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519B1 -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519B1
KR101637519B1 KR1020140166712A KR20140166712A KR101637519B1 KR 101637519 B1 KR101637519 B1 KR 101637519B1 KR 1020140166712 A KR1020140166712 A KR 1020140166712A KR 20140166712 A KR20140166712 A KR 20140166712A KR 101637519 B1 KR101637519 B1 KR 10163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ultrasonic
knob
main bod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119A (ko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맥스
Priority to KR102014016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5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동방식으로 초점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러(10)와; 상기 핸들러(10)에 착탈가늘하게 결합되며 핸들러(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카트리지(20); 및 상기 카트리지(20)의 초음파진동자(22)를 동작제어하는 동작스위치(3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핸들러와 카트리지는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소모성의 카트리지를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용하며, 수동방식으로 초음파진동자의 초점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상당히 편리하다.

Description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An ultrasound handpiece}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동방식으로 초점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피하지방은 셀룰라이트(cellulite)로 둘러싸인 과립층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피하지방은 운동을 통해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는데, 이는 체내의 지방분해효소가 셀룰라이트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서는 침, 바늘로 일컬어지는 카데타를 삽입하여 물리적으로 지방세포를 흡입하는 시술이 성행하였는데, 이러한 시술법은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수반하기 때문에 대개 전신마취를 수반하고 있다. 그러나 전신마취는 피시술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으며, 카데타가 삽입되는 경우 내부 출혈 및 그에 따른 조직의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한편, 최근에는 피부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강한 초음파를 인가하는 장치(이하, 초음파 장치)를 통해 피하지방을 열화시키거나 분쇄시키는 시술이 행해지고 있다.
참고로, 초음파라 함은 인간이 들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동하는 음으로서, 공학적으로는 초당 수십 ∼ 수백만번까지 진동하는 음을 말하는 것이며, 본질적으로는 가청범위의 음파와 성질이 같으나 파장이 짧기 때문에 상당히 강한 진동이 생기고 물질을 흔드는 힘이 강한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초음파는 소리의 성질 외에 전파나 빛의 성질을 같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초음파 장치에서 실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은‘탐촉자’로 지칭되는데, 이 탐촉자는 복수의 압전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은 반구형 또는 과녁형을 취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초음파 장치는 초음파진동자의 한계수명에 따라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초음파진동자가 핸드피스의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286호(지방조직의 치료방법 및 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3614호(비만치료용 핸드피스 및 비만치료장치)가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각각 초음파진동자의 초점을 이용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기술과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마사지하는 것에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밖의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347호(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용 3차원이송식 핸드피스)가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3차원이송기구를 이용하여 촛점거리가 상이한 고강도집속초음파변환기가 내장된 다른 교체형팁을 교체장착하지 않더라도 초음파가 집속될 피하깊이가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347호의 기술에 경우 3차원이송기구는 적어도 3개의 전동모터와, 이송을 위한 수단(리드스크류, 랙과 피니언) 등으로 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상당히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조 및 수리와 교체가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수동방식으로 초점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내면에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카트리지본체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의 매질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내설되어 피부 비접촉방식으로 피하지방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피하지방을 열화시켜 분해하는 초음파진동자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갖추고서,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돌려 고정된 초음파진동자를 승·하강시키는 진동자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본체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덮어 폐쇄하는 실링패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승강유닛은,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캠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가이드홈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갖추고서, 캠의 장공에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되는 진동자고정구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캠의 축공과 결합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고정되어 축핀을 매개로 캠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음파 핸드피스는,
내면에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단부 외면에 탄성편이 형성된 카트리지본체,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의 매질,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내설되어 피부 비접촉방식으로 피하지방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피하지방을 열화시켜 분해하는 초음파진동자,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갖추고서,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돌려 고정된 초음파진동자를 승·하강시키는 진동자승강유닛으로 구성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탄성편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 및 걸림턱이 구비된 핸들러본체, 상기 핸들러본체에 설치되어 탄성편을 가압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푸셔, 상기 핸들러본체에 설치되어 동작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푸셔로 구성된 핸들러와;
