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508A -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508A
KR20200084508A KR1020190000502A KR20190000502A KR20200084508A KR 20200084508 A KR20200084508 A KR 20200084508A KR 1020190000502 A KR1020190000502 A KR 1020190000502A KR 20190000502 A KR20190000502 A KR 20190000502A KR 20200084508 A KR20200084508 A KR 2020008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ody
cylindrical
boiler
combusto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9911B1 (en
Inventor
이대근
노동순
고창복
이은경
곽영태
김승곤
이민정
정우남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0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911B1/en
Publication of KR2020008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6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5/1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2Forms of water tubes, e.g. of varying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7Supplying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ce-through boiler having a porous combus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once-through boiler having a porous combustor which reduces nitrogen oxide emission and enables uniform heating in a small once-through boiler or a small combustion type heating apparatus using gaseous fuel.

Description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관류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관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소형 관류보일러나 소형의 연소식 가열장치에 있어서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저감하고, 균일한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관류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usion boiler having a porous combustor, and more specifically, a porous perfusion body that reduces emission of nitrogen oxides and enables uniform heating in a small perfusion boiler or a small combustion heating device using gas fuel. It relates to a perfusion boiler equipped with a combusto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열을 물 등에 전달하여 온도와 압력이 높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화력발전소와 선박 등의 증기기관, 각종 공장의 작업용이나 난방용 장치 등에 증기를 공급하는 데 사용한다.Boiler is a device that transmits combustion heat of fuel to water to generate steam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is used to supply steam to steam engines, such as thermal power plants and ships, and work or heating devices of various factories.

이러한 보일러는 그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강제순환식 보일러에 속하는 관류보일러(Once-through boiler)는 단일 수관을 휘거나 다수의 수관 다발로 만든 관만의 보일러이며, 강제 관류보일러라고도 하는데 수관의 한쪽 끝에서 급수하고 펌프로 압송하여 도중에서 차례로 가열, 증발, 과열되어 관의 다른 한 쪽 끝에서 과열 증기로 송출되는 형식의 보일러를 말하며, 고압 증기의 발생에 적합하고 특히 초임계압 보일러인 경우에 유리한 강제순환식 보일러의 일종이다.Although there are several types of such boilers depending on their structure, among them, once-through boilers belonging to forced circulation boilers are only boilers made by bending a single water pipe or made of multiple water pipe bundles, and are also referred to as forced flow boilers. It refers to a boiler in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one end of the water pipe and pumped to the pump, which is heated, evaporated, and superheated one after the other to be sent as superheated steam from the other end of the pipe. It is a kind of advantageous forced circulation boiler in the case of.

관류보일러는 보유 수량이 적어서 급속 기동 및 정지가 가능하며, 자유로운 전열면 배치가 가능하므로 보일러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유리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 및 높은 안전성으로 인해 자동화가 용이하여, 대량의 증기가 필요할 경우 단일 대형 보일러를 사용하기 보다는 다수의 소형 보일러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개별 보일러가 최고 효율을 갖는 설계부하에서 운전되도록 하는 대수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Since the perfusion boiler has a small quantity, it is possible to start and stop quickly, and i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high efficiency of the boiler since free heat transfer surface arrangement is possible. In addition,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high safety, it is easy to automate, and when a large amount of steam is required, the number of small boil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rather than using a single large boiler to control the number of units so that individual boilers operate at the design load with the highest efficiency.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반면에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저 질소산화물(이하 NOx) 생성과 관련하여, 관류보일러는 그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보일러 연소실의 체적 열부하(단위 체적당 연소열량)가 높아서 고온의 화염이 형성되므로 다량의 NOx가 생성되며, 기존의 저 NOx 연소기술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연소실 체적이 제공되지 않아서 여타 보일러 형식 대비 NOx 생성 저감에 매우 불리하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low nitrogen oxi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 x )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usion boiler has a high volumetric heat load (combustion heat per unit volume) due to its compact structure, and thus high-temperature flame is formed. NO x is generated, and the existing low NO x combustion technology is very disadvantageous in reducing NO x genera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boilers because the required combustion chamber volume is not provided to exert the effect.

가스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NOx는,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약 1300℃ 이상)의 화염 또는 기연가스(burned gas) 내에서 산화되어 생성되는 thermal NOx와 고농도의 연료가 고온(약 1000℃ 이상)에서 열 분해되어 탄화수소 라디칼(CH radical)을 생성하고 이것이 질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prompt NOx로 나눌 수 있다.The NO x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gaseous fuel includes thermal NO x generated by oxidation of nitrogen in the air in a high-temperature (about 1300°C or higher) flame or burned gas, and a high concentration of high-temperature fuel (about 1000). Thermal decomposition at ℃ or higher) to produce a hydrocarbon radical (CH radical) and this can be divided into the prompt NO x generated by reaction with nitrogen.

