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413B1 -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413B1
KR101089413B1 KR1020110078423A KR20110078423A KR101089413B1 KR 101089413 B1 KR101089413 B1 KR 101089413B1 KR 1020110078423 A KR1020110078423 A KR 1020110078423A KR 20110078423 A KR20110078423 A KR 20110078423A KR 101089413 B1 KR101089413 B1 KR 10108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main body
unit
measur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원
Original Assignee
박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원 filed Critical 박규원
Priority to KR102011007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76Evaluating the shoul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시술시 신체 내부의 곡선부분 길이를 측정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의 곡선부분을 따라 인출되는 한 쌍의 자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길이 측정이 가능하고, 정확한 길이 측정을 통해 정밀한 시술이 가능함은 물론, 적절한 시술도구의 선택 및 적절한 갯수의 보조기구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길이 측정시 본체의 일단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인출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쌍의 자(scale)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자는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측정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자의 인출에 따른 길이 측정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Medical measure apparatus for length of curve}
본 발명은 의료 시술시 신체 내부의 곡선부분 길이를 측정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곡선부분을 따라 인출되는 한 쌍의 자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길이 측정이 가능하고, 정확한 길이 측정을 통해 정밀한 시술이 가능함은 물론, 적절한 시술도구의 선택 및 적절한 갯수의 보조기구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시술시 길이 측정 기구를 신체 내부의 시술 부위로 삽입하기가 어렵고, 좁고 민감한 부위가 많은 신체 내부라는 환경적 특성상 시술 부위의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최근에는 평균 수명의 증가와 스포츠나 레저 인구의 증가에 따라 어깨 관절 질환이 급격이 증가하고, 그 중 회전근 개(rotator cuff) 파열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는 경우 파열 길이를 측정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정밀하고 객관적인 길이 측정은 매우 어려웠다.
즉, 도 1에 도시된 어깨 구조를 보면, 회전근 개(R)는 상완골(humerus)(h)을 감싸도록 부착된 힘줄로서, 이러한 회전근 개(R)가 과도한 운동이나 노쇠 혹은 견봉(acromion)(a)과의 과도한 접촉 등으로 파열(rt)되면, 먼저 회전근 개(R)의 손상부위를 제거한 후, 봉합 나사못을 상완골(h)에 고정하고, 봉합사를 이용하여 손상부위가 제거된 회전근 개(R)를 봉합 나사못에 고정하여 상완골(h)에 다시 붙인다.
이때, 회전근 개(R)의 파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보통은 회전근 개(R)가 떨어져 나간 부분에 해당하는 상완골(h)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종래에는 길이 측정을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탐색자(10)를 삽입관(미도시)을 통해 신체 내부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관절 내시경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2의 (a)와 같이 탐색자(10)의 단부에 구비되며 약 5mm가량 'ㄱ'자 형상으로 꺽인 부분(12)을 이용하여 파열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대략 반원 형상(즉,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완골(h)의 표면을 따라 반복하여 탐색자(10)를 가져다 대면서 그 횟수를 세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우며 의사의 눈대중에 의존해야 하므로 정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탐색자(10)의 몸체에 해당하여 길이가 긴 부분(11)을 이용하여 파열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 시간이 다소 짧아지기는 하지만, 오히려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완골(h)을 따라 정확한 파열 길이를 측정하지 못하므로 정밀성은 더욱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내시경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으로 보는 경우 더욱 심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상과 같이 회전근 개(R)의 파열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하므로, 손상된 회전근 개(R)를 제거하거나 그 외 봉합을 위해 필요한 각종 시술도구를 사용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기 어렵고, 봉합 나사못과 같은 보조기구는 회전근 개(R) 파열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갯수를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시켜야 하는데 정밀한 파열 길이를 알 수 없어서 그러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의료 시술시 신체의 곡선부분을 따라 인출되는 한 쌍의 자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길이 측정이 가능하고, 정확한 길이 측정을 통해 정밀한 시술이 가능함은 물론, 적절한 시술도구의 선택 및 적절한 갯수의 보조기구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길이 측정시 상기 본체의 일단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인출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쌍의 자(scal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자는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자의 인출에 따른 길이 측정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가 서로 분리되어 인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의 단부에는 공 형상의 가이드 볼(guide bal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려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측정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는 회전식 구동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식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측정부에 