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79A -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79A
KR20200082779A KR1020180173696A KR20180173696A KR20200082779A KR 20200082779 A KR20200082779 A KR 20200082779A KR 1020180173696 A KR1020180173696 A KR 1020180173696A KR 20180173696 A KR20180173696 A KR 20180173696A KR 20200082779 A KR20200082779 A KR 2020008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sk
biometric information
desk
bioinformatio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나
Original Assignee
유니콘아이(주)
고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콘아이(주), 고한나 filed Critical 유니콘아이(주)
Priority to KR102018017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779A/ko
Publication of KR2020008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2Electronically user-adaptable, height-adjustable desk or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IT 기술과 인테리어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데스크 및 이와 연결된 통합 관리 서버 사이에서 수행되되, 스마트 데스크가 지문 등의 생체정보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당해 스마트 데스크 고유 식별코드와 함께 통합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a) 단계; 통합 관리 서버가 당해 생체정보가 해당 스마트 데스크의 고유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생체정보인지를 판단한 후 고유 식별코드에 매칭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기록하고, 등록 생체정보인지 여부를 스마트 데스크에 통보하는 (b) 단계; (b) 단계에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 스마트 데스크는 출근 및 퇴근 시점에 대응하여 설정된 자동 실행 기능을 수행하는 (c) 단계 및 사용자가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이석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자동 잠금 모드를 수행하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sk}
본 발명은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IT 기술과 인테리어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7년 28조원 시장이던 스마트 인테리어 산업이 3년 후인 2020년에는 41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인테리어는 바로 공간의 IoT(Internet of Thing)를 파괴적 혁신의 창조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맞추는 스마트 웰빙 벽지, 사용자의 몸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걸음걸이와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는 스마트 라이프 바닥, 실내에 있는 사람의 상태와 바이오 신호에 따라 빛과 색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스마트 테라피 조명, 수면 시간에 맞춰 조명, 온/습도, 음악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마트 수면 룸, 생활 케어를 정신 의학적 근거로 해주는 거실 공간 스마트 리빙 케어 룸 및 섭취한 음식의 영양과 나트륨 당분 등을 자동 측정해 주는 스마트 음식 테이블 등 다양한 기술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 인테리어 산업의 한 분야로 책상이 설치된 사무 공간이나 학습 공간을 보다 쾌적하면서도 효율적인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하기 선행기술 1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는 물론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을 기계적인 구조 측면에서 제안한 기술이다.
하기 선행기술 2은 신호 수신부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재를 구비한 전동 책상과 연동되어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및 입력된 키와 촬영된 정보에 의해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통하여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데스크의 적정 높이를 설정하여 적용시키는 전동책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래에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책상은 상판의 높이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책상 주위에 어지럽게 널려 있는 전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할 뿐이고, 시계, 전화기, 스피커, 모니터 등 책상 위에 놓여지는 각종 물품을 인테리어 측면에서 깔끔하게 정리하는 측면에서는 미흡한 점이 많이 있었다.
특히 작업 공간의 업무 자동화에는 미흡한 점이 많이 있었다.
(특허문헌 1): 10-1564363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특허문헌 2): 10-1787029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전동 책상 제어 시스템)
(특허문헌 3): 10-2018-0103284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컴퓨터 데스크)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IT 기술과 인테리어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회사 통합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개별 맞춤형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데스크 및 이와 연결된 통합 관리 서버 사이에서 수행하되, 스마트 데스크가 생체정보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당해 스마트 데스크 고유 식별코드와 함께 통합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a) 단계; 통합 관리 서버가 당해 생체정보가 해당 스마트 데스크의 고유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생체정보 인지를 판단한 후 고유 식별코드에 매칭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기록하고, 등록 생체정보인지 여부를 스마트 데스크에 통보하는 (b) 단계; (b) 단계에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 스마트 데스크는 출근 및 퇴근 시점에 대응하여 설정된 자동 실행 기능을 수행하는 (c) 단계 및 사용자가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이석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자동 잠금 모드를 수행하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출근 시점의 상기 자동 설정 기능 항목에는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온이 포함되고,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상승, LED 조명등 온 및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구동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퇴근 시점의 상기 자동 설정 기능 항목에는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오프가 포함되고,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하강, LED 조명등 