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891A -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91A
KR20200083891A KR1020190016042A KR20190016042A KR20200083891A KR 20200083891 A KR20200083891 A KR 20200083891A KR 1020190016042 A KR1020190016042 A KR 1020190016042A KR 20190016042 A KR20190016042 A KR 20190016042A KR 20200083891 A KR20200083891 A KR 2020008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ain values
data
sound data
l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079B1 (ko
Inventor
원병희
곽진오
조성찬
안이준
이재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78,64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53275B2/en
Priority to CN201911307686.8A priority patent/CN111381799B/zh
Publication of KR2020008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영상의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복수의 음향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METHOD FOR PROVIDING SOUND MATCHING WITH DISPLAY IMAGE}
본 발명은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최근에는 고품질 및 고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실감 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영상의 물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실감 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소들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압 범위를 늘릴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영상의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복수의 음향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중에서 A(A는 1≤A≤X-1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에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는 B(B는 A≤B≤X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에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서 제1A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1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서 제1B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2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 제1A 게인 값이 적용된 제1 음향 데이터를 제1 음향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 제1B 게인 값이 적용된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음향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 제2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A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제1 객체가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에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A 게인 값은 상기 제1B 게인 값보다 클 수 있다.
상기 B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제1 객체가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에서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B 게인 값은 상기 제1A 게인 값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중앙의 화소 좌표, 또는 상기 제1 객체의 가장 일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를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의 배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상기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상기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제1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제2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며,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게인 값들은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게인 값들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A 게인 값과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A 게인 값의 평균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1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B 게인 값과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B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2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A 음향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제2 게인 값들이 적용된 B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A 게인 값을 상기 A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B 게인 값을 상기 A 음향 데이터의 제2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A 게인 값을 상기 B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B 게인 값을 상기 B 음향 데이터의 제2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영상 음향 연계부, 및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음향 구동부를 구비한다.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2 게인 값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의 배경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하는 시청 거리 산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제2 룩-업 테이블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제1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제2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의 상기 제1 게인 값들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음향 데이터에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한 게인 값들을 적용함으로써, 객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음향 발생 장치들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객체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객체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제1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A 음향 데이터와 제2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B 음향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이로 인해,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출력된 제1 게인 값들을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제2 객체의 위치에 따라 출력된 제2 게인 값들을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와 제2 객체에 따라 제1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과 제2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3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8b 및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a는 제1 시청거리에서 화소의 좌표에 따른 제1 내지 제4 게인 값들이 저장된 제1 룩-업 테이블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0b는 제2 시청거리에서 화소의 좌표에 따른 제1 내지 제4 게인 값들이 저장된 제2 룩-업 테이블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표시 패널의 화소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의 화소 좌표 산출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A 프레임, B 프레임, 및 C 프레임에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A 프레임, B 프레임, 및 C 프레임에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7은 도 2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2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표시 패널이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모두 표시하는 경우, 제1 객체만을 표시하는 경우, 제2 객체만을 표시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세트 커버(100), 표시 패널(110), 소스 구동부(121)들, 연성 필름(122)들, 소스 회로 보드(140)들, 케이블(150)들, 제어 회로 보드(160), 타이밍 제어부(170), 영상 음향 연계부(171), 메모리(172), 룩-업 테이블(173), 하부 커버(180),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전파 차단 부재들(310, 320, 330), 및 카메라 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제2 기판(112)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하부 커버(18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11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 “우”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세트 커버(100)는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트 커버(100)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트 커버(100)는 도 2와 같이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는 표시 패널(110)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덮고, 하부 세트 커버(102)는 표시 패널(110)의 하면과 측면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과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의 상면에는 카메라 장치(400)를 노출하기 위한 카메라 홀(C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카메라 홀(CH)이 상부 세트 커버(101)의 상 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홀(CH)은 상부 세트 커버(101)의 좌측, 우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10)은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도 2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시 패널(110)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은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유리, 플라스틱,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은 복수의 무기막들이 적층된 필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10과 같이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광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및 박막 봉지층(TFEL)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제2 기판(112)은 광 파장 변환층(QDL)과 컬러필터층(CFL)이 형성되는 컬러필터 기판이며, 제1 기판(111)의 박막 봉지층(TFEL)과 제2 기판(112)의 광 파장 변환층(QDL) 사이에는 충진재(FL)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광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 측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부착되며, 타 측은 소스 회로 보드(1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11)의 크기가 제2 기판(11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기판(111)의 일 측은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기판(111)의 일 측에는 연성 필름(122)들이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제1 기판(111)의 일면과 소스 회로 보드(1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일면은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1)의 타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 필름(122)들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하부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스 회로 보드(140)들, 케이블(150)들, 및 제어 회로 보드(160)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8 개의 연성 필름(122)들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연성 필름(122)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면 상에는 소스 구동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소스 구동부(121)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 구동부(121)들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170)의 소스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연성 필름(122)을 통해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케이블(150)들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1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은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150)들은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케이블(150)들을 통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 보드(160)는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1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4 개의 케이블(150)들이 소스 회로 보드(140)들과 제어 회로 보드(160)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케이블(15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2 개의 소스 회로 보드(140)들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소스 회로 보드(14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170), 영상 음향 연계부(171), 메모리(172), 및 룩-업 테이블(173)이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집적 회로(IC)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메모리(17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소스 구동부(121)들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제어 신호를 소스 구동부(121)들로 출력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은 다른 연성 케이블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되는 시스템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집적 회로(IC)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은 스마트 TV의 프로세서(processor),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그래픽 카드, 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시스템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메모리(17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또한,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시스템 온 칩으로부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룩-업 테이블(173)로부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따라 제1 게인 값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음향 구동부(174)로 출력한다.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게인 값들은 제1 객체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사이의 거리, 제1 객체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사이의 거리, 제1 객체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사이의 거리, 및 제1 객체와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들을 조정하기 위한 값들일 수 있다.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에 의해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의 조합은 사용자에게 제1 객체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제1 게인 값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6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한 제1 게인 값들을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제1 객체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 객체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의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과 도 12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메모리(172)는 시스템 온 칩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메모리(172)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72)는 수 초 동안 표시 패널(110)이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2)는 레지스터(register), S램(SRAM), 및 D램(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72)는 타이밍 제어부(170)와 영상 음향 연계부(171)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룩-업 테이블(173)은 표시 패널(110)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이 저장된 메모리일 수 있다. 룩-업 테이블(173)은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입력 받고,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73)은 EEPROM과 플래쉬 메모리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음향 구동부(174)는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부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음향 구동부(174)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구동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구동부(174)는 제1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74)는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74)는 제3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구동하기 위한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3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74)는 제4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4A 구동 전압과 제4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4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전원 공급 회로가 추가로 접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시스템 회로 보드로부터 인가되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들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회로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및 초기화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회로는 소스 구동부(121)들, 타이밍 제어부(170)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원 공급 회로는 제어 회로 보드(160) 외에 별도로 형성되는 전원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는 하부 커버(18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80)는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의 일면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폼(foam)과 같은 완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하부 커버(180)는 금속 또는 강화 유리일 수 있다.
