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584A -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584A
KR20200083584A KR1020207016497A KR20207016497A KR20200083584A KR 20200083584 A KR20200083584 A KR 20200083584A KR 1020207016497 A KR1020207016497 A KR 1020207016497A KR 20207016497 A KR20207016497 A KR 20207016497A KR 20200083584 A KR20200083584 A KR 2020008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sch
frequency domain
bandwidth
target
rn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492B1 (ko
Inventor
지후아 시
지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는바, 상기 방법은,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 5th Generation)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5G의 무선 액세스를 New Radio라고 하며, NR로 약칭한다. NR/5G 시스템에서, 다중 빔(Multiple beams) 기술의 적용으로 인해,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가 페이징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측은 빔 스위핑(beam sweeping) 방식을 통해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UE로 송신하는바, 즉 네트워크 측은 상이한 아날로그 빔(beam) 상에서 모두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 스위핑(sweeping)될 beam의 수가 N인 경우, 네트워크 측은 paging 메시지를 N 번 반복해서 송신해야 하므로 paging 지연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만약 단일 paging 메시지가 모든 사용자 기기에 대한 페이징 발신을 한 번에 완료할 수 없으면, 복수의 paging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며, 또한 sweeping을 수행해야 하는 N 개의 beam을 더 감안하면, paging 지연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이징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carry)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되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한다.
제4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1 메모리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제1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한다.
제6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2 메모리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제2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한다.
제7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시점에 복수의 DCI를 송신하며, 비록 단일 DCI가 여전히 하나의 PDSCH만 할당 및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paging message가 운반되도록 하지만, 만약 이 paging message 내에 여전히 복수의 UE에 대한 페이징 통지가 포함된다면, 현재 LTE 관련 기술에 비해 동일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최소 UE 대역폭 범위 밖에서 PDSCH를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함으로써, 페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증가시켜 스케줄링 기회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 관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보다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단지 참조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현재 LTE 관련 기술에 있어서, 시스템에서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Paging-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송신된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을 이용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스케줄링하며, 단일 PDSCH에는 하나의 paging message가 운반(carry)된다. 이 paging message에는 복수의 UE에 대한 페이징 통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5G/NR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동일한 시점에 복수의 DCI를 송신할 수 있으며, 비록 단일 DCI가 여전히 하나의 PDSCH만 할당 및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paging message가 운반되도록 하지만, 만약 이 paging message 내에 복수의 UE에 대한 페이징 통지가 포함된다면, 현재 LTE 관련 기술에 비해 동일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최소 UE 대역폭 범위 밖에서 PDSCH를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함으로써, 페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증가시켜 스케줄링 기회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아래에 복수의 비전형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이 도시되는바,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를 페이징하는, 예를 들어 5G 기지국(gNB) 등과 같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01: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carry)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현재 시점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때, 동일한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동일한 하나의 DCI 내에 캡슐화되며, 이때 만약 동시에 복수의 DCI를 송신할 수 있어 동일한 시간 내에 복수의 PDSCH를 송신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도 1의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상기 목표 UE의 연관 정보는,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제어 리소스 집합(CORESET, Control Resource SET) 및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관 정보에 대해, UE의 속성 파라미터에 따라 모든 목표 UE를 각각의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연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UE의 속성 파라미터에 따라 모든 UE를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UE 카테고리를 획득한 후, 각 UE 카테고리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속성 파라미터는, UE의 식별자, UE의 타입 및 UE의 능력 정보 등과 같이 특정 분류 정책에 따라 UE를 분류할 수 있는 UE의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UE와 연관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는, 단일 상기 목표 UE에 대해, 오직 단일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이 그에 대응하고; 단일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목표 UE가 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 정보는 P-RNTI이고, UE의 수는 5이다. UE의 속성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한 후, UE #1, UE #3 및 UE #4는 동일한 P-RNTI #1에 대응하고, UE #2 및 UE#5는 동일한 P-RNTI #2에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목표 UE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바람직하게,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방안은 연관 정보를 UE에 통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UE에 그와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 후보 집합을 전송함으로써, UE가 후보 집합으로부터 자신에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방안의 경우,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모든 페이징 메시지 중, 동일한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PDSCH 각각에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은 목표 UE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와 서로 대응된다.