오프 및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구동 중지, 공기 청정기 중지, 파쇄기 중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자동 잠금 모드는 PC와 모니터의 잠금 모드를 포함하고, LED 조명등 오프나 전자식 잠금 기구를 구비한 서랍의 잠금 모드 수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합 관리 서버는 공지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공지 사항을 스마트 데스크로 전달하고, 스마트 데스크는 공지 사항을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 및 연동된 PC 모니터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무 공간이나 학습 공간에 설치되는 책상에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IT 기술과 인테리어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개별 맞춤형 책상을 제공하여 작업 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스크의 구조적인 배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스크의 전기적인 기능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업무시 및 회의시의 칸막이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스크의 구조적인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는 작업 공간인 상판(100), 다리(105), 기둥(미도시) 및 후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기둥은 그 상단이 상판(100)에 고정된 채로 승강 가능한 구조, 예를 들어 모터 및 모터의 회전 운동을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여러 특허 문헌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판(100)의 승강 구조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판(100)의 좌측, 우측 및 후측에는 각각 칸막이(120), (125), (1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칸막이(120),(125),(130) 역시, 예를 들어 모터 및 모터의 회전 운동을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승강할 수 있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승강 구조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칸막이 승강 구조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칸막이(120),(125),(130)는 전기에 의해 그 투명도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판(100)의 전면은 상판(100)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레일에 의해 출납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지지판(180)을 상판(100)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00)의 후면에는 모니터(150)를 지지한 채로 승강하는 모니터 지지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승강 구조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모니터 지지대의 승강 구조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번호 135는 하강시 모니터(150)가 수납되는 모니터 수납함을 나타낸다. 상판(100)의 하부 적소에는 PC 본체를 수납하는 PC 본체 수납함(19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PC 본체와 연동된 스피커, USB와 각종 포트(Port) 등을 상판(100)에 연결하여 고객이 보다 용이하게 PC 본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판(100)의 적소에는 또한 스마트폰의 수납과 충전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수납홈(170), 유무선 충전패드 및 충전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0)의 적소, 예를 들어 후면에는 스탠드 형태의 LED 조명등(155), 사내 공지 사항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한 쌍의 스피커(175)와 시계 및 전화기(145)가 설치될 수 있다.
책상의 하부에는 발을 올려놓은 발판(140)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발판은 열전 소자로 구현되어 전기에 의해 냉각이나 발열이 가능한 냉온 발판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판(140)은 단순한 필름형 히터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판(100)의 양 측 하부에는 서랍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서랍은 필요에 따라 냉장고(115)나 휴지통 및 파쇄기 수납 박스(110), 스타일러(165)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후판의 적소에는 책상의 하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팬(195)이 설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160은 스마트 데스크의 각종 전장부를 조작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키/버튼)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컨트롤 박스에는 지문, 홍채, 정맥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생체정보 인식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박스는 회사의 경영정보 시스템과 온오프 라인으로 연동되어 있다.
이외에도 상판(100)의 후면에는 소형 공기 청정기 등이 설치될 수 있고, 각종 전원, 예를 들어 PC 전원용 콘센트나 USB 연결잭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스크의 전기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스크의 전기적인 구성은 크게 스마트 데스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 지문 인식부(215), 공기 청정기 구동부(225), 냉장고 구동부(230), 칸막이 변색 구동부(270), 상판 승강 구동부(235), 모니터 승강 구동부(240), 각각의 칸막이 승강 구동부(245), 발판 히터 구동부(250), 냉각팬 구동부(255), 스타일러 구동부(미도시), 파쇄기 구동부(미도시), 스피커 구동부(미도시), 통신부(260) 및 전술한 각종 구동부를 온/오프, 선택 또는 조작할 수 있는 복수의 키/버튼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어부(200)는 예를 들어 8비트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생체정보 인식부(215)는 공지의 지문, 홍체, 안면, 정맥 등의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입력한 지문 등의 생체정보가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에 그 시각을 통신부(260)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출/퇴근 기록, 이석 관리, 스피커 또는 모니터를 통한 회사 공지사항 전송, 회사 DB 접근 권한 및 기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한 지문 등의 생체정보가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책상을 온, 예를 들어 PC 전원이나 모니터 전원의 온 동작이나 LED 조명등(155)을 자동으로 온시키는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는 편의상 LED 조명등 구동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칸막이는 전기 변색 유리로 구현될 수 있는데, 칸막이 변색 구동부(270)는 변색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 칸막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투명도로 변색할 것이다.