고정되며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편과;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피치(pitch)를 이루는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는 상기 돌편이 끼워져 걸리며,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나선체;를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를 돌리면, 상기 나선체가 회전하고, 상기 나선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돌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된 측정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인부는 돋보기 기능을 하는 윈도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어깨를 구성하는 회전근 개(rotator cuff)의 파열에 따라 상기 회전근 개의 파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의 형상은 각각 길이 측정 대상의 곡선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또는 곡률 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의 표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갖는 표시부가 일정 간격마다 연속하여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의하면 의료 시술시 신체의 곡선부분을 따라 인출되는 한 쌍의 자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길이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확한 길이 측정을 통해 정밀한 시술이 가능함은 물론, 적절한 시술도구의 선택 및 적절한 갯수의 보조기구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어깨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탐색자를 이용한 회전근 개 파열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이용한 회전근 개 파열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의 측정부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의 측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회전근 개 파열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신체 내부로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삽입한 후 곡선형의 시술 부분 길이를 측정할 수만 있다면 척추나 무릎뼈 등 그 외 다른 시술 부분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일 예로서 회전근 개(rotator cuff)(도 1의 R 참조)의 파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회전근 개(R)가 연결되어 있다가 떨어져 나간 상완골(humerus)(도 1의 h 참조)의 일정 부분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때, 다양한 수술 방식 중 일 예로 관절 내시경 수술법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삽입관(미도시)을 통해 본 발명의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를 신체 내부로 삽입 후, 본체(110)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130)의 손잡이(134)를 돌리면,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측정부(120)가 양측으로 인출되면서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상완골(h)의 일정 부분 길이(즉, 파열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확인부(112)를 통해 확인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탐색자(도 2의 10 참조)를 이용함에 따라 상완골(h)의 곡선 부분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측정이 어려웠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개선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곡선 부분의 정밀하고 정확한 길이 측정이 가능하므로 후속의 시술시 정확히 측정된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정밀한 시술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적절한 시술도구(봉합이나 손상부위 제거용 등)의 선택 및 적절한 갯수의 보조기구(봉합 나사못 등)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 중 일부를 2개 부분으로 구획하는 격판(111)과, 상기 본체(110)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시술시 인출되어 곡선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120)와, 상기 측정부(1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인출된 측정부(120)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술 부분을 향하는 일단을 통해서는 측정부(12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인 타단에는 구동부(130)의 손잡이(134)가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4)가 조립되는 본체(110)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홈(110a)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가이드홈(110b)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할 구동부(130)의 일 구성들이 조립되어 회전하거나 직선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신체 내부의 시술 부분까지 도달하기 위해 삽입관 내부에 삽입되더라도 해당 삽입관 내에서의 회전이 용이하여 자유롭게 길이 측정 방위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체(110)는 그 길이가 충분하여 길이 측정시 확인부(112)가 삽입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격판(111)은 본체(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해당 본체(110) 내부를 2개 부분으로 구획함으로써 측정부(1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자(scale)(121, 122)가 서로 분리되면서 인출되도록 한다. 즉,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121, 122)가 구동부(130)에 의해 인출시 격판(111)에 의해 서로 분리된 공간을 통해 인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격판(111)은 두께가 얇은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폭은 본체(110)의 내경과 동일(혹은, 유사)하여, 양측면이 본체(110)의 내면에 접하여 고정되면 본체(110) 내부 중 일부(즉, 자가 위치한 부분)분을 2개 부분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격판(111)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격판(111)이 없더라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121, 122)가 서로 분리되면서 인출되기는 하지만 당해 격판(111)을 더 구비함으로써 그 동작 특성을 더욱 확실히 보장한다.
