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403A -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 Google Patents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403A
KR20200082403A KR1020180172978A KR20180172978A KR20200082403A KR 20200082403 A KR20200082403 A KR 20200082403A KR 1020180172978 A KR1020180172978 A KR 1020180172978A KR 20180172978 A KR20180172978 A KR 20180172978A KR 20200082403 A KR20200082403 A KR 2020008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asurement
curve
distanc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Priority to KR102018017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403A/ko
Publication of KR2020008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치료부위의 사이즈 및 신체곡선형상을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다양한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쉽고 편리한 과정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체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있어서, 일측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로부터 돌출되어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를 구비하는 측정부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노브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검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정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 및 상기 조절대 상에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 및 신체곡선을 표시하는 출력패널과, 상기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Digital gauge for body size measurement with body curvature measuremen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치료부위의 사이즈 및 신체곡선형상을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다양한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쉽고 편리한 과정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골절은 단순골절, 복합골절, 개방골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골절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골절로 인한 2차적인 손상, 즉 지방 색전증, 구획 증후군, 부정유합, 불유합, 무혈성 골괴사 등의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
여기서 분쇄 골절(뼈가 조각으로 부서지는 것), 유합이 잘 되지 않는 골절에는 정형외과 수술을 통해 인체 친화적인 본 플레이트(bone plate)와 본 스크류(bone screw)등의 내고정물을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정형외과 수술 시 주로 환자의 골절부위를 CT 또는 MRI 스캔을 통하여 얻은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예컨대 뼈 내에 스크류를 체결하기 전 체결될 자세나 위치를 계획한 대로 천공해야 한다. 즉, 뼈를 천공하는 드릴의 자세나 위치는 각 수술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된 가이드를 이용하여 천공한다.
그런데 실제 수술 시 골절에 따른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여 스크류가 체결되는 각도나 위치가 계획 수립한 것과 달리 변경해야 될 요인이 상당히 높다. 이 경우 의사가 경험을 바탕으로 개복된 뼈를 전용게이지로 직접 측정하며 수술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용게이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321호 (발명의 명칭: 골반정합을 위한 T형 게이지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413호 (발명의 명칭: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가 있다.
전자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시술할 때 골반에 삽입되는 비구컵의 해당 삽입각도 및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골반정합을 위한 게이지이고, 후자는 상완골(humerus)과 같은 뼈의 곡선부분 길이를 측정하는 게이지이다.
이 밖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960호 (발명의 명칭: 외과수술용 깊이 측정 기구)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387호 (발명의 명칭: 디지털 깊이 측정기)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737호 (발명의 명칭: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과 같이 뼈의 깊이를 측정하는 게이지들도 있다.
이처럼 수술에 필요한 길이, 각도, 곡선길이, 곡선형태, 깊이를 측정하는 전용게이지들을 개별적으로 구성해야 함으로서 수술 시 다양한 변수에 대응하기가 어렵고, 각 게이지별로 조작법을 익혀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321호 (발명의 명칭: 골반정합을 위한 T형 게이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413호 (발명의 명칭: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960호 (발명의 명칭: 외과수술용 깊이 측정 기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387호 (발명의 명칭: 디지털 깊이 측정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737호 (발명의 명칭: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의 단일 게이지만으로도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및 해당 신체부위의 곡선길이는 물론 곡선형상 또한 계측이 가능하고 깊이와 반지름까지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신체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있어서, 일측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로부터 돌출되어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를 구비하는 측정부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노브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검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정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 및 상기 조절대 상에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 및 신체곡선을 표시하는 출력패널과, 상기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장대에는 한 쌍의 연장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측정대와 연장대에 각각 설치되는 곡선측정부에 각각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 중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이로부터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곡선측정부로부터 가장 근접한 곡선측정부에서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기초하여 도달거리를 통한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대와 연장대는 외면에 깊이를 안내하는 눈금과 숫자가 더 표시되며, 상기 측정부는 일측 조절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휠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각도를 피타고라스의 삼각법으로 연산하여 측정부위간의 거리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의 조작버튼은 최초 검출한 각도나 거리를 이어서 검출된 각도나 거리에 대해 자동으로 연산되게 설정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대로 하여금 측정대를 신체부위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도 해당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가 있고, 힌지를 따라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절첩 구조를 채택하여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성이 우수한 경박 단소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및 곡선길이 그리고 깊이와 반지름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수술의 완성도를 향상되게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측정대 및 연장대에 설치되는 곡선측정부를 통해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도달거리를 이용하여 신체부위의 곡선형상까지 추출함에 따라 신체 부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를 증대시켜 수술 완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측정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팔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팔의 곡선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가슴 및 배의 곡선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신체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측정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팔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팔의 곡선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가슴 및 배의 곡선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신체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치료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수술 게이지(기구)에 관련되며, 도 1처럼 측정부(10)와 검출부(20), 곡선측정부(40, 41) 및 제어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이다.