상술한 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점이라면, P-RNTI를 예로 들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현재 페이징해야 할 목표 UE에 따라, 송신해야 할 paging message를 확정하고, 이어서 목표 UE가 상이함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는 동일한 시점에,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운반한 적어도 하나의 PDSCH를 송신하게 되며, 이로써 PDSCH의 수에 대응하는 DCI가 존재하게 되고, 각 DCI가 상이한 P-RNTI에 대응하는 바, 즉 상이한 목표 UE가 구별될 수 있다.
UE의 경우, 자신의 페이징 시점(PO, Paging Occasion)에 자신에 대응하는 P-RNTI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DCI 내에 자신에게 송신된 DCI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동시에 복수의 DCI를 전송하더라도, 각 목표 UE는 여전히 하나의 DCI만 모니터링(monitor)하면 되므로, UE 측의 처리 복잡성이 증가하지 않는다. 반면에, 네트워크측 기기의 경우, 한 시점에 보다 많은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어, 비교적 많은 UE가 페이징되어야 할 때, 페이징(paging)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연관 정보가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메시지를 통해 통지되면, 네트워크는 현재 네트워크 내의 UE의 상태에 따라, 여러 연관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연하게 설정하여 복수의 UE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또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통해, UE의 PDSCH 수신에 필요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시간 자원에 대한 수요를 줄여,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1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carry)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가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DCI로 두개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된다. 상기 최소 대역폭은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된 최소 UE 대역폭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한다면, 유휴(idle) 상태인 모든 UE들이 paging 메시지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5G/NR 시스템에서, 유휴(idle) 상태 및 연결(CONNECTED) 상태 이외에, UE는 비활성(INACTIVE) 상태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단말이 INACTIVE 상태일 때, 접속망에만 연결되고, 코어망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페이징되어야 할 모든 UE가 idle 상태인 것은 아니므로, 모든 목표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UE 대역폭 내인 것은 아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실시 형태 2 및 구체적인 실시 형태 3이 제안된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2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상기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거나; 또는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다.
또한, 만약 목표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인 경우, 목표 UE는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자신의 무선 주파수(RF) 파라미터를 튜닝(tune)해야 하므로, DCI와 PDSCH 사이에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 UE가 RF를 튜닝하고 PDSCH를 복조하는 시간이 충분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설정된 시간 간격 설정 정책에 따라, DCI와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응하게 상기 DCI는 DCI와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CH #1에 의해 전송된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최소 대역폭 이하이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으며, PDCCH #3에 의해 전송된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상기 최소 대역폭이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다.
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보다 많은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시간 자원을 압축하여 paging 지연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3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리포팅 대역폭은, UE에 의해 직접 리포팅된 지원 대역폭 정보(예를 들어, UE가 지원 대역폭을 20MHz로 직접 리포팅하면, 네트워크측 기기는 리포팅된 20MHz 대역폭 내에서 paging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게 될 것임)일 수도 있고, UE에 의해 리포팅된 지원 가능 대역폭 유형(예를 들어, 시스템이 특정 전송에 사용 가능한 3 가지 유형의 대역폭을 지정하고 B1<B2<B3로 가정하면, UE가 상기 3 가지 유형의 대역폭으로부터 B2를 지원한다고 리포팅할 수 있음)일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일부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CH #1에 의해 전송된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의 대역폭은 최소 대역폭보다 크지만,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일 것이다. 실제 적용 과정에서, 많은 UE의 대역폭은 최소 대역폭보다 클 것이지만, 그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을 초과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되는 것을 바탕으로, 이러한 형태의 paging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능력 또는 UE에 의해 지원 가능한 일부 대역폭 능력에 대해,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기기가 gNB인 경우, 상기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는 코어망 기기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동일한 시점에 복수의 DCI를 송신하며, 비록 단일 DCI가 여전히 하나의 PDSCH만 할당 및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paging message가 운반되도록 하지만, 만약 이 paging message 내에 여전히 복수의 UE에 대한 페이징 통지가 포함된다면, 현재 LTE 관련 기술에 비해 동일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최소 UE 대역폭 범위 밖에서 PDSCH를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함으로써, 페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증가시켜 스케줄링 기회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이 도시되는바,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601: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6에 도시된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상기 UE에 대응하는 CORESET 및 상기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모든 UE는 자체의 속성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되며, 각 UE 카테고리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같이 그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UE의 속성 파라미터는, UE의 식별자, UE의 타입 및 UE의 능력 정보 등과 같이 특정 분류 정책에 따라 UE가 분류될 수 있는 UE의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UE와 연관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는, 단일 상기 목표 UE에 대해, 오직 단일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이 그에 대응하고; 단일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목표 UE가 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UE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UE의 연관 정보에 대해 확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한다.