하부 커버(180)에는 제1 내지 제4 홀들(H1, H2, H3, H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홀들(H1, H2, H3, H4)은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각각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의 높이가 제1 기판(111)과 하부 커버(180) 사이의 거리보다 높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하부 커버(18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홀들(H1, H2, H3, H4)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홀(H1)에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2 홀(H2)에 배치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3 홀(H3)에 배치되고,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는 제4 홀(H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 사이에는 방열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방열 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필름은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방열 필름은 열 전도율이 높은 그라파이트(graphite), 은(Ag),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필름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표시 패널(110)을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 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 각각은 제1 기판(11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2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20, 230, 240)에 비해 제1 기판(111)의 제1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1 모서리는 제1 기판(111)의 좌상측 모서리일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1, 제3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30, 240)에 비해 제1 기판(111)의 제2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2 모서리는 제1 기판(111)의 우상측 모서리일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1, 제2,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40)에 비해 제1 기판(111)의 제3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3 모서리는 제1 기판(111)의 좌하측 모서리일 수 있다.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는 제2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20, 230, 240)에 비해 제1 기판(111)의 제4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4 모서리는 제1 기판(111)의 우하측 모서리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 외에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 각각은 음향 회로 보드를 통해 음향 구동부(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 전파 차단 부재(310)는 제1 기판(111)의 가장자리를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파 차단 부재(32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1)의 일면을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전파 차단 부재(321)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전파 차단 부재(310)와 접하고, 타단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접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일면의 상측 영역은 제3 전파 차단 부재(321)에 의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4 전파 차단 부재(32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전파 차단 부재(310)와 접하고, 타단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접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일면의 하측 영역은 제4 전파 차단 부재(322)에 의해 제3 영역(A3)과 제4 영역(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전파 차단 부재들(310, 320, 321, 322)에 의해 제1 기판(111)의 일면은 제1 내지 제4 영역들(A1, A2, A3, A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은 제1 내지 제4 영역들(A1, A2, A3, A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3 영역(A3)에 배치되며,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는 제4 영역(A4)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제3 전파 차단 부재(321)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 내지 제4 영역들(A2, A3, A4)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제3 전파 차단 부재(321)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 제3, 및 제4 영역들(A1, A3, A4)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제4 전파 차단 부재(322)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 제2, 및 제4 영역들(A1, A2, A4)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제4 음향 발생 장치(24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제2 전파 차단 부재(320)와 제4 전파 차단 부재(322)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 내지 제3 영역들(A1, A2, A3)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표시 장치(10)가 4 개의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도 4와 같이 15 개의 음향 발생 장치들(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11)의 일면은 전파 차단 부재들(310, 340, 350, 360, 370, 380, 390)에 의해 15 개의 영역들(A1~A15)로 구분될 수 있으며, 15개의 음향 발생 장치들(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30, 240)은 15 개의 영역들(A1~A15)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표시 장치(10)의 음향 발생 장치들의 최소 개수는 2 개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0)의 면적이 클수록 음향 발생 장치들의 개수는 많아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 각각은 도 5,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 각각은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상부 세트 커버(101)의 카메라 홀(CH)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 장치(400)는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의 배경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CMOS 이미지 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CCD 이미지 센서(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시스템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그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시스템 회로 보드로 출력하며, 시스템 회로 보드에는 카메라 장치(4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청거리를 산출하는 시청 거리 산출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사용자의 시청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ID)를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며, 이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로 인하여, 종래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일 측에 배치되던 별도의 스피커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한 제1 게인 값들을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객체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객체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가 복수의 소스 구동부(121)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표시 장치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하나의 소스 구동부(121)를 포함하는 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필름(122)들과 소스 회로 보드(140)들, 및 케이블(150)들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소스 구동부(121)와 타이밍 제어부(170)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통합되어 하나의 연성 회로 보드 상에 접착되거나,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중대형 표시 장치의 예로는 모니터, TV 등이 있으며, 소형 표시 장치의 예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는 도 3의 Ⅰ-Ⅰ’의 단면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마그넷(magnet, 211), 보빈(212), 제1 보이스 코일(213), 댐퍼(214), 및 하부 플레이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은 영구 자석으로,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의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은 플레이트(211a), 플레이트(211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중앙 돌출부(211b), 및 플레이트(211a)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측벽부(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211)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원기둥의 어느 한 밑면에는 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는 N극의 자성을 갖고, 플레이트(211a)와 측벽부(211c)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와 플레이트(211b) 사이와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외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의 내부에는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212)은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212)의 외부에는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는 보빈(2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 사이와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보빈(212)을 지지하기 위한 보빈 베이스(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베이스(212a)는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방열 필름(113)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방열 필름(113)이 생략되는 경우, 보빈 베이스(212a)는 제1 기판(111)에 접착될 수 있다.
