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81A -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481A
KR20200086481A KR1020190002700A KR20190002700A KR20200086481A KR 20200086481 A KR20200086481 A KR 20200086481A KR 1020190002700 A KR1020190002700 A KR 1020190002700A KR 20190002700 A KR20190002700 A KR 20190002700A KR 20200086481 A KR20200086481 A KR 2020008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height
temporary
materials
sh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창
Original Assignee
(주)온세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세미디어 filed Critical (주)온세미디어
Priority to KR102019000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481A/ko
Publication of KR2020008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6Revolving stages; Stages able to be l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무대를 설치하기 위해 바닥 수평을 잡기위한 가설물과 지면이 원만 하지 않고 불균형에 따른 안전성을 해결하고
기존 무대가설자재는 "H" 형태로 부착되어 높이차가 있음에 따라 어느 한곳에 많은 힘이 발생되면 그곳이 힘의 균형이 무너져 무대의 꺼짐현상이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각각 높이차가 나더라도 개별적 구조로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무대에서 발생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무대 가설재는 무대를 지탱하는 가설재와 가설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위해 가세(X자형)를 사용하여 클립에 고정시켜 이격과 흔들림은 억제시키지만 이격과 가세자체가 강도가 두께가 얇아 많은 흔들림과 이격이 발생되어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는 가설재 기둥과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수평 연결받침대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격이 발생되지 아니하고도 해결한다. 또한 무대의 높낮이를 상부와 하부 그리고 중간부분에서 높낮이를 쉽게 할 수 있게 하고, 낮은무대를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가설재가 필요없이 상부수평연결받침와 무대받침핀만으로도 낮게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무대를 높이를 높일 경우에는 연결높이장치를 연결하여 무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Multi-purpose height-adjustable stage unit}
0001) 본 발명은 기 시설 되지 않은 공연 장소나 야외무대 즉 무대를 사용해야하는 많은 행사(방송, 축제, 콘서트등)에 사용되는 무대시스템으로써 무대높이를 자유롭고 설치를 신속하게 하고 무대의 흔들림이 없는 안정성이 높게 제작되는 다용도 높이 조절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현대 문화발전에 따라 다양한 무대시스템이 요구되나 현재 시스템의 일부인 이동식 무대는 다양성의 부족으로 많은 장비가 투입되고 있다
0003) 이동식 무대의 종류로는 목재, 철재, 알루미늄, 트러스, 유리 등이 있지만 무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무대는 전무 하며 그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0004) 기존 이동식 무대는 하중 계산이 일정치 않아 일정 수준을 넘는 인원이나 구조물이 무대 위에 올라가면 무대 바닥의 변형으로 인한 무대붕괴 사고가 빈번히 발생 되고 있다.
0005) 기존 이동식 무대는 최저 30cm ~ 최고 2m 사이의 높이 중 특정 높이를 선택하여 무대 바닥을 설치한다. 설치한 높이 외에는 높이조절이 쉽게 되지 않아 많은 자재와 더불어 추가 인원이 투입되고 높게 올라갈수록 안정성이 부족하여 뒤틀림 현상과 흔들림 현상이 빈번히 발생 되고 있다.
0006) 기존 이동식 무대는 예전 건축구조물에 기초하여 단순하며 비효율적이어서 다기능에 좀 더 체계화된 무대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식 무대의 높이조절이 자유롭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많은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절대를 연결하여 높이조절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는 하부 수평 장치, 하부 수평 연결 받침대, 연결 높이 장치, 고정핀, 상부 수평 연결 받침대, 상부 높이 조절핀, 수평 고정걸쇠로 특징지을 수 있다.
0009) 상기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는 이동조립이 가능하게 제작되어야 바람직하다.
0010) 상기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의 하부 수평 장치는 아연환봉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을 10cm ~ 40cm까
지를 안정성 있게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나사선을 제작하여야 바람직하다.
0011) 상기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의 하부 수평 연결 받침대는 아연강관 또는 알루미늄강관 등을 소재로 하며 지름 Φ40mm를 사용하여야 하고 Φ15mm의 지름으로 타공되어 연결장치와 결합 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하부 수평 연결 밭침대와 수평 고정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소켓을 제작하여야 바람직하다.
0012) 상기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는 아연강관 또는 알류미늄강관으로 Φ50mm를 사용하여 30cm ~ 90cm
까지 길이를 조정하며 하부 수평 연결 받침대와 상부 수평 연결 받침대와 연결할 수 있도록 5cm간격으로
Φ15mm식 타공되어야 하며 연결 높이 장치끼리 연결할 수 있도록 볼트 선과 너트 선이 외부와 내부에 나사선으로 제작하여야 바람직하다.
0013) 상기 다기능 높이조절 무대장치의 상부 수평 연결 받침대와 하부 수평 연결 받침대를 연결 높이 장치에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핀Φ13mm 환봉핀을 제작하고 고정핀끝은 클립으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Φ2mm 타공되도록 제작되어야 바람직하다.
0014) 상기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는 상부높이연결핀은 무대판을 고정시킬수 있도록 걸쇠를 4면에 용접이 되어야하며, 무대판 수평을 잡을수 있도록 수평나사선을 두어 자유롭게 30cm이내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바람직하다.
0015) 상술한 바와 같이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에 따르면, 무대 높이를 최저높이 30cm 최고1,800cm까지 자유롭게 연결 설치가능하며 설치 지면이 높낮이의 격차가 클 경우에도 쉽게 무대수평을 잡을 수 있으며 오차범위 약1mm까지 수평을 잡을 수 있으며,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를 무대에 극하지 않고 이동식 편상이나 데크, 산책로 등 가설이 필요한곳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0016)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각 부품별 조립하는 수직재, 핀, 수평고정대를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각 기능별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이동식 무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위한 수평고정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무대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무대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0017)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0018)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각 기능별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이동식 무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고정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의 무대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무대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0019)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는 상부 무대판 높이를 맞추기 위한 상부높이조절핀(10), 무대흔들림과 엇갈림을 방지하기 위해 핀을 넣는 상부수평 연결 받침대(20), 상부핀 높이를5cm간격으로 올릴수 있는 Φ15mm 핀고정구(30), 높은 무대를 설치하기 위해 중앙 연결부를 결합하여 높이를 올릴 수 있는 연결높이 장치(40), 연결높이 장치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높이 볼트(40-1).연결높이 장치를쉽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높이 볼트(40-2). 무대흔들림과 엇갈림을 방지하기 위해 핀을 넣는 하부수평 고정장치(50), 하부수평을1mm 단위로 높이 조절할수 있는 하부 수평장치(60), 연결높이장치(40)와 상부 수평 연결 받침대(20)와 하부 수평 고정 장치(50)를 고정시킬수 있는 연결핀(70), 연결핀(7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있는 고정클립(70-1),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끼리 4면, 또는 3면을 세우고 고정시킬 수 있는 88cm 수평고정대(80),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끼리 4면, 또는 3면을 세우고 고정시킬 수 있는 1,817cm 수평고정대 수평고정대(90), 무대상판을 4면 또는 3면을 이탈방지와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대받침핀(100)으로 고정된다.
0020)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에 따르면, 기존무대 설치 시 지면의 높이차가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 기존무대는 많은 자재가 사용되고 높낮이가 불균형에 따른 안정성이 떨어지고 높이를 높이기 위해 가설재용 핀을 사용함에 따라 무대를 받칠 경우 이격이 많아 휨과 부러짐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를 사용할시 많은 자재를 사용 하지 않아도 높이를 안전성 있게 높일 수 있으며, 최저 높이부터 최고높이까지 자체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면의 불균형에 따라 개체가 분리 조립하게 되어 있어서 무대의 압력을 지면에 분산 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무대 설치면에 있어서 최고의 무대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대구조물에 국한되지 않고 야외데크나 평상, 산책로등 가설에 필요한 곳에 쉽고 용접을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0021)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상부높이 조절핀
20 : 상부 수평 연결 연결 받침대
30 : 핀고정구
40 : 연결높이 장치
40-1 : 연결 높이 볼트
40-2 : 연결 높이 너트
50 : 하부 수평 고정장치
60 : 하부 수평장치
70 : 연결핀
70-1 : 고정클립
80 : 88cm수평고정대
90 : 1,817cm 수평고정대
100 : 무대받침핀

