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532A -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 Google Patents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532A
KR20200085532A KR1020190001768A KR20190001768A KR20200085532A KR 20200085532 A KR20200085532 A KR 20200085532A KR 1020190001768 A KR1020190001768 A KR 1020190001768A KR 20190001768 A KR20190001768 A KR 20190001768A KR 20200085532 A KR20200085532 A KR 2020008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ed ultrasound
guide
holder
housing
foc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155B1 (ko
Inventor
김태균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주) 레지에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지에나 filed Critical (주) 레지에나
Priority to KR102019000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2007/025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erstit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이송될 때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부품의 교체 없이 초음파의 초점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APPARATUS FOR TREATMENT OF FOCUSED ULTRASOUND AND FOCUS-VARIABLE HEAD PROVIDED THERIN}
본 발명은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등을 위한 시술이 가능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속 초음파 치료(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란 고강도의 초음파 에너지를 한 곳에 모을 때 초점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조직을 태워 없애는 시술로,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을 유도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피부 시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름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한 피부 시술에 있어, 집속 초음파 치료는 시술을 받는 피시술자의 표피(epidermis) 내부에 진피(dermis) 및 근저막층(subcutaneous tissue)에 초점을 형성하여 피부를 자극하고 재생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 시술은, 피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초점의 깊이를 예를 들면, 1.5 mm, 3.0 mm, 4.5 mm 등으로 가변시켜 시술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부 시술은 정교한 깊이 조절이나 고전압 제어 등의 문제로 소형화가 어려워 전문 인력 및 의료용 전문 장비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초점의 깊이를 가변하기 위하여 기기로부터 프로브가 탈착 및 교체하는 방식으로 시술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최근 가정용 피부 미용 기기에 대한 관심과 시장 수요의 증대를 고려하여, 부품 또는 모듈을 직접 교체하지 않고도 초점의 깊이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가변됨으로써 자가 시술이 가능한 설계를 구현할 여지가 있다.
KR 10-1335476 B1 (2013.11.26.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초음파가 집속되는 초점의 위치가, 피부의 깊이 방향 및 그와 교차하는 피부의 표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초음파 발생부의 두 방향으로의 이동이 서로 별개의 제어 및 구동 수단 없이도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에 의해, 피부의 표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피부의 깊이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이송될 때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각각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이송 레인; 및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의 단부에서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변환 레인을 구비한다.
상기 변환 레인은, 상기 제3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제약하도록 형성되는 단차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3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변화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기어 조립체;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의 동력으로 변환하는 제2 기어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어 조립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헬리컬 핀; 및 상기 헬리컬 핀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헬리컬 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브라켓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초점 가변 헤드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집속 초음파 발생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기를 수용하는 커버; 및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홀더가 이송될 때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가이드부에 의해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피부의 깊이 방향인 제1 방향 및 피부의 표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내측으로 초점의 깊이가 가변될 수 있어 피부 시술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이송기구부와 가이드부는 제2 방향으로의 동력에 의해 초점의 깊이를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동력 및 제어 수단이 별도로 추가되지 않을 수 있어, 가정용으로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며, 모듈 교체 없이 초점 깊이의 변화가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는 하나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제2 방향의 수평 이동과 제1 방향의 깊이 변환이 모두 구동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치 구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헤드부 및 이송기구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더가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자세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브라켓을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중간에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외관 및 기능에 따른 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하우징(100), 모터부(200),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 및 이송기구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전원부(500), 제어부(600) 및 충전 크래들(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외관을 형성하며, 크게 본체부(110) 및 헤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이송기구부(400)의 일부와 모터부(200)가 장착되며, 전원부(500) 및 제어부(6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헤드부(120)에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와 이송기구부(4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헤드부(120)에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의 방열과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위한 매질로서 액체, 예를 들면 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매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부(200)는 이송기구부(400)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터부(200)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10) 내부에 고정되고 이송기구부(40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는 기설정된 초점을 향하여 집속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는 전기 에너지를 초음파 에너지로 전환하는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HIFU transducer)로 기능할 수 있다.