격판(111)을 조립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격판(111)을 먼저 본체(110) 내부에 삽입 조립 후 본체(110)의 단부에 캡(C)을 조립하는데, 캡(C)은 한 쌍의 자(121, 122)가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격판(111) 대신 본체(110)의 성형 제작시 처음부터 그 내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121, 122)가 이동할 수 있는 직선 형상의 통로를 나란하게 형성하고, 서로 이격된 각각의 통로를 통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121, 122)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측정부(120)는 본체(1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길이 측정시 본체(110)의 일단을 통해 인출되고, 인출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길이를 측정하도록 제1 자(121)와 제2 자(12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자(121, 122)(scal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자(121, 122)는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길이를 측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서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길이 측정을 위해 구동부(130)를 이용하여 인출시키면 원래의 형상대로 굴곡진 형상을 갖추며 인출 후,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 곡선 형상의 측정부분(즉, 상완골(h))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제1 자(121)와 제2 자(122)는 그 굴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이 있고 위생상 문제가 없어서 의료용으로 적합한 플라스틱 재질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다만, 굴곡 형상(즉, 곡률이나 굴곡 반경 등)이 서로 다른 제1 자(121)와 제2 자(122)를 복수개 준비하면, 엑스레이나 관절 내시경을 통해 시술 대상자의 상완골 형상을 시술 전 확인하고, 확인된 상완골 형상에 따라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길이 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정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121)와 제2 자(122)의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갖는 표시부(121a, 122a)를 일정 간격(약 1Cm)마다 연속하여 형성하면, 이 표시부(121a, 122a)가 눈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신체 내부로 관절경(관절 내시경)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자(121)와 제2 자(122)를 인출시켜 파열 길이를 측정시 관절경의 화면에 나타난 표시부(121a, 122a)의 색 구분으로 명확하게 인출 길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물론, 표시부(121a, 122a)의 색을 신체 내부와 구분될 수 있는 색들로 선택하면, 관절경 화면을 보면서 제1 자(121)와 제2 자(122)를 인출시 신체 내부의 민감한 부분을 건드리지 않도록 더욱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도 한다.
구동부(130)는 상기 측정부(1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측정부(1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서 본체(110)에 설치된 손잡이(134)를 돌려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측정부(120)가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는 회전식 구동부(130)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식 구동부(130)는 일단부가 측정부(120)에 고정되며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체(131)와, 상기 이동체(13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편(132)과,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체(13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피치(pitch)를 이루는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는 돌편(132)이 끼워져 걸리는 나선체(133)와,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홈(110a)에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체(133)의 일단에 고정되는 연결블럭(134a) 및 상기 연결블럭(134a)에 고정된 손잡이(1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사가 손잡이(134)를 잡고 돌리면 연결블럭(134a)이 회전홈(110a)을 따라 회전하고, 연결블럭(134a)이 회전하면 나선체(133)가 그 자리에서 회전되므로, 가이드홈(110b)에 맞물려 있는 돌편(132)이 나선체(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 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이동체(131)가 측정부(1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서 편리하게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다만, 이상과 같은 회전식 구동부(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체(131)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131a)을 형성함으로써, 이동체(131)에 일체로 연결된 측정부(120)가 인출되는 길이를 확인부(1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측정부(120)는 제1 자(121)와 제2 자(122)가 동시에 인출되어 양측으로 동일하게 분기되므로, 이동체(131)에 형성된 눈금(131a)은 제1 자(121) 또는 제2 자(122)의 인출 길이의 2배에 해당하는 척도를 갖는 것이 측정된 길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예컨대, 제1 자(121)가 1Cm 인출된 경우라면, 그와 동시에 제2 자(122) 역시 1Cm 인출된 것이므로, 제1 자(121)와 제2 자(122)의 인출 길이를 합산하여 보여주려면 이동체(131)에 형성된 눈금은 2Cm가 되어야 할 것이므로, 제1 자(121) 또는 제2 자(122)와 이동체(131)의 척도비는 1:2가 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제1 자(121)와 제2 자(122)는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상과 같은 척도를 적용한 것 이외에 상기 이격에 따른 오차 역시 더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돌편(13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되,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방향에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나선체(13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나선체(133)에 의한 밀림 현상을 더욱 확실히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확인부(112)는 제1 자(121) 및 제2 자(122)의 인출에 따른 길이 측정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상과 같은 회전식 구동부(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체(110) 내부를 관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window)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윈도우는 돋보기 기능을 하는 렌즈 등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길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직선 이동식 구동부를 사용함에 따라 확인부의 구조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가급적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본체(210)와, 필요에 따라 구비되는 격벽(211)과, 본체(210)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시술시 인출되어 곡선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220)와, 상기 측정부(2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230) 및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인출된 측정부(220)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부(21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210)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술 부분을 향하는 일단을 통해서는 측정부(22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절개 안내부(210a)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부(230)의 손잡이(232)가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본체(210)에는 바람직하게 격판(211)이 끼워져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221, 222)가 분리 수용될 수 있게 하고, 격판(211)을 끼운 후에는 캡(C)을 조립한다.
