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471A -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471A
KR20200084471A KR1020180171214A KR20180171214A KR20200084471A KR 20200084471 A KR20200084471 A KR 20200084471A KR 1020180171214 A KR1020180171214 A KR 1020180171214A KR 20180171214 A KR20180171214 A KR 20180171214A KR 20200084471 A KR20200084471 A KR 2020008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emory
situation
electronic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병직
김봉주
이종윤
정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471A/ko
Priority to US16/550,998 priority patent/US11222488B2/en
Priority to CN201910872299.2A priority patent/CN111391838A/zh
Publication of KR2020008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2030/082Vehicle operation after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이 차량의 사고 발생 등의 상황에서도 특정 시간 영역의 차량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전자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메모리; 제2메모리; 다른 전자 모듈 및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기초로 저장 가능한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ELECTRONIC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상황에서 차량의 정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에 관련된 기술이다.
차량의 자율 주행 기술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핸들, 가속 페달 등을 제어하지 않아도 차량이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이다.
자율 주행 기술은 스마트 카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율 주행차를 위해서는 고속도로 주행 지원 시스템(HDA, 자동차 간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해 주는 기술)을 비롯해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후진 중 주변 차량을 감지, 경보를 울리는 기술),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AEB, 앞차를 인식하지 못할 시 제동 장치를 가동하는 기술),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LDWS),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LKAS, 방향 지시등 없이 차선을 벗어나는 것을 보완하는 기술),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설정된 속도로 차 간 거리를 유지하며 정속 주행하는 기술), 혼잡 구간 주행 지원 시스템(TJA)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량의 자율 주행에 있어서 이용되는 제어 모듈은 차량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차량을 제어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자율 주행에 이용되는 차량 정보는 여러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나,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전자 모듈이 손상된 경우 손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이 차량의 사고 발생 등의 상황에서도 특정 시간 영역의 차량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전자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메모리; 제2메모리; 다른 전자 모듈 및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기초로 저장 가능한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1 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1 종결 시점까지의 제1차량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2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2 종결 시점까지의 제2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2차량 정보를 상기 제1차량 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은, 자율 주행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및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이 획득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 제어방법은,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차량 정보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기초로 저장 가능한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1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1 종결 시점까지의 제1차량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2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2 종결 시점까지의 제2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차량 정보를 상기 제1차량 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은, 자율 주행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및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은, 자율 주행 차량이 차량의 사고 발생 등의 상황에서도 특정 시간 영역의 차량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 다른 전자 모듈 및 서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의 일부를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게이트웨이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b, 4c 및 4d는 도4a의 실제 구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100), 다른 전자 모듈(300, 400, 500) 및 서버(900)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모듈(100)은 차량(1)의 자율주행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기로 차량에 마련된 각종 센서의 신호를 받아 최적의 주행 경로를 결정하고 차량의 가감속, 제동, 조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로 3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차량이3차원에서 움직일 때 x축, y축, z축 방향의 가속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는 차량의 충격 정보를 계산하는 구성이면 센서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1)에 마련된 센서는 카메라, 레이더 및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차량의 모든 혹은 일부 전자 모듈(300, 400, 500) 을 연결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차량(1)에는 상술한 자율 주행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모듈 이외에 다른 전자 모듈(300, 400, 500)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마련된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전자 모듈 상호간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전자 모듈 상호간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900)는 차량 외부에 존재하고 차량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서버(900)는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또는 제어하거나,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1)에 마련된 전자 모듈은 서버와 여러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전자 모듈은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전자 모듈(100)은 이더넷 혹은 Flexray 혹은 CAN-FD 등과 같은 고속 통신망으로 게이트웨이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은 차량에 마련된 다수의 다른 전자 모듈과 고속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1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은 