본 발명의 게이지 경박 단소한 구조의 단품만으로도 도 6 내지 도 10처럼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곡선길이 및 곡선형상은 물론 깊이와 반지름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수술의 편의성과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는 크게 일측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조절대(11, 12)와, 상기 조절대(11, 12)로부터 돌출되어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15)를 구비하고 측정대(15)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16)를 구비하는 측정부(10)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노브(21)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25)를 구비하는 검출부(20)와, 상기 한 쌍의 측정대(15)와 연장대(16)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각각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40, 41) 및 상기 조절대(11, 12) 상에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 및 신체곡선을 표시하는 출력패널(31)과, 상기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10)는 게이지를 구성하는 몸체로서, 도 1처럼 한 쌍의 조절대(11)(12)와 측정대(15)로 이루어진다. 조절대(11)(12)는 측정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측정에 필요한 자세로 조작하는 것으로, 도 2처럼 일측 하단에 형성된 힌지(H)끼리 결합되어 가위나 부채처럼 회전한다. 여기서 조절대(11)(12)는 손가락을 걸어서 힌지(H)로부터 회전을 조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작홀(11a)(12b)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대(11)(12)의 타측에는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15)가 소정 길이로 각각 돌출된다. 즉, 조절대(11)(12)를 조작하여 측정대(15)를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시키면, 후술하는 검출부(20)와 제어부(30)를 통하여 제1각도(A1)와 제1거리(L1)를 측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측정부(10)는 도 1 및 도 2처럼 측정대(15)의 일단에 힌지(H)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16)가 구비된다. 연장대(16)는 측정대(1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측정부위가 측정대(15)만으로 부족하거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된다.
즉, 평상 시 연장대(16)는 측정대(15)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 꺼내 사용한다. 이러한 연장대(16)는 측정대(15)와 마찬가지로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시키면, 도 4와 같이 후술하는 검출부(20)와 제어부(30)를 통하여 제2각도(A2)와 제3각도(A3) 및 제2거리(L2)를 측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일측 조절대(11)의 일단에는 도 1 및 도 2처럼 힌지(H)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휠(17)이 구비된다. 측정휠(17)은 측정부위를 구름 운동시켜 도 5a처럼 제3거리(L3)를 측정할 수가 있고, 도 5b처럼 커브거리(L4)를 측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측정된 커브거리(L4)를 통하여 반지름을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측정대(15)와 연장대(16)는 도 2처럼 외면에 깊이를 안내하는 눈금이나 숫자가 더 표시된다. 예컨대, 측정대(15)나 연장대(16)를 뼈 내에 천공한 구멍에 삽입함으로서 천공 깊이를 측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검출부(20)는 측정부(10)의 조작에 의한 자세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고정노브(21)와 변위센서(25)로 이루어진다. 고정노브(21)는 힌지(H)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을 저지하고, 변위센서(25)는 힌지(H)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각도를 검출한다.
즉,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측정대(15)를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되게 조작한 다음, 고정노브(21)로 조작된 자세가 유지되게 고정한다. 여기서 변위센서(25)가 일측 조절대(11)로부터 타측 조절대(1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0)로 신호를 준다. 이러한 변위센서(25)는 회전에 적합한 싱크로, 리졸버, 로터리 엔코더, 펄스 제너레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저렴하면서도 제어가 용이한 가변저항(포텐셔미터)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선측정부(40, 41)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측정대(15)와 연장대(16)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각각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 마주하는 신체부위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곡선측정부(40, 41)는 측정대(15)에 복수개(40a, 40b, 40c, 40d)가 구비되고, 연장대(16)에도 복수개(41a, 41b...)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하나의 곡선측정부에는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전송된 초음파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신체부위의 곡선형상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7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신체부위의 특성에 따라 측정대(15)에 형성된 곡선측정부(40)만으로 측정하거나 연장대(16)에 형성된 곡선측정부(41)까지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물론 곡선측정부(40, 41)의 초음파 신호 전송 및 수신 데이터는 후술할 제어부(30)에서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부(30)는 복수개의 측정대(15)와 연장대(16)에 각각 설치되는 곡선측정부(40, 41)에 각각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 중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40, 41)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이로부터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40, 41)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곡선측정부(40, 41)로부터 가장 근접한 곡선측정부(40, 41)에서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기초하여 도달거리를 통한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는 동시에 모든 곡선측정부(40, 41)에서 초음파 신호를 전송할 경우 신체 부위의 형상에 따라 반사각도의 해당 곡선측정부로 형성되지 않고 근접한 다른 곡선측정부로 수신될 수 있으므로 도달 거리 계산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각 곡선측정부별로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하여 도달 거리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특정 곡선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가 해당 곡선측정부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도달 거리 계산시 전송한 곡선측정부와 수신한 곡선측정부의 거리를 통해 피타고라스 정리를 수행하면 전송한 곡선측정부로부터 반사면이 어떠한 거리차를 두고 위치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이와 같은 곡선측정부(40, 41)로부터 반사면 즉, 신체 부위의 거리가 구해지면 이들을 직선 거리로 연결한 후, 별도의 곡률화 프로그램을 통해 후술할 출력패널(31)로 신체 곡선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직선 거리로 연결된 신체 형상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전술한 곡선측정부(40, 41)의 제어는 물론 변위센서(25)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연산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되는데, 도 1 및 도 2처럼 출력패널(31)과 조작버튼(35)을 포함한다. 출력패널(31)은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 및 곡선형태를 표시하고, 조작버튼(35)은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검출된 각도를 피타고라스의 삼각법으로 연산하여 측정부위간의 거리를 출력한다. 즉, 조절대(11)로부터 측정대(15)와 연장대(16)의 거리는 미리 입력된 상태이므로 변위센서(25)의 각도만으로도 삼각법을 통해 거리를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조작버튼(35)을 통해 최초 검출한 각도나 거리를 이어서 검출된 각도나 거리에 대해 자동으로 연산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최초 검출한 각도와 이어 검출된 각도를 곱한 것에 대해 이어 검출한 거리를 나누는 연산을 설정할 수가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약품이나 고온 및 저온과 같은 소독이 가능하도록 조절대(11)상에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측정부 11, 12: 조절대