Thermal NOx는 잉여 산소가 존재하는 고온 영역에서 발생하므로, 국부적인 고온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화실의 온도를 균등화하고, 더불어 그것이 다량 발생하는 화염의 뿌리 영역에 잉여 산소량을 줄임으로써 그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Thermal NO x is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where excess oxygen is presen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ebox is equalized so that the local high temperature region does not occur, and at the same time, by reducing the amount of excess oxygen in the root region of the flame where it is generated a lot, it is possible to suppress its production. Can.

반면에 prompt NOx는 연료의 열분해 온도 이상만 된다면 온도에 상대적으로 둔감하며 연료가 과농한 영역에서 순간적(약 1 ms 이내)으로 생성되므로, 비예혼합(non-premixed) 연소 방식에서는 연료와 공기가 연소기의 출구단에서 급속히 혼합되도록 하여 그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ompt NO x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temperature if it exceeds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fuel, and fuel and air are generated in the non-premixed combustion method because the fuel is generated instantaneously (within about 1 ms) in an excessively concentrated region. It can be rapidly mixed at the outlet end of the combustor to suppress its formation.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버너의 질소산화물 감소기법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연료와 공기의 급속한 혼합을 도모하는 혼합 촉진형, 특허문헌 2와 같이 연료와 공기 노즐들의 형상을 조절하여 여러 갈래의 화염을 형성하는 화염 분할형, 특허문헌 3과 같이 단계적 연소를 통해 이론 혼합비로부터 벗어난 조건에서 운전하는 다단 연소형, 특허문헌 4와 같이 연소 후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외부에서 재순환하거나 연소실 내부 유동 제어를 통해 내부 재순환하는 배기가스 재순환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국부적인 고온 화염의 형성을 억제하여 thermal NOx 생성을 줄이거나 연료가 과농한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prompt NOx 생성량을 억제하는 기술이다.The nitrogen oxide reduction technique of an industrial burner that has been used in the prior art is a mixture-promoting type that promotes rapid mixing of fuel and air as in Patent Document 1, and a multi-pronged flame by controlling the shape of fuel and air nozzles as in Patent Document 2. Flame division type to form, multi-stage combustion type that operates under the condition of the theoretical mixing ratio through staged combustion as in Patent Document 3, exhaust gas exhausted after combustion, as in Patent Document 4, is recirculated from the outside or internally through flow control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t can be classified into recirculat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type, etc. All of these technologies are technologies that suppress the generation of prompt NOx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thermal NOx by minimizing the formation of local high-temperature flames or by minimizing the area where fuel is excessive.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분사 방향으로 긴 화염을 형성하므로 관류보일러와 같이 화실의 열 부하가 크고 체적이 작은 경우에는 적용하기 난해하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s are difficult to apply when the heat load of the firebox is large and the volume is small, such as a perfusion boiler, since a long flame is form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731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7-00731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3-005289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2003-005289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3509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58350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8163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8381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 관류보일러나 소형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NOx 배출 농도를 10 ppm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저 NOx 관류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 NO x perfusion boiler for reducing the NOx emission concentration to a level of 10 ppm in a small perfusion boiler or a small combustion device.

또한, 에너지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고온의 화염을 형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추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다공체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공체 자체의 전도 및 복사 열전달에 의해 열 재순환이 발생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초과 엔탈피의 고온 연소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저 NOx 연소 장치를 포함하는 관류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and using an additional device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high-temperature flame, combustion is performed inside the porous body, thereby causing heat recirculation by conduction and radiative heat transfer of the porous body itself, and ultimately, excess enthalp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fusion boiler including a low NO x combus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achieving high-temperature combus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는, 급수구, 증기배출구 및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다공체 및 제1 다공체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다공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에 예혼합기를 공급하는 연료산화제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상부헤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와 연결되는 하부헤더; 및 상기 상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며,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외주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수관; 을 포함할 수 있다.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using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water supply port, steam outlet and combustion gas outlet; A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porous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porous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orous body; A fuel oxidiz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mixer to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An upp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 low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team outlet; And a plurality of water pipes which connect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and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It may include.

상기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 사이에 화염면이 형성될 수 있다. A flame su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and the second porous body.

상기 연료산화제공급부는,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혼합기 하부에 구비되는 예혼합기 유입관; 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oxidizer supply unit, a mixer provided on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A fuel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 air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d a pre-mixer inlet pipe provided below the mixer. It may include.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는 상기 제1 다공체의 중공부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분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distribution pipe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porous body.

상기 복수개의 수관은 열전달판으로 연결되어 수관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ater pipes may be connected by a heat transfer plate to form a water pipe wall.