Claims (1)

  1. 높이를 자유롭게 줄이고 높일 수 있는 연결높이장치
    무대수평을 쉽게 잡고 흔들림과 이격을 잡을 수 있는 상하부 수평고정장치
    상부 무대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부높이 조절핀
KR1020190002700A 2019-01-09 2019-01-09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KR20200086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00A KR20200086481A (ko) 2019-01-09 2019-01-09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00A KR20200086481A (ko) 2019-01-09 2019-01-09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81A true KR20200086481A (ko) 2020-07-17

Family

ID=7183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700A KR20200086481A (ko) 2019-01-09 2019-01-09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5727A (zh) * 2023-09-26 2023-11-07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5727A (zh) * 2023-09-26 2023-11-07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CN117005727B (zh) * 2023-09-26 2024-01-26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374C (en) Restraint system for elevated surface tiles
US6810995B2 (en) Portable stairs with adjustable landing platform height
CA2843068C (en) Field paver connector and restraining system
US8387317B2 (en) Systems and support assemblies for restraining elevated deck components
US8695288B2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KR101482082B1 (ko)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KR101217358B1 (ko) 마루 받침장치
US8640827B2 (en) Adjustable scaffold base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US20070006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20200086481A (ko) 다기능 높이 조절 무대장치
KR20090089514A (ko) 전도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다리
JP2016211177A (ja) 吊り天井補強構造
KR101625028B1 (ko) 다용도 원터치 안전 난간대
KR101554438B1 (ko) 시스템 안전 계단
KR200348706Y1 (ko) 마루판의 신축성 받침다리
KR100880250B1 (ko)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KR101403478B1 (ko) 높낮이 조절식 난간용 화분 받침대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101400768B1 (ko) 방진지지구조체
JP6201089B1 (ja) 建物の傾きも調整できる免震構造
KR101413443B1 (ko) 마루 방진 레벨 시스템
KR101975475B1 (ko)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KR101470988B1 (ko) 물탱크 안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