상기 핸들러본체에 수용되며 제2푸셔에 의해 동작되어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제어하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러본체에는 동작스위치에 의해 점등되는 동작확인부가 더 보강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본체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하며 외면에 탄성편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덮어 폐쇄하는 실링패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승강유닛은,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캠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가이드홈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갖추고서, 캠의 장공에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되는 진동자고정구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캠의 축공과 결합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고정되어 축핀을 매개로 캠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핸들러와 카트리지는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소모성의 카트리지를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진동자승강유닛을 매개로 초음파진동자의 초점에 높낮이(위치)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피부 속의 피하지방의 위치가 각기 다르더라도 초음파진동자를 교체하지 않고도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해져 시술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의 카트리지에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에서 핸들러와 카트리지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에서 진동자승강유닛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가급적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를 설명하면서 카트리지를 함께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의 카트리지에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에서 핸들러와 카트리지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핸드피스에서 진동자승강유닛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초음파 핸드피스는, 핸들러(10)와 카트리지(20) 및 동작스위치(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러(10)와 카트리지(20)는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소모성의 카트리지(2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핸들러(10)는 핸들러본체(11)와 제1푸셔(12) 및 제2푸셔(13)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카트리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카트리지(2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핸들러본체(11)는 대략 다리미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데, 특히 손잡이(H)는 일측으로 만곡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손잡이(H)의 말단에는 메인본체(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러본체(11)의 내부와 카트리지(20)의 커버(21b) 상면에는 각각 단자가 구비되며 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핸들러본체(11)의 내부에는 카트리지(20)의 커버(21b)가 인입되었을 때 커버(21b)의 탄성편(21b-1)이 내측에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러본체(11)의 양측 외면에는 제1푸셔(12)와 제2푸셔(1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푸셔(12)는 걸림턱(11a)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2푸셔(13)는 핸들러본체(11)에 내설된 동작스위치(30)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러본체(11)와 제1푸셔(12) 사이에는 눌려진 제1푸셔(12)가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S)을 설치해 줌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제1푸셔(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되, 중앙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가압부(12a)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돌기(1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2b)는 핸들러본체(11)의 구멍 주위에 형성된 가이드홈(11b)에 끼워진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1a)에 걸린 커버(21b)의 탄성편(21b-1)을 제1푸셔(12)를 매개로 밀게 되면 탄성편(21b-1)이 커버(21b)를 향해 구부러지게 되면서 걸림턱(11a)으로부터 이탈되며, 이때 카트리지(2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핸들러본체(11)로부터 카트리지(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러본체(11)에는 동작스위치(30)에 의해 점등되는 동작확인부(14)가 더 보강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손잡이(H) 상에 설치해 주었다.
여기서, 상기 동작확인부(14)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서, 동작스위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확인부(14)의 점등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의 동작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칫 투박하게 보일 수 있는 제품의 이미지를 미려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카트리지(20)는 카트리지본체(21)와 액상의 매질(Lq), 초음파진동자(22) 및 진동자승강유닛(2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핸들러(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스위치(3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상기 카트리지본체(21)는 본체부(21a)와 커버(21b) 및 실링패드(21c)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1a)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대략 사각형태를 갖는 관으로서, 내면에는 가이드홈(21a-1)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외면에는 가이드홈(21a-1)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관통공(21a-2)이 형성되며, 관통공(21a-2)의 상측에는 대략 아령형상을 갖는 걸림홈(21a-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1a-1)에는 진동자고정구(23a)의 가이드부(23a-1)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관통공(21a-2)에는 고무재질의 패킹(23f)이 끼워지며, 걸림홈(21a-3)에는 노브(23d)의 걸림돌기(23d-1)가 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패킹(23f)은 패킹고정구(23g)에 의해 감싸지며, 패킹고정구(23g)는 나사를 매개로 본체부(21a)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21b)는 대략 사각통 형태를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부(21a)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탄성편(21b-1)을 매개로 핸들러본체(11)에 결합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21b)의 상면에는 단자가 구비되는데, 이 단자는 핸들러본체(11)의 내설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상기 커버(21b)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에는 초음파진동자(22)로부터 노출된 전선들이 연결된다.
