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071A -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071A
KR20200083071A KR1020180174336A KR20180174336A KR20200083071A KR 20200083071 A KR20200083071 A KR 20200083071A KR 1020180174336 A KR1020180174336 A KR 1020180174336A KR 20180174336 A KR20180174336 A KR 20180174336A KR 20200083071 A KR20200083071 A KR 2020008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ox
bolt
insulating
electric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빈
Original Assignee
김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빈 filed Critical 김수빈
Priority to KR102018017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071A/ko
Publication of KR2020008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된 고정체(200)에 서로 볼트(300)와 너트(400)로 체결되고 내부에 전기장치 또는 제어기를 수납한 전기박스(100)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판형상의 절연판(500)과;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0)의 머리와 나사부에 대응하여 단을 이루어 내부에 삽입된 볼트(300)를 감싸 볼트(300)가 상기 전기박스(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절연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절연판(5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연부재(600)로 감싼 볼트(300)와 너트(400)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전기박스(100)에서 지면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아 전력낭비 및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insulating structure of electric box}
본 발명은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의 금속재 박스를 나사체결함에 있어 두개의 금속재 박스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판과 볼트와 너트를 각각 감싸는 제1절연부재 및 제2절연부재를 사용하여 금속재 박스 간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하는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신호등 제어기, 가로등 제어기, 유량측정을 위한 유량계를 포함하는 함체와 같은 전기박스(100)는 금속재질의 박스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전기 설비나 전자장비, 제어기 등을 보호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박스(100)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선이 연결되며, 내부에 예민한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면에 금속재질의 고정체(200)를 단단히 고정한 후 그 상부에 전기박스(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전기박스(100)가 손상을 입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하부의 고정체(200)와 상부의 전기박스(100)를 볼트(300)와 너트(40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박스(100)와 고정체(200)는 제작의 용이성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장비의 보호를 위해 금속재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전기박스(100)와 고정체(200)를 결합하는 볼트(300)와 너트(400) 역시 강도를 고려하여 모두 금속재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볼트(300) 및 너트(400)는 서로 결합시 접촉하게 되므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기가 통하게 되므로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비나 전선 등이 전기박스(100) 내부면이나 볼트(300) 등에 닿을 경우 전기가 하부의 고정체(200)까지 흘러가게 된다.
이럴 경우 전기박스(100)나 고정체(200)에 사람이 접촉할 경우 감전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허출원 10-2004-0039891호 실사컬러 절연 엠보싱 몰드 제어함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전기박스(100) 외부를 법랑자기와 컬러필름을 부착하여 감전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외부면을 코팅하는 것이므로 전기박스(100)에서 볼트(300)와 너트(400)를 통해 고정체(200)로 직접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고정체(200)가 설치된 지면에서 대지로 전기가 흘러 전기를 낭비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부의 전기박스(100)에 비해 하부의 고정체(200)는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표면에 손상을 입은 고정체(200)에 접촉할 경우에는 감전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체(200) 표면에 손상이 없는 경우에도 전기박스(100)에서 고정체(200) 측으로 전기가 흘러갈 경우 비가 오거나 도로에 물을 뿌리는 경우와 같이 고정체(200) 하부가 물에 젖어 있을 경우에는 지면의 물을 통해 전기가 흐르게 되므로 전기박스(100)나 고정체(200)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전기박스(100) 인근을 통행하는 보행자가 감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지상에 설치된 전기박스(100)에서 고정체(200) 측으로 전기가 흘러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력낭비와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박스(100)의 절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고정체(200)에 서로 볼트(300)와 너트(400)로 체결되고 내부에 전기장치 또는 제어기를 수납한 전기박스(100)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판(500)과;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0)의 머리와 나사부에 대응하여 단을 이루어 내부에 삽입된 볼트(300)를 감싸 볼트(300)가 상기 전기박스(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절연부재(600);로 이루어져 절연판(5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연부재(600)로 감싼 볼트(300)와 너트(400)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재(600)는 상기 볼트(300)의 머리 높이보다 깊게 단차를 이루도록 하여 체결 후 상기 볼트(300)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0)의 나사부 말단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400)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400)를 감싸는 제2절연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연재질은 베크라이트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절연판(500)을 설치할 뿐만 아니라 볼트(300)와 너트(400)의 외부 또한 절연재질로 감싸고 있어 전기박스(100)와 고정체(200) 사이가 절연되므로 전기가 지면으로 흐르지 않아 전력 낭비 및 감전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의 절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볼트가 삽입된 제1절연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의 절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너트가 삽입된 제2절연부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박스의 절연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의 절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가 삽입된 제1절연부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의 절연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너트가 삽입된 제2절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100)의 절연구조는 전기박스(100), 고정체(200), 볼트(300)와 너트(400)로 구성되는 전기박스(100)에 있어서 절연판(500)과 제1절연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절연판(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연판(500)은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절연판(500)은 전기가 흐르지 않은 절연재질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판(500)의 재질로 베크라이트(페놀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베크라이트는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일반적인 용제에 침해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절연판(500) 재질을 베크라이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목재나 합성수지 중 전기 절연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연판(500)은 전기박스(100) 및 고정체(200)에 형성된 볼트(300) 체결용 관통공(110, 210)에 대응하는 관통공(510)이 형성되어 볼트(300) 체결시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판(500)이 접촉되는 상기 전기박스(100)의 하측면과 고정체(200)의 상부면이 모두 평평하므로 절연판(500)을 판재 형태로 가공하고 있으나 전기박스(100)의 하측면이나 고정체(200)의 상부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나 곡면을 이루는 경우 등에는 그에 맞춰 요철을 형성하거나 곡면을 이루도록 가공하는 것도 무방하다.
즉, 절연판(50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절연부재(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절연부재(600)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은 단을 이루며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이는 상측의 지름이 큰 부분은 볼트(300)의 머리가 위치하며 하측의 지름이 작은 부분은 볼트(300)의 나사부가 통과하도록 하여 볼트(300) 체결시 볼트(300)의 머리가 전기박스(100)나 고정체(2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때 상기 상측의 지름이 큰 부분의 높이는 볼트(300) 머리의 높이보다 크게 하여 볼트(300)를 삽입시 볼트(300) 머리가 제1절연부재(600)내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도 단을 이루게 되어 볼트(300) 체결시 제1절연부재(600)의 지름이 작은 하측 부분은 전기박스(100) 및 절연판(500)의 관통공(110, 310)에 삽입되며 상측의 지름이 큰 부분은 전기박스(100)의 표면을 눌러 체결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절연부재(600)의 길이는 볼트(300)의 말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너트(400)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절연부재(600)의 재질도 베크라이트를 가공하여 제작하지만 다른 절연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절연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2절연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너트(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너트(40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7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절연부재(700)의 재질을 베크라이트로 구성하고 있으나 절연판(500)이나 제1절연부재(600)처럼 절연이 되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100)의 절연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면에 고정된 고정체(200) 상부면에 절연판(500)과 전기박스(100)를 차례로 적층한 후 전기박스(100) 내부에서 제1절연부재(600)를 전기박스(100)와 절연판(500) 그리고 고정체(200)에 형성된 볼트(300) 체결용 관통공에 삽입한 후 볼트(300)를 상기 제1절연부재(600)에 삽입하여 나사부의 말단이 고정체(200)내부에 돌출되도록 한 후 너트(400)로 조여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트(300)의 외부를 제1절연부재(600)가 감싸게 되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는 절연판(500)이 삽입되어 볼트(3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제1절연부재(600)가 위치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므로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기박스(100) 내부의 설비가 전기박스(100)와 접촉되어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볼트(300)를 통해 고정체(200)로 전기가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너트(400)의 외부를 감싸도록 제2절연부재(700)를 사용할 경우 고정체(200)도 볼트(300)와 너트(400)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절연효과를 더 높일수 있다.
100 : 전기박스 200 : 고정체
300 : 볼트 400 : 너트(400)
500 : 절연판 600 : 제1절연부재(600)
700 : 제2절연부재

