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96A -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 Google Patents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496A
KR20200086496A KR1020190002737A KR20190002737A KR20200086496A KR 20200086496 A KR20200086496 A KR 20200086496A KR 1020190002737 A KR1020190002737 A KR 1020190002737A KR 20190002737 A KR20190002737 A KR 20190002737A KR 20200086496 A KR20200086496 A KR 2020008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dissipation
circuit board
film
gf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945B1 (ko
Inventor
정성환
Original Assignee
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환 filed Critical 정성환
Priority to KR102019000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45B1/ko
Priority to PCT/KR2020/000307 priority patent/WO2020145644A1/ko
Publication of KR2020008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45B1/ko
Priority to US17/358,122 priority patent/US119373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9External configur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e.g. lay-out of conductors,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7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n inorganic, non-metallic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42Shape of an individual particle
    • H05K2201/0254Microballoons or hollow filler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8Resin coated copper [RC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3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 인쇄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에 관한 것으로,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발열체가 설치되는 연성기판층; 및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연성기판층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HIGH HEAT DISSIPATION GRAPHIT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R LED LAMP}
본 발명은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 인쇄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등(Head Lamp), 주간주행등(DRL : Daytime Running Lamp), 미등(RCL : Rear Combination Lamp)과 같은 자동차용 전장조명에는 표면이 굴절되거나 라운드진 곡면 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평판형 인쇄회로기판은 사용할 수 없고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적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자동차용 전장조명에 사용되는 기판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기판(FPCB)과, 개별적으로 절단 가공된 알루미늄판을 수작업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알루미늄판은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데, 종래에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열전도율이 낮아 방열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절연층으로 통상 폴리이미드필름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폴리이미드필름의 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방열성도 저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을 개별적으로 가공해야 할 뿐 아니라, 알루미늄판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알루미늄 방열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수작업으로 양면테입을 붙이기 때문에 방열성능의 심각한 저하를 가져오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545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301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부피 및 무게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알루미늄 방열판 대신 박막의 방열층을 이용하여 엘이디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 인쇄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은,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발열체가 설치되는 연성기판층; 및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연성기판층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기판층은, 구리막(Cu)으로 형성되는 구리층; 상기 구리층의 상측을 덮는 커버층; 및 폴리이미드(PI)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리층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기판층은, 상기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하여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층은, 알루미늄막(Al)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흑연질 탄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LED 램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차량에서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상기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이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 빛을 조사하는 다수 개의 엘이디를 구비하며, 상기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전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전단에 설치되는 분산판; 및 상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빛을 투과시키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은, 구리막(Cu)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의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박막 형태의 방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기판층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층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방열용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구리막(Cu)으로 형성되는 구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리층의 상측에 커버층을 덮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은, 상기 접합층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성기판층의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하여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은, 상기 접합층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성기판층의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부피 및 무게를 많이 차지하고 고가의 알루미늄 방열판 대신 박막의 방열층을 이용함으로써, 엘이디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 인쇄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도 방열층의 두께 및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절곡 등의 가공이 힘든 알루미늄 대신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박막 방열층을 사용함으로써, 적용되는 장치의 형태에 따라 변형 가공이 용이하여 보다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3은 기존 연성 회로기판(FPC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라만 현미경검사를 이용한 분광표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LED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적층 구조와 기존의 FPCB의 적층 구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기존의 FPCB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8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LED 램프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는 도 10의 기존의 FPCB가 설치된 LED 램프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은, 연성기판층(100) 및 방열층(200)을 포함한다.
연성기판층(100)은,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발열체(예를 들어, LED Chip 또는 기타 발열원 등)(도 2 참조)이 설치되고, 하측에 방열층(200)이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구리막(Cu) 및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진 연성기판층(100)은, 방열체인 히트 싱크(heat sink) 없이는 LED 등과 같은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적당한 방법이 없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인쇄 회로기판은,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두꺼운 알루미늄 방열체를 회로기판의 하측에 연결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본원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박막 형태의 방열층(200)을 연성기판층(100)의 하측에 부착시켜 발열체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성기판층(100)은, 구리층(110), 커버층(120) 및 폴리이미드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층(110)은, 구리막(Cu)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커버층(120)이 덮이고, 하측에 폴리이미드층(130)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커버층(120)은, 구리층(110)의 상측을 덮어 본원 발명의 상측 외피를 형성한다.