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는 하우징(100)의 헤드부(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설정된 초점은 본체부(110)로부터 제1 방향에 헤드부(120)가 위치할 때, 헤드부(120)로부터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피시술자 피부의 깊이 방향(도 2에서 상하 방향)이 될 수 있다. 기설정된 초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이송기구부(400)의 동작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피시술자의 표피나 진피 영역인 피부로부터 1.5 mm 또는 3.0 mm 깊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기구부(400)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헤드부(120)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초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기구부(400)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지지하고, 모터부(200)의 동력을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면, 피시술자 피부의 표면 방향, 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수평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송기구부(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전원부(500)는 하우징(100)의 본체부(110)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 크래들(700)은 하우징(100)을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결합 시 전원부(500)를 충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제어부(600)를 구성하는 제어 노브(610)를 조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를 온/오프하거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노브(610)에는 LED 등의 조명부가 형성되어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헤드부(120) 및 이송기구부(400)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더(410)가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가 이송될 때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기구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은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2 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힘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보인 것과 같이, 가이드부(130)는 이송기구부(400)의 동력에 의해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방향으로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가 이동됨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초점의 깊이가 가변될 수 있어, 모듈의 교체 없이도 피시술자의 피부를 복수의 깊이의 지점에서 자극하는 시술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시술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 및 홀더(4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부(130)를 자세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13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브라켓(432)을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 방향으로의 동력에 의해 제1 방향의 깊이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8을 참조하면, 이송기구부(400)는 홀더(410)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410)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홀더(410)는 수용 부분(411) 및 가이드 돌기(41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 부분(411)에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1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각각 교차하는 제3 방향(도 2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과 제3 방향은 피부의 표면 방향이 될 수 있고,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과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 돌기(412)는 가이드부(130)에 수용되어, 홀더(410)의 이동이 가이드부(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는 하우징(100) 중 헤드부(120)에 형성될 수 있고, 도 3 및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부(120)의 밀폐를 구현하기 위한 커버(12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홀더(410)를 개재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커버(121)의 내면 양 측에 형성될 수 있고, 즉, 두 가이드부(130)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30)는 복수의 이송 레인(131)과, 변환 레인(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레인(131)과 변환 레인(132)은 홀더(410)의 가이드 돌기(412)가 수용되도록 제3 방향(w)으로 리세스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레인(131)은 앞서 설명한 이송기구부(400)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의 방향인 제2 방향(l)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레인(131) 각각은 서로 제1 방향(d)으로 다른 이송 레인(131)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이송 레인(131)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에서 구현되는 초점의 깊이가 변환되는 거리일 수 있다. 홀더(410)의 가이드 돌기(412)가 이송 레인(131)에 수용되어 제2 방향(l)으로 이동되는 동안,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초점은 제2 방향(l)으로 이동되면서 피부를 자극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변환 레인(132)은 초점의 깊이 변환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이송 레인(131)의 단부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이송 레인(131)을 연결하기 위하여, 변환 레인(132)은 제1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돌기(41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도 6 및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변환 레인(132)은 제1 방향(d)으로부터 제2 방향(l)으로 기설정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도 6에 보인 것과 같이, 이송 레인(131)과 변환 레인(132)에 의해 형성되는 홈은 대략 평행사변형의 하나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에는 형상은 동일하고 제1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평행사변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 6에서는 3개). 나아가, 도 5에 보인 것과 같이 홀더(410)의 일 측면에도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412)가 형성되어, 각각의 가이드 돌기(412)가 각각의 평행사변형 경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412) 및 가이드부(130)에 의해, 홀더(410) 및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는 각도가 틀어지거나 가이드부(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변환 레인(132)은 단차 부분(133)을 구비하고, 이송 레인(131)은 경사 부분(134)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부(130) 내에서 가이드 돌기(412)의 이동에 방향성이 부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 부분(133)은 제3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화되어 가이드 돌기(412)의 이동을 제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단차 부분(133)은 도 6의 좌측에 위치된 변환 레인(132)에 형성되는 단차 부분(133)을 도시한 것으로, 좌측의 변환 레인(132)에서 가이드 돌기(412)는 도 6을 기준으로 상측의 이송 레인(131)에서 하측의 이송 레인(131)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제1 방향(d)의 양 방향 중 일 방향(음의 방향)으로만 이동). 