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59B1 -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359B1
KR102384359B1 KR1020197023372A KR20197023372A KR102384359B1 KR 102384359 B1 KR102384359 B1 KR 102384359B1 KR 1020197023372 A KR1020197023372 A KR 1020197023372A KR 20197023372 A KR20197023372 A KR 20197023372A KR 102384359 B1 KR102384359 B1 KR 10238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synchronization
reference signal
pag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216A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1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UE가 호출 메시지를 더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UE에 의한 호출 메시지의 수신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5세대 이동통신기술(5G, 5th Generation)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5G의 안테나 접속은 New Radio이라 하고 약칭은 엔알(NR)이다. 5G NR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롱텀에볼루션(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기에 무선 신호 전송 경로 손실이 더 커지므로 무선 신호 커버리지가 작아지게 된다. 5G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통한 다중 안테나 시스템은 빔포밍(beamforming) 기술로 빔(beam)을 형성하여 무선 신호 이득을 증가함으로써 경로 손실을 보완한다.
5G NR 시스템에서, 공통 채널 및 공통 신호는 모두 다중 빔 스캔 방식으로 전반 셀을 커버하여 셀 내 UE가 공통 채널 및 공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5G NR은 큰 대역폭(wideband) 반송파를 지원하나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의 능력 제한으로 인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 네트워크 시스템이 지원할 수 있는 대역폭보다 작으므로 5G NR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큰 대역폭 반송파를 다수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으로 구성해야 한다.
UE 호출 과정에 있어서, 다중 빔 스캔 및 네트워크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대역폭 부분으로 구성한 환경에서 UE가 어떻게 호출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할지는 해결이 필요한 과제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G NR 시스템에서 UE가 호출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UE가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이 실현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에 응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 Other System Information)에 베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RMSI 또는 OSI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하고, 제1 획득 부분, 제2 획득 부분 및 수신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획득 부분은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획득 부분은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수신 부분은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베어링 부분과 송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분은 사용자 기기(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에 베어링하며, 상기 송신 부분은 상기 RMSI 또는 OSI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UE)를 제공하고,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1 메모리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망 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제1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2 메모리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망 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제2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제2 양태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수신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UE가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을 결정한 후 획득한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통해 동기화 및 채널 상태를 획득할 수 있고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UE가 호출 메시지를 더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UE에 의한 호출 메시지의 수신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분할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UE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UE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 내용이 더 명확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참조용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고 이는 사용자 기기(UE)에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은 S101, S102, S103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한다.
S102: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한다.
S103: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UE가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을 결정한 후 획득한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통해 동기화 및 채널 상태를 획득할 수 있고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UE가 호출 메시지를 더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UE에 의한 호출 메시지의 수신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련 관계는 UE가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관련 관계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쿼시 코로케이션(QCL, quasi-co-location) 관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기준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추적 기준 신호(TRS, Tracking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에 구성된 것이고; 상기 SS block과 상기 CSI-RS는 무선 리소스 관리(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및 이동성 측정을 위한 것이며, 상기 TRS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5G NR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모두 다중 빔 스캔 방식으로 전반 셀을 커버하여 셀 내 UE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동기화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가 다중빔에서의 송신은 동기화 신호 버스트 세트(SS burst set)의 정의를 통해 실현된다. 하나의 SS burst set는 하나 또는 다수의 SS burst를 포함하고, 하나의 SS burst는 하나 또는 다수의 SS block을 포함한다. 하나의 SS block은 하나의 빔의 동기화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베어링한다. 따라서 하나의 SS burst set는 셀 내 동기화 신호 블록 개수(SS block number)와 동일한 개수의 빔의 동기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SS block는 하나의 부호의 주 동기화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하나의 부호의 부 동기화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2 개의 부호의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NR-PBCH, New Radio Access Technology -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SS block의 구조도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및 PBCH가 다중빔 스캔을 진행해야 하는 외에, 다른 일부 공통 정보, 예를 들면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호출(paging) 메시지도 다중빔 스캔 방식으로 송신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관련 관계의 획득 단계, 즉 S101에 대해 본 실시예는 2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제공하는데 각각 하기와 같다.
첫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 Other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MSI 또는 OSI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통지한다.
