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11B1 -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11B1
KR101136911B1 KR1020100089631A KR20100089631A KR101136911B1 KR 101136911 B1 KR101136911 B1 KR 101136911B1 KR 1020100089631 A KR1020100089631 A KR 1020100089631A KR 20100089631 A KR20100089631 A KR 20100089631A KR 101136911 B1 KR101136911 B1 KR 101136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arcing horn
support
polymer
coro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831A (ko
Inventor
임윤석
이동일
이상윤
안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8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의 방전을 방지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있어서, 애자의 일단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애자를 둘러싸며, 개방부를 포함하는 코로나 링 및 코로나 링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애자와 평행하게 개방부에 배치되는 아킹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DEVICE FOR PROTECTING POLYMER INSULATOR}
본 발명은 방전으로부터 애자를 보호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전선을 지지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를 애자라고 한다. 전선은 애자와 주변 공기를 절연체로 이용한다.
전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아지거나 표면의 오염 및 돌기에 의한 첨점 및 곡률반경의 증가에 의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가 점점 증가하다 임계치 이상의 전위 경도가 되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가 된다. 이때, 음향 및 광을 수반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또는 애자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오염물이나 전선 표면의 손상 또는 미소돌기가 존재하는 부분에 전계가 국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때, 코로나 방전의 임계치 이하에서도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낙뢰에 의해서 아크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아크 방전은 낙뢰와 같이 매우 큰 전압이 급격히 전선에 인가되었을 때, 전선의 일부가 파괴되어 증발해서 기체 상태가 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코로나 방전 또는 아크 방전으로부터 고분자 애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고분자 애자에 코로나 링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아크 방전에 대해서는 고분자 애자의 보호를 위한 고분자 애자용 아킹혼이 별도로 제작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고분자 애자를 보호를 위한 아킹혼은 자기재 애자 또는 유리재 애자의 아킹혼을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아크 방전으로부터 고분자 애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없고, 비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방전 현상으로부터 고분자 애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절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분자 애자에 취부가 용이한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을 따르면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의 방전을 방지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있어서, 애자의 일단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애자를 둘러싸며, 개방부를 포함하는 코로나 링 및 코로나 링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애자와 평행하게 개방부에 배치되는 아킹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고분자 애자를 방전 현상으로부터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공기 절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고분자 애자에 취부가 용이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장착한 애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의 공기 절연거리조절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수분 내지 대체수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코로나 링(100), 코로나 링 지지대(200), 아킹혼(300) 및 아킹혼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코로나 링(100)은 송배전 선로에 장착된 애자에 과도하게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으로부터 애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이다. 코로나 링(100)은 애자(500)의 일단을 둘러싸는 원형의 링으로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부(150)를 포함한다. 코로나 링(100)은 코로나 링 지지대(200)에 의해서 애자(500)의 일단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애자를 둘러싸는 형태이다. 여기서, 애자(500)는 고분자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일 수 있다.
코로나 링 지지대(200)는 코로나 링(100)과 애자(500)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일단은 코로나 링(100)의 내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타단은 애자(50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타단은 코로나 링 지지대 체결편(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로나 링 지지대 체결편(210 220)은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타단과 애자(500)의 일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된다. 코로나 링 지지대 체결편(210 220)은 상호 통공되는 체결공(221)을 포함한다. 코로나 링 지지대 체결편(210 220)은 체결공(221)이 결속 장치(2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코로나 링 지지대(200)와 애자(500)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결속 장치는 볼트 및 너트가 될 수 있다.
아킹혼(300)은 낙뢰로부터 애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이다. 아킹혼(300)은 코로나 링(100)의 개방부(150)에 위치한다. 아킹혼(300)은 애자(500)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킹혼(300)은 아킹혼 지지대(400)에 의해서 애자(500)의 일단부에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아킹혼 지지대(400)는 애자(500)와 아킹혼(300) 사이에 개재된다. 즉, 아킹혼 지지대(400)는 애자(500)와 아킹혼(300)사이에 위치하며, 아킹혼 지지대(400)의 일단은 애자(500)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아킹혼 지지대(400)의 타단은 아킹혼(300)과 결합된다.