폴리이미드층(130)은, 폴리이미드(PI) 필름으로 형성되어 구리층(110)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연성기판층(100)은, 폴리이미드층(130)과 방열층(200)을 폴리이미드층(130)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층 사이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한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 또는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층을 더 포함하여 폴리이미드층(130)으로부터 방열층(200)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층(200)은,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연성기판층(100)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방열층(200)은, 구리막(Cu)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를 코팅하여 박막을 형성시키는 대신, 열전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제작된 박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방열층(200)은, 알루미늄층(210)과 흑연질 탄소층(220) 또는 바인더(Binder)를 이용한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층(210)은, 알루미늄막(Al)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흑연질 탄소층(220)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하나의 박막을 형성한다.
흑연질 탄소층(220)은, 알루미늄층(210)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를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알루미늄층(210)의 상측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하여 흑연 분말(Graphite powder)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알루미늄만으로 히트 싱크를 구성하는 기존의 방열체의 경우에는,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FPCB와 같이 방열을 위해 알루미늄층(Al)을 두껍게 형성하거나, 방열 면적을 넓히기 위해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별도의 날개(도 3의 (b)의 820)를 형성시켜야만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 기존의 FPCB에 관련된 설명은 도 9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방열층(200)은 높은 부착강도와 높은 열전도성을를 갖는 GCL(Graphitic Carbon Layer) 또는 GB(Graphite powder + Binder)를 형성한 저가의 방열 복합소재로서, 상술한 기존의 알루미늄 방열체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박막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가공성이 용이하고, 고 열전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층(200)은, 연성기판층(100)을 통해 전달되는 엘이디칩 또는 기타 발열원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값비싸고 두꺼우며 무거운 알루미늄 방열체를 대체함으로써, 인쇄 회로기판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작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여 엘이디칩 기타 발열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따른 방열층(200)은, 구리막(Cu)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를 코팅하여 박막을 형성시키는 대신, 열전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또는 흑연분말(GB: Graphite powder + Binder)를 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라만 현미경검사(Raman microscopy, 레이저 기반 현미경 장치를 이용한 분광법)를 이용한 분광표를 나타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graphitic carbon layer(G band)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은, 열압기(hot press)에 의하여 연성기판층(100)과 방열층(200)이 접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하고자 하는 발열체 등의 형태에 대응하여 절곡을 위한 강제 절곡 장치 등의 도움이 없이도 절곡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은,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무거운 고가의 알루미늄 방열판 대신 박막의 방열층(200)을 이용함으로써, 엘이디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기판층(100)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도 방열층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절곡 등의 가공이 힘든 알루미늄 대신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박막의 방열층(200)을 사용함으로써, 적용되는 장치의 형태에 따라 변형 가공이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제품, LCD/OLED module 방열 대책 또는 노트북, TV, 모니터 등의 중·대형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전조등, 혹은 주간주행등 이나 미등등 열이 발생하는 모든 제품에 FPCB 대신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은, 우선 구리막(Cu)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의 연성기판층(100)을 제조한다(S110).
상술한 단계 S110에서 제조된 연성기판층(100)은,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발열체(예를 들어, LED Chip 등)(도 2 참조)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단계 S130에 의하여 하측에 방열층(200)이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B : Graphite powder + Binder)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박막 형태의 방열층(200)을 제조한다(S120).