상기 수관벽은 내측 수관벽 및 외측 수관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pipe wall may include an inner water pipe wall and an outer water pipe wall.

상기 내측 수관벽은 일부분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수관벽은 제1 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water pipe wall may have a first opening formed in a portion,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may have a second opening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상기 내측 수관벽 및 외측 수관벽은 동일한 상부헤더 및 하부헤더에 연결될 수 있다. The inner water pipe wall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upper header and lower header.

상기 내측수관벽은 내측 상부헤더 및 내측 하부헤더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 수관벽은 외측 상부헤더 및 외측 하부헤더와 연결될 수 있다.The inner water pipe wall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header and the inner lower header,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upper header and the outer lower header.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는, 급수구, 증기배출구 및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예혼합기의 유동방향으로 적층된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에 예혼합기를 공급하는 연료산화제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상부헤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하부헤더; 및 상기 상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관; 을 포함할 수 있다.A flat-type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hedral housing having a water supply port, a steam discharge port, and a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A plate-shaped porous body combus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porous body and a second porous body stacked in a flow direction of a premixer; A fuel oxidiz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mixer to the flat porous body combustor; An upp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team outlet; A low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a plurality of water pipes connecting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It may include.

상기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 사이에 화염면이 형성될 수 있다. A flame su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and the second porous body.

상기 연료산화제공급부는,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전단에 구비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혼합기 후단에 구비되는 예혼합기 유입관;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uel oxidizer supply unit, a mix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late-shaped porous combustor; A fuel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 air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d a premixer inlet pip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ixer. It may include.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연소가스의 유로 형성을 위한 제1 가이드부재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for forming a flow path of combustion gas on the inner surface.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는 상기 혼합기와 상기 제1 다공체 사이에 다공성 분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e-shaped porous body combustor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distribution plate between the mixer and the first porous body.

상기 원통형 관류일러 또는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운전 방법으로,As a method of operating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or flat-type perfusion boiler,

(a) 연료 및 산화제를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연료 유입구로 공급하는 단계;(A) mixing the fuel and the oxidizing agent in the mixe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fuel inlet;

(b) 상기 단계 a에서 연료를 제1 다공체 내부로 공급하여 초과엔탈피 연소를 수행하는 단계;(b) performing excess enthalpy combustion by supplying fuel into the first porous body in step a;

(c) 상기 초과엔탈피 연소에 의해 수관 내부의 보일러 용수가 가열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단계;(c) the boiler water inside the water pipe is heated by the excess enthalpy combustion to discharge steam;

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상기 단계 (a)와 단계 (b) 사이에 상기 원통형 또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외주변에 구비된 점화용 소형 연소기를 먼저 점화하여 연소관의 외측에 위치한 제2 다공체에 화염을 생성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tep (a) and step (b) between the cylindrical or flat-type porous body combustor first igniter for ignition provided on the ignition first step (d) generating a flame in the second porous body located outside the combustion tube It may further inclu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관류보일러의 연소기에 있어서 다공체 연소를 적용함으로써, 화염 하류의 급격한 온도 하강으로 인해 NOx 생성에 필요한 고온 영역이 좁아지고, 더불어 급격하게 증가한 연소 속도로 인해 기체의 속도가 빨라져서, 결과적으로 고온 영역에서의 체류시간이 급감하여 질소가 산화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NOx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porous combustion in the combustor of the perfusion boiler, the high temperature region required for NO x generation is narrowed due to the rapid temperature drop downstream of the flame, and also due to the rapidly increased combustion speed. The speed of the gas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residence time in the high-temperature region rapidly decreases, and thus NO x production can be suppressed because nitrogen does not provide sufficient time for oxidation.

또한, 기존의 열교환기를 통한 외부 열 재순환에 비해 간단하고 효과적인 열 재순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 simple and effective heat recirculation effect can be obtained as compared to external heat recirculation through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또한, 다공체 내에서 균일한 연소가 발생하며 고온 열 복사가 다공체로부터 방사되므로 보일러의 수관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어서 기기의 성능 향상 및 내구성 향상에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uniform combustion occurs in the porous body and high-temperature heat radiation is radiated from the porous body, the water pipe of the boiler can be uniformly heated,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관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ipe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type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late-type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in which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detailed examples according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의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는 급수구(111), 증기배출구(112) 및 연소가스 배출구(113)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상부헤더(140), 하부헤더(150), 복수개의 수관(161) 및 연료산화제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110 having a water supply port 111, a steam discharge port 112, and a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113, A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1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 upper header 140, a lower header 150, a plurality of water pipes 161 and a fuel oxidant supply unit 130 may be included.

