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177A -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177A
KR20200083177A KR1020190112415A KR20190112415A KR20200083177A KR 20200083177 A KR20200083177 A KR 20200083177A KR 1020190112415 A KR1020190112415 A KR 1020190112415A KR 20190112415 A KR20190112415 A KR 20190112415A KR 20200083177 A KR20200083177 A KR 2020008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induction heating
heating unit
fixing par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882B1 (ko
Inventor
박수동
류병기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08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18Re-forming and sealing ampo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6Re-forming shaped glass by fusing, e.g. for flame sea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유리관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고정부; 상기 상단고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관을 유도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고정부; 상기 하단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 및 승강시키는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 상기 유리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유도가열부가 상기 유리관을 가열 용융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리관이 가열 용융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늘어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에 상기 하단고정부를 회전 및 상승시키는 제어명령을 출력시켜 상기 유리관이 밀봉 및 절단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Glass tube sealer b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유리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관을 가열 용융시켜 밀봉 및 절단하는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과정에서 화합물이나 합금화 물질을 제조할 경우,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관에 대상 조성물을 칭량한 뒤 가열 합성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조성물이 용융 합성되는 과정 중에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리관을 진공 밀봉한다.
토치 등의 고온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유리관 입구 측을 용융하고 진공 밀봉한 다음, 밀봉된 관을 가열로에서 재가열하여 내부 조성물을 용융 합성하는 두 단계를 거친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과정이 손으로 직접 행해지고 있는데, 가열의 정도 또는 각도에 실수가 생겨 관이 제대로 밀봉되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이후 밀봉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합물 제조 등을 위해 유리관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 시 자칫 큰 폭발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 도구로 가스 토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가스 누출로 인한 폭발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배출구에 대한 신체 접촉으로 화상이 발생할 위험이 크므로 이를 대체할 보다 안전한 밀봉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762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85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리관 밀봉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밀봉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관 밀봉장치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가스 토치 사용이 불필요한 유리관 밀봉장치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유리관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고정부; 상기 상단고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관을 유도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고정부; 상기 하단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 및 승강시키는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 상기 유리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유도가열부가 상기 유리관을 가열 용융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리관이 가열 용융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늘어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에 상기 하단고정부를 회전 및 상승시키는 제어명령을 출력시켜 상기 유리관이 밀봉 및 절단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단 수직부가 상기 유리관의 입구와 연결되는 T자형 관; 상기 T자형 관의 수평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관 내부를 배기시키는 진공부; 상기 T자형 관의 수평부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관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T자형 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의 내부가 상기 진공부 및 가스주입부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중심부로 유리관이 삽입되는 고리형 코어; 및 상기 고리형 코어 주변에 권선되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고리형 코어에 유도가열된 열이 집중되어 상기 유리관 용융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상기 유리관이 삽입 고정되는 하단끼움홈이 형성되는 하단고정부재; 및 상기 하단고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리관이 용융됨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재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가이드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상기 유도가열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시키는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유도가열부를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되어 늘어나는 유리관을 회전 및 상승시켜 밀봉 및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에 따라 유리관 밀봉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관을 유도가열 방식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유리관 밀봉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단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도가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유도가열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단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T자형 관, 진공부 및 가스주입부 및 체크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유리관 밀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단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유도가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유도가열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단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는 상단고정부(100), 유도가열부(200), 하단고정부(300),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 위치감지센서(500), 제어부(600) 및 유리관 유출입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단고정부(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유리관(10)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유리관(10)의 상단을 잡아주어 유리관(10)이 밀봉되는 동안 유리관(10)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단고정부(100)는 상단지지대(110), 상단고정부재(130), 상단끼움홈(150) 및 연결부재(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지지대(110)는 타측이 고정되어 있어 일측에 결합되는 유리관(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단지지대(11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리관(10)의 길이에 따라 유리관(10) 상단이 고정되는 높이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단고정부재(130)는 상단지지대(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리관(10)의 상단과 결합되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단고정부재(130)의 하부면에는 상단끼움홈(150)이 형성되어 유리관(1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상단지지대(110)의 상단에 구비되며, 후술할 유리관 유출입부재(700)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어, 유리관 유출입부재(700)이 유리관(10)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고정부(100)에는 유리관 유출입부재(700)의 끝단으로부터 유리관(10)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유체가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200)는 유리관(100)을 유도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것으로, 상단고정부(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도가열부(200)는 코어와 코어에 권선되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유도가열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름에 따라 도체인 코어가 가열되고, 이렇게 가열된 코어로 인해 비도체인 유리관(100)이 가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유도가열부(200)는 유도가열 지지대(210), 고리형 코어(230), 유도가열코일(250) 및 유리관 관통홀(2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 지지대(210)는 타측이 고정되어 있어 일측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들이 유리관(10)을 일정한 위치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고리형 코어(230)는 유도가열 지지대(2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며, 유도가열코일(250)은 고리형 코어(230)에 권선된다. 그리고 고리형 코어(230)의 중앙에는 유리관 관통홀(270)이 형성되어 고리형 코어(230)의 중심부로 유리관(10)이 삽입되어 상하 관통된다.