서버 및 차량에 마련된 전자 모듈 등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자 모듈, 서버 및 다른 전자 모듈이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이면 그 동작에 제한은 없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제1메모리(130) 및 제2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모리(130)는 차량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차량의 상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획득하는 차량 정보는 센서 신호, 차량 속도, 위치, 조향 정보 등과 같이 전자 모듈이 자율 주행에 필요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와 차량 외부 및 내부 카메라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요구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메모리(130)는 동적 램(DRAM), 정적 램(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메모리(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제1메모리(130)에 저장된 메모리를 전달 받아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상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및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정보를 유지하고 있어 전원이 공급되면 다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저장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메모리(140)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전자 모듈 및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에 마련된 통신부(110)는 직접적으로 다른 전자 모듈과 통신하거나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하여 다른 전자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 및 다른 전자 모듈과 통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상기 차량 정보를 제1메모리(130)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130)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고 시 상황을 기록하는 데이터 로거(data logg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는 데이터 축적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는 주행 중에 각종 센서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컴퓨터의 메모리 직접 회로에 일단 기억시켜 정지된 때에 출력하거나 텔레미터 시스템과 조합하여 주행 중에 읽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는 제어부(120)에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전자 모듈이 획득한 들어오는 차량 정보를 제1메모리(130)에 상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센서 신호, 차량 속도, 위치, 조향 정보 등과 같이 자율주행 제어기가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와 차량 외부/내부 카메라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시점까지의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30초 데이터와 이후 30초 데이터를 제2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정보를 상시적으로 제1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고, 상술한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제1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제2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전자 전자 모듈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은 상술한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하여 다른 전자 모듈에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전자 모듈에 마련된 통신부(110)를 통하여 서버에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게이트웨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이 획득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모듈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의 일부를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제1메모리에 저장되는 상시 차량 정보가 제2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상시 차량 정보 기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시 차량 정보(S31)를 제1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1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정보(S31)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사고 발생 등의 상황 발생 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다.
제어부는 사고 상황 등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제1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S32, S33)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한 시점(t1)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1 개시 시점(t11)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1 종결 시점(t12)까지의 제1차량 정보(S32)를 제2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한 시점(t1)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2 개시 시점(t21)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2 종결 시점(t22)까지의 제2차량 정보(S33)를 제2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개시 시점 부터 제2종결 시점까지 시간은 제1개시 시점 부터 제1종결 시점까지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차량 정보는 제1차량 정보에 비하여 단위 시간 당 프레임 및 해상도가 낮은 저장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한 시점 이전 30초 데이터와 이후 30초 차량 정보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차량 정보를 게이트웨이 모듈에 전달하고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미리 결정된 상황은 자율주행(HDP, Highway Driving Pilot) 성공 상황, 사고 위험 상황 및 시스템 이상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주행 성공 상황은 최초 자율주행 기능 활성화 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위험 상황은 에어백 전개 신호 발생 상황, 전방 추돌 경고 3번 이상 발생 및 제동 상황, 내부 로직 동작에 의한 경고시점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상황은 측면 충돌 위험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충돌 위험 발생 상황은 측면 충돌 및 제동시, 및 내부 로직에 의한 경고 시점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에게 제어권 이양을 가이드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상황은 MRM(Minimum Risk Maneuver및 EM(Emergency Manuver)을 수행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MRM(Minimum Risk Maneuver은 위험 최소화 전략으로 차로 내 정지 , 갓길 차량 이동 방식, 및 MRM 작동 후 4초 이내에 비상등 점멸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EM(Emergency Maneuver은 갑작스런 다른 도로 사용자와의 충돌 임박 상황 감지 및 운전자가 제어권을 전환 받을 시간이 너무 짧을 경우, 긴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상황은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은 운전자 개입 또는 해제가 없는 의도치 않은 조건에서의 자율 주행 시스템 해제, 자율주행에 의한 일정 이상의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가속 또는 감속 발생 상황, 자율주행에 의한 일정 이상의 과도한 스티어링 조작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 설명한 동작 및 미리 결정된 상황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특정 