연료산화제공급부는(130), 혼합기(131), 연료공급관(132), 공기공급관(133) 및 예혼합기 유입관(134)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기(131)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상부에 배치된다. 혼합기(131) 일부에는 연료공급관(132) 및 공기공급관(133)이 구비될 수 있고, 혼합기(131) 하부에는 예혼합기 유입관(1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fuel oxidant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mixer 131, a fuel supply pipe 132, an air supply pipe 133, and a premixer inlet pipe 134. The mixer 131 is disposed above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120. A fuel supply pipe 132 and an air supply pipe 133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mixer 131, and a pre-mixer inlet pipe 134 may be formed under the mixer 131.

이에 따라, 공기 및 연료는 각각 혼합기(131)로 유입되어 예혼합 될 수 있으며, 예혼합기 유입관(134)를 통해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관(133)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산화제일 수 있다. Accordingly, air and fuel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er 131 and premixed, respectively, and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120 through the premixer inlet pipe 134.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133 may be an oxidizing agent.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공부(124)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다공체(121) 및 제1 다공체(121)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다공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has a cylindrical first porous body 121 having a hollow portion 124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porous body 122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orous body 121. ).

제1 다공체(121) 및 제2 다공체(122) 사이에 화염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A flame surface 12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121 and the second porous body 122.

제1 다공체(121)의 중공부(124) 내부에는 다공성 분배관(1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내부로 유입된 연료 및 공기가 균일하게 제1 다공체(121)를 통과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제2 다공체(122)를 통과하게 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A porous distribution pipe 1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low portion 124 of the first porous body 121. Accordingly, the fuel and air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uniformly pass through the first porous body 121, and continuously pass through the second porous body 122,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combustion. .

외부로의 열 손실이 없을 때 주어진 조건의 연료와 산화제가 연소하여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온도를 단일 화염 온도(adiabatic flame temperature)라 하는데, 이때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차가운 미연가스(unburned gas)로 열 재순환이 주어지면 단일화염 온도 이상의 고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를 초과 엔탈피 연소라 한다. When there is no heat loss to the outside, the maximum temperature that can be reached by burning fuel and oxidant under a given condition is called aadiabatic flame temperature, where heat from hot combustion gas to cold unburned gas If recirculation is given, a high temperature above the single flame temperature can be achieved and this is called excess enthalpy combustion.

본 발명과 같이, 열 재순환을 위해 열 교환기와 같은 추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를 이용하여 다공체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다공체 자체의 전도 및 복사 열전달에 의해 열 재순환이 발생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초과엔탈피 연소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heat exchanger for heat recirculation, when the combustion is performed inside the porous body using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thermal recirculation is caused by conduction and radiation heat transfer of the porous body itself. And ultimately can easily achieve excess enthalpy combustion.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외주변에는 복수개의 수관(16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수관(161)은 보일러 용수가 이동하는 통로로, 긴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수관(161)의 상부는 상부헤더(140)와 연결되고, 수관(161)의 하부는 하부헤더(150)와 연결된다.A plurality of water pipes 161 are arrang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at regular intervals and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The water pipe 161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oiler water moves, and may have a long pipe shape. The upper part of the water pipe 161 is connected to the upper header 140, and the lower part of the water pipe 161 is connected to the lower header 150.

상부헤더(140) 및 하부헤더(150)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header 140 and the lower header 150 have a ring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and an internal space may be formed.

하부헤더(150)는 급수구(111)와 연결되어 급수구(111)에서 공급된 보일러 용수를 복수개의 수관(161)에 일괄적으로 균일하게 공급한다. The lower header 15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11 and uniformly supplies the boiler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111 to a plurality of water pipes 161.

하부헤더(150)에서 공급된 보일러 용수는 각각의 수관(161)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어 포화증기 상태로 상부헤더(140)에 모인 후 상부헤더(140)와 연결된 증기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Boiler water supplied from the lower header 150 moves from the lower portion of each water pipe 161 to the upper portion, is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and is collected in the upper header 140 in a saturated vapor state, and then the upper header ( 140) is discharged through a steam outlet 112 connected to.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복수개의 수관(161) 사이로 이동하여 연소가스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moves between the plurality of water pipes 161 and is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113.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관벽(160)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ipe wall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는 급수구(111), 증기배출구(112) 및 연소가스 배출구(113)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상부헤더(140), 하부헤더(150), 수관벽(160) 및 연료산화제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4,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housing (with a water supply port 111, a steam discharge port 112, and a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113) 110), a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1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 upper header 140, a lower header 150, a water pipe wall 160 and a fuel oxidant supply unit 130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외주변에는 수관벽(160)이 형성될 수 있다. 수관벽(160)은 복수개의 수관(161)이 열전달판(162)으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A water pipe wall 160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The water pipe wall 16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pipes 161 are connected by a heat transfer plate 162.