Claims (4)

  1. 지면에 설치된 고정체(200)에 서로 볼트(300)와 너트(400)로 체결되고 내부에 전기장치 또는 제어기를 수납한 전기박스(100)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판(500)과;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0)의 머리와 나사부에 대응하여 단을 이루어 내부에 삽입된 볼트(300)를 감싸 볼트(300)가 상기 전기박스(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절연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절연판(5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연부재(600)로 감싼 볼트(300)와 너트(400)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고정체(200)와 전기박스(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600)는,
    상기 볼트(300)의 머리 높이보다 깊게 단차를 이루도록 하여 체결 후 상기 볼트(300)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0)의 나사부 말단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400)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400)를 감싸는 제2절연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질은,
    베크라이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KR1020180174336A 2018-12-28 2018-12-28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KR20200083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36A KR20200083071A (ko) 2018-12-28 2018-12-28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36A KR20200083071A (ko) 2018-12-28 2018-12-28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071A true KR20200083071A (ko) 2020-07-08

Family

ID=7160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336A KR20200083071A (ko) 2018-12-28 2018-12-28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3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651A (ko) 2021-01-15 2022-07-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651A (ko) 2021-01-15 2022-07-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203A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3651245A (en) Junction box and grounding means therefor
US7432439B2 (en) Terminal box
JP6159444B2 (ja) 電源プラグ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100659289B1 (ko)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CA2435438C (en) High voltage splice box for wet locations
KR101801080B1 (ko) 침수감전방지용 방수단자대
KR20200083071A (ko) 전기박스의 절연 구조
WO2016026470A1 (zh) 一种电阻器、散热器、以及电阻器与散热器组合设备
US3516040A (en) Transformer structure
JP2015109142A (ja) ポリマー形避雷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357742A1 (en)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KR101650306B1 (ko) 계기용 변압 변류기용 부싱
KR200496206Y1 (ko) 방수 퓨즈박스
US4340772A (en) Cover plates for electrical utility and other boxes as used in concealed wiring system of buildings
KR102116425B1 (ko) 전기박스 절연설치용 모듈
US7348872B1 (en) Fuse having a plurality of configurable thermal ceilings
KR200493246Y1 (ko) 전기박스 절연설치용 모듈
KR20210138475A (ko)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KR20170073236A (ko) 점퍼선 설치기구
RU2741073C1 (ru) Система фиксации для полюсов переключателей среднего или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CN205177892U (zh) 防护罩、熔断器组件以及电池箱
KR101506887B1 (ko) 원통형 전극타입의 방전 에너지 방지 및 침수 감전 방지 장치
KR101136911B1 (ko)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6

Effective date: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