UE가 후보 집합으로부터 자신에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따라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SCH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를 수신하는 단계는, 자신의 페이징 시점(PO)에, 자신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대응하는 DCI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측이 PDSCH 자원을 스케줄링하므로,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비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1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한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2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 및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거나, 또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한다.
또한, 만약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인 경우, UE는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자신의 무선 주파수(RF) 파라미터를 튜닝(tune)해야 하므로, PDCCH와 PDSCH 사이에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 UE가 RF를 튜닝하고 PDSCH를 복조하는 시간이 충분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만약 상기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이면, 상기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간격 내에 무선 주파수(RF)를 튜닝(tun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 3
자신의 실제 대역폭 이하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의 대역폭에 따라 일부 PDSCH를 수신한다.
상기 세 개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PDSCH 자원 스케줄링에 대한 세 가지 구체적인 실시 형태와 대응됨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을 중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측 기기(70)의 구성이 도시되며,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701)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목표 UE의 연관 정보는,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제어 리소스 집합(CORESET, Control Resource SET) 및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또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모든 페이징 메시지 중, 동일한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DSCH 각각에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은 목표 UE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와 서로 대응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또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구체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가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구체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상기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거나; 또는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또한, 설정된 시간 간격 설정 정책에 따라,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응하게 상기 DCI는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구체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일부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이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701)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와 상기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능력 또는 리포팅 대역폭에 관한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는 회로의 일부, 프로세서의 일부,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의 일부 등일 수 있고, 물론 유닛일 수도 있으며, 모듈일 수도 있고, 비모듈식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요소는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나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지는 않을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또는 processor(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정보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70)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반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측 기기(7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가 도시되는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 제1 메모리(802) 및 제1 프로세서(8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804)을 통해 함께 커플링된다. 버스 시스템(804)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804)은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8에는 다양한 버스가 모두 버스 시스템(804)으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모리(802)는 상기 제1 프로세서(803)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로세서(8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1 메모리(8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고속 캐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화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과 방법의 제1 메모리(802)는 상기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자 않다.
제1 프로세서(803)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일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제1 프로세서(803)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803)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가능 또는 실행 가능하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제1 메모리(802)에 위치되고, 제1 프로세서(803)가 제1 메모리(802)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이러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 구현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을 통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70) 내의 제1 프로세서(803)는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UE, 90)의 구성이 도시되며,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9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상기 UE에 대응하는 CORESET 및 상기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또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을 수신하고, 상기 DCI에 따라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자신의 페이징 시점(PO)에, 자신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대응하는 DCI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 및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거나, 또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또한, 만약 상기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이면, 상기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간격 내에 무선 주파수(RF)를 튜닝(tune)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901)는 구체적으로, 자신의 실제 대역폭 이하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의 대역폭에 따라 일부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정보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3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 기기(90)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반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9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가 도시되는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 제2 메모리(1002) 및 제2 프로세서(10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004)를 통해 함께 커플링된다. 