도 5를 참조하면, 수관벽(160)은 열전달판(162)의 양단이 수관(161)들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수관(161)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water pipe wall 16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161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both ends of the heat transfer plate 16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s 161.

열전달판(132)은 열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열전달을 촉진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plate 132 may be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thus promote heat transfer.

수관벽(160)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수관벽(160)을 구비한 보일러를 예로 설명한다.At least one water pipe wall 160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iler having two water pipe walls 16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수관벽(160)은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pipe wall 160 may be formed of an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an outer water pipe wall 165.

외측 수관벽(165)은 내측 수관벽(164)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또한, 내측 수관벽(164) 일부분에 제1 개구부(166)가 형성되고, 외측 수관벽(165)에는 제2 개구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opening 166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a second opening 167 may be formed in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상기 제2 개구부(167)는 제1 개구부(166)의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167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166.

상기 제1 개구부(166) 및 제2 개구부(167)는 연소가스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제1 개구부(166)를 통해 제2 개구부(167)로 이동하여 연소가스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The first opening 166 and the second opening 167 may be a movement passage of combustion gas. That i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moves to the second opening 167 through the first opening 166 and is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gas outlet 113.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의 상부에는 급수구(111)와 연결되는 상부헤더(14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증기배출구(112)와 연결되는 하부헤더(15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header 14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11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and the lower header 150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12 is disposed at the bottom. Can be connected.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부헤더(140) 및 하부헤더(150)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 형상이며,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이 하나의 상부헤더(140) 및 하나의 하부헤더(150)에 연결될 수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header 140 and the lower header 150 have a ring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and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are one.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header 140 and one lower header 150.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하부헤더(150)에서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의 수관에 일괄적으로 보일러 용수를 공급하고,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의 수관(161)에서 발생한 포화증기는 상부헤더(140)를 통해 배출된다.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boiler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pipes of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from the lower header 150 collectively, and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 The saturated steam generated in the water pipe 161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header 140.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의 수평 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관류보일러(100)는 급수구(111), 증기배출구(112) 및 연소가스 배출구(113)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상부헤더(140), 하부헤더(150), 수관벽(160) 및 연료산화제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6 and 7,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with a water inlet 111, a steam outlet 112, and a combustion gas outlet 113) 110), a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1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 upper header 140, a lower header 150, a water pipe wall 160 and a fuel oxidant supply unit 130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120) 외주변에는 수관벽(160)이 형성될 수 있다. 수관벽(160)은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 pipe wall 160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120. The water pipe wall 160 may be formed of an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an outer water pipe wall 165.

내측 수관벽(130) 일부분에 제1 개구부(134)가 형성되고, 외측 수관벽(130)에는 제1 개구부(134)와 반대 방향에 제2 개구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opening 134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wall 130, and a second opening 135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ter pipe wall 13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134.

내측 수관벽(164) 및 외측 수관벽(165)은 각각 독립적인 상부헤더(140) 및 하부헤더(15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내측 수관벽(164)은 내측 상부헤더(141) 및 내측 하부헤더(151)와 연결되어 있고, 외측 수관벽(165)은 외측 상부헤더(142) 및 외측 하부헤더(152)와 연결된다.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may be connected to the independent upper header 140 and the lower header 150, respectively. That is,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is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header 141 and the inner lower header 151,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165 is connected to the outer upper header 142 and the outer lower header 152. .

따라서, 내측 하부헤더(151)에서 공급되는 보일러 용수는 내측 수관벽(164)으로 유입되고 내측 상부헤더(141)를 통해 배출되며, 외측 하부헤더(152)에서 공급되는 보일러 용수는 외측 수관벽(165)으로 유입되고 내측 상부헤더(141)를 통해 배출된다. Therefore, the boiler water supplied from the inner lower header 151 flows into the inner water pipe wall 16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upper header 141, and the boiler water supplied from the outer lower header 152 is the outer water pipe wall ( 165)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upper header 141.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2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200)의 수직 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t-type flow-through boiler 2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t-type flow-through boiler 2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평판형 관류보일러(200)는 급수구(211), 증기배출구(212) 및 연소가스 배출구(213)가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일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220), 상부헤더(240), 하부헤더(250), 복수개의 수관(261) 및 연료산화제공급부(230)를 포함한다. 8 and 9, the flat-type perfusion boiler 200 includes a polyhedron-shaped housing 210 and a housing 210 in which a water supply port 211, a steam discharge port 212, and a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213 are formed. It includes a flat plate porous combustor 220, an upper header 240, a lower header 250, a plurality of water pipes 261 and a fuel oxidant supply unit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220)는 예혼합기의 유동 방향으로 적층된 제1 다공체(221), 제2 다공체(222)를 포함하며, 제1 다공체(221) 및 제2 다공체(222) 사이에 화염면(223)이 형성된다.The flat porous body combustor 220 includes a first porous body 221 and a second porous body 222 stacked in a flow direction of a pre-mixer, and a flame surface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221 and the second porous body 222. (223) is formed.