즉, 변환 레인(132)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가이드 돌기(412)는, 단차 부분(133)에 의해 다시 하측의 이송 레인(131)에서 상측의 이송 레인(131)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송 레인(131)을 따라 좌우 방향(제2 방향(l))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의 우측에 위치된 변환 레인(132)에도 단차 부분(1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우측의 변환 레인(132)에서는 단차 부분(133)에 의해, 가이드 돌기(412)가 하측에서 상측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제1 방향(d)의 양 방향 중 일 방향(양의 방향)으로만 이동), 상측에 위치된 가이드 돌기(412)는 이송 레인(131)을 따라 좌우 방향(제2 방향(l))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이송 레인(131)과 변환 레인(132)이 서로 연장되는 구성에서, 단차 부분(133)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이송 레인(131)은 경사 부분(1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레인(131) 중 경사 부분(134)은 제2 방향(l)으로 연장되면서 제3 방향(w)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좌측에 위치된 경사 부분(134)에서는 좌측으로 이동될수록 리세스되는 깊이가 얕아지고(도 7 참조), 도 6의 우측에 위치된 경사 부분(134)에서는 우측으로 이동될수록 리세스되는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부분(134)에 의해 확보되는 제3 방향(w)으로의 깊이 차이는 단차 부분(133)의 단차 높이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단차 부분(133) 및 경사 부분(134)의 구성에 의해, 가이드 돌기(412)를 구비하는 홀더(410)는 제1 방향으로 위치 변환이 신뢰성있게 구현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6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에서 상대적으로 먼 하측의 이송 레인(131)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가까운 상측의 이송 레인(131)으로의 이송은 우측의 변환 레인(132)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고, 우측의 변환 레인(132)에서 역방향으로는 이송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피시술자의 피부 깊은 곳으로 초점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일 측 단부(우측 단부)로 홀더(410)를 이송하고, 피시술자의 피부 얕은 곳으로 초점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다른 측 단부(좌측 단부)로 홀더(410)를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제2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방향으로의 깊이 변환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단차 부분(133)의 충격을 흡수하고 경사 부분(134)에서의 위치 변화에 의해 홀더(410)가 제3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홀더(410)는 탄성 연결 부분(4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연결 부분(413)은 홀더(410)에 대해 가이드 돌기(412)를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연결 부분(413)에 의해 가이드 돌기(412)가 제3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어, 홀더(410) 전체가 제3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이동되어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에 의한 초점이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초음파 에너지의 초점을 형성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가 제1 방향으로 깊이 변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깊이 변환이 별개의 동력 수단이나 제어 수단이 부가되지 않고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듈의 탈착에 의한 교체 없이 초점의 깊이 변화가 구현됨은 물론, 장치 소형화 및 경제성 향상에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이송기구부(400)에서 동력 변환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이송기구부(400)는, 모터부(200)의 회전력을 제2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의 동력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제1 기어 조립체(420) 및 제2 기어 조립체(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어 조립체(420)는 회전 운동의 축의 위치를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모터부(200)의 회전력을 제2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기어 조립체(420)는 서로 수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 조립체(43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헬리컬 핀(431) 및 브라켓(432)을 포함할 수 있다. 헬리컬 핀(431)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432)은 헬리컬 핀(43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헬리컬 핀(431)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브라켓(432)이 헬리컬 핀(431)의 회전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하여, 브라켓(432)은 이송 홀(432a) 및 돌출 부분(432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 홀(432a)은 제2 방향으로 브라켓(43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헬리컬 핀(431)을 수용하고, 돌출 부분(432b)은 이송 홀(432a)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432b)은 헬리컬 핀(431)의 나선 홈에 삽입되어, 나선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헬리컬 핀(431)이 회전됨에 따라 나선 홈이 돌출 부분(432b)에 제2 방향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브라켓(432)의 직선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헬리컬 핀(431)과 브라켓(432)의 직선 운동을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이송기구부(400)는 가이드 핀(440)을 더 구비하고, 브라켓(432)은 가이드 홀(432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 핀(440)은 제2 방향으로 헬리컬 핀(431)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헬리컬 핀(431)을 사이에 두고 제3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홀(432d)은 브라켓(432)을 제2 방향으로 관통하고, 가이드 핀(440)이 수용되어 제2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드 핀(440)과 가이드 홀(432d)에 의해, 브라켓(432)이 회전되지 않고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432)과 홀더(410)는 제1 방향으로는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홀더(4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414)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432)에는 결합 돌기(414)를 수용하는 삽입공(432c)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414)가 삽입공(432c)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410)는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홀더(410) 및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가 제2 기어 조립체(43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초점의 깊이 변환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부(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121)에는 전극(125)이 결합될 수 있다. 