보빈(212)과 보빈 베이스(212a)는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213)은 보빈(212)의 외주면에 권취(또는 권선)될 수 있다. 보빈(212)의 일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213)의 일 단은 제1A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보빈(212)의 타 단에 인접한 제1 보이스 코일(213)의 타 단은 제1B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A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1B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1A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1B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제1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의 N극과 S극은 변경되며, 이로 인해 제1 마그넷(211)과 제1 보이스 코일(213)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보이스 코일(213)이 권취된 보빈(212)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과 방열 필름(113)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측 일부와 제1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 사이에 배치된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12)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14)가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에 연결되기 때문에 보빈(212)의 상하 운동은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12)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12)은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1 마그넷(2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1 마그넷(2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마그넷(211)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가 제1 마그넷(211)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마그넷(211)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215)에 접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216)를 통해 회로 보드(19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의 제1 마그넷(211)은 회로 보드(190)에 고정될 수 있다.
회로 보드(190)는 하부 커버(180) 상에 배치되며, 하부 커버(18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회로 보드(190)는 제어 회로 보드(160), 시스템 회로 보드, 전원 회로 보드 또는 더미 회로 보드일 수 있다. 더미 회로 보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이외에 다른 회로가 배치되지 않는 회로 보드를 가리킨다. 회로 보드(190)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이 경우, 회로 보드(190)에는 하부 커버(180)의 제1 홀(H1)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의 제1 마그넷(211)과 하부 플레이트(215)가 회로 보드(190)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의 제1 마그넷(211)과 하부 플레이트(215)는 회로 보드(190) 대신에 하부 커버(18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각각은 도 5, 도 6a, 및 도 6b를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8b 및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7, 도 8b, 및 도 8c에는 도 3의 Ⅰ-Ⅰ’의 단면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방열 필름(113)에 접착될 수 있으며, 방열 필름(113)이 생략되는 경우 제1 기판(111)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진동층(511),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12)은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1 가지 전극(51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2 줄기 전극(5131)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다른 일 측면에 배치되거나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줄기 전극(5131)이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제1 줄기 전극(5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2 줄기 전극(5131)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평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음향 회로 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의 하면 상에 배치된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에 인가된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변형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진동층(511)의 제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녹는점이 높은 은(Ag) 또는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의 녹는점을 높이기 위해,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이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은(Ag)의 함량이 팔라듐(Pd)의 함량보다 높을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지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진다. 또한, 도 8a에서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지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진다.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이용하여 진동층(511)에 전계를 가하는 폴링(poling) 공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8a와 같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1 힘(F1)은 수축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2 힘(F2)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신장력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수축력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2 힘(F2)은 수축력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512)에 인가되는 제2A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B 구동 전압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진동하게 된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가 방열 필름(113)의 일면에 배치되므로,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의 진동층(511)이 수축과 팽창하는 경우, 표시 패널(110)은 도 8b 및 도 8c와 같이 응력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이 진동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각각은 도 7, 도 8a 내지 도 8c를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130), 타이밍 제어부(170), 영상 음향 연계부(171), 메모리(172),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음향 구동부(174), 시스템 온 칩(175),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카메라 장치(400), 및 시청 거리 산출부(41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PX)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 패널(110)은 데이터 라인들(D1~Dm, m은 2 이상의 정수), 데이터 라인들(D1~Dm)과 교차는 스캔 라인들(S1~Sn, n은 2 이상의 정수), 및 데이터 라인들(D1~Dm) 중 어느 하나와 스캔 라인들(S1~Sn)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된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은 제1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1 전원전압 라인들, 제1 전원전압보다 낮은 제2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 전원전압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소(PX)들은 제1 전원전압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제2 전원전압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PX)들 각각은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화소(PX)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복수의 소스 구동부(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와 소스 제어 신호(DCS)를 입력 받는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소스 제어 신호(DCS)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D1~Dm)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입력 받는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의 스캔 라인들(S1~Sn)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부(13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 필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메모리(17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입력 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 신호(DCS)와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SCS)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소스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출력하고, 스캔 제어 신호(SCS)를 스캔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메모리(172)로부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입력 받고,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를 입력 받는다. 또한,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시청 거리 산출부(410)로부터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ID)를 입력 받는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분석하여 제1 객체를 산출하고, 표시 영상에서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의 화소 좌표(PC)를 산출한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정보 데이터(ID)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제1 객체의 화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에 따라 제1 게인 값들(G1)을 제공받는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 각각에 제1 게인 값들(G1)을 적용한다. 제1 게인 값들(G1)은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적용되는 제1A 게인 값,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적용되는 제1B 게인 값,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적용되는 제1C 게인 값,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적용되는 제1D 게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제1A 게인 값이 적용된 제1 음향 데이터(GSD1), 제1B 게인 값이 적용된 제2 음향 데이터(GSD2), 제1C 게인 값이 적용된 제3 음향 데이터(GSD3), 및 제1D 게인 값이 적용된 제4 음향 데이터(GSD4)를 음향 구동부(174)로 출력한다.