연료산화제공급부(230)와 제1 다공체(221) 사이에는 다공성 분배판(2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220)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균일하게 1다공체(221)를 통과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제2 다공체(222)를 통과하게 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A porous distribution plate 22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uel oxidant supply unit 230 and the first porous body 221.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flat porous combustor 220 uniformly passes through the porous body 221, and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econd porous body 222,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combustion.

연료산화제공급부(230)는 혼합기(231), 연료공급관(232), 공기공급관(233) 및 예혼합기 유입관(2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uel oxidizing agent supply unit 230 may include a mixer 231, a fuel supply pipe 232, an air supply pipe 233, and a premixer inlet pipe 234.

연료공급관(232) 및 공기공급관(233)을 통해 공급된 공기 및 연료는 각각 혼합기(230)로 유입되어 예혼합 될 수 있으며, 예혼합기 유입관(233)를 통해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2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관(233)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산화제일 수 있다. Air and fuel supplied through the fuel supply pipe 232 and the air supply pipe 233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er 230 and pre-mixed, respectively, and through the pre-mixer inlet pipe 233, inside the flat porous combustor 220 Flows into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233 may be an oxidizing agent.

하우징은 내부에 연소가스의 유로 형성을 위한 제1 가이드부재(270) 및 제2 가이드부재(280)를 더 포함한다.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270 and a second guide member 280 for forming a flow path of combustion gas therein.

상기 예혼합기는 연료 및/또는 산화제일 수 있다.The premixer can be a fuel and/or an oxidizing agent.

상기 연료는 탄화수소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화합물의 탄소수 1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연료는 합성가스, 부생가스, 수소, LNG, LPG 일 수 있다.The fuel may be a hydrocarbon compound, and may have 1 to 6 carbon atoms of the hydrocarbon compound. The fuel may be synthetic gas, by-product gas, hydrogen, LNG, LPG.

상기 산화제는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상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일 수 있다.The oxidizing ag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gaseous substance containing oxygen. Preferably it can be air.

구체적으로,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가 배치되는 측면을 A면, A와 마주보는 측면을 B면으로 정의할 때, 제1 가이드부재(270)는 A면으로부터 B면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270)는 B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defining the side on which the planar porous combustor is disposed as the A surface and the side facing the A as the B surface, the first guide member 270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A surface toward the B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member 2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 surface.

제2 가이드부재(280)는 B면으로부터 A면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될 수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재(280)는 제1 가이드부재(270) 하부에 배치되며, A면과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mber 280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B surface toward the A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member 28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guide member 27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 가이드부재(260) 및 제2 가이드부재(270)는 판 형상이며, 상부헤더(240) 및 하부헤더(250)의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수관(261)이 관통된다. The first guide member 260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70 have a plate shape, and ar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header 240 and the lower header 250 to penetrate a plurality of water pipes 261.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하우징(210)의 상면과 제1 가이드부재(270) 사이에 제1 공간(291)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재(270)와 제2 가이드부재(280) 사이에 제2 공간(292)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재(280)와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제3공간(293)이 형성된다. By the above structure, a first space 29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the first guide member 270, and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270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80. A second space 292 is formed, and a third space 293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uide member 28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관류보일러에서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220)에 의한 연소가스가 제1 공간(291), 제2 공간(292) 및 제3공간(29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수관(261)을 가열하고, 연소가스 배출구(213)를 통해 배출된다. In the flat-type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gas by the plate-shaped porous combustor 220 sequentially forms the first space 291, the second space 292, and the third space 293. As it passes, the water pipe 261 is he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outlet 213.