이에 따라, 유도가열코일(250)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면 고리형 코어(230)가 가열되고, 이렇게 가열되는 고리형 코어(230)의 열이 유리관 관통홀(270)으로 관통되어 있는 유리관(10)에 전달됨으로써 유리관(10)이 가열 용융된다. 즉, 고리형 코어(230)에 유도가열된 열이 집중되어 유리관(10) 용융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러한 유도가열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고리형 코어(230)가 유도가열부(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에 비해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형 코어(230)와 유도가열코일(250) 사이에는 단열재(290)가 추가 구비되어 고리형 코어(230)에 유도가열된 열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리관(10)을 유도가열 방식으로 용융시킴으로써 가스 토치가 필요없어 유리관 밀봉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단고정부(300)는 유도가열부(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리관(10)의 하단과 결합되어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의 작동을 유리관(10)에 전달해주고,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는 하단고정부(300)에 결합되어 하단고정부(300)를 회전 및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하단고정부(300)는 하단지지축(310), 하단고정부재(330), 하단끼움홈(350) 및 무게추(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고정부재(3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유리관(10)이 삽입 고정되는 하단끼움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370)는 하단고정부재(330)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리관(10)이 용융될 때, 자중을 가중하여 하강 거리가 길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하단지지축(310)은 무게추(370)의 하단에 구비되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와 연결되어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 또는 회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500)는 유리관(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유리관(10)의 위치를 일정한 주기로 센싱하거나 유리관(10)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때에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가 유리관(10)을 밀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유도가열부(200)의 가열과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먼저, 유도가열부(200)에 유도가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도가열코일(250)에 유도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여 유리관(10)을 가열 용융시키도록 한다. 이때, 외부에서 주어지는 설정 값에 따라 또는 시간에 따라 유도전류의 크기나 주파수 등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리관(10)이 용융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늘어나면, 위치감지센서(500)로부터 유리관(10)의 하강 위치를 전달받고, 이러한 위치 정보에 따라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에 제어명령을 출력시켜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가 하단고정부(300)를 회전 또는 상승시켜 유리관(10)을 밀봉시키고, 회전 또는 상승시켜 유리관(10)을 절단시킨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유리관(10)의 입구와 연결되어 유리관(10)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유리관(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관 유출입부(700)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유리관(10) 입구와 연결됨으로써, 고무패킹의 탄력에 의해 기체가 외부로 세어 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리관 유출입부(700)를 통한 유체 유출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는데, 도 1 및 2와 같이,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하나의 통로를 가진 관과 진공부 또는 가스주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하단고정부(300)를 통해 유리관(10)과 연결되어 유리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부는 유리관(10)의 내부를 배기시킬 수 있으며, 가스주입부는 유리관(10)의 내부에 질소, 아르곤 등의 가스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하단고정부(300)의 하단지지축(310)과, 유리관(10)은 상단고정부재(130)에 연결 고정되게 형성되어, 상단고정부(100)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유리관 유출입부(700)와 유리관(1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유리관(10) 밀봉 전 또는 밀봉 과정 중에 내부를 배기시키거나 가스를 주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T자형 관, 진공부 및 가스주입부 및 체크밸브의 정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로서의 유리관 유출입부(700)는 T자형 관(710), 진공부(730), 가스주입부(750) 및 체크밸브(770)가 포함될 수 있다.