메모리(172)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입력 받는다. 메모리(172)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72)는 수 초 동안 표시 패널(110)이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2)는 레지스터(register), S램(SRAM), 및 D램(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72)는 타이밍 제어부(170)와 영상 음향 연계부(171)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수의 룩-업 테이블(173)들 각각은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화소 좌표(PC)들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이 저장된 메모리일 수 있다. 화소 좌표(PC)들 각각은 (x, y)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UHD(ultra-high definition) 해상도를 갖는 경우, 표시 패널(110)은 3840×2160 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룩-업 테이블(173)들 각각은, (1,1) 내지 (3840, 2160)의 화소 좌표(PC)에 따른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을 저장할 수 있다. A 게인 값(GA)은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적용될 게인 값이고, B 게인 값(GB)은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적용될 게인 값이며, C 게인 값(GC)은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적용될 게인 값이고, D 게인 값은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적용될 게인 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은 달라지므로, 복수의 룩-업 테이블(173)들 각각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룩-업 테이블(173)들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화소 좌표(PC)들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이 저장된 제1 룩-업 테이블(173a)과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화소 좌표(PC)들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이 저장된 제2 룩-업 테이블(17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룩-업 테이블(173a)에서 화소 좌표(PC)들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과 제2 룩-업 테이블(173b)에서 화소 좌표(PC)들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들, B 게인 값(GB)들, C 게인 값(GC)들, 및 D 게인 값(GD)들은 상이할 수 있다.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정보 데이터(ID)에 포함된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173)들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를 출력한다. 선택된 룩-업 테이블은 화소 좌표 데이터(PCD)의 화소 좌표(PC)에 대응하는 A 게인 값(GA), B 게인 값(GB), C 게인 값(GC), 및 D 게인 값(GD)을 제1 게인 값들(GD1)의 제1A 게인 값, 제1B 게인 값, 제1C 게인 값, 및 제1D 게인 값으로 산출하여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부터 제1A 게인 값이 적용된 제1 음향 데이터(GSD1), 제1B 게인 값이 적용된 제2 음향 데이터(GSD2), 제1C 게인 값이 적용된 제3 음향 데이터(GSD3), 및 제1D 게인 값이 적용된 제4 음향 데이터(GSD4)를 입력 받는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1 음향 데이터(GSD1)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음향 신호(SS1)로 변환하여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2 음향 데이터(GSD2)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음향 신호(SS2)로 변환하여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3 음향 데이터(GSD3)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3 음향 신호(SS3)로 변환하여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4 음향 데이터(GSD4)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4 음향 신호(SS4)로 변환하여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음향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내지 제4 음향 신호들 각각의 구동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제1 내지 제4 음향 신호들 각각의 구동 전압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신호들 각각의 구동 전압들은 정극성 구동 전압과 부극성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75)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의 해상도를 표시 패널(110)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75)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메모리(172)로 출력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75)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표시 장치(10)의 음향 발생 장치들의 개수와 위치에 맞춰 재배치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스템 온 칩(175)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온 칩(175)은 좌측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10)의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1)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구동하기 위한 제3 음향 데이터(SD3)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75)은 우측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10)의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음향 데이터(SD2)와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4 음향 데이터(SD4)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75)은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를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음향 신호(SS1)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2 음향 신호(SS2)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2 영역(A2)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3 음향 신호(SS3)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3 영역(A3)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는 제4 음향 신호(SS4)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4 영역(A4)을 진동하여 제4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400)는 표시 장치(10)의 전면의 배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IM)를 시청 거리 산출부(410)로 출력할 수 있다.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촬영된 이미지(IM)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촬영된 이미지(IM)에서 물체의 에지를 검출하고, 물체의 에지 형태가 미리 저장된 형태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head)로 판단할 수 있다.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촬영된 이미지(IM)에서 사용자의 머리로 판단된 물체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사용자의 머리로 판단된 물체의 크기가 표시 장치(10)의 전면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서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머리로 판단된 물체의 위치가 표시 장치(10)의 전면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가깝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사용자의 머리로 판단된 물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청 거리 산출부(410)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가 포함된 정보 데이터(ID)를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한 제1 게인 값들을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객체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객체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표시 패널의 화소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제2 기판(112),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파장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는 버퍼막(30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11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335)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302)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게이트 절연막(336), 층간 절연막(337), 보호막(338), 및 평탄화막(339)을 포함한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5)는 액티브층(331), 게이트전극(332), 소스전극(333) 및 드레인전극(334)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게이트(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하부에 위치하는 보텀 게이트(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액티브층(33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33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331) 사이에는 액티브층(33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33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3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 상에는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337)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 상에는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과 드레인전극(33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336)과 층간 절연막(337)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33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3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339)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339)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는 발광 소자층(EML)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들, 및 캐소드 전극(343)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보호막(338)과 평탄화막(33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35)의 소스전극(333)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339) 상에서 애노드 전극(34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PX)들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화소(PX)들 각각은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 및 캐소드 전극(3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애노드 전극(341)으로부터의 정공과 캐소드 전극(34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34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애노드 전극(341)과 화소 정의막(344) 상에는 발광층(342)들이 형성된다. 발광층(342)은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342)은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450㎚ 내지 490㎚일 수 있으며, 자외선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450㎚보다 작을 수 있다. 발광층(342)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 파장 변환층(QDL), 및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각각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34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34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은 발광층(34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343)은 발광층(34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제2 기판(112)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또한, 캐소드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상에는 봉지막(345)이 형성된다. 봉지막(345)은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막(345)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막(345)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막(345)을 뚫고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마주보는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컬러필터층(CFL)이 배치된다. 컬러필터층(CFL)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컬러필터들(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360)가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지 않고, 화소 정의막(344)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단할 수 있는 블랙 염료를 포함하거나 불투명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371)들은 제1 서브 화소(PX1)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2 컬러필터(372)들은 제2 서브 화소(PX2)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며, 제3 컬러필터(373)들은 제3 서브 화소(PX3)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는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색의 광 투과 필터이고, 제2 컬러필터(372)는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색의 광 투과 필터이며, 제3 컬러필터(373)는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3 색의 광 투과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은 적색, 제2 색은 녹색,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한 적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620㎚ 내지 750㎚이고,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한 녹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500㎚ 내지 570㎚이며,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한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450㎚ 내지 490㎚일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컬러필터들의 중첩 영역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중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광이 인접한 서브 화소의 컬러필터로 진행하여 발생하는 혼색이 블랙 매트릭스(36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 상에는 컬러필터들(370)과 블랙 매트릭스(360)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해 오버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은 생략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 상에는 파장 변환층(QDL)이 배치된다. 