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165A -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165A
KR20200084165A KR1020190000231A KR20190000231A KR20200084165A KR 20200084165 A KR20200084165 A KR 20200084165A KR 1020190000231 A KR1020190000231 A KR 1020190000231A KR 20190000231 A KR20190000231 A KR 20190000231A KR 20200084165 A KR20200084165 A KR 2020008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ayout
display
processor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344B1 (ko
Inventor
견재기
고희진
곽현지
김선영
이승민
최유진
최정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44B1/ko
Priority to PCT/KR2019/017473 priority patent/WO2020141749A1/en
Priority to JP2021533191A priority patent/JP7116261B2/ja
Priority to CN201980082922.2A priority patent/CN113196791B/zh
Priority to US16/713,788 priority patent/US11290771B2/en
Priority to EP19219271.4A priority patent/EP3678379B1/en
Publication of KR2020008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65A/ko
Priority to US17/680,568 priority patent/US202201827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1 레이아웃 및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2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제1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 중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실의 어느 한 벽면에 배치되고,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TV 프로그램,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클 경우 상기 벽면을 여러 용도로 활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크면 상기 벽면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림을 함께 배치할 수 없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TV 프로그램과 같은 비디오 컨텐츠만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벽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용성은 감소할 수 있으며, 가정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1 레이아웃 및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2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제1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 중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배경을 형성하는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 중 일부는 제거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 중 나머지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출력할 경우 방송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출력할 경우 제2 레이아웃의 일부를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제1 레이아웃(113), 및/또는 제2 레이아웃(114)을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111)는 외부 장치(예: 셋탑 박스, 스마트 폰, 방속국)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로서, 예컨대, TV 프로그램, 영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테리어, 예술품, 장식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컨텐츠로서, 예컨대, 사진, 그림, 예술 작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레이아웃(113)은 방송 컨텐츠(111)의 배경을 형성하는 컨텐츠로서 방송 컨텐츠(111)를 둘러쌀 수 있다. 예컨대, 제1 레이아웃(113)은 방송 컨텐츠(111)를 둘러싸는 벽지 이미지(113a) 및 상기 벽지 이미지(113a) 상에 배치된 액자 이미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이아웃(114)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배경을 형성하는 컨텐츠로서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둘러쌀 수 있다. 예컨대, 제2 레이아웃(114)은 벽지 이미지(114a), 벽지 이미지(114a) 상에 배치된 액자 이미지(114b), 및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둘러싸는 테두리 이미지(114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레이아웃(113)과 제2 레이아웃(114)이 서로 다른 레이아웃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레이아웃(113)과 제2 레이아웃(114)은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remote controller)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버튼들(11, 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복수의 버튼들(11, 12, 13)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여러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리모콘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100a)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100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컨텐츠(111) 및 제1 레이아웃(113)을 출력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모드(100a)에서, 사용자(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TV 프로그램,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
제1 모드(100a)에서, 사용자(20)가 전체 화면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20)는 제3 버튼(13)을 통해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레이아웃(113)은 제거하고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111)가 확대되면 사용자(20)는 전체 화면을 통해 TV 프로그램,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버튼(11)은 TV 버튼, 제3 버튼(13)은 줌(zoom) 버튼으로 참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20)가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100b)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2 모드(100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모드(100b)에서, 사용자(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사진,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테리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20)가 전체 화면을 통해 사진, 그림 등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20)는 제3 버튼(13)(또는 줌 버튼)을 눌러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레이아웃(114) 중 테두리 이미지(114c)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는 삭제하고, 테두리 이미지(114c)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2 버튼(12)은 월(wall) 버튼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20)는 방송 컨텐츠(111)를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로,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방송 컨텐츠(111)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100a)에서 사용자(20)가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를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레이아웃(113)은 유지될 수도 있고, 제1 레이아웃(113)이 제2 레이아웃(114)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모드(100b)에서 사용자(20)가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방송 컨텐츠(111)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레이아웃(114)은 유지될 수도 있고, 제2 레이아웃(114)이 제1 