버스 시스템(1004)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1004)은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0에는 다양한 버스가 모두 버스 시스템(1004)으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메모리(1002)는 상기 제2 프로세서(1003)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로세서(10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UE(9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 내의 구성 요소는 실시예 3에서의 해당 요소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90) 내의 제2 프로세서(1003)는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술한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 실시예, 소프트웨어적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 및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블록과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통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 장착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기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시점에 복수의 DCI를 송신하며, 비록 단일 DCI가 여전히 하나의 PDSCH만 할당 및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paging message가 운반되도록 하지만, 만약 이 paging message 내에 여전히 복수의 UE에 대한 페이징 통지가 포함된다면, 현재 LTE 관련 기술에 비해 동일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최소 UE 대역폭 범위 밖에서 PDSCH를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함으로써, 페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증가시켜 스케줄링 기회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페이징 지연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4)

  1.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UE의 연관 정보는,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제어 리소스 집합(CORESET) 및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P-RNTI,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CORESET 또는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에 대해,
    UE의 속성 파라미터에 따라 모든 목표 UE를 각각의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모든 페이징 메시지 중, 동일한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DSCH 각각에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은 목표 UE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음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상기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거나; 또는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음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간격 설정 정책에 따라,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CI는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일부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되는 것을 바탕으로,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와 상기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능력 또는 리포팅 대역폭에 관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상기 UE에 대응하는 CORESET 및 상기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따라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SCH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를 수신하는 단계는,
    자신의 페이징 시점(PO)에, 자신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대응하는 DCI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따라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 및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를 수신한 후,
    상기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간격 내에 무선 주파수(RF)를 튜닝(tun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는,
    자신의 실제 대역폭 이하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의 대역폭에 따라 일부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2. 페이징 메시지 송신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사용자 기기(UE)의 연관 정보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며, 동일한 상기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UE의 연관 정보는,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제어 리소스 집합(CORESET) 및 상기 목표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또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UE에 통지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모든 페이징 메시지 중, 동일한 연관 정보를 갖는 목표 UE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DSCH 각각에 대응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은 목표 UE에 대응하는 연관 정보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또한,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가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최소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로 스케줄링하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으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상기 최소 대역폭 이하이며,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 중 다른 일부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거나; 또는 지시된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 이하이고, 상기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상기 목표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또한,
    설정된 시간 간격 설정 정책에 따라,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DCI는 상기 DCI와 상기 PDSCH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일부 PDSCH 전송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을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로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일부 PDSCH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와 상기 목표 UE의 실제 대역폭 능력 또는 리포팅 대역폭에 관한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32. 자신의 연관 정보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상기 UE에 대응하는 CORESET 및 상기 UE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또한,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시스템 메시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또는 RMSI를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확정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대응하는 P-RNTI,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의 후보 집합을 확정하거나, 또는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하는 P-RNTI, 또는 P-RNTI 후보 집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대응하는 연관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을 수신하고,
    상기 DCI에 따라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PDSCH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자신의 페이징 시점(PO)에, 자신의 연관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대응하는 DCI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DCI에 포함되는 PDSCH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C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 및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거나, 또는
    최소 대역폭에 따라 상기 UE의 현재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밖에서 상기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또한, 상기 UE의 현재 대역폭이 최소 주파수 도메인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간격 내에 무선 주파수(RF)를 튜닝(tune)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자신의 실제 대역폭 이하 또는 리포팅 대역폭 이하의 대역폭에 따라 일부 PDSCH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42.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1 메모리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제1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43.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2 메모리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제2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44. 정보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보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07016497A 2017-11-10 2017-11-10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KR102340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0579 WO2019090743A1 (zh) 2017-11-10 2017-11-10 一种信息传输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584A true KR20200083584A (ko) 2020-07-08