UE가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의 지시에 따라 호출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한다. 첫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RMSI는 5G NR 시스템에서 처음 접속하는 UE에 대해 하나의 common search space를 정의하여 공통 제어 정보, 예를 들면 RMSI를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 정보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 개념을 도입하여 베어링 제어 정보의 리소스 집합을 정의하고, UE는 상기 리소스 집합에서 NR-PDCCH채널을 검출하여 RMSI가 베어링된 NR-PDSCH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한다. CORESET의 지시 정보는 NR-PBCH에 베어링되어, UE가 RMSI를 수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하면, UE는 호출 메시지를 수신해야 하고, UE는 호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CORESET정보, 즉 CORESET for paging을 결정해야 하며, 상기 CORESET정보는 RMSI를 통해 UE에 지시되어 UE가 상기 CORESET정보에 따라 호출 지시 정보를 검출하여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두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을 통해 상기 관련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은,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위치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며; 상기 호출 대역폭은 상기 BWP의 일부이고; 상기 BWP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이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기설정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5G NR에서 시스템 대역폭은 큰 대역폭(wideband) 반송파를 지원하며, 시스템 반송파 대역폭은 400MHz에 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이 높기에, 큰 대역폭 반송파를 지원할 수 있으나 UE 원가, 전력 등 제한을 받아 UE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 UE 자체 능력의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하나의 wideband 반송파를 하나 또는 다수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BWP는 하나의 세트의 연속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하나의 UE은 하나의 서비스 셀에서 최대 하나의 활성화 다운링크 대역폭 부분(active DL BWP) 및 하나의 활성화 업링크 대역폭 부분(active UL BWP)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또한 UE는 BWP로 구성하기 전에 하나의 초기 active DL/UL BWP가 존재하는데 상기 하나의 초기 active DL/UL BWP는 모든 능력의 UE가 수신할 수 있도록 UE의 최소 대역폭 범위 내에 있다. RRC 연결 구축 과정 또는 구축 후, UE를 위해 특정 active DL/UL BWP를 구성할 수 있다.
아이들(idle) 상태의 UE는 초기 active DL/UL BWP의 존재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호출 메시지를 초기 active DL/UL BWP에 베어링하여 송신한다. 초기 active DL/UL BWP의 대역폭이 UE의 최소 대역폭 능력을 만족하기에 모든 능력의 UE가 모두 상기 초기 active DL/UL BWP에서 호출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UE의 최소 대역폭 능력은 10MHz이기에 초기 active DL/UL BWP의 대역폭이 제한되어 SS block의 베어링을 제외하고, paging 메시지, 데이터(data) 등도 동시에 베어링해야 할 경우, 상기 BWP에서 호출 및 데이터 전송이 혼잡하여 호출 지연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셀 내 UE의 호출 메시지를 다수의 상이한 BWP에 분산시켜 호출 메시지의 부하가 상이한 BWP에서 평균화 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의 다수의 BWP에 각각 paging 메시지를 베어링하기 위한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이 존재하고 상이한 UE는 대응되는 paging 메시지가 베어링된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은 CORESET가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대역폭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일 수 있고; 호출 지시 정보 및/또는 호출 메시지가 베어링된 주파수 영역 대역폭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호출 대역폭은 호출 지시 정보 및 호출 메시지를 베어링하기 위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호출 지시 정보의 송신을 위한 CORESET에 대응되는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호출 메시지 송신을 위한 주파수 영역 위치일 수 있다.
호출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호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RNTI, Paging-Radio Network Tempory Identity)로 스크램블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송신한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에 베어링되고, UE가 호출 지시 정보를 통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베어링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 내에 다수의 SS block이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이한 BWP에 모두 SS block이 존재하고, 아이들 상태의 UE는 시스템 대역폭 중 하나 또는 다수의 SS block을 검출할 수 있다. UE가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과 검출된 SS block가 관련 관계(예를 들면 QCL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경우, 또는 UE가 검출한 동기화 신호가 UE가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을 수신 시 동기화 참조로 사용될 수 없을 경우, UE는 반드시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과 관련 관계(예를 들면 QCL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과정은 검출된 시스템 대역폭 내에 하나 이상의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가 포함된 후, 수신된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UE에 대응되는 수신된 호출 대역폭과 QCL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가 각각 상이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거리가 설정된 거리 임계값보다 커 주파수 영역 간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 영역 위치가 각각 상이한 RF 체인(Radio-Frequency chain)에 속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QCL(Quasi-Co-Location) 관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UE는 도 1에 도시된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적절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여 동기화를 진행하고, 호출 대역폭(Paging bandwidth)에서 송신한 호출(paging) 메시지를 더 수신해야 한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초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고 이는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은 S401, S402를 포함할 수 있다.