전극(125)은 커버(121) 내부의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동작하는 고전압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는 압전소자의 진동 및 공진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극(125)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전원부(500)로부터 제어부(600)를 통하여 조절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제2 방향으로 홀더(410)를 구동하고 그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방향으로의 깊이 변화를 구현 및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동력원의 간소화 및 장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자가 시술을 하는 경우에, 초점의 위치 변환이 가능하여 시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초점의 위치 이동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는, 하우징(100), 모터부(200),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 및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이송 유닛은 모터부(200)의 회전력을 전달 받도록 구성되고,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나아가,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송 유닛은 이송기구부(400)와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기구부(400)는 회전력을 제2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의 동력으로 전환시키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130)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제1 방향의 복수의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초점 가변 헤드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300)를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것이며,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의 초점 가변 헤드는, 커버(121)와 이송기구부(400)를 포함한다. 이송기구부(400)는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홀더(410)를 구비하고, 또한, 회전력을 전달 받아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홀더(410)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커버(121)의 내부에는, 홀더(410)가 이송될 때 홀더(410)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00: 하우징
110: 본체부
120: 헤드부
121: 커버
125: 전극
130: 가이드부
131: 이송 레인
132: 변환 레인
133: 단차 부분
134: 경사 부분
200: 모터부
300: 집속 초음파 발생부
400: 이송부
410: 홀더
411: 수용 부분
412: 가이드 돌기
413: 탄성 연결 부분
414: 결합 돌기
420: 제1 기어 조립체
430: 제2 기어 조립체
431: 헬리컬 핀
432: 브라켓
432a: 이송 홀
432b: 돌출 부분
432c: 삽입공
432d: 가이드 홀
440: 가이드 핀
500: 전원부
600: 제어부
610: 제어 노브
700: 충전 크래들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이송될 때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각각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이송 레인; 및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의 단부에서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변환 레인을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레인은, 상기 제3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제약하도록 형성되는 단차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송 레인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3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깊이가 변화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 부분을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기어 조립체;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의 동력으로 변환하는 제2 기어 조립체를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어 조립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헬리컬 핀; 및
    상기 헬리컬 핀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헬리컬 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브라켓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속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12.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초점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집속 초음파 발생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의 초점 가변 헤드로서,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기를 수용하는 커버; 및
    상기 집속 초음파 발생기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이송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홀더가 이송될 때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 헤드.
KR1020190001768A 2019-01-07 2019-01-07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KR10221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68A KR102210155B1 (ko) 2019-01-07 2019-01-07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68A KR102210155B1 (ko) 2019-01-07 2019-01-07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32A true KR20200085532A (ko) 2020-07-15
KR102210155B1 KR102210155B1 (ko) 2021-02-02

Family

ID=7160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68A KR102210155B1 (ko) 2019-01-07 2019-01-07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83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프루브 및 초음파 소자 유닛 구동 장치
KR101335476B1 (ko) 2013-02-25 2013-12-11 주식회사 코러스트 선집속 초음파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KR20150115432A (ko) * 2014-04-04 2015-10-14 이성근 전후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83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프루브 및 초음파 소자 유닛 구동 장치
KR101335476B1 (ko) 2013-02-25 2013-12-11 주식회사 코러스트 선집속 초음파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KR20150115432A (ko) * 2014-04-04 2015-10-14 이성근 전후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155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1705B2 (en) HIFU skin care device and cartridge
JP7254375B2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および肥満治療方法
EP2208491A2 (en) Treatment device
KR101824465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688424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637519B1 (ko)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KR20170095550A (ko) 다기능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방출 카트리지 및 핸드피스
CN109620106B (zh) 一种内窥镜光源组件及内窥镜
KR20200085532A (ko)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초점 가변 헤드
KR102155114B1 (ko)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KR102056014B1 (ko)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KR200491707Y1 (ko) 휴대용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
JP2022516704A (ja) 回転伸縮式シグナル同期美容機
KR102117636B1 (ko) 초음파 치료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US20220072337A1 (en) 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ultrasonic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84524B1 (ko) 피부 미용 시술 장치
KR102370845B1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KR102262266B1 (ko)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이송 메커니즘 장치
KR200491708Y1 (ko) 휴대용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
KR101750015B1 (ko) 초음파 장치
KR102650089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리프팅 미용기기
JP7495761B2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
KR102626556B1 (ko) 시술깊이를 조절하는 하이푸 핸드피스
KR102223097B1 (ko) 갈바닉 3d 모션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620962B1 (ko)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