하부헤더(250)로 유입된 보일러 용수는 복수개의 수관(261)을 통과하며 가열되어 포화증기 상태로 상부헤더(240)를 통해 증기배출구(212)로 배출된다. Boiler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header 250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water pipes 261 and is heated and discharged to the steam outlet 212 through the upper header 240 in a saturated vapor stat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100: 원통형 관류보일러
200: 평판형 관류보일러
110, 210: 하우징
111, 211: 급수구
112, 212: 증기배출구
113, 213: 연소가스 배출구
120: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220: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121, 221: 제1 다공체
122, 222: 제2 다공체
123, 223: 화염면
124: 중공부
125: 다공성 분배관
225: 다공성 분배판
130, 230: 연료산화제공급부
131, 231: 혼합기
132, 232: 연료공급관
133, 233: 공기공급관
134, 234: 예혼합기 유입관
140, 240: 상부헤더
150, 250: 하부헤더
141: 내측 상부헤더
142: 외측 상부헤더
151: 내측 하부헤더
152: 외측 하부헤더
160: 수관벽
161, 261: 수관
162, 262: 열전달판
164: 내측 수관벽
165: 외측 수관벽
166: 제1 개구부
167: 제2 개구부
270: 제1 가이드부재
280: 제2 가이드부재
291: 제1 공간
292: 제2 공간
293: 제3 공간
100: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200: flat-type perfusion boiler
110, 210: housing
111, 211: water inlet
112, 212: Steam outlet
113, 213: combustion gas outlet
120: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220: flat type porous combustor
121, 221: first porous body
122, 222: second porous body
123, 223: Flame side
124: hollow
125: porous distribution pipe
225: porous distribution plate
130, 230: fuel oxidizer supply unit
131, 231: mixer
132, 232: fuel supply pipe
133, 233: air supply pipe
134, 234: premixer inlet pipe
140, 240: upper header
150, 250: lower header
141: inner upper header
142: outer upper header
151: inner lower header
152: outer lower header
160: water pipe wall
161, 261: water pipe
162, 262: heat transfer plate
164: inner water pipe wall
165: outer water pipe wall
166: first opening
167: second opening
270: first guide member
280: second guide member
291: first space
292: Second space
293: space 3

Claims (14)

급수구, 증기배출구 및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다공체 및 제1 다공체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다공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에 예혼합기를 공급하는 연료산화제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상부헤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와 연결되는 하부헤더; 및
상기 상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며,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외주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 사이에 화염면이 형성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a water supply port, a steam discharge port, and a combustion gas discharge port;
A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porous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porous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orous body;
A fuel oxidiz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mixer to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An upp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 low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team outlet; And
A plurality of water pipes connecting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and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It includes,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having a flame surface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and the second porous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산화제공급부는,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혼합기 하부에 구비되는 예혼합기 유입관;
울 포함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1,
The fuel oxidizer supply unit,
A mixer provided on the cylindrical porous combustor;
A fuel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 air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d
A premixer inlet pipe provided below the mixer;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with woo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다공체 연소기는 상기 제1 다공체의 중공부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분배관을 더 포함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1,
The cylindrical porous body combustor further includes a porous distribution pipe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porous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관은 열전달판으로 연결되어 수관벽을 형성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water pipes are connected by a heat transfer plate to form a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벽은 내측 수관벽 및 외측 수관벽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4,
The water pipe wall is a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consisting of an inner water pipe wall and an outer water pipe 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관벽은 일부분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수관벽은 제1 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opening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wall,
The outer water pipe wall is a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 in which a second opening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관벽 및 외측 수관벽은 동일한 상부헤더 및 하부헤더에 연결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4,
The inner water pipe wall and the outer water pipe wall are cylindrical flow-through boilers connected to the same upper and lower head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관벽은 내측 상부헤더 및 내측 하부헤더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 수관벽은 외측 상부헤더 및 외측 하부헤더와 연결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water pipe wall is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header and the inner lower header,
The outer water pipe wall is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connected to the outer upper header and the outer lower header.
급수구, 증기배출구 및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예혼합기의 유동방향으로 적층된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에 예혼합기를 공급하는 연료산화제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상부헤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하부헤더; 및
상기 상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공체와 제2 다공체 사이에 화염면이 형성되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평판형 관류보일러.
Polyhedral housing with a water inlet, a steam outlet and a combustion gas outlet;
A plate-shaped porous body combus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porous body and a second porous body stacked in a flow direction of a premixer;
A fuel oxidiz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mixer to the flat porous body combustor;
An upp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team outlet;
A lower hea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A plurality of water pipes connecting the upper header and the lower header;
It includes,
A plate-type perfusion boiler having a plate-shaped porous body combustor having a flame su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porous body and the second porous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산화제공급부는,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의 전단에 구비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혼합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혼합기 후단에 구비되는 예혼합기 유입관;
을 포함하는 평판형 관류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9,
The fuel oxidizer supply unit,
A mix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lat plate porous combustor;
A fuel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 air supply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ixer; And
A premixer inlet pip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ixer;
Flat type perfusion boil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연소가스의 유로 형성을 위한 제1 가이드부재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평판형 관류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using is a flat-type perfusion boiler having a flat porous body combustor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for forming a flow path of combustion gas on an inner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는 상기 혼합기와 상기 제1 다공체 사이에 다공성 분배판을 더 포함하는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평판형 관류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te-type porous body combustor is a plate-type perfusion boiler having a porous body combustor further comprising a porous distribution plate between the mixer and the first porous body.
제1 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원통형 관류보일러 또는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a) 연료 및 산화제를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연료 유입구로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연료를 제1 다공체 내부로 공급하여 초과엔탈피 연소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초과엔탈피 연소에 의해 수관 내부의 보일러 용수가 가열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또는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운전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the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or the flat-type perfusion boi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mixing the fuel and the oxidizing agent in the mixe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fuel inlet;
(b) performing excess enthalpy combustion by supplying fuel into the first porous body in step a;
(c) the boiler water inside the water pipe is heated by the excess enthalpy combustion to discharge steam;
Method of operating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or a flat-type perfusion boile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와 단계 (b) 사이에 상기 원통형 또는 평판형 다공체 연소기 외주변에 구비된 점화용 소형 연소기를 먼저 점화하여 연소관의 외측에 위치한 제2 다공체에 화염을 생성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통형 관류보일러 또는 평판형 관류보일러의 운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Step (a) and step (b) between the cylindrical or planar porous body combustor first igniter provided for ignition is first ignited to generate a flame in the second porous body located outside the combustion pipe (d) A method of driving a cylindrical perfusion boiler or a flat-type perfusion boiler further comprising.
KR1020190000502A 2019-01-03 2019-01-03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229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02A KR102229911B1 (en) 2019-01-03 2019-01-03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02A KR102229911B1 (en) 2019-01-03 2019-01-03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08A true KR20200084508A (en) 2020-07-13
KR102229911B1 KR102229911B1 (en) 2021-03-22