파장 변환층(QDL)은 제1 캡핑층(351),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제2 캡핑층(355), 층간 유기막(356), 및 제3 캡핑층(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컬러필터층(C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컬러필터층(CFL)을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캡핑층(351)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 상에는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베이스 수지, 제1 파장 시프터(shifter), 및 제1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는 광 투과율이 높고, 제1 파장 시프터와 제1 산란체에 대한 분산 특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 광의 파장 범위를 변환 또는 시프트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quantum dot),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일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인 경우,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로서 그의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 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된 광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시프터는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코어를 이루는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쉘은 상기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여 반도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 역할 및/또는 양자점에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전층(charging lay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쉘은 단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며, 쉘의 예로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베이스 수지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규소(S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또는, 제1 산란체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와 같은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을 랜덤한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경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한 색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컬러필터(371)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서브 화소(PX1)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층(352)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필터(371)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된 제1 색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시프터, 및 제2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의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쉬프터, 및 제2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파장 쉬프터와 제2 파장 시프터가 양자점인 경우, 제2 파장 쉬프터의 직경은 제1 쉬프터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컬러필터(372)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서브 화소(PX2)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 변환층(353)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2 컬러필터(372)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된 제2 색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3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의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컬러필터(373)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서브 화소(PX3)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3 파장 변환층(354)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으며, 제3 파장 변환층(353)을 투과한 광은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및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캡핑층(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캡핑층(355)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제2 캡핑층(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층일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층간 유기막(35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FL)는 제1 기판(111)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L)과 제2 기판(112) 상에 배치된 제3 캡핑층(3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FL)는 완충 기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7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접착하는 밀봉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충진재(FL)는 밀봉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밀봉재는 유리 프릿(glass frit) 또는 실런트(sealant)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PX)들이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제1 컬러필터(CF1)와 중첩하는 화소(PX)의 광을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통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1 컬러필터(CF1)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컬러필터(CF2)와 중첩하는 화소(PX)의 광을 제2 파장 변환층(353)을 통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2 컬러필터(CF2)를 통해 출력하며, 제3 컬러필터(CF3)와 중첩하는 제3 서브 화소(PX3)의 광을 제3 파장 변환층(354)과 제3 컬러필터(CF3)를 통해 출력하므로, 백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PX)들이 제2 기판(112), 즉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발광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방열 필름은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9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객체 산출부(171a), 화소 좌표 산출부(171b), 및 게인 값 적용부(171c)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산출부(171a)는 메모리(172)로부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입력 받는다. 객체 산출부(171a)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분석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ect)(OBJ)를 산출한다. 제1 객체(OBJ)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에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물체 또는 사람일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OBJ)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중 Y(Y는 2≤Y≤X-1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에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물체 또는 사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 산출부(171a)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표시 영상의 객체의 에지, 즉 객체의 윤곽선이 드러난 에지 데이터(ED)로 변환할 수 있다. 에지 데이터(ED)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이 객체(OBJ)의 윤곽선이 블랙 계조를 가지며, 그 이외의 영역은 화이트 계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객체 산출부(171a)는 블랙 계조를 갖는 객체(OBJ)의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1 객체(OBJ)로 산출할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시청 거리 산출부(410)로부터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ID)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정보 데이터(ID)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을 선택한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객체 산출부(171a)로부터 에지 데이터(ED)를 입력 받는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제1 객체(OBJ)의 에지 데이터들 중 어느 한 데이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도 13a와 같이 제1 객체(OBJ)의 중앙의 화소 좌표(OBJC), 도 13b와 같이 제1 객체(OBJ)의 가장 좌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OBJL), 도 13c와 같이 제1 객체(OBJ)의 가장 우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OBJR)를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제1 객체(OBJ)의 가장 상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 또는 객체(OBJ)의 가장 하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를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즉,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객체의 화소 좌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를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출력한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화소 좌표 데이터(PCD)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 게인 값들(G1)을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게인 값들(G1)을 입력 받는다. 제1 게인 값들(G1)은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적용될 제1A 게인 값,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적용될 제1B 게인 값,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적용될 제1C 게인 값,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적용될 제1D 게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게인 값은 제1 객체(OBJ)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사이의 거리, 제1B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사이의 거리, 제1C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사이의 거리, 제1D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다. 즉,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제1A 게인 값, 제1B 게인 값, 및 제1C 게인 값, 및 제1D 게인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객체(OBJ)와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게인 값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A 게인 값, 제1B 게인 값, 및 제1C 게인 값, 및 제1D 게인 값의 합은 1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인 값들(G1)이 적용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의해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의 조합이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들릴 수 있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를 입력 받는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 게인 값(G1)들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제1A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제1B 게인 값을 적용하며,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제1C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D 게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제1 객체(OBJ)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따라 산출한 제1 게인 값들(G1)을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OBJ)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객체(OBJ)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A 프레임, B 프레임, 및 C 프레임에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5a에는 A(A는 1≤A≤X-1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의 표시 영상이 나타나 있으며, 도 15b에는 B(B는 A+1≤B≤C-1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의 표시 영상이 나타나 있으며, 도 15c에는 C(C는 B+1≤C≤X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의 표시 영상이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를 결부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영상 음향 연계부(171)의 객체 산출부(171a)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분석하여 제1 객체(OBJ)를 산출한다. (도 14의 S101 단계)
제1 객체(OBJ)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에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물체 또는 사람일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OBJ)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중 Y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에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물체 또는 사람일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는 제1 객체(OBJ)가 비행기인 것을 예시하였다.
