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071A -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 Google Patents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071A
KR20200082071A KR1020180172260A KR20180172260A KR20200082071A KR 20200082071 A KR20200082071 A KR 20200082071A KR 1020180172260 A KR1020180172260 A KR 1020180172260A KR 20180172260 A KR20180172260 A KR 20180172260A KR 20200082071 A KR20200082071 A KR 20200082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user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372B1 (ko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102018017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발바닥에 제 1 전극이, 종아리에 제 2 전극이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 발생장치에 의해 전기자극이 인가됨으로써 종아리 부위에 다양한 신체유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는 상부에는 사용자가 양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 한 쌍이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기자극 발생부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와, 상기 발판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접촉되고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동일 극성을 갖는 제 1 전극과,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접촉되되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극과는 다른 극성을 갖으며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 작동시 상기 제 1 전극과 함께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전기자극이 발생되게 하는 제 2 전극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ELECTRICITY STIMULATION DEVICE FOR CALF}
개시된 내용은 신체 부위에 미세 전기가 통하게 함으로써 신체유익효과가 발휘되게 하는 전기자극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극 요법은 특정 신체부위에 미세 전기가 통하게 하여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해당 신체부위의 근육이 마사지되게 하고, 신경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혈행을 촉진시켜 통증이 완화되도록 하는 치료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자극 요법은 특정 신체부위의 지방세포에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지방세포를 감소시키는 비만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기자극 요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전기자극 치료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5814호(2004.10.22. 공고)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부위에 저주파를 발생시켜 저주파에 의한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허리용 저주파 벨트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0353609호(2004.06.18. 공고)에 복수 부위에 다채널 모드로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극 요법은 전기자극이 가해지는 전극을 치료가 필요한 신체부위에 부착시키거나 다수 개의 전극이 구비된 벨트 형태의 패드를 허리부위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그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각각의 전극을 신체부위에 부착시키는 것은 치료를 요하는 부위의 집중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탈부착이 번거롭고 해당 부위에 밀착되지 않아 전기자극이 신체 내부로 온전히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무엇부다 벨트 형태의 패드는 신체부위에 강하게 말착되어 전기자극이 신체 내부로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허리를 제외한, 예를 들면 종아리나 발목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는 사용 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0789호(2016.03.09)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1265호(2012.06.26)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5446호(2011.12.12)
사용자가 두 발로 올라선 상태에서 발바닥에 하나의 전극이, 그리고 양 다리의 종아리에 또 다른 전극이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종아리 부위에 전기자극을 이용한 신체유익 효과가 발휘되게 하는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상부에는 사용자가 양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 한 쌍이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기자극 발생부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와, 상기 발판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접촉되고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동일 극성을 갖는 제 1 전극과,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접촉되되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극과는 다른 극성을 갖으며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 작동시 상기 제 1 전극과 함께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전기자극이 발생되게 하는 제 2 전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제 1 전극이, 종아리에 제 2 전극이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 발생장치에 의해 전기자극이 인가됨으로써 종아리 부위에 다양한 신체유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의 다른 사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사용자가 두 발로 밟고 설 수 있게 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10)는 그 상부에 사용자가 양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11) 한 쌍이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기자극 발생부(12)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술한 전기자극 발생부(1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주파, 저주파, 초음파 중 선택된 하나의 전기자극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자극은 염증완화, 림프 및 혈액순환 개선 등 다양한 신체 유익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이와 같은 전기자극 발생부(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료용 전기 발생수단과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 일측에는 컨트롤러(13)가 구비되는데, 이 컨트롤러(13)는 전기자극 발생부(1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자극의 세기, 발생시간, 발생패턴 등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발판(11) 측에는 제 1 전극(20)이 구비된다. 이 제 1 전극(20)은 사용자가 밟고 선 발판(11)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 즉 발바닥에 접촉된다. 이렇게 접촉된 제 1 전극(2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전극(40)과 함께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전기자극이 인가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제 1 전극(20)은 전술한 전기자극 발생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양측 모두 양극이거나 양측 모두 음극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체(10)로부터는 고정부재가 연장 형성된다. 이 고정부재는 발판(11)을 밟고 선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추후에 설명될 제 2 전극(40)이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전기자극이 발생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블에 의해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전기적커넥터에 의해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음압발생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부항컵(31)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부항컵(31)은 그 내부에 음압이 제공되면 해당 부위의 모세혈관 내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키는 물리적 자극을 통해 통증 감소, 면역 기능 향상, 혈중 지질 감소 등 다양한 신체유익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따라서 전기자극과 함께 부항컵(31)에 의한 신체유익 효과가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 내에는 부항컵(31)에 음압이 제공되기 위한 압력발생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부항컵(31) 측에 음압발생 밸브가 구비되어 여기에 사용되는 별도의 압력발생장치에 의해서 음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부항컵(31)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전극(40)이 전기자극 발생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전선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부항컵(3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항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고정부재 측에는 제 2 전극(40)이 구비된다. 이 제 2 전극(40)은 발판(11)을 밟고 있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접촉된다. 이렇게 접촉된 제 2 전극(40)은 전술한 제 1 전극(20)과 함께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전기자극이 인가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제 2 전극(40)은 고정부재에 의해서 전술한 전기자극 발생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전술한 제 1 전극(20)이 모두 양극일 경우 음극을, 음극일 경우 양극을 갖는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고정부재는 접착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벨크로밴드(32)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종아리의 위치에 따라 벨크로밴드(32)를 조절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벨크로밴드(32)는 전술한 제 2 전극(40)이 전기자극 발생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전선에 의해서 연결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고정부재로 부항컵(31)과 벨크로밴드(32)가 사용되었으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전극(40)이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양측 발바닥에 동일전극(예를 들면 모두 양극)인 제 1 전극(20)이 접촉되고 양측 종아리 부위에 제 1 전극(20)과 다른 동일전극(예를 들면 모두 음극)제 2 전극(40)이 접촉되어 종아리 부위가 전기자극 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2 전극(40)이 구비되지 않고 제 1 전극(20) 양쪽이 음극과 양극으로 각각 구비되어 종아리 부위 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에 전기자극이 인가되게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전극(20)이 구비되지 않고 제 2 전극(40) 양쪽이 음극과 양극으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1)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제 1 전극(20)이, 종아리에 제 2 전극(40)이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자극 발생장치에 의해 전기자극이 인가됨으로써 종아리 부위에 다양한 신체유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10 : 본체
11 : 발판
12 : 전기자극 발생부
13 : 컨트롤러
20 : 제 1 전극
31 : 부항컵
32 : 벨크로밴드
40 : 제 2 전극