Family

ID=7157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02A KR102229911B1 (en) 2019-01-03 2019-01-03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91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836A (en) * 1999-12-30 2001-07-06 한갑수 A catalyzer burner for gas boiler
KR20030052891A (en)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low NOx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equipped with multiple fuel nozzles
KR100838163B1 (en) 2007-03-27 2008-06-13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Low nox invertor boiler system and combustion controlling methode thereof
KR20080094577A (en) * 2007-04-20 2008-10-23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Boiler
KR101042564B1 (en) * 2008-12-29 2011-06-21 (주)귀뚜라미동광보일러 Boiler water blow means of multipipe type once-through boiler
KR101583509B1 (en) 2014-10-23 2016-01-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Burner for generating reduced nitrogen oxide
KR20170073104A (en) 2015-12-18 2017-06-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urner for reducing nox and high efficiency and combs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836A (en) * 1999-12-30 2001-07-06 한갑수 A catalyzer burner for gas boiler
KR20030052891A (en)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low NOx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equipped with multiple fuel nozzles
KR100838163B1 (en) 2007-03-27 2008-06-13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Low nox invertor boiler system and combustion controlling methode thereof
KR20080094577A (en) * 2007-04-20 2008-10-23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Boiler
KR101042564B1 (en) * 2008-12-29 2011-06-21 (주)귀뚜라미동광보일러 Boiler water blow means of multipipe type once-through boiler
KR101583509B1 (en) 2014-10-23 2016-01-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Burner for generating reduced nitrogen oxide
KR20170073104A (en) 2015-12-18 2017-06-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urner for reducing nox and high efficiency and combs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911B1 (en)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82787B (en) Combustion heat exchange assembly and gas water heater
US6289851B1 (en) Compact low-nox high-efficiency heating apparatus
US5746159A (en) Combustion device in tube nested boiler and its method of combustion
JP6172523B2 (en) Axial pist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axial piston engine
US7647898B2 (en) Boiler and low-NOx combustion method
JP3814604B2 (en) Gas combustion burner realizing multi-stage control
JP2019512661A (en) Non-premixed swirl burner tip and combustion strategy
CA1143647A (en) Burner-boiler combination and improved burner construction therefor
JP4694955B2 (en) 2-layer combustor
RU188647U1 (en) HYDROGEN OXYGEN STEAM HEATER
RU185454U1 (en) HYDROGEN OXYGEN STEAM HEATER
RU2361146C1 (en) Vortex hydrogen-oxygen vapour superheater
CN109539258A (en) A kind of low NOx radiant tube combustion system of adjustable smoke backflow amount
RU165761U1 (en) HYDROGEN-OXYGEN GAS GENERATOR
KR102229911B1 (en) A Once-through Boiler Equipped with a Porous Medium Burne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106922B1 (en) Heat amplification heat generator
ES2933119T3 (en) Procedure and device for staged combustion without flame
KR200280238Y1 (en) Industrial Brown Gas Boiler with Burner
RU199761U1 (en) HYDROGEN STEAM HEATER OF MEGWATT POWER LEVEL
US20170138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tube Boiler and Ultra Low NOx Burner
RU196552U1 (en) MIXING ELEMENT OF HYDROGEN-OXYGEN STEAM HEATER
KR100434686B1 (en) Industrial Brown Gas Boiler with Burner
US10962220B2 (en) Flameless steam boiler
EP2519770B1 (en)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comprising said burner
KR200324300Y1 (en) energy producer make use of hydrogen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