객체 산출부(171a)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표시 영상의 객체의 에지, 즉 객체의 윤곽선이 드러난 에지 데이터(ED)로 변환할 수 있다. 에지 데이터(ED)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이 객체(OBJ)의 윤곽선이 블랙 계조를 가지며, 그 이외의 영역은 화이트 계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객체 산출부(171a)는 블랙 계조를 갖는 객체(OBJ)의 윤곽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1 객체(OBJ)로 산출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와 같이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가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5a에서는 제1 객체(OBJ)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도 15b에서는 제1 객체(OBJ)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도 15c에서는 제1 객체(OBJ)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영상 음향 연계부(171)의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제1 객체(OBJ)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를 산출한다. (도 14의 S102 단계)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제1 객체(OBJ)의 에지 데이터들 중 어느 한 데이터의 좌표를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도 13a와 같이 제1 객체(OBJ)의 중앙의 화소 좌표(OBJC), 도 13b와 같이 제1 객체(OBJ)의 가장 좌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OBJL), 도 13c와 같이 제1 객체(OBJ)의 가장 우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OBJR)를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제1 객체(OBJ)의 가장 상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 또는 객체(OBJ)의 가장 하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를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시청 거리 산출부(410)의 정보 데이터(ID)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선택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 게인 값들(G1)을 영상 음향 연계부(171)의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한다. (도 14의 S103 단계)
구체적으로,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시청 거리 산출부(410)로부터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ID)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정보 데이터(ID)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정보 데이터(ID)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도 11a의 제1 룩-업 테이블(173a)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정보 데이터(ID)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도 11b의 제2 룩-업 테이블(173b)을 선택할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객체의 화소 좌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를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출력한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화소 좌표 데이터(PCD)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 게인 값들(G1)을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와 같이 A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가 (x1, y1)인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x1, y1) 좌표에 대응하여 저장된 A 게인 값, B 게인 값, C 게인 값, 및 D 게인 값을 제1 게인 값들(G1)로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5b와 같이 A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가 (x2, y2)인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x2, y2) 좌표에 대응하여 저장된 A 게인 값, B 게인 값, C 게인 값, 및 D 게인 값을 제1 게인 값들(G1)로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5c와 같이 A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가 (x3, y3)인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x3, y3) 좌표에 대응하여 저장된 A 게인 값, B 게인 값, C 게인 값, 및 D 게인 값을 제1 게인 값들(G1)로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네 번째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제1 게인 값들(G1)을 적용한다. (도 14의 S104 단계)
구체적으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게인 값들(G1)을 입력 받는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를 입력 받는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 게인 값(G1)들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제1A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제1B 게인 값을 적용하며,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제1C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D 게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제1A 게인 값은 제1 객체(OBJ)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사이의 거리, 제1B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사이의 거리, 제1C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사이의 거리, 제1D 게인 값은 제1 객체와 제4 음향 발생 장치(24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다. 즉,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제1A 게인 값, 제1B 게인 값, 및 제1C 게인 값, 및 제1D 게인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객체(OBJ)와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게인 값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와 같이 A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와 가장 가깝고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두 번째로 가까우며, 제4 음향 발생 장치(240)와 세 번째로 가깝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인 (x1, y1)에 대응하여 출력된 제1 게인 값들(G1) 중에서 제1C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1A 게인 값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제1D 게인 값의 크기가 세 번째로 크고, 제1B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15b와 같이 B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가장 가깝고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와 두 번째로 가까우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와 세 번째로 가깝고, 제4 음향 발생 장치(24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인 (x2, y2)에 대응하여 출력된 제1 게인 값들(G1) 중에서 제1A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1C 게인 값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제1B 게인 값의 크기가 세 번째로 크고, 제1D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15c와 같이 C 프레임 기간의 제1 객체(OBJ)는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와 가장 가깝고 제4 음향 발생 장치(240)와 두 번째로 가까우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세 번째로 가깝고,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서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인 (x2, y2)에 대응하여 출력된 제1 게인 값들(G1) 중에서 제1B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1D 게인 값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제1A 게인 값의 크기가 세 번째로 크고, 제1C 게인 값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는 제1 게인 값들(G1)이 적용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GSD1~GSD4)에 의해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의 조합이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들릴 수 있다.
한편,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정보 데이터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와 제2 시청 거리 사이의 제3 시청 거리인 경우, 도 11a의 제1 룩-업 테이블(173a)과 제2 룩-업 테이블(173b)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룩-업 테이블(173a)로부터 입력 받은 제1 게인 값들(G1)과 제2 룩-업 테이블(173b)로부터 입력 받은 제1 게인 값들(G1)을 제1 시청 거리와 제3 시청 거리 사이의 거리, 및 제2 시청 거리와 제3 시청 거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보간(interpolation)하여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적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음향 구동부(174)는 제1 게인 값(G1)들이 적용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GSD1~GSD4)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내지 제4 음향 신호들(SS1~SS4)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4의 S105 단계)
구체적으로, 영상 음향 연계부(171)로부터 제1A 게인 값이 적용된 제1 음향 데이터(GSD1), 제1B 게인 값이 적용된 제2 음향 데이터(GSD2), 제1C 게인 값이 적용된 제3 음향 데이터(GSD3), 및 제1D 게인 값이 적용된 제4 음향 데이터(GSD4)를 입력 받는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1 음향 데이터(GSD1)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음향 신호(SS1)로 변환하여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2 음향 데이터(GSD2)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음향 신호(SS2)로 변환하여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3 음향 데이터(GSD3)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3 음향 신호(SS3)로 변환하여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로 출력한다. 음향 구동부(174)는 디지털 신호인 제4 음향 데이터(GSD4)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4 음향 신호(SS4)로 변환하여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로 출력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음향 신호(SS1)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2 음향 신호(SS2)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2 영역(A2)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3 음향 신호(SS3)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3 영역(A3)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음향 발생 장치(240)는 제4 음향 신호(SS4)의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제4 영역(A4)을 진동하여 제4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제1 객체(OBJ)의 위치를 가리키는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따라 산출한 제1 게인 값들(G1)을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OBJ)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객체(OBJ)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A 프레임, B 프레임, 및 C 프레임에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이 제1 객체(OBJ1)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를 포함하는 것에서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에서는 도 15a 내지 도 15c의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서는 객체 산출부(171a)가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객체(OBJ1)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를 산출하며, 화소 좌표 산출부(171b)가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에서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소 좌표 데이터(PCD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은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1 게인 값들(G1)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2 게인 값들(G2)을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게인 값들(G2)은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적용될 제2A 게인 값,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적용될 제2B 게인 값,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적용될 제2C 게인 값,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적용될 제2D 게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 게인 값들(G1)과 제2 게인 값들(G2)을 적용한다. 일 예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 게인 값들(G1)과 제2 게인 값들(G2)의 평균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제1A 게인 값과 제2A 게인 값의 평균값을 적용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제1B 게인 값과 제2B 게인 값의 평균값을 적용하며,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제1C 게인 값과 제2C 게인 값의 평균값을 적용하고,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D 게인 값과 제2D 게인 값의 평균값을 적용할 수 있다.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게인 값들(G1)과 제2 게인 값들(G2)이 적용된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GSD1~GSD4)를 음향 구동부(174)로 출력한다.