상술한 단계 S120에 의하여 제조된 방열층(200)은,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연성기판층(100)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층(200)은, 연성기판층(100)을 통해 전달되는 발열체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방열체를 대체함으로써, 인쇄 회로기판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작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여 발열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서 제조된 연성기판층(100)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120에서 제조된 방열층(200)을 접합시킨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은, 각각을 층들을 핫 프레스(hot press, 합판 등을 열판간에 끼우고, 압력과 열을 가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은, 부착하고자 하는 발열체 등의 형태에 대응하여 절곡을 위한 강제 절곡 장치 등의 도움이 없이도 절곡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무거운 고가의 알루미늄 방열판 대신 박막의 방열층(200)을 이용함으로써, 엘이디 등과 같은 발열원으로부터 연성기판층(100)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도 방열층의 두께 및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절곡 등의 가공이 힘든 알루미늄 대신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박막의 방열층(200)을 사용함으로써, 적용되는 장치의 형태에 따라 변형 가공이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제품, LCD/OLED module 방열 대책 또는 노트북, TV, 모니터 등의 중·대형 전자제품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전조등, 혹은 주간주행등 이나 미등등 열이 발생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우선 구리막(Cu)으로 형성되는 구리층(110)을 준비한다(S111).
상술한 단계 S111에 준비된 구리층(110)의 상측에 커버층(120)을 덮는다(S112).
이때, 구리층(110)의 상측에 커버층(120)은, 구리층(110)의 상측을 덮어 본원 발명의 상측 외피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2에서 구리층(110)의 상측에 커버층(120)을 덮으면, 구리층(110)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켜 연성기판층(100)을 완성한다(S113).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폴리이미드층(130)과 방열층(200)을 폴리이미드층(130)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층 사이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층 또는 바인더(Binder)를 이용한 흑연분말(GB : Graphite powder + Binder)층을 더 포함하여, 폴리이미드층(130)으로부터 접합층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각각을 층들을 핫 프레스(hot press, 합판 등을 열판간에 끼우고, 압력과 열을 가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LED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LED 램프(20)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 베이스 하우징(400), 엘이디 모듈(500), 분산판(600) 및 커버(700)를 포함한다.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은,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엘이디가 설치되고, 하측에 방열층(200)이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는 연성기판층(310)과,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연성기판층(100)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층(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의 각 층의 구성요소는 도 1의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 하우징(400)은, 차량에서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차량용 램프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며, 공간에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이 설치되고, 공간이 커버(700)에 의하여 덮인다.
즉, 베이스 하우징(400)은, 차량의 전조등(Head Lamp) 또는 후미등, 즉, DRL(Daytime Running Lamp) 또는 RCL(Rear Combination Lamp)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엘이디 모듈(500)은, 빛을 조사하는 다수 개의 엘이디를 구비하며,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때, 엘이디의 빛 조사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30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출됨으로써, 엘이디 모듈(500)이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 이상으로 가열되어 불량 등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산판(600)은, 눈부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엘이디 모듈(500)의 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분산판(600)은, 설계에 따라서는 빛을 모으기 위한 장치 또는 분산장치로 활용되며, 때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커버(700)는, 분산판(600)에 의해 분산된 빛을 투과시키며, 베이스 하우징(4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LED 램프(2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밝히기 위한 전조등(Head Lamp),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은 DRL(Daytime Running Lamp) 또는 RCL(Rear Combination Lamp)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적층 구조와 기존의 FPCB의 적층 구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존의 FPCB의 적층구조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이 25
Figure pat00001
, 접찹용 tape가 70
Figure pat00002
내지 150
Figure pat00003
이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열판(820)용 알루미늄층이 1,000
Figure pat00004
내지 1,500
Figure pat00005
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기존의 FPCB의 적층구조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10)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이 12.5
Figure pat00006
, 접찹용 adhesive가 9
Figure pat00007
이고, GCL+알루미늄 방열층이 50
Figure pat00008
내지 80
Figure pat00009
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층(Cover Layer), 접착층(Adhesive), 구리층(Cu)과 접착층(Adhesive)의 경우에는 기존의 FPCB와 동일하게 적층되나, 폴리이미드(PI) 필름 및 접찹층이 기존의 FPCB에 비하여 현저하게 얇아지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FPCB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방열반을 방열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 형식으로 형성시킴에 반하여, 본원 발명에 의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를 기존보다 1/20 수준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기존의 FPCB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FPCB(810)의 하측에 Al 방열판(820)을 접착 방식에 의하여 부착되고, FPCB(810)의 상측에 LED(830)가 설치된 것이며, 도 11은 계단형 구조의 플레이트(840)에 FPCB(810)가 장착된 도면이다.