냉장고(115)는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열전 소자, 즉 전기를 투입하면 일면은 냉각되고 타면은 발열되는 열전 소자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장고 대신 온장고로도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판 승강 구동부(235)는, 예를 들어 업/다운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상판 승강 키버튼에 의해 동작하는데, 사용자가 업/다운 키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큼만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판(100)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칸막이 승강 구동부(245)는, 예를 들어 각각이 업/다운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칸막이 승강 키버튼에 의해 동작하는데, 사용자가 업/다운 키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큼만 동작하여 각각의 칸막이(120),(125),(130)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각각의 칸막이 업/다운 키버튼은 토글 키버튼으로 구현되어 이를 한번 누르면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승강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는 식으로 각각의 칸막이 승강 구동부(245)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니터 승강 구동부(240)는, 예를 들어 업/다운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모니터 승강 키버튼에 의해 동작하는데, 사용자가 업/다운 키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큼만 동작하여 모니터(150)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판 히터 구동부(250)는 발판 히터 키버튼에 의해 발판 히터를 온/오프 동작하고, 팬 구동부(255)는 냉각팬 키버튼에 의해 냉각팬(195)을 온/오프 동작하며, 공기청정기 구동부(225)는 그 키버튼에 의해 공기청정기를 온/오프 동작한다.
착석 감지부(220)는 책상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로 구현되거나 책상 또는 의자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의자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그 감지 사실을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200)는 착석 감지부(220)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이상 이석한 경우에는 필요한 조치, 예를 들어 LED 조명등(155)이나 모니터(150)를 자동으로 오프한 후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즉시 지문 인식 등의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다시 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부(260)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WiFi 공유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통합 관리 서버와 통신하거나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업무시 및 회의시의 칸막이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 업무시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120),(125),(130) 및 모니터(150)를 상승시켜 독립적이면서도 평안한 업무 환경을 조성하다가 부서 회의시 등에는 칸막이(120),(125),(130) 및 모니터(15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그 자리에서 회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에서 스마트 데스크는 생체정보 인식부(215)를 통해 지문, 홍체, 안면, 정맥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생체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20을 수행하여 입력된 생체정보를 스마트 데스크 고유 식별코드와 함께 통신부(260)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통합 관리 서버는 이렇게 전달받은 생체정보가 그 데이터베이스에 고유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생체정보인지를 판단하는데, 고유 식별코드에 매칭된 등록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40을 수행하여 이를 무시하는 반면에 고유 식별코드에 매칭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S50을 수행하여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기록한다. 출/퇴근 정보의 기록은 입력 시간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출근 또는 퇴근 체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문 등의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회사 DB 접근, 등록, 등급을 확인하고 기록물에 대한 입출력 가능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해 줄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 관리 서버는 단계 S60을 수행하여 전술한 등록 생체정보 여부를 스마트 데스크에 통보하는데, 이후 스마트 데스크는 단계 S70에서 통보 내용이 등록된 생체정보 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70에서의 판단 결과,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반면에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단계 S80을 수행하여 출근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출근인 경우에는 단계 S90을 수행하여 자동 실행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90에서의 판단 결과, 자동 실행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설정된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러한 자동 실행 가능 항목에는, 예를 들어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온,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상승, LED 조명등 온,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구동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문 등의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회사 DB 접근 등록 등급을 확인하고 기록물에 대한 입출력 가능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여 줄 수 있다.
단계 S90에서의 판단 결과, 자동 실행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회사나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예를 들어 10분 이상 이석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기준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1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기준 시간 이상 이석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있는 반면에 이석한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통합 잠금 기능, 예를 들어 PC와 모니터의 잠금 모드(PC의 명령 입력 불능화 및 모니터의 블랙 작업 화면 감춤 기능) 수행이나, LED 조명등 오프 등을 수행하고, 전자식 잠금 기구,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방식의 잠금 기구가 구비된 서랍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서랍을 잠금하는 등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잠금의 해제는 사용자의 착석 감지나 생체정보 인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합 관리 서버는 단계 S130에서 공지 사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140을 수행하여 그 내용을 스마트 데스크에 전달하고, 스마트 데스크는 단계 S150을 수행하여 스피커(175)를 통해 그 내용을 음성과 연동된 PC 모니터(150)에도 내용을 명시한다.