S401: 사용자 기기(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에 베어링한다.
S402: 상기 RMSI 또는 OSI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련 관계는 쿼시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UE가 상기 RMSI 또는 OSI를 수신한 후,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에 따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한 다음, 실시예 1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따라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초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UE) (50)를 도시하고 제1 획득 부분(501), 제2 획득 부분(502) 및 수신 부분(5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획득 부분(501)은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한다.
상기 제2 획득 부분(502)은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수신 부분(503)은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제1 획득 부분(501)은 구체적으로,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를 수신하고; 상기 RMSI 또는 OSI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제1 획득 부분(501)은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을 통해 상기 관련 관계를 정의하고; 상기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은,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며; 상기 호출 대역폭은 상기 BWP의 일부이고; 상기 BWP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이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기설정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기준 신호(CSI-RS), 추적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에 구성된 것이고; 상기 SS block과 상기 CSI-RS는 무선 리소스 관리(RRM) 및 이동성 측정을 위한 것이며, 상기 TRS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UE(50)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획득 부분(501)을 트리거하는 판정 부분(5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판정 부분이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가 각각 상이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한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거리가 설정된 거리 임계값보다 크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상기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 영역 위치가 각각 상이한 RF 체인(RF chain)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관련 관계는 쿼시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분”은 부분 회로, 부분 프로세서, 부분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일 수 있고, 물론 유닛일 수도 있으며, 모듈 또는 비모듈화일 수도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구성 부분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별도의 제품이 아닌 형태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수신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UE(50)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초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UE(5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1), 제1 메모리(602) 및 제1 프로세서(603)를 포함하고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604)을 통해 하나로 커플링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버스 시스템(604)은 이러한 컴포넌트 사이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604)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도 6에서 각 버스는 모두 버스 시스템(604)으로 표시하였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1)는 다른 외부 망 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한다.
제1 메모리(602)는 상기 제1 프로세서서(603)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1 프로세서(6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관련 관계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제1 메모리(6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서 작용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예를 들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램(Sync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RAM) 등 많은 형태의 램을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제1 메모리(602)는 상기 및 다른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로세서(603)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들은 제1 프로세서(603)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실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하여 공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제1 메모리(602)에 위치하고, 제1 프로세서(603)는 제1 메모리(602)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문에서 기술된 상기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본 발명의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문의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면 과정, 함수 등)을 통해 본문의 상기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50) 중의 제1 프로세서(603)는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초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70)의 구성을 도시하고 베어링 부분(701) 및 송신 부분(7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분(701)은 사용자 기기(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에 베어링한다.
상기 송신 부분(702)은 상기 RMSI 또는 OSI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상기 관련 관계는 쿼시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수신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3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70)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초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7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 제2 메모리(802) 및 제2 프로세서(803)를 포함하고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804)을 통해 하나로 커플링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버스 시스템(804)은 이러한 컴포넌트 사이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804)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도 8에서 각 버스는 모두 버스 시스템(804)으로 표시하였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다른 외부 망 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진행한다.