여기서, FPCB(810)라 함은, Flexible PCB로서, 일반적으로 유연성있는 절연기판을 사용한 배선판을 의미한다.
도 15 내지 도 17는 도 10의 기존의 FPCB가 설치된 LED 램프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2 내지 도 14와는 달리 FPCB(810)의 하측에 Al 방열판(820)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300: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20: 차량용 LED 램프
100, 310: 연성기판층 110: 구리층
120: 커버층 130: 폴리이미드층
200, 320: 방열층 210; 알루미늄층
220; 흑연질 탄소층 400: 베이스 하우징
500: 엘이디 모듈 600: 분산판
700: 커버 810: FPCB
820: Al 방열판 830: LED
840: 플레이트

Claims (9)

  1. 구리막(Cu)의 하측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이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측에 발열체가 설치되는 연성기판층; 및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연성기판층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층은,
    구리막(Cu)으로 형성되는 구리층;
    상기 구리층의 상측을 덮는 커버층; 및
    폴리이미드(PI)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리층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층은,
    상기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하여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을 더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알루미늄막(Al)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층; 및
    상기 알루미늄층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흑연질 탄소층을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차량에서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상기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이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
    빛을 조사하는 다수 개의 엘이디를 구비하며, 상기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의 전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전단에 설치되는 분산판; 및
    상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빛을 투과시키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램프.
  6. 구리막(Cu)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켜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박막 형태의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
    알루미늄막(Al)의 상측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 및 흑연분말 바인더(GrapIhte poder Binder)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박막 형태의 방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기판층의 하측에 접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층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방열용 연성기판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구리막(Cu)으로 형성되는 구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리층의 상측에 커버층을 덮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의 하측에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성기판층의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바인더(Binder)를 이용하여 흑연 분말(Graphite powder)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성기판층의 폴리이미드층과 상기 방열층을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접합층 사이에 흑연질 탄소(Graphitic carbon)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제조 방법.

KR1020190002737A 2019-01-09 2019-01-09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KR10218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37A KR102189945B1 (ko) 2019-01-09 2019-01-09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PCT/KR2020/000307 WO2020145644A1 (ko) 2019-01-09 2020-01-08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US17/358,122 US11937364B2 (en) 2019-01-09 2021-06-25 Highly heat-dissip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GFPCB),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ED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37A KR102189945B1 (ko) 2019-01-09 2019-01-09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96A true KR20200086496A (ko) 2020-07-17
KR102189945B1 KR102189945B1 (ko) 2020-12-11

Family

ID=7152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737A KR102189945B1 (ko) 2019-01-09 2019-01-09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7364B2 (ko)
KR (1) KR102189945B1 (ko)
WO (1) WO2020145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4674A (zh) * 2020-11-11 2022-05-27 宸寰科技有限公司 散热导电软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945B1 (ko) 2019-01-09 2020-12-11 정성환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US20220130572A1 (en) * 2020-10-23 2022-04-28 Advanced Technology Applications Group, Inc. Composite conductive materials and methods
CN112974580B (zh) * 2021-05-11 2021-07-30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弯折电路板及其加工设备和方法
