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690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690A
KR20200082690A KR1020180173526A KR20180173526A KR20200082690A KR 20200082690 A KR20200082690 A KR 20200082690A KR 1020180173526 A KR1020180173526 A KR 1020180173526A KR 20180173526 A KR20180173526 A KR 20180173526A KR 20200082690 A KR20200082690 A KR 2020008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rotation
protrusion
rot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진
Original Assignee
황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진 filed Critical 황원진
Priority to KR102018017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690A/ko
Publication of KR2020008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02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using a combination of a roller mill and a drum mill
    • B02C21/005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using a combination of a roller mill and a drum mill the roller mill having cooper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파쇄부재를 통해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동되는 파쇄물유동관과, 상기 파쇄물유동관 내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압착스크류와, 상기 파쇄부재에서 유출되는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파쇄물유동관으로 이송되는 통로인 연결통로와, 상기 파쇄물유동관의 외주에 마련되며,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가 유출되는 수분통과공과, 상기 수분통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모으는 수분수집통과, 상기 파쇄물유동관과 연결되며, 상기 파쇄물유동관을 통해서 유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수용하며, 호기성 미생물이 투여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며, 회전될 수 있는 고형물수집통과, 상기 고형물수집통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격벽과,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서 분할된 각각의 단위 고형물수집통 내에 위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칼날을 가지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칼날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상물을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절단 및 파쇄를 하므로 동물의 뼈나 식물의 섬유질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나 히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에너지를 절약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되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한 뒤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그대로 미생물 처리에 요하는 수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줌과 동시에 폐수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텐테이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을 가지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칼날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상물을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절단 및 파쇄를 하므로 동물의 뼈나 식물의 섬유질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나 히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에너지를 절약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되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한 뒤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그대로 미생물 처리에 요하는 수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줌과 동시에 폐수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텐테이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소각이나 매립에 의존함으로써 매립지의 부족과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고, 소각처리의 경우 막대한 에너지 소비와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 방출 등이 문제가 되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와 자원화가 당면과제가 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는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처리하거나 사료로 처리하거나 또는 혐기성 소화에 의한 메탄 발효 등으로 이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소각이나 매립 시 파생되는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는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수거하고, 수거한 음식물쓰레기를 이용목적에 맞게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이용 목적대로 최종 생산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전처리 공정은 음식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고, 덩치가 큰 고형물질을 이용목적에 맞는 크기로 파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음식물쓰레기에는 이쑤시개, 뼈, 동물 사체, 비닐, 옷가지, 수저나 금속류 등 많은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이물질은 최종 생산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거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전처리 과정에서 충분히 분리 선별되어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는 과일, 껍질이나 육류에 포함된 뼈 등 덩어리와 고형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이들 또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는 전처리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번호 제10-2010-0038898호로 출원되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칼날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칼날이 무뎌져 음식물쓰레기를 잘 파쇄하기 힘들었으며, 잦은 수리 등으로 사용에 불편하고 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단순히 회전되는 칼날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였으므로 음식물이 잘 파쇄되지 않았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잘 파쇄하기 위해서는 칼날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었으므로 에너지의 소비가 많았으며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이쑤시개, 뼈, 동물 사체, 비닐, 옷가지 등을 선별해서 제거하여야 하나 이러한 제거는 용이하지 않으며, 제거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쇄장치 내로 유입되면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중에서 열교환기나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에너지를 너무 많이 소비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칼날을 가지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칼날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상물을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절단 및 파쇄를 하므로 동물의 뼈나 식물의 섬유질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나 히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에너지를 절약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되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한 뒤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그대로 미생물 처리에 요하는 수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줌과 동시에 폐수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텐테이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파쇄부재를 통해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동되는 파쇄물유동관과, 상기 파쇄물유동관 내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압착스크류와, 상기 파쇄부재에서 유출되는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파쇄물유동관으로 이송되는 통로인 연결통로와, 상기 파쇄물유동관의 외주에 마련되며,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가 유출되는 수분통과공과, 상기 수분통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모으는 수분수집통과, 상기 파쇄물유동관과 연결되며, 상기 파쇄물유동관을 통해서 유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수용하며, 호기성 미생물이 투여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며, 회전될 수 있는 고형물수집통과, 상기 고형물수집통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격벽과,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서 분할된 각각의 단위 고형물수집통 내에 위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상기 수분수집통에 수집된 수분을 상기 고형물수집통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상기 파쇄부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2회전축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와 기어물림되어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제1회전축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1돌기회전부와, 상기 제1돌기회전부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끼워지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2회전축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돌기회전부와, 상기 제2돌기회전부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에 끼워지는 제2스페이서와,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기회전부의 가로중심선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스페이서의 가로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돌기회전부와 제2돌기회전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부재에서, 상기 제1회전축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를 가지는 제1송곳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축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를 가지는 제2송곳회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부재에서, 상기 제1송곳회전부와 상기 제2송곳회전부의 직경은 상기 제1돌기회전부 및 제2돌기회전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칼날을 가지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칼날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상물을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절단 및 파쇄를 하므로 동물의 뼈나 식물의 섬유질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나 히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에너지를 절약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되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한 뒤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그대로 미생물 처리에 요하는 수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줌과 동시에 폐수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텐테이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돌기회전부 및 제2돌기회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돌기회전부와 제2돌기회전부가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의 각 단위 통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평면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돌기회전부 및 제2돌기회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의 제1돌기회전부와 제2돌기회전부가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을 도시한 도면을,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부재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 부위를 도시한 도면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을 도시한 평면도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형물수집통의 각 단위 통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호퍼(200)와, 파쇄부재(100)와, 파쇄물유동관(300)과, 압착스크류(400)와, 연결통로(600)와, 수분통과공(700)과, 미생물처리를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200)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파쇄부재(100)는 상기 호퍼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부재(10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은 상기 파쇄부재(100)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파쇄부재(100)를 통해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스크류(400)는 상기 파쇄물유동관(300) 내에 위치되며, 모터(500)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통로(600)는 상기 파쇄부재(100)에서 유출되는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으로 이송되는 통로이다.