상기 실링패드(21c)는 본체부(21a)의 개구된 하부를 덮어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의 매질(Lq)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실링패드(21c)는 캡톤(kapton)계열의 필름(테이프) 또는 실리콘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매질(Lq)은 카트리지본체(21)의 내부에 충진되는데, 이와 같이 액상의 매질(Lq)을 카트리지본체(21)에 충진해 줌으로서 초음파에너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매질(Lq)은 물 또는 알콜(alcohol)로서,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액상의 매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2)는 발진면에 오목렌즈 형태의 홈을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진하는 공지의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진동자승강유닛(23)의 진동자고정구(23a) 하부에 고정되고, 동작스위치(3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피부 비접촉방식으로 피하지방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피하지방을 열화시켜 분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F)을 갖는다. 상기 초점(F)으로부터 초음파진동자(22)의 가장자리들의 시야각은 매우 일반적인 방식으로 집속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시야각이 클수록 집속이 커진다.(등록특허 10-1227286호 참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초음파진동자(22)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자승강유닛(23)은 진동자고정구(23a)와 캠(23b), 축핀(23c) 그리고 노브(23d)로 구성되며, 여기에 패킹(23f)과 패킹고정구(23g)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자고정구(23a)는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며 외면에는 가이드홈(21a-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23a-1)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초음파진동자(22)가 4개 설치되므로 이러한 초음파진동자(22)를 수용하는 홈이 하부에 4개가 형성되며, 이러함 홈에 대응되게 초음파진동자(22)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캠(23b)은 대략 H자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는 축공(23b-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경사진 장공(23b-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공(23b-1)에는 축핀(23c)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장공(23b-2)에는 연결바(CB)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단순하게 연결바(CB)를 장공(23b-2)에 끼워 넣게 되면 외부로 빠질 수 있으므로 연결바(CB)의 양단부에 스냅링(SR)을 체결하여 장공(23b-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고정구(23a)는 연결바(CB)를 매개로 캠(23b)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축핀(23c)에 의해 캠(23b)이 회전하더라도 연결바(CB)는 경사진 장공(23b-2)에 끼워져 자연스럽게 슬라이드이동을 하게 되므로 진동자고정구(23a)의 가이드부(23a-1)는 가이드홈(21a-1)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축핀(23c)은 관통공(21a-2)에 끼워진 고무재질의 패킹(23f)과 패킹(23f)을 감싸 고정하는 패킹고정구(23g)를 관통하여 캠(23b)의 축공(23b-1)에 일단부가 끼워지고, 타단부는 본체부(21a)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축핀(23c)의 일단부를 캠(23b)의 축공(23b-1)으로부터 이탈에 우려가 있으므로 스냅링(SR)을 체결하여 축공(23b-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23d)는 나사를 매개로 축핀(23c)의 타단부에 결합고정된다.
특히, 상기 노브(23d)의 일면에는 걸림홈(21a-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3d-1)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걸림돌기(23d-1)는 노브(23d)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서 걸림홈(21a-3)의 좌우로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노브(23d)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걸림홈(21a-3)의 좌측에 위치해 있던 노브(23d)의 걸림돌기(23d-1)가 걸림홈(21a-3)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노브(23d)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노브(23d)와 축핀(23c)을 매개로 연결된 캠(23b)이 축핀(23c)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캠(23b)의 장공(23b-2)에 설치된 연결바(CB)는 자연스럽게 장공(23b-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캠(23b)에 연결바(CB)를 매개로 연결된 진동자고정구(23a) 및 초음파진동자(22) 역시 가이드홈(21a-1)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진동자(22)의 초점(F)에 높낮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피부 속의 피하지방의 위치가 각기 다르더라도 초음파진동자(22)를 교체하지 않고도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해져 시술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동작스위치(30)는 핸들러(10)에 내설되어 초음파진동자(22)와 동작확인부(14)를 동작제어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동작스위치(30)는 제2푸셔(13)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되며, 이에 의해 초음파진동자(22)와 동작확인부(14)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2푸셔(13)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초음파진동자(22)와 동작확인부(14)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러(10)의 양측에 내설된 동작스위치(30) 중 어느 하나만 눌러도 동작이 가능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모두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핸들러 11: 핸들러본체 11a: 걸림턱
11b: 가이드홈 12: 제1푸셔 12a: 가압부
12b: 돌기 13: 제2푸셔 14: 동작확인부
20: 카트리지 21: 카트리지본체 21a: 본체부
21a-1: 가이드홈 21a-2: 관통공 21a-3: 걸림홈
21b: 커버 21b-1: 탄성편 21c: 실링패드
22: 초음파진동자 23: 진동자승강유닛 23a: 캠
23a-1: 축공 23a-2: 장공 23b: 진동자고정구
23b-1: 가이드부 23c: 축핀 23d: 노브
23d-1: 걸림돌기 23f: 패킹 23g: 패킹고정구
30: 동작스위치 CB: 연결바 SR: 스냅링
H: 손잡이 Lq: 액상의 매질

Claims (7)

  1. 카트리지본체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의 매질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내설되어 피부 비접촉방식으로 피하지방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피하지방을 열화시켜 분해하며, 카트리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갖추고서,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돌려 고정된 초음파진동자를 승·하강시키는 진동자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승강유닛은,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캠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가이드홈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갖추고서, 캠의 장공에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되는 진동자고정구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캠의 축공과 결합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고정되어 축핀을 매개로 캠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본체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덮어 폐쇄하는 실링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