11a, 12b: 조작홀 15: 측정대
16: 연장대 17: 측정휠
20: 검출부 21: 고정노브
25: 변위센서 30: 제어부
31: 출력패널 35: 조작버튼
40, 41: 곡선측정부 H: 힌지

Claims (6)

  1. 신체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있어서,
    일측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로부터 돌출되어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를 구비하는 측정부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노브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검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정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 및
    상기 조절대 상에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 및 신체곡선을 표시하는 출력패널과, 상기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장대에는 한 쌍의 연장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반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곡선측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측정대와 연장대에 각각 설치되는 곡선측정부에 각각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 중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이로부터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초음파 신호를 전송한 곡선측정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곡선측정부로부터 가장 근접한 곡선측정부에서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기초하여 도달거리를 통한 반사면과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와 연장대는 외면에 깊이를 안내하는 눈금과 숫자가 더 표시되며, 상기 측정부는 일측 조절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각도를 피타고라스의 삼각법으로 연산하여 측정부위간의 거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조작버튼은 최초 검출한 각도나 거리를 이어서 검출된 각도나 거리에 대해 자동으로 연산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KR1020180172978A 2018-12-28 2018-12-28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KR20200082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78A KR20200082403A (ko) 2018-12-28 2018-12-28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78A KR20200082403A (ko) 2018-12-28 2018-12-28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03A true KR20200082403A (ko) 2020-07-08

Family

ID=7160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78A KR20200082403A (ko) 2018-12-28 2018-12-28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40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21B1 (ko) 2003-04-21 2005-12-05 한국과학기술원 골반정합을 위한 t형 게이지장치
KR20080014960A (ko) 2005-03-16 2008-02-15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외과수술용 깊이 측정 기구
KR101081387B1 (ko) 2006-11-07 2011-11-08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디지털 깊이 측정기
KR101089413B1 (ko) 2011-08-08 2011-12-07 박규원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KR101563737B1 (ko) 2014-03-19 2015-10-27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21B1 (ko) 2003-04-21 2005-12-05 한국과학기술원 골반정합을 위한 t형 게이지장치
KR20080014960A (ko) 2005-03-16 2008-02-15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외과수술용 깊이 측정 기구
KR101081387B1 (ko) 2006-11-07 2011-11-08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디지털 깊이 측정기
KR101089413B1 (ko) 2011-08-08 2011-12-07 박규원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KR101563737B1 (ko) 2014-03-19 2015-10-27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6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peratively measuring anatomical orientation
US11464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peratively measuring anatomical orientation
US9585700B2 (en) Med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
AU20173247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tomical alignment
US10213319B2 (en) Navigation device for joint replacement and surgical support device
US84948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orthopedic alignment using tracking sensors
US20200305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cement of surgical instrumentation
US10524723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s of a vertebral column
EP3335662B1 (en) Medical track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communicating sensor devices
US200900887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surgical implant
US11064904B2 (en) Smart drill, jig, and method of orthopedic surgery
JP2015517345A (ja) 手術中の脊椎の位置合わせ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11515163A (ja) 骨への変更を計画/誘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7760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gress of insertion of a rod in a bone
JP2001523514A (ja) 皮膚下に位置決めされたインプラント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装置
US7753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US20220142711A1 (en) Instrument bourne optical time of flight kinematic position sensing system for precision targeting and methods of surgery
KR20200082403A (ko)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KR20190045490A (ko)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US20220104883A1 (en) Position sensing system for medical devices, orthopedic drill or driver, and method of performing surgery
CN117083029A (zh) 使用深度学习在医疗过程期间跟踪医疗工具的方法
US20220398744A1 (en) Tracking system for robotized computer-assisted surgery
RU184520U1 (ru) Угломер для деротационных остеотомий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ES2296204T3 (es) Dispositivo para posicionar transductores ultrasonicos para la determinacion de propiedades oseas.
TR2022012911A2 (tr) Omurga cerrahi̇si̇nde ve yumuşak doku cerrahi̇si̇nde mekani̇k, opti̇k ve di̇ğer sensörler yardimiyla, fi̇ber bragg teknoloji̇si̇ ve projeksi̇yon i̇le navi̇gasyon si̇stemi̇ ve doku şeffaflaştirma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