상황에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다른 전자 모듈 또는 서버로 전달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게이트웨이 모듈(200)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b, 4c 및 4d는 도4a의 실제 구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a에서는 차량에 마련된 다른 전자 모듈을 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차량에는 SJB(Smart Junction box, 42), SMK(Smart Key Module, 44), BCM(Body Control Module, 43), DDM(Driver Door Module, 41), ADM(Assist Door Module, 47), EPB(Electric Parking Brake, 48) 및 좌석 제어 모듈(Seat control, 45, 46)과 같은 다른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게이트웨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 정보를 다른 전자 모듈(41내지 48)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모듈은 게이트웨이 모듈(200)을 제어하여 차량 정보를 수신 받아 게이트웨이 모듈(200)에 연결된 전자 모듈(41내지 48)로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어떤 전자 모듈(41내지 48)이 데이터 기록 기능을 갖고 있는지 관계 없이 단순히 차량 정보를 전체에 송신하고, 각 전자 모듈은 기록 기능이 있을 경우 해당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각 전자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진단코드에 표시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모듈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다른 전자 모듈에 해당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게이트웨이 모듈(200)을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다른 전자 모듈(41내지 48)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ADM(Assist Door Module, 41)위치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자 모듈은 ADM(Assist Door Module, 41)위치를 판단하고 ADM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ADM을 차량 정보의 저장한 전자 모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모듈은 차량의 왼쪽에서 사고 등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왼쪽의 반대편인 오른쪽에 위치한 전자 모듈의 손상이 적을 것으로 판단하여, 오른쪽에 위치한 전자 모듈이 차량 정보의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모듈이 차량의 동서남북으로 나눠져 있고, 충돌위치에 기초하여 각 전자 모듈에 차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3과 도4a를 함께 참고하면, 전자 모듈이 다른 전자 모듈에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제2차량 정보를 먼저 송신하고 이어서 제1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차량 정보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ADM(Assist Door Module, 41)위치에 반대에 위치하는 DDM(Driver Door Module, 47)에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게이트웨이 모듈(200)을 제어하여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이 획득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41 내지 48)에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각 전자 모듈로 차량 정보를 보낼 때 차량 정보를 보내지 않고 수신하는 전자 모듈이 수신하지 않는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JB(Smart Junction box, 42)와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전자 모듈은 서라운드 뷰(Surround View)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모듈은 차량 정보를 게이트웨이 모듈(200)로 보내고, 게이트웨이 모듈(200)은 SJB(Smart Junction box)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서라운드 뷰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JB(Smart Junction box, 42)는 게이트웨이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직접 수신한 서라운드 뷰 영상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전자 모듈은 서라운드 뷰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 정보를 전송하므로서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하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전자 모듈은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1001).
차량은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시 데이터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1002). 또한 전자 모듈은 상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이 종료되지 않으면 다시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006).
미리 결정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차량 정보를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할 수 있고(1003),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자 모듈에 마련된 제2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1004), 차량 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1005).
한편, 전자 모듈의 차량 정보의 일부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차량 정보를 제1메모리에 상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이 종료되면 차량 정보의 저장을 중단할 수 있다(1006).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0 : 전자 모듈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제1메모리
130 : 제2메모리

Claims (10)

  1. 제1메모리;
    제2메모리;
    다른 전자 모듈 및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기초로 저장 가능한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1 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1 종결 시점까지의 제1차량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2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2 종결 시점까지의 제2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2차량 정보를 상기 제1차량 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전자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은,
    자율 주행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및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전자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이 획득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전자 모듈.
  7.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시 획득한 차량 정보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기초로 저장 가능한 상기 다른 전자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1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1 종결 시점까지의 제1차량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전 제2개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상황 발생 이후 제2 종결 시점까지의 제2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차량 정보를 상기 제1차량 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다른 전자 전자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은,
    자율 주행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및 시스템 고장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제어방법.