  3. 내면에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단부 외면에 탄성편이 형성된 카트리지본체,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의 매질,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내설되어 피부 비접촉방식으로 피하지방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피하지방을 열화시켜 분해하며 카트리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갖추고서,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돌려 고정된 초음파진동자를 승·하강시키는 진동자승강유닛으로 구성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탄성편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 및 걸림턱이 구비된 핸들러본체, 상기 핸들러본체에 설치되어 탄성편을 가압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푸셔, 상기 핸들러본체에 설치되어 동작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푸셔로 구성된 핸들러와;
    상기 핸들러본체에 수용되며 제2푸셔에 의해 동작되어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제어하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승강유닛은,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캠과,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가이드홈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갖추고서, 캠의 장공에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되는 진동자고정구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캠의 축공과 결합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고정되어 축핀을 매개로 캠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핸드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러본체에는 동작스위치에 의해 점등되는 동작확인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핸드피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본체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폐쇄하며 외면에 탄성편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덮어 폐쇄하는 실링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핸드피스.
  6. 삭제
  7. 삭제
KR1020140166712A 2014-11-26 2014-11-26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KR10163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12A KR101637519B1 (ko) 2014-11-26 2014-11-26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12A KR101637519B1 (ko) 2014-11-26 2014-11-26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19A KR20160063119A (ko) 2016-06-03
KR101637519B1 true KR101637519B1 (ko) 2016-07-07

Family

ID=5619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12A KR101637519B1 (ko) 2014-11-26 2014-11-26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8227B1 (en) * 2017-01-31 2024-05-29 Jong Chul Park Ultrasonic surgical device
KR101952588B1 (ko) * 2018-08-24 2019-02-27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피부의 여러 지점에 동시에 고강도 초음파 집속이 가능한 변환기 카트리지
KR102165045B1 (ko) * 2020-03-04 2020-10-13 이가연 수직형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KR102256560B1 (ko) * 2020-06-11 2021-05-27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초음파 집속 깊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발생 장치
KR102256841B1 (ko) * 2021-01-22 2021-05-27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초음파 집속 깊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47B1 (ko) * 2010-10-20 2012-10-15 (주)클래시스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용 3차원이송식 핸드피스
KR101356437B1 (ko) * 2012-04-27 2014-02-11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조직의 감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20140079184A (ko) * 2012-12-18 2014-06-26 원텍 주식회사 초음파 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19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519B1 (ko)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KR101623528B1 (ko) 전후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KR101824465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48749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장치
KR102008869B1 (ko)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KR101571527B1 (ko) 도전성 매체를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 초음파 장치
EP4140541A1 (en) Ultrasonic generator with adjustable ultrasonic focusing depth for treating obesity
KR20180004727A (ko) 초음파 치료의 제어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37727A1 (en) Electrical Nail Polishing Apparatus
JP2018075322A (ja) スキンケアのための超音波及び微細電流の複合装置
KR101688424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20170027263A (ko) 피부 미용을 위한 초음파와 미세전류 복합장치
KR101429002B1 (ko) 복합 집속형 초음파장치
KR10148214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 분해장치
KR101894855B1 (ko) 가이드 레이저를 구비한 초음파 일체형 모듈
KR101620962B1 (ko)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KR101824463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472991B1 (ko) 사용이 편리한 초음파 핸드피스
KR102056014B1 (ko)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US20220072337A1 (en) 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ultrasonic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90018B1 (ko) 피부 미용 기기
CN116669816A (zh) 可调节超声波聚焦深度的超声波产生装置
KR101643885B1 (ko) 초음파 카트리지
KR102626557B1 (ko) 전동식 시술깊이를 조절하는 하이푸 핸드피스
KR102262266B1 (ko)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이송 메커니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