측정부(220)는 길이 측정시 본체(210)의 일단을 통해 인출되고, 인출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길이를 측정하도록 제1 자(221)와 제2 자(22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자(221, 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자(221, 222)는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길이를 측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한 쌍의 자(221, 222)가 본체(2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길이 측정을 위해 구동부(230)를 이용하여 인출시키면 원래의 형상대로 굴곡진 형상을 갖추며 각각 양측으로 인출되어 곡선 형상의 측정부분(즉, 상완골(h))의 길이를 측정한다.
구동부(230)는 측정부(2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측정부(2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회전식 구동부(도 4의 130 참조)와는 다르게 절개 안내부(210a)에 끼워진 손잡이(232)를 잡고 전방 혹은 후방으로 움직임으로써 측정부(220)가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는 직선 이동식 구동부(230)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 이동식 구동부(230)는 일단부가 측정부(220)에 고정되며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체(231)와, 상기 이동체(23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232) 및 본체(210)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지는 마개(2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사가 손잡이(232)를 잡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일체로 연결된 이동체(231)가 측정부(22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서 편리하게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직선 이동식 구동부(2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체(210)의 절개 안내부(210a)의 측부를 따라 눈금(210b)을 형성하고, 이러한 눈금(210b) 자체를 확인부(210b)로서 사용한다.
이때, 확인부(210b)의 눈금(210b)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자(221) 또는 제2 자(222)의 인출 길이의 2배에 해당하는 척도의 눈금(21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1 자(221)와 제2 자(222)는 서로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상과 같은 척도를 적용한 것 이외에 상기 이격에 따른 오차 역시 더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손잡이(232)와 절개 안내부(210a) 사이의 틈새나, 개방된 본체(210)의 단부에 끼워진 마개(233) 사이에 틈새가 있으면, 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 틈새에는 도시 생략된 실링 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링 수단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확인부(210b)는 제1 자(221) 및 제2 자(222)의 인출에 따른 길이 측정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상과 같이 본체(210)의 절개 안내부(210a)의 측부를 따라 형성된 눈금(210b)자체가 확인부(210b)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측정부를 구성하는 제1 자와 제2 자의 단부에 가이드 볼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는 제1 자(321)와 제2 자(322)로 이루어진 측정부(320)를 포함하고, 이때 회전근 개(R) 파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당해 제1 자(321)와 제2 자(322)가 본체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공 형상의 가이드 볼(guide ball)(321a, 32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자(321)와 제2 자(322)가 각각 인출되어 상완골(h)의 표면에 접하여 양측으로 분기 이동시, 가이드 볼(321a, 322a)에 의해 제1 자(321)와 제2 자(322)가 상완골(h) 표면에 있는 굴곡부분에 걸려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끄러지듯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회전근 개(R) 파열 길이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다만, 가이드 볼(321a, 322a)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단부에 해당 가이드 볼(321a, 322a)에 대응하는 형상의 인입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 내에 인입시에는 가이드 볼(321a, 322a)이 본체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하여 가이드 볼(321a, 322a)도 길이 측정에 반영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210: 본체 111, 211: 격판
112, 210b: 확인부 120, 220: 측정부(자)
130, 230: 구동부 131, 231: 이동체
134, 232: 손잡이 132: 돌편
133: 나선체 321a, 322a: 가이드 볼
h: 상완골 C: 캡

Claims (8)

  1. 의료 시술시 신체 내부의 곡선부분 길이를 측정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길이 측정시 상기 본체의 일단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인출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쌍의 자(scal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자는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며, 상기 측정부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일단을 통해 인출된 상기 한 쌍의 자의 길이를 합산하여 상기 신체 내부의 곡선부분 측정 길이로 사용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측정부의 인출에 따른 이동거리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의 인출에 따른 길이 측정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자가 서로 분리되어 인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의 단부에는 공 형상의 가이드 볼(guide