Claims (3)

  1. 상부에는 사용자가 양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 한 쌍이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기자극 발생부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상기 발판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접촉되고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동일 극성을 갖는 제 1 전극;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접촉되되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극과는 다른 극성을 갖으며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 작동시 상기 제 1 전극과 함께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전기자극이 발생되게 하는 제 2 전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음압발생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부항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접착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고정되는 벨크로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KR1020180172260A 2018-12-28 2018-12-28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KR10222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60A KR102225372B1 (ko) 2018-12-28 2018-12-28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60A KR102225372B1 (ko) 2018-12-28 2018-12-28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71A true KR20200082071A (ko) 2020-07-08
KR102225372B1 KR102225372B1 (ko) 2021-03-09

Family

ID=7160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60A KR102225372B1 (ko) 2018-12-28 2018-12-28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543B2 (ja) * 1998-08-04 2004-04-26 ヤーマン株式会社 体脂肪率計付き足裏マッサージ装置
KR20040043308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뷰닉스 저주파 자극장치
KR100995837B1 (ko) * 2008-12-27 2010-11-22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KR101095446B1 (ko) 2010-02-04 2011-1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말초 신경 전기자극 장치
KR200461265Y1 (ko) 2012-01-30 2012-07-02 이상준 다목적용 저주파 치료기
JP5461109B2 (ja) * 2009-08-27 2014-04-02 株式会社都 低周波パルス印加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60000789U (ko) 2014-08-29 2016-03-09 최동환 부항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능 물리치료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543B2 (ja) * 1998-08-04 2004-04-26 ヤーマン株式会社 体脂肪率計付き足裏マッサージ装置
KR20040043308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뷰닉스 저주파 자극장치
KR100995837B1 (ko) * 2008-12-27 2010-11-22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JP5461109B2 (ja) * 2009-08-27 2014-04-02 株式会社都 低周波パルス印加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095446B1 (ko) 2010-02-04 2011-1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말초 신경 전기자극 장치
KR200461265Y1 (ko) 2012-01-30 2012-07-02 이상준 다목적용 저주파 치료기
KR20160000789U (ko) 2014-08-29 2016-03-09 최동환 부항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능 물리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372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5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inhibition of deep vein thrombosis
US564333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101759279B1 (ko) 마사지 겸용 자극기
KR101874980B1 (ko) 부항 일체형 전기마사지기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100995837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KR102225372B1 (ko) 종아리용 전기자극장치
KR100393885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055791B1 (ko)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부항장치
US7163517B2 (en) Electro-stimulation feet acupuncture channel physiotherapy shoe
KR20190077149A (ko) 미세전류가 발생되는 깔창
KR102049071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기능성신발
KR200339987Y1 (ko) 물리치료용 팬티
KR200478156Y1 (ko) 양방향 케이블 홈을 구비하는 전기자극장치용 발판
CN1142801C (zh) 足底按摩器
CN210785994U (zh) 微电流足部按摩器
KR200255036Y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40043308A (ko) 저주파 자극장치
KR20100100151A (ko) 셀프패드가 구비된 고주파 심부발열 치료장치
KR200278906Y1 (ko) 저주파전극패드
KR200203979Y1 (ko) 발바닥용 저주파 물리치료기
CN201290994Y (zh) 一种人体肌肉电动按摩器
JPH11347096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EP33053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inhibition of deep vein thromb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