CN114714687B (zh) * 2022-03-30 2023-09-29 安徽碳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卤素残留的石墨散热膜的制备方法
CN115394940A (zh) * 2022-09-19 2022-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模组及车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789B2 (ja) * 2003-12-24 2010-03-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1435451B1 (ko) 2014-02-10 2014-08-28 성재복 메탈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013B1 (ko) 2014-06-11 2015-07-02 세종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542945B1 (ko) * 2014-10-17 2015-09-25 유트로닉스주식회사 띠 형상의 자동차 램프용 엘이디 어레이의 제조방법
KR101796206B1 (ko) * 2017-06-12 2017-11-10 주식회사 씨엠에스 그라파이트 점착제층 방열패드
KR101805556B1 (ko) * 2014-10-28 2017-12-07 성재덕 차량용 광모듈 조립체
KR20180127148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7463B2 (ja) * 2007-08-24 2015-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部品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US20100158612A1 (en) * 2008-12-23 2010-06-24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 for remediating nitro and/or halogenated compound-contaminated soil, sediment or water using graphitic carbon as a catalytic sorbent
KR20120064384A (ko) * 2010-12-09 2012-06-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적층체
DE102015116807A1 (de) * 2015-10-02 2017-04-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Funktionalisierte Schnittstellenstruktur
DE102016103585B4 (de) * 2016-02-29 2022-01-13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ackage mit lötbarem elektrischen Kontakt
KR101921656B1 (ko) * 2017-02-23 2019-02-20 (주)알킨스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바텀 샤시용 방열 시트
KR102189945B1 (ko) 2019-01-09 2020-12-11 정성환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US11973178B2 (en) * 2019-06-26 2024-04-30 Ionblox, Inc. Lithium ion cells with high performance electrolyte and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achieving very long cycle life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789B2 (ja) * 2003-12-24 2010-03-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1435451B1 (ko) 2014-02-10 2014-08-28 성재복 메탈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013B1 (ko) 2014-06-11 2015-07-02 세종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542945B1 (ko) * 2014-10-17 2015-09-25 유트로닉스주식회사 띠 형상의 자동차 램프용 엘이디 어레이의 제조방법
KR101805556B1 (ko) * 2014-10-28 2017-12-07 성재덕 차량용 광모듈 조립체
KR20180127148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206B1 (ko) * 2017-06-12 2017-11-10 주식회사 씨엠에스 그라파이트 점착제층 방열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4674A (zh) * 2020-11-11 2022-05-27 宸寰科技有限公司 散热导电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7364B2 (en) 2024-03-19
US20210321509A1 (en) 2021-10-14
KR102189945B1 (ko) 2020-12-11
WO2020145644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945B1 (ko) 고방열 연성회로기판(gfpcb) 및 이의 제조 방법, 차량용 led 램프
JP5683799B2 (ja) 自動車用led用ヒートシンク
JP5128099B2 (ja) 熱異方性を有する材料を使用した自動車用の照明または信号伝達装置
CN103968313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散热装置和照明装置
US20070291503A1 (en) Light-Emitting Diode Arrangement for a High-Power Ligth-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Producing a Light-Emitting Diode Arrangement
KR20010114260A (ko) 발광 다이오드 장치
WO1986002985A1 (en) Signal light unit having heat dissipating function
JP2012503306A (ja) 発光装置
JP2014067728A (ja) 自動車用ledランプ
JP4969332B2 (ja) 基板及び照明装置
US7875900B2 (en) Thermally conductive structure of 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312204B1 (en) A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in particular motor vehicles, that uses leds
TW200901867A (en) Radiating member, circuit board using the member, electronic part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odule
CN109027958A (zh) 一种用于矩阵式led车灯的散热装置
US20180340682A1 (en) Lighting device modules
JP2012048969A (ja) Led照明ユニット
US9933121B2 (en) Method of making LED light bulb with graphene filament
WO2011158697A1 (ja) フレキシブル基板モジュール
KR101433925B1 (ko) 엘이디 조명용 방열체
US20080304270A1 (en) Light emitting diode heat dissipation module
GB2530307A (en) LED lighting assembly
CN108626693A (zh) 在印刷电路板上具有散热装置的照明模块及其生产方法
CN103765096B (zh) 照明灯
KR102424746B1 (ko) Fpcb를 이용한 차량용 광원장치
CN210831801U (zh) 一种车灯调光模组及其支撑散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