도 17은 도 2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영상 음향 연계부(171)가 음향 패턴 산출부(171d)를 더 포함하고, 게인 값 적용부(171c)가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의 공통적인 음향 패턴의 이동 방향이 객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것에서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영상 음향 연계부(171)는 객체 산출부(171a), 화소 좌표 산출부(171b), 게인 값 적용부(171c), 및 음향 패턴 산출부(171d)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산출부(171a)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객체 산출부(171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의 S202와 S206 단계들은 도 14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들을 분석하여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을 산출한다. (도 18의 S201 단계)
예를 들어,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도 15a 및 도 15b와 같이 B 프레임 기간 동안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해당하는 (x2, y2)와 A 프레임 기간 동안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해당하는 (x1, y1) 사이의 차이(x2-x1, y2-y1)를 산출한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x 좌표의 차이(x2-x1)와 y 좌표의 차이(y2-y1)가 0인지, 양수인지, 및 음수인지에 따라 표 1과 같이 A 프레임 기간과 B 프레임 기간 사이에서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은 표 1과 같이 9 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동 방향 데이터(DIR1)를 게인 값 산출부(171c)로 출력한다.
x 좌표의 차이(x2-x1) y 좌표의 차이(y2-y1) 이동 방향
양수 0 제1 방향 (→)
양수 양수 제2 방향 (↗)
양수 음수 제3 방향 (↘)
음수 0 제4 방향 (←)
음수 양수 제5 방향 (↖)
음수 음수 제6 방향 (↙)
0 0 방향 없음
0 양수 제7 방향 (↑)
0 음수 제8 방향 (↓)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를 분석하여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음향 데이터에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를 산출한다. (도 18의 S203 단계)
또한,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 중에서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가 제1 음향 데이터(SD1)와 제2 음향 데이터(SD2)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1)와 제2 음향 데이터(SD2) 중 어느 데이터에 시간적으로 먼저 배치되는지를 판단한다.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가 제2 음향 데이터(SD2)보다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시간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서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로 음향을 이동하며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표 2와 같이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 중에서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가 시간적 선후 관계를 판단하여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음향 패턴 산출부(171d)는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동 방향 데이터(DIR2)를 게인 값 산출부(171c)로 출력한다.
이동 방향
제1 음향 데이터 제2 음향 데이터 제1 방향 (→)
제3 음향 데이터 제2 음향 데이터 제2 방향 (↗)
제1 음향 데이터 제4 음향 데이터 제3 방향 (↘)
제2 음향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제4 방향 (←)
제4 음향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제5 방향 (↖)
제2 음향 데이터 제3 음향 데이터 제6 방향 (↙)
제1 음향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방향 없음
제2 음향 데이터 제2 음향 데이터 방향 없음
제3 음향 데이터 제3 음향 데이터 방향 없음
제4 음향 데이터 제4 음향 데이터 방향 없음
제3 음향 데이터 제1 음향 데이터 제7 방향 (↑)
제4 음향 데이터 제2 음향 데이터 제7 방향 (↑)
제1 음향 데이터 제3 음향 데이터 제8 방향 (↓)
제2 음향 데이터 제4 음향 데이터 제8 방향 (↓)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 이동 방향 데이터(DIR1)와 제2 이동 방향 데이터(DIR2)가 동일한 경우,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과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객체(OBJ)의 음향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데이터(SD1), 제2 음향 데이터(SD2), 제3 음향 데이터(SD3),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제1 게인 값(G1)들을 적용한다. (도 18의 S204 및 S205 단계)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를 분석하여 산출한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이 제1 객체(OBJ)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경우,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가 제1 객체(OBJ)의 음향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객체(OBJ)의 화소 좌표에 따라 출력된 제1 게인 값들(G1)을 제1 내지 제4 음향 데이터(SD1~SD4)에 적용함으로써, 제1 객체(OBJ)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객체(OBJ)와 각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9는 도 2의 영상 음향 연계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표시 패널이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모두 표시하는 경우, 제1 객체만을 표시하는 경우, 제2 객체만을 표시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9, 도 20, 및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와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를 입력 받는 것에서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1a 내지 도 21c에서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객체 산출부(171a)가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객체(OBJ1)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를 산출하며, 화소 좌표 산출부(171b)가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를 산출한다. (도 20의 S301 단계와 S302 단계)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도 21a와 같이 제1 객체(OBJ1)와 제2 객체(OBJ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와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를 모두 입력 받을 수 있다.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도 21b와 같이 제1 객체(OBJ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를 입력 받을 수 있다.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도 21c와 같이 제2 객체(OBJ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화소 좌표 산출부(171b)는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173) 중에서 선택된 룩-업 테이블에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화소 좌표 데이터(PCD)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소 좌표 데이터(PCD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룩-업 테이블은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1 게인 값들(G1)뿐만 아니라,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2 게인 값들(G2)을 게인 값 적용부(171c)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게인 값들(G2)은 제1 음향 데이터(SD1)에 적용될 제2A 게인 값, 제2 음향 데이터(SD2)에 적용될 제2B 게인 값, 제3 음향 데이터(SD3)에 적용될 제2C 게인 값, 및 제4 음향 데이터(SD4)에 적용될 제2D 게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S303 단계)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시스템 온 칩(175)으로부터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와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를 입력 받는다.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는 음향 데이터 외에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것을 지시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 역시 음향 데이터 외에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것을 지시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에 제1 게인 값들(G1)을 적용하고,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에 제2 게인 값들(G2)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A 음향 데이터(SDA1)에 제1A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2A 음향 데이터(SDA2)에 제1B 게인 값을 적용하며, 제3A 음향 데이터(SDA3)에 제1C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4A 음향 데이터(SDA4)에 제1D 게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게인 값 적용부(171c)는 제1B 음향 데이터(SDB1)에 제2A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2B 음향 데이터(SDB2)에 제2B 게인 값을 적용하며, 제3B 음향 데이터(SDB3)에 제2C 게인 값을 적용하고, 제4B 음향 데이터(SDB4)에 제2D 게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의 S304 단계)
도 20의 S305 단계는 도 14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와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인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를 입력 받는다. 이로 인해, 제1 객체(OBJ1)의 화소 좌표에 따라 출력된 제1 게인 값들(G1)을 제1A 내지 제4A 음향 데이터(SDA1~SDA4)에 적용하고, 제2 객체(OBJ2)의 화소 좌표에 따라 출력된 제2 게인 값들(G2)을 제1B 내지 제4B 음향 데이터(SDB1~SDB4)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영상의 제1 객체(OBJ1)와 제2 객체(OBJ2)에 따라 제1 객체(OBJ1)에 대응되는 음향과 제2 객체(OBJ2)에 대응되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상과 연계된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21: 소스 구동부