KR1020180171214A 2018-12-27 2018-12-27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KR20200084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14A KR20200084471A (ko) 2018-12-27 2018-12-27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US16/550,998 US11222488B2 (en) 2018-12-27 2019-08-26 Electronic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10872299.2A CN111391838A (zh) 2018-12-27 2019-09-16 电子模块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14A KR20200084471A (ko) 2018-12-27 2018-12-27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471A true KR20200084471A (ko) 2020-07-13

Family

ID=7112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214A KR20200084471A (ko) 2018-12-27 2018-12-27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2488B2 (ko)
KR (1) KR20200084471A (ko)
CN (1) CN1113918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4148B2 (en) 2018-06-18 2021-08-17 Micron Technology, Inc. Downloading system memory data in response to event detection
US11782605B2 (en) 2018-11-29 2023-10-10 Micron Technology, Inc. Wear leveling for non-volatile memory using data write counters
US11373466B2 (en) 2019-01-31 2022-06-28 Micron Technology, Inc. Data recorders of autonomous vehicles
US11410475B2 (en) 2019-01-31 2022-08-09 Micron Technology, Inc. Autonomous vehicle data recorders
CN113706741B (zh) * 2021-10-28 2021-12-28 江苏嘉胜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驾驶设备的汽车的数据记录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6696A1 (de) * 2000-09-21 2002-04-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zeichnen von Fahrzeugdaten
US7386376B2 (en) * 2002-01-25 2008-06-10 Intelligent Mechatronic Systems, Inc. Vehicle visual and non-visual data recording system
JP4613741B2 (ja) * 2005-08-05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US20070132773A1 (en) * 2005-12-08 2007-06-14 Smartdrive Systems Inc Multi-stage memory buffer and automatic transfers in vehicle event recording systems
KR101094213B1 (ko) * 2008-06-23 2011-12-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장치 및 그의 주행정보기록방법
US8219279B2 (en) * 2008-07-01 2012-07-10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 for on-board data backup for configurable programmable parameters
KR101288610B1 (ko) * 2008-07-24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장치 및 그의 주행정보기록방법
KR101107635B1 (ko) * 2010-06-10 2012-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사고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KR102048582B1 (ko) * 2012-09-27 2019-11-2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선 이탈 경고 및 블랙 박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20180085530A (ko)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만도 Adas를 위한 카메라 시스템과, 교차로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10846955B2 (en) * 2018-03-16 2020-11-24 Micron Technology, Inc. Black box data recorder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20190302766A1 (en) * 2018-03-28 2019-10-03 Micron Technology, Inc. Black Box Data Recorde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or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10636229B2 (en) * 2018-04-17 2020-04-28 Lyft, Inc. Black box with volatile memory caching
US11094148B2 (en) * 2018-06-18 2021-08-17 Micron Technology, Inc. Downloading system memory data in response to event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2488B2 (en) 2022-01-11
CN111391838A (zh) 2020-07-10
US20200211304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4471A (ko)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어방법
US10518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arking alert
JP6844642B2 (ja) 協働知覚のためのマルチレベルハイブリッドv2x通信
JP6690056B2 (ja) 自動連続車両の制御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
KR102417910B1 (ko) 군집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RU2643864C2 (ru) Бортовая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US201801134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S11206083B2 (en) O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180113451A1 (en) Work vehicle control system
JP2021031052A (ja) 自動運転車両及び自動運転車両用のシステム
KR2020008730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459293B2 (ja) 遠隔操作運転セッションを呼び出す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EP3664061A1 (en) Solution for controlling an at least partially autonomous vehicle
US20220158843A1 (en) Diagnostic over ip authentication
EP4002894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invoking a tele-operated driving session
JP6252462B2 (ja) 画像記録装置
CN114516326A (zh) 控制车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KR20200080395A (ko) 차량 시스템, 차량 시스템 제어방법 및 차량
US11449090B2 (en) Synchronizing sensing systems
US20240053744A1 (en)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Teleoperated Driving Session
US20220300403A1 (en) Isolated software testing in production vehicles
US20230324905A1 (en) Remote driv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20220402448A1 (en) Selective actuation of vehicle components using two control modules
JP715967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装置
US20230196848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