When the cart 210 moves on the transfer line 30 on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the clamping unit 220 raises the flask F to the second height, and the punch plate 230 having a fixed height is fixed to the flask.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to operate to push the sand mold (M) downward.

예를 들어, 겨울철에 사형(M)의 주물사가 이송라인(30)의 받침판이나 대차에 달라붙은 상태로 얼어버리면, 플라스크(F)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사형(M)이 플라스크(F)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라인(30)에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inter, when the casting sand of the sand mold M is frozen in a state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bogie of the transfer line 30, the sand mold M is separated from the flask F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flask F. As a result, a problem remaining in the transfer line 30 may occu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플라스크(F)를 이송라인(3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제1높이를 약 5~10mm 정도로 설정하여, 만약 플라스크(F)가 이송라인(30)에서 상승하면서 비정상적으로 플라스크(F)로부터 사형(M)이 분리되더라도, 사형(M) 자체의 높이 때문에 사형(M)이 플라스크(F)의 내측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플라스크(F)가 수평이동하면 강제적으로 사형(M)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height of raising the flask F from the transfer line 30 is set to about 5 to 10 mm, and if the flask F rises from the transfer line 30, the flask is abnormally removed ( Even if the sand mold M is separated from F), the sand mold M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sk F due to the height of the sand mold M itself, so that when the flask F is horizontally moved, the sand mold M is forcibly removed.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이에 더해서, 플라스크(F)의 이동 과정 중에 사형(M)으로부터 분리된 주물사의 일부가 이송라인(30) 상에 남을 수 있는데, 플라스크(F)가 이송라인(30)에서 진동분리기(10)로 수평이동함과 동시에 이송라인(30) 상에 잔존한 주물사를 진동분리기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크래퍼(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이송라인(30) 상의 주물사를 최대한 진동분리기(10)로 전달함으로써 이송라인(30)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part of the casting sand separated from the sand mold M may remain on the transfer line 30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flask F, and the flask F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line 30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At the same time as horizontal movement, a scraper (not shown) is further installed to push the remaining casting sand on the transport line 30 in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separator, thereby transferring the casting sand on the transport line 30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as much as possible. The cleanliness of the line 30 may be maintained.

한편, 플라스크(F)가 진동분리기(10) 상까지 이동하면, 클램핑 유닛(220)이 플라스크(F)를 제2높이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제2높이를 플라스크(F)의 전체 높이에 플라스크(F)와 펀치플레이트(230) 사이의 간격을 더한 길이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플라스크(F)에서 사형(M)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ask (F) moves to the vibration separator 10, the clamping unit 220 raises the flask (F) to a second height. At this time, by setting the second height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flask (F) plus the distance between the flask (F) and the punch plate 230, the flask (F) will be ab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sand mold (M).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진동분리기 20: 펀치아웃기
30: 이송라인 110: 프레임
120: 분리부 121: 바닥면
122: 벽면 123: 서포트 빔
124: 브라켓 125: 지지대
126: 호퍼 130: 샤프트
131: 제1부위 132: 제2부위
133: 휠 140: 동력부
141: 모터 142: 벨트
150: 탄성부
210: 대차 211: 대차모터
212: 대차휠 220: 클램핑 유닛
221: 유압실린더 222: 베이스
223: 클램프 224: 논슬립부
225: 가이드로드 230: 펀치플레이트
231: 니들 240: 연결로드
R: 레일 F: 플라스크
F1: 걸림플랜지 M: 사형
10: vibration separator 20: punch-out machine
30: transfer line 110: frame
120: separator 121: bottom surface
122: wall 123: support beam
124: bracket 125: support
126: hopper 130: shaft
131: first part 132: second part
133: wheel 140: power unit
141: motor 142: belt
150: elastic part
210: bogie 211: bogie motor
212: bogie wheel 220: clamping unit
221: hydraulic cylinder 222: base
223: clamp 224: non-slip
225: guide rod 230: punch plate
231: needle 240: connecting rod
R: Rail F: Flask
F1: Hanging flange M: Death penalty

Claims (8)