bal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려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측정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는 회전식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측정부에 고정되며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편과;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피치(pitch)를 이루는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는 상기 돌편이 끼워져 걸리며,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는 나선체;를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를 돌리면, 상기 나선체가 회전하고, 상기 나선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돌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된 측정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돋보기 기능을 하는 윈도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어깨를 구성하는 회전근 개(rotator cuff)의 파열에 따라 상기 회전근 개의 파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의 형상은 각각 길이 측정 대상의 곡선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또는 곡률 반경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한 쌍의 자의 표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갖는 표시부가 일정 간격마다 연속하여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KR1020110078423A 2011-08-08 2011-08-08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KR10108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3A KR101089413B1 (ko) 2011-08-08 2011-08-08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3A KR101089413B1 (ko) 2011-08-08 2011-08-08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413B1 true KR101089413B1 (ko) 2011-12-07

Family

ID=4550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423A KR101089413B1 (ko) 2011-08-08 2011-08-08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90A (ko) 2017-10-24 2019-05-03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KR20200082403A (ko) 2018-12-28 2020-07-0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951A (en) 1978-11-30 1980-09-30 Hasson Harrith M Gynecological instrument
US5010892A (en) 1988-05-04 1991-04-30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 Body lumen measuring instrument
US6427351B1 (en) 1998-12-28 2002-08-06 Depuy Orthopaedics, Inc. Arthroscopic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951A (en) 1978-11-30 1980-09-30 Hasson Harrith M Gynecological instrument
US5010892A (en) 1988-05-04 1991-04-30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 Body lumen measuring instrument
US6427351B1 (en) 1998-12-28 2002-08-06 Depuy Orthopaedics, Inc. Arthroscopic measur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90A (ko) 2017-10-24 2019-05-03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KR20200082403A (ko) 2018-12-28 2020-07-0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신체곡선측정이 가능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2160B2 (ja) 経皮手術の測定器械
US7740578B2 (en) Direct reading endoscopic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JP4429166B2 (ja) 測定用構造体を備える外科用縫合装置
AU2010235851B2 (en) A diagnostic device for tubular anatomical structures
JP2006501952A5 (ko)
EP2630915A1 (en) Ultra-wide angle zoom projection system for real time in-situ surgical metrology
US20220047275A1 (en) Surgical instrument
KR101089413B1 (ko)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
US6234977B1 (en) Variable-force monofilament sensory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JPH0868790A (ja) 携帯用排卵日測定器
Yurkewich et al. Low-cost force-sensing arthroscopic tool using threaded fiber Bragg grating sensors
CN102151134B (zh) 内镜专用直接测量尺
EP2078507A1 (en) Small probing hook for arthroscopy
JP2010029507A (ja) 目盛付き鉗子
CN102266229B (zh) 数显式测探尺
US11389057B2 (en) Visio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vision using the same
CN114216383A (zh) 一种软组织厚度测量器
CN107518936B (zh) 全脊柱椎弓根定位套筒
BE1028018B1 (nl) Instrument voor het nemen van een weefselstaal en gebruik ervan in een endoscoop met een flexibele schacht
WO2020168482A1 (zh) 具有视窗的活检针
CN217014025U (zh) 一种用于腔镜下的软组织厚度测量器
Russell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Atraumatic Laparoscopic Grasper
KR20210121331A (ko) 외과용 깊이 게이지
Liang Development and investigation of devices for ultrahigh speed gastrointestin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US20160157842A1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