상기 수분통과공(700)은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의 외주에 마련되며,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가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처리를 하기 위한 구성은, 수분수집통(1210)과, 고형물수집통(1220)과, 교반기(1250), 분사관(1270)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수집통(12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통과공(7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모으는 것이다.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은 상기 파쇄물유동관(300)과 연결되며,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을 통해서 유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수용하며, 호기성 미생물이 투여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분할격벽(12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의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이다.
상기 교반기(12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격벽(1230)에 의해서 분할된 각각의 단위 고형물수집통(1220) 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관(1270)은 상기 수분수집통(1210)에 수집된 수분을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쇄부재(100)는, 하우징(10)과, 제1회전축(15)과, 제2회전축(20)과, 제1기어부(25)와, 제2기어부(30)와, 제1돌기회전부(40)와, 제1스페이서(45)와, 제2돌기회전부(50)와, 제2스페이서(5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축(15)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회전축(20)은 상기 제1회전축(15)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기어부(25)는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기어부(30)는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25)와 기어물림되어 상기 제1기어부(2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2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기회전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35)를 가지며,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페이서(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회전부(40)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제2돌기회전부(50)는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35)를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스페이서(55)는 상기 제2돌기회전부(50)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평면도로 보았을 때(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기회전부(40)의 가로중심선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스페이서(55)의 가로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는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송곳회전부(60)와 제2송곳회전부(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송곳회전부(60)는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62)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2송곳회전부(70)는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62)를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송곳회전부(60)와 제2송곳회전부(70)를 더 구비함으로써, 굵은 뼈도 분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송곳회전부(60)와 상기 제2송곳회전부(70)의 직경은 상기 제1돌기회전부(40) 및 제2돌기회전부(5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사용된다.
먼저, 상기 제1회전축(15)을 회전시켜 상기 제2회전축(20)과,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가 전부 회전되도록 한다.
이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호퍼(200)를 통해 상기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 사이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도 7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회전부의 돌출부(35)들이 대상물(3)(음식물쓰레기)을 잡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돌기회전부의 돌출부(35)들이 음식물쓰레기(3)을 잡고 있는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돌출부(35)들이 꽉 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가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기회전부(4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기회전부(40)와 인접된 상기 어느 하나의 제2돌기회전부(50) 사이에 끼인 음식물쓰레기는 완전히 파쇄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3)는 완전히 파쇄되어 후 공정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칼날을 사용하지 않고, 돌출부를 사용해서 음식물쓰레기를 꽉 잡아준 상태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지그재그로 배치된 상기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의 회전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를 잡아 찢듯이 파쇄를 하기 때문에 식물성 섬유질 뿐만 아니라 각동 동물의 뼈도 파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송곳회전부(60)와 제2송곳회전부(70)를 중간중간에 더 배치하면, 굵기가 굵은 뼈 등도 뼈를 상기 송곳돌기(62)들이 찌른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회전부(40) 및 제2돌기회전부(5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렇게 이송된 뼈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이렇게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연결통로(600)를 거쳐서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으로 유입된다.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으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모터(50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압착스크류(400)에 의해서 압착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면서 발생하는 물기는 상기 수분통과공(700)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상기 수분통과공(700)을 통해서 배출된 수분은 별도의 저장조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만약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을 통해서 압착되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별도의 음식물 처리통에서 저장해서 미생물로 처리를 하는 경우에,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상기 음식물 처리통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수분을 따로 마련하고 공급할 필요가 없이 압착되어 이송된 물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분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이렇게 저장된 수분만 수처리를 따로 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와는 별도로 그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미생물이 잘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줌과 동시에 폐수분을 없애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미생물이 분해되면서 고열이 발생하여 습도가 부족해 지는데, 부족한 수분을 별도의 수도관 등을 통하지 않고 제공함으로써 수분 제공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습도 조절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위해서, 상기 수분통과공(700)을 통해서 배출되는 수분은 상기 수분수집통(12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을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은 