주탕이 완료된 사형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바닥에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주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주물사를 배출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리부를 지지하고,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분리부를 요동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진동분리기.
As a vibration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casting and the sand by disassembling the finished sand
frame;
A separating part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ram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the bottom to discharge the foundry while supporting the casting; And
Vibration separator comprising; a shaf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parating portion to support the separating portion and is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to swing the separating portion when rota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고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일치하는 제1부위와, 상기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선과 무게중심선이 불일치하는 제2부위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부위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haft,
The shaft is divided into a first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line coincide, and a second par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paration part and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gravity line do not match,
The first part, a vibration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part, and the second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이 변화하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part, the vibration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symmetric shape with a radius vary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의 제2부위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휠과, 상기 모터 및 상기 휠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서포트 빔으로 구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벽면으로 구분되되, 상기 바닥면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 중 가장 낮은 위치의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부의 벽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분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ower unit includes a motor, a wheel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a second portion of the shaft, and a belt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wheel,
The separation unit is divided into a bottom surf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wall surface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wall surface is the It is formed on the rest of the edges of the floor except the lowest one.
Vibration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racket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eparation portion to elastically connect the frame and the separation portion.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주탕이 완료된 사형이 결합된 플라스크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
반경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면서 상기 사형을 분해하여 주물과 주물사를 분리시키는 진동분리기; 및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진동분리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플라스크와 상기 사형을 분리시키는 펀치아웃기;를 포함하는 주물 분리 시스템.
A transfer line which is formed in a shape opened up and down and transfers a flask having a sand mold combined with pouring inside;
A vibration separator which is supported by a shaft formed asymmetrically in a radial direction, and separates the casting from the casting sand by decomposing the sand mold while swinging by rotation of the shaft; And
And a punch-out machine for separating the flask from the sand mold while moving the flask from the transfer line to the vibration separato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펀치아웃기는,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진동분리기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진동분리기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을 붙잡아 승강시키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대차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클램핑 유닛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크의 개구된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펀치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진동분리기까지 이동시킬 때는 상기 플라스크를 미리 설정된 제1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플라스크가 상기 진동분리기의 상측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플라스크를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펀치플레이트가 상기 플라스크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분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punch-out machine,
A truck which is movably installed along a rail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transfer line and the vibration separator to reciprocate between the transfer line and the vibration separator;
A clamping unit installed to be lower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t and holding and lif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And
It includes a punch plate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gie but installed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hen the clamping unit moves up and down,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opened area of the flask.
The clamping unit raises the flask to a first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flask is moved from the transfer line to the vibration separator, and after the flask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separator, the flask is moved from the first height. A casting sepa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unch plate is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ask by raising to a high second heigh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대차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의 하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을 붙잡을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승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연결로드를 매개로 상기 대차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분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lamping unit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bogie, a bas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gie, and a clamp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to catc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k Including,
The punch plate is separated from the base, the casting sepa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vehicle via a connecting rod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hen lifting the bas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크의 외측면에는 걸림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걸림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분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 casting sepa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flange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lask, and the clamp contacts a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flange.
KR1020190004079A 2019-01-11 2019-01-11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KR102147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079A KR102147091B1 (en) 2019-01-11 2019-01-11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079A KR102147091B1 (en) 2019-01-11 2019-01-11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81A true KR20200087581A (en) 2020-07-21
KR102147091B1 KR102147091B1 (en) 2020-08-24

Family

ID=7183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079A KR102147091B1 (en) 2019-01-11 2019-01-11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29B1 (en) * 2020-12-09 2021-07-07 (주)삼정오토메이션 Variant ejec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variant ejecting proces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743B1 (en) * 1991-02-07 1999-11-01 마르셀 마생 Method and device for decoring castings
KR20010113871A (en) * 2000-01-28 2001-12-28 니시 마코토 Method and device for collapsing and separating mold material and mold green sand from green sand mold
JP2004337876A (en) 2003-05-13 2004-12-02 Sintokogio Ltd Vibration type sand mold br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743B1 (en) * 1991-02-07 1999-11-01 마르셀 마생 Method and device for decoring castings
KR20010113871A (en) * 2000-01-28 2001-12-28 니시 마코토 Method and device for collapsing and separating mold material and mold green sand from green sand mold
JP2004337876A (en) 2003-05-13 2004-12-02 Sintokogio Ltd Vibration type sand mold bre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29B1 (en) * 2020-12-09 2021-07-07 (주)삼정오토메이션 Variant ejec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variant ejecting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091B1 (en)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046B2 (en) Falling weight crushing attachment
CN206070332U (en) A kind of novel cement concrete road breaker resonance crusher structure
CN202606841U (en) Vibration shakeout machine
US4643243A (en) Machine for impact cleaning casting
CN105414493B (en) A kind of wearing piece casting mould turnover sand fallout system
CN110508793B (en) Foundry goods removes core device
KR102147091B1 (en) Vibrating separat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asting using thereof
CN105312545A (en) Sand cleaning equipment used for removing heavy casting sand core
US4511125A (en) Ladle scraper mechanism
US2673651A (en) Hopper car evacuator
US3162910A (en) Apparatus for shaking out foundry flasks
US1159707A (en) Apparatus for cleansing castings.
KR102349110B1 (en) Pulverizing machine of mold with enhanced absorbing shock and pulverizing system of mold comprising the same
KR101053319B1 (en) Bucket Mounting Device
JP2009263995A (en) Transport device for boom
CN207746398U (en) A kind of process units of resin sand
CN209174885U (en) Differential mechanism shell sand shake-out device
CN207770299U (en) A kind of screening machine easily changing sieve
CN213171238U (en) Workbin removes upset system
CN217024501U (en) A loading attachment for drum-type shot-blasting machine
KR101050201B1 (en) Equipment for building refractory units of blast furnace
US3346201A (en) Aggregate manufacturing machine
CN219713981U (en) Electric furnace device for casting production and processing
CN218316100U (en) Tire dismounting and mounting machine
CN218434435U (en) Lifting sk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