T자형 관(710)은 중앙에서 하단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단 수직부와 상단에서 양단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T형 관(710)의 하단 수직부는 유리관(10)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부 일측에는 진공부(730)가 결합되어 유리관(10)의 내부를 배기시키고, 수평부 타측에는 가스주입부(750)가 결합되어 유리관(10) 내부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체크밸브(770)는 T자형 관(7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유리관(10)의 내부가 진공부(730) 및 가스주입부(750)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유체의 흐름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리관(10)의 밀봉 과정에서 진공부(730) 및 가스주입부(750) 중 어느 하나만 또는 동시에 작동되거나, 시간에 따라 진공부(730)와 가스주입부(750)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는 유리관 밀봉 전, 후에 유리관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 또는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8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를 작동시키는 경우, 유리관(10)이 밀봉된 후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400)를 제어하여 하단고정부(300)를 상하 이동시켜 유리관의 내용물(5)이 유도가열부(200) 위치로 이동되고, 유도가열부(200)를 제어하여 유리관의 내용물(5)을 가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800)를 작동시키는 경우, 유도가열부(200)에 결합되어 유도가열부(200)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80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800)와 연결되는 대상은 유도가열 지지대(210)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600)는 유리관(10)이 밀봉된 후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800)를 제어하여 유도가열부(200)를 유리관의 내용물(5) 위치로 이동시키고, 유도가열부(200)를 제어하여 유리관의 내용물(5)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리관 밀봉 및 절단 작업과 유리관의 내용물 용융/합성 작업을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어 관련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밀봉장치의 유리관 밀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리관 밀봉장치에 따른 밀봉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의 (a)와 같이, 유리관(10)을 상단고정부(100)와 하단고정부(300)에 고정시킨 후 유리관(10)의 내부를 유리관 유출입부재(700)를 통해 배기시킨다.
이후 도 8의 (b)와 같이, 유리관 유출입부재(700)를 통해 유리관(10)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는 동시에 유도가열부(200)에서는 유리관(10)을 가열하여 유리관(10)을 용융시킨다.
유리관(10)은 점차 용융됨에 따라 도 8의 (c)에서 "A"와 같이 점도가 낮아지면서 자중에 의해 아랫 부분이 쳐져 길게 늘어나게 된다. 이때, 하단고정부(300)는 유리관(10)의 하단과 결합되어 있어 그 무게로 인해 유리관(10)이 더 빨리 늘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때, 하단고정부(300)에 포함된 무게추는 자중을 가중하여 유리관이 더 잘 늘어지게 한다.
유리관(10)이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되면, 도 8의 (d)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하단고정부(300)가 회전되면서 용융된 "A"부분이 감겨 밀봉되며, 하단고정부(300)가 상승되면서 밀봉된 "A"부분이 냉각되어 상하단이 절단된다. 따라서 하단고정부(300)의 회전 및 상승 제어명령은 유리관(10)이 밀봉, 절단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필요에 따라 도 8의 (e)와 같이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가 유도가열부(200)를 하강시키고, 유리관의 내용물(5)을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융되어 늘어나는 유리관을 회전 및 상승시켜 밀봉 및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에 따라 유리관 밀봉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 내용물 10 : 유리관
100 : 상단고정부 110 : 상단지지대
130 : 상단고정부재 150 : 상단끼움홈
170 : 연결부재 200 : 유도가열부
210 : 유도가열 지지대 230 : 고리형 코어
250 : 유도가열코일 270 : 유리관 관통홀
290 : 단열재 300 : 하단고정부
310 : 하단지지축 330 : 하단고정부재
350 : 하단끼움홈 370 : 무게추
400 :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 500 : 위치감지센서
600 : 제어부 700 : 유리관 유출입부
710 : T자형 관 730 : 진공부
750 : 가스주입부 770 : 체크밸브
800 :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

Claims (6)

  1.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유리관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단고정부;
    상기 상단고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관을 유도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고정부;
    상기 하단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 및 승강시키는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
    상기 유리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유도가열부가 상기 유리관을 가열 용융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리관이 가열 용융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늘어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에 상기 하단고정부를 회전 및 상승시키는 제어명령을 출력시켜 상기 유리관이 밀봉 및 절단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하단 수직부가 상기 유리관의 입구와 연결되는 T자형 관;
    상기 T자형 관의 수평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관 내부를 배기시키는 진공부;
    상기 T자형 관의 수평부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관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T자형 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의 내부가 상기 진공부 및 가스주입부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중심부로 유리관이 삽입되는 고리형 코어; 및
    상기 고리형 코어 주변에 권선되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코어에 유도가열된 열이 집중되어 상기 유리관 용융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상기 유리관이 삽입 고정되는 하단끼움홈이 형성되는 하단고정부재; 및
    상기 하단고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리관이 용융됨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재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가이드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고정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상기 유도가열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시키는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가열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유도가열부를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관의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밀봉장치.