레이아웃(113)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111)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TV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장식품, 예술 작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드웨어 구성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문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 프로세서(140), 조도 센서(150), 근접 센서(160), 및 스피커(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111) 및/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110)는 세탑 박스로부터 TV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도 있고, 스마트 폰, 카메라 등으로부터 사진, 동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 통신 회로(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참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방송 컨텐츠(111),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제1 레이아웃(113), 및/또는 제2 레이아웃(114)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20)는 통신 회로(110)에서 수신한 TV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스마트 폰, 카메라 등으로부터 수신한 사진,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20)는 도 1에 도시된 제1 레이아웃(113) 및 제2 레이아웃(114)을 저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방송 컨텐츠(111),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제1 레이아웃(113), 및/또는 제2 레이아웃(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는 방송 컨텐츠(111)와 제1 레이아웃(113)을 출력할 수도 있고,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와 제2 레이아웃(114)을 출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111)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1 레이아웃(113)을 제거하거나, 제2 레이아웃(114)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컨텐츠(111)를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로,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방송 컨텐츠(111)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조도 센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조도 값은 프로세서(140)로 전송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조도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도 값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TV 등을 시청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감소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근접 센서(160)는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인접한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2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는 프로세서(140)로 전송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2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20)가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가까운 거리에서 감상할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피커(170)는 각종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방송 컨텐츠(111)가 출력되고 있을 경우 스피커(170)는 방송 컨텐츠(111)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TV 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을 경우 스피커(170)는 대사, OST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가 출력되고 있을 경우 지정된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림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될 경우 스피커(170)는 상기 그림에 대응하는 클래식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100a)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 및 제1 레이아웃(113)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 및 제1 레이아웃(113)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100a)에서 사용자(20)가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111)의 카테고리에는 TV 프로그램, 영화,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가 영화일 경우 세부 항목들에는 토르, 아이언 맨, 가을의 전설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카테고리가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세부 항목들에는 유투브, 넷플릭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및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동작 31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세부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토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예: 세탑 박스)로부터 토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1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15에서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3 버튼(1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레이아웃(113)은 제거하고,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방송 컨텐츠(111)를 감상할 수 있다.
동작 319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를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15에서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를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레이아웃(113)은 유지될 수도 있고, 제1 레이아웃(113)이 제2 레이아웃(114)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동작 32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19에서 제1 레이아웃(113)이 제2 레이아웃(114)으로 변경되고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3 버튼(1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예: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감상할 수 있다.
동작 32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100b)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2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모드(100b)에서 사용자(20)가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에는 그림, 사진, 미디어 아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가 그림일 경우 세부 항목들은 모나리자, 해바라기일 수 있고, 카테고리가 사진일 경우 세부 항목들은 자연 경관, 가족 사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다양한 형태의 레이아웃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레이아웃(113) 및/또는 제2 레이아웃(114)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 및 세부 항목, 제2 레이아웃(114)의 형태가 선택되면, 동작 32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레이아웃(114)에 세부 항목을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가족 사진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레이아웃(114)에 가족 사진을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2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25에서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3 버튼(1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 및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감상할 수 있다.