단계 S80에서 퇴근 기록인 경우에는 단계 S160을 수행하여 자동 실행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60에서의 판단 결과, 자동 실행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170으로 진행하여 설정된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러한 자동 실행 가능 항목에는, 예를 들어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오프,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하강, LED 조명등 오프,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오프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착석이 오랫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퇴근으로 처리할지를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데스크는 외부에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부실로 인하여 PC를 포함한 LED 조명등,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오프(OFF)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데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상판 105: 다리
110: 휴지통 및 파쇄기 수납 박스 115: 냉장고
120, 125, 130: 칸막이 135: 모니터 수납함
140: 냉온열 발판 145: 전화기 거치대
150: 모니터 155: LED 조명등
160: 컨트롤 박스 170: 스마트폰 수납홈
175: 스피커 180: 키보드 지지판
190: PC 수납함 195: 냉각팬
200: 제어부 210: 키/버튼부
215: 생체정보 인식부 220: 착석 감지부
225: 공기 청정기 구동부 230: 냉장고 구동부
235: 상판 승강 구동부 240: 모니터 승강 구동부
245: 칸막이 승강 구동부 250: 발판 히터 구동부
255: 팬 구동부 260: 통신부
270: 칸막이 변색 구동부

Claims (6)

  1. 스마트 데스크 및 이와 연결된 통합 관리 서버 사이에서 수행하되,
    스마트 데스크가 생체정보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당해 스마트 데스크 고유 식별코드와 함께 통합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a) 단계;
    통합 관리 서버가 당해 생체정보가 해당 스마트 데스크의 고유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생체정보 인지를 판단한 후 고유 식별코드에 매칭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출근 또는 퇴근 정보를 기록하고, 등록 생체정보인지 여부를 스마트 데스크에 통보하는 (b) 단계;
    (b) 단계에서 등록 생체정보인 경우에 스마트 데스크는 출근 및 퇴근 시점에 대응하여 설정된 자동 실행 기능을 수행하는 (c) 단계 및
    사용자가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이석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자동 잠금 모드를 수행하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출근 시점의 상기 자동 설정 기능 항목에는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온이 포함되고,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상승, LED 조명등 온 및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구동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퇴근 시점의 상기 자동 설정 기능 항목에는 PC 전원 및 모니터 전원 오프가 포함되고, 모니터 및 각 칸막이 자동 하강, LED 조명등 오프 및 온열 발판이나 냉각 팬 구동 중지, 공기 청정기 중기, 파쇄기 중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잠금 모드는 PC와 모니터의 잠금 모드를 포함하고, LED 조명등 오프나 전자식 잠금 기구를 구비한 서랍의 잠금 모드 수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공지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공지 사항을 스마트 데스크로 전달하고, 스마트 데스크는 공지 사항을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 및 연동된 PC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지문, 홍체, 안면, 정맥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KR1020180173696A 2018-12-31 2018-12-31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KR20200082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96A KR20200082779A (ko) 2018-12-31 2018-12-31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96A KR20200082779A (ko) 2018-12-31 2018-12-31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79A true KR20200082779A (ko) 2020-07-08

Family

ID=7160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96A KR20200082779A (ko) 2018-12-31 2018-12-31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7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82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63B1 (ko) 2015-06-08 2015-11-0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KR101787029B1 (ko) 2015-04-03 2017-10-18 (주)매직에코 전동책상 제어 시스템
KR20180103284A (ko) 2017-03-09 2018-09-19 승 호 윤 컴퓨터 데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029B1 (ko) 2015-04-03 2017-10-18 (주)매직에코 전동책상 제어 시스템
KR101564363B1 (ko) 2015-06-08 2015-11-0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KR20180103284A (ko) 2017-03-09 2018-09-19 승 호 윤 컴퓨터 데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82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122B1 (ko) 스마트 데스크
US11956838B1 (en) Smart workstation method and system
US10433646B1 (en)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937690B2 (en) Automatically adjustable desk with usage tracking and methods thereof
US20190328129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desk and tabletop desk with presence detection, usage tracking and methods thereof
KR101453054B1 (ko)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CN106154858A (zh) 基于物联网的智能沙发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206102121U (zh) 办公室智能座椅
CN105336328A (zh) 基于声纹识别的智能家居语音管理系统
KR20140006458A (ko) 발광다이오드 감성 조명장치
CN108078265A (zh) 手滑触摸控制器及手滑触摸控制杯托及沙发
KR20200082779A (ko)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US11744376B2 (en)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6157516B2 (ja) 加熱調理器
CN105334782A (zh) 声纹识别的智能家居管理系统
US20180153311A1 (en) Mattress and hidden compartment combination system
CN212183797U (zh) 一种适用于公共卫生安全的光环境调节装置
CN115718433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智能系统和存储介质
CN113411722A (zh) 一种智能背景音乐系统
CN106315329A (zh) 一种用于病患专用电梯内的紧急救援装置
CN108433392A (zh) 家用支持多媒体的床头柜
CN201906158U (zh) 按摩椅扶手结构
CN118112942A (zh) 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13282000U (zh) 一种基于自动控制的智能办公桌
KR102594576B1 (ko) 팔마사지부의 히든 및 승강 구조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