KR102340492B1 KR102340492B1 (ko) 2021-12-17

Family

ID=6643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497A KR102340492B1 (ko) 2017-11-10 2017-11-10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122610B2 (ko)
EP (1) EP3709727B1 (ko)
JP (1) JP7084992B2 (ko)
KR (1) KR102340492B1 (ko)
CN (2) CN111183687A (ko)
AU (1) AU2017439080A1 (ko)
BR (1) BR112020008900A2 (ko)
CA (1) CA3081882A1 (ko)
RU (1) RU2752658C9 (ko)
WO (1) WO2019090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4992B2 (ja) * 2017-11-10 2022-06-1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9160271A1 (en) * 2018-02-14 2019-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ging status of wus operation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265245B2 (en) * 2020-06-24 2022-03-01 T-Mobile Usa, Inc. Link quality metrics as constraints in source routing switching networks
CN112637876B (zh) * 2020-12-30 2023-05-12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状态报告的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469A (ko) * 2014-03-19 2016-1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비-커버리지 확장(ce) 및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무선 송수신 장치(wtru)에 대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160440A1 (en) * 2016-03-16 2017-09-21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4070B1 (en) * 2006-06-29 2014-05-21 Panasonic Corporation Efficient paging mechanism with scalable bandwidth allocation
US9019922B2 (en) * 2010-07-21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EP2453710B1 (en) * 2010-11-11 2013-10-30 BlackBerry Limited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using early paging indicator
US8892028B2 (en) * 2011-09-27 2014-11-1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ellular assist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N103327521B (zh) * 2012-03-20 2016-12-1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分配和检测下行链路控制信道资源的方法以及设备
WO2015002578A1 (en) * 2013-07-01 2015-01-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aging and for monitoring paging
CN105230094B (zh) * 2014-04-11 2019-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接收寻呼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05101044B (zh) * 2014-05-08 2020-03-10 夏普株式会社 寻呼消息接收/发送方法及其相关设备
CN109756507B (zh) * 2014-10-20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设备
WO2016072770A1 (en) * 2014-11-05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48582B2 (en) * 2014-11-06 2017-05-09 Intel IP Corporation RAN paging mechanism to enable enhanced coverage mode
KR20170106988A (ko) 2015-01-08 2017-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992342B (zh) * 2015-02-05 2019-07-1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基于机器型通信的通信系统中用于接收寻呼消息的方法
WO2017028024A1 (en) * 2015-08-14 2017-02-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Paging and random access response (rar) scheduling and dci format
WO2017050831A1 (en) * 2015-09-25 2017-03-30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CN106572534A (zh) * 2015-10-10 2017-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寻呼处理方法及装置
JP7033603B2 (ja) * 2017-02-02 2022-03-10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スイープされる下りリンクビームでページングブロックを伝送するための装置
CN107566225A (zh) 2017-07-26 2018-01-09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绑定方法、绑定装置、终端、服务器和可读存储介质
JP7084992B2 (ja) * 2017-11-10 2022-06-1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469A (ko) * 2014-03-19 2016-1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비-커버리지 확장(ce) 및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무선 송수신 장치(wtru)에 대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160440A1 (en) * 2016-03-16 2017-09-21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42010A (zh) 2020-09-08
BR112020008900A2 (pt) 2020-10-20
CN111183687A (zh) 2020-05-19
EP3709727A4 (en) 2020-09-16
EP3709727B1 (en) 2021-10-06
CN111642010B (zh) 2021-11-16
US11122610B2 (en) 2021-09-14
US11665707B2 (en) 2023-05-30
RU2752658C9 (ru) 2021-10-20
AU2017439080A1 (en) 2020-06-25
CA3081882A1 (en) 2019-05-16
JP7084992B2 (ja) 2022-06-15
KR102340492B1 (ko) 2021-12-17
WO2019090743A1 (zh) 2019-05-16
JP2021503745A (ja) 2021-02-12
US20200267751A1 (en) 2020-08-20
RU2752658C1 (ru) 2021-07-29
US20210259008A1 (en) 2021-08-19
EP3709727A1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707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1825403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ntity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in a 5G network
RU2735353C1 (ru) Время действия систе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2384359B1 (ko)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CN110944341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20170325267A1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389017B1 (ko) 페이징 시간의 확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CN111818603A (zh) 一种波束切换的方法、设备和系统
CN114126057A (zh) 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终端
CN113923750A (zh) 接入小区的方法和装置
US11019608B2 (en) Channel resource set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80310228A1 (en) Risk aware validity assessment of system information
KR20200022432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단말 기기
US11039470B2 (en) Message decoding method, transmitting end device and receiving end device
US201300837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resource allocation
CA3081882C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1109275B2 (en) Variable bandwidth-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18370B1 (ko) 시스템 정보에 대한 맞춤 요청
JP2020506592A (ja) ユーザ機器による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の監視を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ユーザ機器、基地局及び記憶媒体
CN111684836A (zh) 一种信道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TW202325083A (zh) 對長期進化(lte)中的寬頻實體資源組(prg)的支援
WO2016067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receiv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for mtc ue
JP2016219926A (ja) ユーザ装置、基地局、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受信方法及び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