동작 329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방송 컨텐츠(111)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25에서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를 방송 컨텐츠(111)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레이아웃(114)은 유지될 수도 있고, 제2 레이아웃(114)이 제1 레이아웃(113)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동작 31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329에서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제3 버튼(1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레이아웃(113) 또는 제2 레이아웃(114)은 제거하고, 방송 컨텐츠(11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0)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방송 컨텐츠(111)를 감상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작 311 및 313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2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방송 컨텐츠(111)의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100a)에서, 사용자(20)가 제1 버튼(1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에는 방송 컨텐츠(111)의 카테고리들(410)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20)는 상기 카테고리들(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는 TV 프로그램, 영화,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111)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사용자(2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방송 컨텐츠(111)의 세부 항목들(4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가 TV 프로그램일 경우 사용자(20)는 스포츠 채널, 오락 프로그램 채널, 드라마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부 항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제1 영역(400a)과 제2 영역(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00a)은 카테고리들(410) 및 세부 항목들(420)이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400b)은 사용자(20)가 선택한 세부 항목이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400b)에는 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이미지(430)가 출력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동작 321 및 323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모드(100b)에서, 사용자(20)가 제2 버튼(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들(510)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20)는 상기 카테고리들(5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는 그림, 사진, 미디어 아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사용자(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112)의 세부 항목들(5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가 그림일 경우 사용자(20)는 제1 그림(510), 제2 그림(520), 제3 그림(530), 및 제4 그림(5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부 항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제1 레이아웃(113) 및/또는 제2 레이아웃(114)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제a 레이아웃(531), 제b 레이아웃(532), 제c 레이아웃(533), 및 제d 레이아웃(5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a 레이아웃(531), 제b 레이아웃(532), 제c 레이아웃(533), 및 제d 레이아웃(534)에 포함되는 배경 이미지의 색깔, 액자 이미지의 배치 등은 각각 다를 수 있다. 제a 레이아웃(531), 제b 레이아웃(532), 제c 레이아웃(533), 및 제d 레이아웃(53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레이아웃에 세부 항목을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제1 영역(500a)과 제2 영역(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500a)은 카테고리들(510), 세부 항목들(520), 및 레이아웃들(530)의 형태가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500b)은 사용자(20)가 선택한 세부 항목이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500b)에는 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이미지(540)가 출력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출력할 경우 방송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방송 컨텐츠(11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된 방송 컨텐츠(111) 주변에는 제1 레이아웃(113)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레이아웃(113) 상에는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610)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음성 입력 버튼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1 레이아웃(113) 상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콘(6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6에서는 음성 입력 기능이 실행될 때 방송 컨텐츠(111)가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자막 재생, 화면 밝기 조절, 블루투스 연결 기능 등이 실행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111)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61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출력할 경우 제2 레이아웃의 일부를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100b)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를 제거시킬 수 있다. 일부가 제거된 제2 레이아웃(114)이 상에는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710)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가 원격 제어 장치(10) 상의 음성 입력 버튼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예: 액자 이미지(114b), 테두리 이미지(114c))를 제거하고, 제2 레이아웃(114) 상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콘(7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음성 입력 기능이 실행될 때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자막 재생, 화면 밝기 조절, 블루투스 연결 기능 등이 실행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레이아웃(114)의 일부(예: 액자 이미지(114b), 테두리 이미지(114c))를 제거하고, 제2 레이아웃(114) 상에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710)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1 레이아웃 및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2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제1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 중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방송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레이아웃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에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어두우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레이아웃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테두리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배경을 형성하는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 중 일부는 제거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 중 나머지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이아웃은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테두리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탑 박스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방송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어두우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면, TV,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1 레이아웃 및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제2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제1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 중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방송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레이아웃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이아웃에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어두우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제2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아웃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테두리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의 