제2 메모리(802)는 상기 제2 프로세서서(803)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2 프로세서(8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사용자 기기(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에 베어링하고; 상기 RMSI 또는 OSI를 상기 UE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7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 중의 구성 부분은 실시예 3에서의 상응한 부분과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70) 중의 제2 프로세서(8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방면을 결부한 실시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실행가능 저장매체(디스켓 메모리 및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각의 과정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과정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형 처리기 및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의 과정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이 지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가 특정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하고,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의 과정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이 지정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 탑재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가 일련의 조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 실현가능 처리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의 과정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이 지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단계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23)

  1. 사용자 기기(UE)에 응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으로서,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가 각각 상이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관련 관계 중의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관련 관계는 쿼시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포함하고, 각 호출 대역폭은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BWP)에 각각 위치하고, 호출 대역폭은 제어 정보 세트(CORESET)가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대역폭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임 -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MSI 또는 OSI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정보의 지시 정보를 통지하는 정보 수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QCL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기준 신호(CSI-RS), 추적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에 구성된 것이고; 상기 SS block과 상기 CSI-RS는 무선 리소스 관리(RRM) 및 이동성 측정을 위한 것이며, 상기 TRS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정보 수신 방법.
  6. 삭제
  7. 삭제
  8. 판정 부분, 획득 부분 및 수신 부분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UE)로서,
    상기 판정 부분은,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검출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가 각각 상이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에 관련 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획득 부분을 트리거하며,
    상기 획득 부분은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획득하고, 각 관련 관계는 쿼시 코로케이션(QCL) 관계를 포함하며, 각 호출 대역폭은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BWP)에 각각 위치하고, 호출 대역폭은 제어 정보 세트(CORESET)가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대역폭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이며,
    상기 수신 부분은 상기 관련 관계 중의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과 관련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UE에 대응되는 호출 대역폭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획득 부분은 구체적으로,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OSI)를 수신하고; 상기 RMSI 또는 OSI는 호출 대역폭의 지시 정보 및 상기 호출 대역폭과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를 통지하는 사용자 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획득 부분은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을 통해 상기 관련 관계를 정의하고;
    상기 기설정된 관련 관계 구축 전략은,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상기 호출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 부분(BWP)에 위치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며; 상기 호출 대역폭은 상기 BWP의 일부이고; 상기 BWP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이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호출 대역폭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호출 대역폭 중의 호출 메시지와 기설정된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가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기준 신호(CSI-RS), 추적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에 구성된 것이고; 상기 SS block과 상기 CSI-RS는 무선 리소스 관리(RRM) 및 이동성 측정을 위한 것이며, 상기 TRS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기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획득 부분은 구체적으로, 호출 대역폭과 동기화 또는 기준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14.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97023372A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KR10238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1179A KR102522171B1 (ko)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1390 WO2019095220A1 (zh) 2017-11-16 2017-11-16 一种接收信息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179A Division KR102522171B1 (ko)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16A KR20200088216A (ko) 2020-07-22
KR102384359B1 true KR102384359B1 (ko) 2022-04-07

Family

ID=66539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372A KR102384359B1 (ko)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KR1020227011179A KR102522171B1 (ko)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179A KR102522171B1 (ko) 2017-11-16 2017-11-16 정보 수신 방법,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0555276B2 (ko)
EP (2) EP3952162A1 (ko)
JP (1) JP7102421B6 (ko)
KR (2) KR102384359B1 (ko)
CN (2) CN110214426B (ko)
AU (1) AU2017439713A1 (ko)
BR (1) BR112019018266A2 (ko)
CA (1) CA3052883C (ko)
DK (1) DK3557794T3 (ko)
ES (1) ES2898053T3 (ko)
IL (1) IL268592B2 (ko)
MX (1) MX2019010274A (ko)
PH (1) PH12019501843A1 (ko)
PL (1) PL3557794T3 (ko)
RU (1) RU2759592C1 (ko)
SG (1) SG11201907403XA (ko)
WO (1) WO2019095220A1 (ko)
ZA (1) ZA201905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3989B2 (en) * 2018-02-26 2022-05-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ind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WO2022077259A1 (en) * 2020-10-14 2022-04-21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tive bandwidth part