아킹혼 지지대(400)의 일단은 애자(500)의 일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1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10 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10 420)은 상호 통공되는 체결공(411)을 포함한다. 제1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10 420)은 체결공(411)이 결속 장치(412)에 의해 체결 됨으로써 아킹혼 지지대(400)의 일단과 애자(500)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아킹혼 지지대(400)의 타단은 아킹혼(300)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3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30 440)은 상호 통공되는 체결공(431)을 포함한다.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30 440)은 체결공(431)이 결속 장치(43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아킹혼 지지대(400)의 타단과 아킹혼(3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결속 장치(412 432)는 볼트 및 너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킹혼 지지대(400)와 아킹혼(300)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결합되므로, 아킹혼(300)은 아킹혼 지지대(400)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아킹혼(300)은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30 440)의 결속 장치(432)인 볼트를 풀어 아킹혼 지지대(400)와 분리될 수 있다. 아킹혼 지지대(400)와 분리된 아킹혼(300)을 애자(5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킹혼 지지대(400)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변경된 위치에서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430 440)의 체결공(431) 볼트를 삽입하여 다시 조여주어 아킹혼(300)과 아킹혼 지지대(400)가 다시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링 지지대(200) 및 아킹혼 지지대(400)는 볼트 및 너트로 애자(500)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애자(500)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아킹혼 지지대(400)는 아킹혼(300)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므로, 아킹혼(300)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코로나 링(100)은 제1 코로나 반원형 링(110), 제2 코로나 반원형 링(120) 및 아킹혼(300)을 포함한다.
제1 코로나 반원형 링(110) 및 제2 코로나 반원형 링(120)은 애자(500)의 일단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애자(500)의 외측 중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이다.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는 제1 코로나 반원형 링(110)과 애자(500)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일단은 제1 코로나 반원형 링(110)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는 제2 코로나 반원형 링(120)과 애자(500)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의 일단은 제2 코로나 반원형 링(120)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타단 및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의 타단은 애자(50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이때,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 및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는 애자(5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의 타단에 제1 코로나 링 체결편(210 2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로나 링 체결편(210 260)은 상호 통공되는 체결공(221)을 포함한다. 제1 코로나 링 체결편(210 260)은 체결공(221)이 결속 장치(2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1 코로나 링 지지대(200)와 애자(500)의 일단부가 결합 되도록 한다.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의 타단에 제2 코로나 링 체결편(220 2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로나 링 체결편(220 270)은 상호 통공되는 체결공(271)을 포함한다. 제2 코로나 링 체결편(220 270)은 체결공(271)이 결속 장치(222)에 의해서 체결 됨으로써, 제2 코로나 링 지지대(250)와 애자(500)의 일단부가 결합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킹혼(300)은 아킹혼 지지대(400)에 의해서 제1 코로나 반원형 링(110) 및 제2 코로나 반원형 링(120)에 의해서 형성된 개방부(150 1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를 장착한 애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제1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30)는 제1 애자(510)의 타단에 설치된다. 또한, 제2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30)는 제2 애자(510)의 타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1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30)와 제2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50)는 각각의 아킹혼(300 310)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의 공기 절연거리조절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제1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30)의 제1 아킹혼(300)은 아킹혼 지지대(400)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40)의 제2 아킹혼(310)은 아킹혼 지지대(450)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자(510) 및 제2 애자(520)의 크기가 작거나 제1 애자(510) 및 제2 애자(520) 간의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아킹혼(300) 및 제2 아킹혼(310)은 각각의 아킹혼 지지대(400 450)간의 결합 위치를 변경 시켜 제1 아킹혼(300)과 제2 아킹혼(310) 간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애자(510) 및 제2 애자(520)의 크기가 크거나 애자 간의 거리가 클 수 있다. 