배경을 형성하는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을 제거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 중 일부는 제거하고,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 중 나머지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은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둘러싸는 테두리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두리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세탑 박스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방송 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미리 설정된 밝기보다 어두우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인테리어 기능을 위한 컨텐츠 및 상기 레이아웃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00231A 2019-01-02 2019-01-02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31A KR102580344B1 (ko) 2019-01-02 2019-01-02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9/017473 WO2020141749A1 (en) 2019-01-02 2019-12-11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JP2021533191A JP7116261B2 (ja) 2019-01-02 2019-12-11 様々なタイプのコンテンツを出力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980082922.2A CN113196791B (zh) 2019-01-02 2019-12-11 用于显示各种类型的内容的显示设备
US16/713,788 US11290771B2 (en) 2019-01-02 2019-12-13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EP19219271.4A EP3678379B1 (en) 2019-01-02 2019-12-23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US17/680,568 US20220182707A1 (en) 2019-01-02 2022-02-25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31A KR102580344B1 (ko) 2019-01-02 2019-01-02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65A true KR20200084165A (ko) 2020-07-10
KR102580344B1 KR102580344B1 (ko) 2023-09-19

Family

ID=6900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31A KR102580344B1 (ko) 2019-01-02 2019-01-02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290771B2 (ko)
EP (1) EP3678379B1 (ko)
JP (1) JP7116261B2 (ko)
KR (1) KR102580344B1 (ko)
CN (1) CN113196791B (ko)
WO (1) WO2020141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790S1 (en) * 2018-08-30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0681S1 (en) * 2018-12-18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4804A1 (en) * 2002-06-19 2003-12-25 Parker Kathryn L.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a computer from a distance
US20100023969A1 (en) * 2008-07-25 2010-01-2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Digital photo frame capable of automatically entering and switching operational modes and method thereof
KR20150044167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079A (en) 1975-03-31 1976-11-30 Simone Mirman Limited Display device, particularly suitable for interior designs
EP1675392A3 (en) * 1996-03-15 2009-09-09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and related text
US5917488A (en) * 1996-08-21 1999-06-29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manipulating image data sets
WO2004051990A1 (ja) * 2002-11-29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2005123775A (ja) * 2003-10-15 2005-05-12 Sony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54877B1 (ko) * 2005-02-14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Tv 및 tv의 wpss 모드 설정방법
JP4774940B2 (ja) * 2005-11-14 2011-09-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665033B2 (en) 2006-08-31 2010-02-16 Sun Microsystems, Inc. Using a zooming effect to provide additional display space for managing applications
KR101469520B1 (ko) * 2008-06-13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134324A1 (en) * 2008-08-26 2011-06-09 Sharp Kabushiki Kaisha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driving television receiver
CN101662622B (zh) * 2008-08-28 2012-05-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画中画显示功能的电子相框及方法
JP2010176786A (ja) * 2009-01-05 2010-08-12 Panasonic Corp コントローラ、録画機器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
JP4564569B2 (ja) * 2009-02-27 2010-10-20 株式会社東芝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5308509B2 (ja) * 2011-04-15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ニュー画面の表示制御方法
JP2014106837A (ja) * 2012-11-29 2014-06-0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11222613B2 (en) 2014-03-31 2022-01-11 Meural, Inc. System and method for output display generation based on ambient conditions
CN106133643B (zh) 2014-04-07 2020-10-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用户距离调节显示器亮度
US20180275856A1 (en) 2017-03-23 2018-09-27 Viz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zooming a selected portion of the graphics layer of a display screen
KR102440157B1 (ko) * 2017-12-29 202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4804A1 (en) * 2002-06-19 2003-12-25 Parker Kathryn L.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a computer from a distance
US20100023969A1 (en) * 2008-07-25 2010-01-2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Digital photo frame capable of automatically entering and switching operational modes and method thereof
KR20150044167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2473A (ja) 2022-02-04
US20200213660A1 (en) 2020-07-02
EP3678379A1 (en) 2020-07-08
US11290771B2 (en) 2022-03-29
KR102580344B1 (ko) 2023-09-19
CN113196791B (zh) 2023-11-14
CN113196791A (zh) 2021-07-30
US20220182707A1 (en) 2022-06-09
JP7116261B2 (ja) 2022-08-09
WO2020141749A1 (en) 2020-07-09
EP3678379B1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2449229B (zh) 一种音画同步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2012003062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20182707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CN112073865B (zh) 蓝牙耳机的音量设置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1510788B (zh)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073788B (zh)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显示设备
US20160300595A1 (en) Playback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12073795B (zh)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显示设备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1464840A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屏幕亮度的调节方法
CN113115083A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102545215B1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073663B (zh) 音频增益调节方法、视频聊天方法及显示设备
CN113132769A (zh) 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CN113448529B (zh) 显示设备和音量调节方法
CN112911354B (zh) 显示设备和声音控制方法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KR102168340B1 (ko) 영상 표시 기기
CN112073803B (zh) 一种声音再现方法及显示设备
US20210227288A1 (e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2071338A (zh) 一种录音控制方法、装置和显示设备
CN104284113B (zh) 视频数据显示系统以及视频数据显示方法
EP4235640A1 (en) Display device
CN113448530A (zh) 显示设备和音量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