CN112425211B (zh) * 2020-10-20 2023-08-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网络设备、用户设备及存储介质
CN114765514A (zh) * 2021-01-15 2022-07-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空闲态参考信号的确认方法及相关产品
CN114765501A (zh) * 2021-01-15 2022-07-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参考信号配置获取方法及装置、设备、基站、存储介质
CN114828218B (zh) * 2021-01-22 2024-04-09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参考信号传输时机有效性的确定方法和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5698A1 (en) * 2007-06-18 2008-12-24 Nokia Corporation Determining a transmission window for transmission bursts of broadcast service
CN101883431A (zh) * 2009-05-08 201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网络中的多步寻呼方法和寻呼控制器
CN103580783B (zh) * 2012-07-20 2017-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低成本机器通信用户设备及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基站及信道状态信息处理方法
KR102196316B1 (ko) * 2012-10-18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73865A1 (en) * 2012-11-06 2014-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291B2 (en) * 2012-12-27 2015-09-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4956743B (zh) * 2013-01-31 2018-10-26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同步的方法和设备
WO2014123335A1 (en) * 2013-02-05 2014-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052532B (zh) * 2013-03-15 2019-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信道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RU2624639C1 (ru) * 2013-06-27 2017-07-05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несущей,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WO2015133812A1 (ko) * 2014-03-04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165326A (zh) * 2014-03-04 2016-11-23 Lg 电子株式会社 接收用于接收发现参考信号的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CN105230094B (zh) * 2014-04-11 2019-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接收寻呼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5183035A1 (ko) * 2014-05-30 2015-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41977B2 (en) * 2014-09-19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btaining downlink synchronization, and MTC apparatus
US9961657B2 (en) * 2014-09-25 2018-05-01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TC device operations
CN107079367B (zh) * 2014-10-30 2019-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间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CN107347213A (zh) * 2016-05-05 2017-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系统带宽指示方法、基站及终端
KR102275675B1 (ko) * 2016-06-12 2021-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무선 기기
US10231208B2 (en) * 2016-06-21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06080A (ko) * 2016-08-11 2024-01-1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뉴 라디오를 위한 유연한 프레임 구조에서의 빔포밍 스위핑 및 트레이닝
US10159097B2 (en) * 2016-09-30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and determination of slot and mini-slot structure
US10743299B2 (en) * 2016-11-01 2020-08-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ubband aggregation in NR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74485B2 (en) * 2016-12-22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control resource set with user equipment-specific resources
US10306590B2 (en) * 2017-02-21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for mmW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2826*
3GPP R1-171818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02421B2 (ja) 2022-07-19
CA3052883C (en) 2021-09-07
IL268592B2 (en) 2023-06-01
SG11201907403XA (en) 2019-09-27
US10555276B2 (en) 2020-02-04
JP7102421B6 (ja) 2022-09-30
EP3557794B1 (en) 2021-10-06
KR20220047672A (ko) 2022-04-18
US20190342858A1 (en) 2019-11-07
KR102522171B1 (ko) 2023-04-13
WO2019095220A1 (zh) 2019-05-23
BR112019018266A2 (pt) 2020-07-14
DK3557794T3 (da) 2021-11-15
ZA201905276B (en) 2020-05-27
CN111884786A (zh) 2020-11-03
CA3052883A1 (en) 2019-05-23
CN110214426A (zh) 2019-09-06
PH12019501843A1 (en) 2020-03-16
EP3557794A4 (en) 2020-02-26
EP3557794A1 (en) 2019-10-23
JP2021509545A (ja) 2021-03-25
KR20200088216A (ko) 2020-07-22
CN110214426B (zh) 2020-08-18
RU2759592C1 (ru) 2021-11-15
EP3952162A1 (en) 2022-02-09
ES2898053T3 (es) 2022-03-03
PL3557794T3 (pl) 2022-01-10
MX2019010274A (es) 2019-10-15
IL268592A (en) 2019-09-26
AU2017439713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359B1 (ko) 정보 수신 방법 및 기기
US10165544B2 (en)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paging the wireless device
KR102064309B1 (ko) 시스템 정보를 온 디맨드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US11653326B2 (en) Metho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aging
US10165455B2 (en) Coordination for PBCH
EP3941152B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210038955A (ko)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112290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aging location or camping location
US113504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hannel detection on unlicensed carrier
US10805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transmission
US20230319894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11683834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89017B1 (ko) 페이징 시간의 확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KR102347787B1 (ko) 동기화 신호의 측정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US9635627B2 (en) Connection reliability and managing interference created by beamforming
KR102358904B1 (ko)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지시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N107079489B (zh) 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
JP2020516112A (ja) マルチビーム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チャネルの検出範囲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