122: 연성 필름 130: 스캔 구동부
140: 소스 회로 보드 150: 케이블
160: 제어 회로 보드 170: 타이밍 제어부
171: 영상 음향 연계부 171a: 객체 산출부
171b: 화소 좌표 산출부 171c: 게인 값 적용부
171d: 음향 패턴 산출부 172: 메모리
173: 룩-업 테이블들 174: 음향 구동부
180: 하부 커버 210: 제1 음향 발생 장치
220: 제2 음향 발생 장치 230: 제3 음향 발생 장치
240: 제4 음향 발생 장치 400: 카메라 장치
410: 시청 거리 산출부

Claims (26)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영상의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복수의 음향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중에서 A(A는 1≤A≤X-1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에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는 B(B는 A≤B≤X을 만족하는 정수) 프레임 기간에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이한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서 제1A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1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서 제1B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2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 제1A 게인 값이 적용된 제1 음향 데이터를 제1 음향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 제1B 게인 값이 적용된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음향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 제2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제1 객체가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에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A 게인 값은 상기 제1B 게인 값보다 큰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제1 객체가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중에서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B 게인 값은 상기 제1A 게인 값보다 큰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중앙의 화소 좌표, 또는 상기 제1 객체의 가장 일측에 배치된 화소 좌표를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로 산출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의 배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상기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라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상기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제1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복수의 룩-업 테이블들 중 제2 룩-업 테이블을 선택하며,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게인 값들은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게인 값들과 상이한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X 개의 프레임 기간들 동안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공통적인 음향 데이터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2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이 적용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A 게인 값과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A 게인 값의 평균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1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B 게인 값과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B 게인 값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제2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인 값들이 적용된 A 음향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제2 게인 값들이 적용된 B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 중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A 게인 값을 상기 A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1 게인 값들 중에 제1B 게인 값을 상기 A 음향 데이터의 제2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A 게인 값을 상기 B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2 게인 값들 중에 제2B 게인 값을 상기 B 음향 데이터의 제2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
  18.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영상 음향 연계부; 및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음향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들로 출력하는 음향 구동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X(X는 2 이상의 정수)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X 개의 프레임 기간들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2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제2 게인 값들을 입력 받는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복수의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의 배경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하는 시청 거리 산출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좌표들에 대응하는 게인 값들을 저장하는 제2 룩-업 테이블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1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제1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제2 시청 거리인 경우,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를 상기 제2 룩-업 테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제1 객체의 화소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인 값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상기 제1 게인 값들과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의 상기 제1 게인 값들은 상이한 표시 장치.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음향 연계부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1 게인 값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A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며, 상기 제2 객체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제2 게인 값들을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B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16042A 2018-12-28 2019-02-12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65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8,644 US11553275B2 (en) 2018-12-28 2019-11-08 Method of providing sound that matches displayed imag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CN201911307686.8A CN111381799B (zh) 2018-12-28 2019-12-18 提供匹配显示图像的声音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35 2018-12-28
KR20180173035 201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91A true KR20200083891A (ko) 2020-07-09
KR102652079B1 KR102652079B1 (ko) 2024-04-01

Family

ID=7160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042A KR102652079B1 (ko) 2018-12-28 2019-02-12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1415B2 (en) 2019-06-21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61373B1 (ko) * 2023-04-26 2024-04-26 주식회사 아스트노바 영상 내 무빙 오브젝트의 선택적 추적을 이용한 물리 공간 내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900B1 (ko) * 2017-06-16 2018-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2621A (ko) * 2018-06-12 2018-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134647A (ko) * 2017-06-09 2018-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47A (ko) * 2017-06-09 2018-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15900B1 (ko) * 2017-06-16 2018-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2621A (ko) * 2018-06-12 2018-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1415B2 (en) 2019-06-21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61373B1 (ko) * 2023-04-26 2024-04-26 주식회사 아스트노바 영상 내 무빙 오브젝트의 선택적 추적을 이용한 물리 공간 내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079B1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1799B (zh) 提供匹配显示图像的声音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TWI772447B (zh) 顯示系統及資料處理方法
US1195439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ound generator and vibration damping member
US11678121B2 (en) Display device
US1134360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675224B2 (en) Display device
US11095984B2 (en)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582543B2 (en) Display device
US11622181B2 (en) Display device
KR102652079B1 (ko)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668665B1 (ko) 표시 장치
KR102668395B1 (ko) 표시 장치
KR102668290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2668284B1 (ko) 표시 장치
US11599327B2 (en) Display device
KR20200072376A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20200040641A (ko)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