이때, 제1 아킹혼(300) 및 제2 아킹혼(310)은 각각의 아킹혼 지지대(400 450)간의 결합 위치를 변경시켜 제1 아킹혼(300) 및 제2 아킹혼(310) 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아킹혼(300)과 제2 아킹혼(310)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130 140)가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서 각각의 아킹혼(300 310)간의 공기 절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애자(510)와 제2 애자(520)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거나, 제1 애자(510) 및 제2 애자(520)의 길이가 작은 경우, 제1 아킹혼(300)과 제2 아킹혼(310)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공기 절연 거리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애자(510)와 제2 애자(520)가 서로 멀리 위치하거나, 제1 애자(510) 및 제2 애자(520)의 길이가 긴 경우, 제1 아킹혼(300)과 제2 아킹혼(310)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공기 절연 거리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고분자 애자를 코로나 현상 및 아크 현상으로부터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아크혼의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공기 절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는 코로나 링과 애자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고분자 애자에 취부가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코로나 링
110 120: 코로나 반원형 링
200 250: 코로나 링 지지대
210 220 260 270: 코로나링 지지대 체결편
221 271: 코로나 링 지지대 체결공
222 272: 코로나 링 지지대 결속 장치
300 310: 아킹혼
400: 아킹혼 지지대
410 420 430 440: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
411: 아킹혼 지지대 체결공
412 432: 아킹혼 지지대 결속 장치
500 510 520: 애자

Claims (5)

  1. 고분자 애자의 방전을 방지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에 있어서,
    애자의 일단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애자를 둘러싸며, 개방부를 포함하는 코로나 링; 및
    상기 코로나 링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상기 애자와 평행하게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아킹혼을 포함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와 상기 아킹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애자와 상기 아킹혼과 결합되는 아킹혼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킹혼과 아킹혼 지지대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아킹혼 지지대 체결편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킹혼 지지대를 통해 상기 애자의 일단부에 설치된 일 아킹혼과
    상기 애자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한 타 애자에 설치된 타 아킹혼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아킹혼과 상기 타 아킹혼에 의해서 공기 절연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KR1020100089631A 2010-09-13 2010-09-13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KR101136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31A KR101136911B1 (ko) 2010-09-13 2010-09-13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31A KR101136911B1 (ko) 2010-09-13 2010-09-13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31A KR20120027831A (ko) 2012-03-22
KR101136911B1 true KR101136911B1 (ko) 2012-04-20

Family

ID=4613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31A KR101136911B1 (ko) 2010-09-13 2010-09-13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110B1 (ko) * 2013-08-01 2014-11-28 한국방송공사 코로나링을 구비한 지선애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566A (en) 1993-12-20 1996-09-03 Reliable Bethea Power Products Apparatus for preventing coronal dischar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566A (en) 1993-12-20 1996-09-03 Reliable Bethea Power Products Apparatus for preventing coronal dischar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110B1 (ko) * 2013-08-01 2014-11-28 한국방송공사 코로나링을 구비한 지선애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31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KR101916333B1 (ko) 변전설비의 낙뢰 방지시스템
KR102348870B1 (ko) 가공송전선의 진동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US20110285496A1 (en) Fuse assembly
KR10151402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손실 감시 및 절감장치
JP2018512706A (ja) 架空線用の碍子装置
US9824800B2 (en) Multi-terminal surge arrester
JP6253783B2 (ja) マルチ電極コロナリング−アレスター
KR20180076697A (ko) 부싱단자용 절연커버
KR101136911B1 (ko) 고분자 애자 보호 장치
US20180090245A1 (en) Fitting with a collar for a power transmission system
GB2440533A (en) Insulated wire tensioner for electric fence
RU21537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дугового разряда снабженных покрытием кабелей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KR101693021B1 (ko) 부싱단자용 절연커버
KR101446932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0784984B1 (ko)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 장치
US6770809B1 (en) Wildlife protector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JP2017054651A (ja) 避雷器縁線抜け防止具
KR20160031716A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EP3591778B1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00001822U (ko) 송전선로용 폴리머 피뢰기의 설치대
US4531018A (en) High voltage electrical insulator with arcing horn
KR200270670Y1 (ko) 라인포스트애자의 점퍼선 보호 장치
KR102045900B1 (ko) 전선용 착빙 방지 장치
JP6022955B2 (ja) 雷害対策用絶縁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