KR1020190112415A 2018-12-28 2019-09-10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 KR102406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380 2018-12-28
KR20180172380 201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77A true KR20200083177A (ko) 2020-07-08
KR102406882B1 KR102406882B1 (ko) 2022-06-10

Family

ID=7160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15A KR102406882B1 (ko) 2018-12-28 2019-09-10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8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387A (ko) * 1984-07-09 1986-02-26 미다 가쓰시게 화력발전플랜트의 제어장치
JP2003034542A (ja) * 2001-07-19 2003-02-07 Ckd Corp 封止容器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3265163A (ja) * 2002-03-15 2003-09-24 Kenzo Takagi 試料入りアンプルの乾燥封止装置
KR20040087626A (ko) 2003-04-08 2004-10-1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브래더용 고무 조성물
KR20050078092A (ko) * 2004-01-30 2005-08-04 윤정훈 생물시료 보존 용기의 자동 진공봉합 장치
KR20060038540A (ko)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가스가 봉입된 유리관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밀봉/절단하는장치 및 방법
KR20060083242A (ko) * 2005-01-14 2006-07-20 삼성코닝 주식회사 유리관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387A (ko) * 1984-07-09 1986-02-26 미다 가쓰시게 화력발전플랜트의 제어장치
JP2003034542A (ja) * 2001-07-19 2003-02-07 Ckd Corp 封止容器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3265163A (ja) * 2002-03-15 2003-09-24 Kenzo Takagi 試料入りアンプルの乾燥封止装置
KR20040087626A (ko) 2003-04-08 2004-10-1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브래더용 고무 조성물
KR20050078092A (ko) * 2004-01-30 2005-08-04 윤정훈 생물시료 보존 용기의 자동 진공봉합 장치
KR20060038540A (ko)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가스가 봉입된 유리관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밀봉/절단하는장치 및 방법
KR20060083242A (ko) * 2005-01-14 2006-07-20 삼성코닝 주식회사 유리관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882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983B1 (en) Optical fiber drawing method and drawing furnace
KR20200083177A (ko) 유도가열식 유리관 밀봉장치
EP0939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up a device for refining molten glass under reduced pressure
JP2007091249A (ja) 液状樹脂の充填装置
US10611670B2 (en) Sealing arrangement of a drawing furnace
KR102045536B1 (ko) 용해로의 내화물 축조장치
KR101442586B1 (ko) 레이들의 용강출수구 반자동 개공기
KR20200135357A (ko) 노내 가스 공급 장치, 광 파이버 제조 장치,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KR20060028410A (ko) 슬래그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6459980U (zh) 一种新型熔点测定装置
JP5221309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脱水焼結装置及び光ファイバ母材の脱水焼結装置における炉心管保全方法
CN106706699A (zh) 一种新型熔点测定装置
JPH01119541A (ja) ファイバ線引炉
CN219951290U (zh) 一种防止导流筒触液的感应机构及单晶炉
JPH0337128A (ja) 光ファイ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5145764A (ja) 単結晶引上げ装置の冷却装置
CA2931537A1 (en) Selective molten metal circulation and transfer system
CN219667251U (zh) 一种直线式箱体发泡线用注料装置
KR100363158B1 (ko) 폐쇄형반도체습식열산화장치
CN210636022U (zh) 一种用于转炉、电炉出钢保护及测温装置
JPH10177092A (ja) ガラス溶融炉の流下ノズル
KR101053282B1 (ko) 고온소재 온도측정장치
JPH11157847A (ja) 溶融ガラス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KR100961330B1 (ko) 턴디쉬의 침지노즐 개폐 장치
JPH0679431A (ja) 樋式給湯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