분할격벽(1230)에 의해서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단계적으로 회전이 되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종래는 장치의 길이가 길 것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턴테이블 방식을 채택하여 장치의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할격벽(1230)에 의해서 분할된 각각의 단위 고형물수집통(1220)에는 교반기(1250)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호기성 미생물로 처리가 끝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으로부터 배출(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파쇄부재(100)를 통해서 잘게 파쇄된 상태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서 처리되므로, 그 처리 시간이 훨씬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호기성 미생물은, 바실루스 서브틸스(Bacilus Subtilis), 사차로미세서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니트로소마(Nitrosoma) 계열 균, 니트로박터(Nitrobacter) 계열, 바실루스 에스피(Bacillus s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0. 하우징 15. 제1회전축
20. 제2회전축 25. 제1기어부
30. 제2기어부 35. 돌출부
40. 제1돌기회전부 45. 제1스페이서
50. 제2돌기회전부 55. 제2스페이서
60. 제1송곳회전부 62. 송곳돌기
70. 제2송곳회전부 100. 파쇄부재
200. 호퍼 300. 파쇄물유동관
400. 압착스크류 500. 모터
600. 연결통로 700. 수분통과공
1210. 수분수집통 1220. 고형물수집통
1230. 분할격벽 1250. 교반기
1270. 분사관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200);
    상기 호퍼(200)에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재(100);
    상기 파쇄부재(100)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파쇄부재(100)를 통해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동되는 파쇄물유동관(300);
    상기 파쇄물유동관(300) 내에 위치되며, 모터(500)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압착스크류(400);
    상기 파쇄부재(100)에서 유출되는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으로 이송되는 통로인 연결통로(600);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의 외주에 마련되며,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가 유출되는 수분통과공(700);
    상기 수분통과공(7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모으는 수분수집통(1210);
    상기 파쇄물유동관(300)과 연결되며, 상기 파쇄물유동관(300)을 통해서 유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수용하며, 호기성 미생물이 투여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며, 회전될 수 있는 고형물수집통(1220);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격벽(1230);
    상기 분할격벽(1230)에 의해서 분할된 각각의 단위 고형물수집통(1220) 내에 위치되는 교반기(1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수집통(1210)에 수집된 수분을 상기 고형물수집통(1220)으로 분사하는 분사관(1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1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회전축(15);
    상기 제1회전축(15)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회전축(20);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는 제1기어부(25);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25)와 기어물림되어 상기 제1기어부(2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2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기어부(30);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35)를 가지며,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1돌기회전부(40);

    상기 제1돌기회전부(40)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지는 제1스페이서(45);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며, 외주에는 돌출부(35)를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돌기회전부(50);
    상기 제2돌기회전부(50)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지는 제2스페이서(55);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기회전부(40)의 가로중심선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스페이서(55)의 가로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돌기회전부(40)와 제2돌기회전부(50)는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15)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62)를 가지는 제1송곳회전부(60)와,
    상기 제2회전축(20)에 끼워져서 상기 제1회전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주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뾰족한 형상의 송곳돌기(62)를 가지는 제2송곳회전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곳회전부(60)와 상기 제2송곳회전부(70)의 직경은 상기 제1돌기회전부(40) 및 제2돌기회전부(5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80173526A 2018-12-31 2018-12-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82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26A KR20200082690A (ko) 2018-12-31 2018-12-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26A KR20200082690A (ko) 2018-12-31 2018-12-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690A true KR20200082690A (ko) 2020-07-08

Family

ID=7160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26A KR20200082690A (ko) 2018-12-31 2018-12-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6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2318A (zh) * 2020-09-23 2020-12-25 安徽峰创云通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餐厨垃圾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2318A (zh) * 2020-09-23 2020-12-25 安徽峰创云通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餐厨垃圾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150040779A1 (en) Screw press dewatering device using shearing blade
KR20100007089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JP2008049285A (ja) 生ごみ様廃棄物の供給装置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826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1339322U (zh) 生物质垃圾处理设备
KR2020008268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8269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826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0776346A (zh) 生物质垃圾处理设备
CN212358495U (zh) 螺旋轴与粉碎挤压装置
CN210646712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机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20008268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82683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장치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KR2020008268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43471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JP5250665B2 (ja) 有機性廃棄物の湿式メタン発酵処理方法
CN211339324U (zh) 生物质垃圾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