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061A -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 Google Patents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061A
KR20200082061A KR1020180172237A KR20180172237A KR20200082061A KR 20200082061 A KR20200082061 A KR 20200082061A KR 1020180172237 A KR1020180172237 A KR 1020180172237A KR 20180172237 A KR20180172237 A KR 20180172237A KR 20200082061 A KR20200082061 A KR 2020008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humidifying filter
reservo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강상우
조안호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061A/ko
Publication of KR2020008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수조로서,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가습필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에 의하면, 수조의 개선된 구조를 통하여 가습필터의 침지개소를 늘려 가습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고, 가습필터에서 낙하하는 물을 다시 재사용 할 수 있으며, 또한, 수조의 분리가 간편하며, 분리시에 물의 누수가 방지되어,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A cistern and 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청정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가습청정기에는 공기를 여과함과 동시에, 공기에 습기를 부여하는 가습필터가 구비된다.
가습필터는 가습기능을 위하여 물에 침지되며, 침지된 물이 가슴필터에 흡수되고, 가습필터에 흡수된 물에 의해 공기가 가습되어 배출된다.
관련 선행기술을 살핀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습청정기는 물이 공급된 수조에 가습필터를 세워 그 하단부가 침지되도록 하여, 가습필터에 의해 흡수된 물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의 가습청정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습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 및 전원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습필터를 세워서 하단부만 침지되도록 구성되므로, 가습필터의 상부까지 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 가습효과가 비교적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원형의 가습필터의 일부가 수조에 침지되도록 하고, 가습필터를 회전시켜 가습필터의 둘레부가 회전하면서 수조에 침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의 가습청정기는 가습필터 전체에 물을 흡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습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 및 전원의 소모가 발생하며, 또한 가습필터 외의 수조 등을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분리, 청소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한 구조를 통하여 가습효과를 높이면서도 사용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가습청정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KR 10-2016-0083173 A KR 10-2018-011232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조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습필터의 가습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분리,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수조로서,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가습필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수조를 제공한다.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주저수부; 상기 주저수부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보조저수부; 및 상기 주저수부와 상기 보조저수부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저수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 일측에 위치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감지부는, 상기 저수부 일측에 위치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부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필터 하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배수유로(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유로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유로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구의 둘레 측과 상기 가습필터의 둘레 측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에 의하면, 수조의 개선된 구조를 통하여 가습필터의 침지개소를 늘려 가습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가습필터에서 낙하하는 물을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분리가 간편하며, 분리시에 물의 누수가 방지되어,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수조의 하부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수조의 하부 케이스의 전체 사시도 및 수위 감지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는, 하우징(100), 가습필터(300), 수조(200), 물탱크(121), 송풍팬(141)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설명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가습청정기의 외관을 이루며, 상기 가습필터(300), 수조(200), 물탱크(121) 및 송풍팬(141)의 구성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위치한다.
하우징(100)은 그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부, 베이스부(140)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하우징(130), 상기 하부 하우징(130)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은, 제1상부 하우징(110) 및 제1상부 하우징(110)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물탱크(121)가 위치하는 제2상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0)의 일측에는 가습청정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1)가 위치하고, 상측에는 하부 하우징(1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통부(132)가 형성되며, 연통부(132)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상부 하우징 내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구체적으로 제1상부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가습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가습청정기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31) 및 배출구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위치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송풍부의 설명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부는 베이스부(140)상부에서 하부 하우징(130) 내에 위치하고, 구동부(143), 축(142) 및 팬(141)을 포함한다.
구동부(143)는 베이스부(140)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되면서 축(142)을 회전시키며, 회전되는 축(142)에 연결된 팬(141)이 회전한다.
구동부(143)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그외의 구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43)의 구동에 따른 팬(141)의 회전에 의해 가습청정기 외부의 공기가 하부 하우징(130)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31)를 통하여 하부 하우징(130) 내로 흡입되어 하부 하우징(130) 상부에 위치한 연통부(132)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탱크(121)의 설명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탱크(121)는 하부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13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제2상부 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한다.
물탱크(121)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물탱크(121) 하부 일측에 위치한 공급구(122)를 통하여, 물탱크(121)에 수용된 물이 후술할 수조(200)로 공급된다.
수조(200)의 설명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200)는 하부 하우징(130)의 상부, 즉, 상부 하우징(110, 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통풍구, 케이스, 저수부, 수위 감지부(250), 파지부(202), 밀폐부(260) 및 배수유로(270)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수조(200)의 외관을 이루며, 하부 케이스(220)및 상부 케이스(210)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220)둘레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221)와, 상부 케이스(210) 둘레 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재(211)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조(200)의 일측에는 파지부(202)가 위치한다.
이로써, 수조(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 220)로 손쉽게 분리하여 분해가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 편의성 및 청소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유입구(215)는 수조(200) 일측에 위치하며, 물탱크(121)의 공급구(122)와 연결되어 물탱크(121)에 수용된 물이 공급구(122) 및 유입구(215)를 통하여 수조(200)로 공급된다.
파지부(202)는 수조(200) 일측이 개방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수조(200)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분리할 수 있다.
통풍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다. 즉, 통풍구는 케이스의 일부분이 하부 하우징(130)의 연통부(132)를 둘러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된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가습필터(300)가 이 통풍구에 설치된다.
밀폐부(260)는 통풍구의 둘레부분의 양측에서 돌출형성되며, 이로써 가습필터(300)와 통풍구 사이가 밀폐된다.
저수부는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물탱크(121)로부터 수조(200)로 공급된 물이 저수되는 공간으로써, 통풍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저수부는 주저수부(230) 및 보조저수부(240)를 포함한다.
주저수부(230)는 통풍구 양측에 위치한다, 즉,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이로써,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에 가습필터(300)의 양측이 침지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보조저수부(240)는 주저수부(230)의 일측에 위치한다. 보조저수부(240)는 양측 주저수부(230)의 일측에서 주저수부(23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연통되어 위치한다. 즉, 보조저수부(240)는 파지부(202)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구획벽(201)은 주저수부(230)의 일단과 보조저수부(240) 사이에서 돌출되어, 주저수부(230)와 보조저수부(240)를 구획한다.
구획벽(201)으로 인하여, 수조(200)가 가습청정기에 결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이 보조저수부(240)로 유입되지 않으나, 상기한 파지부(202)를 이용하여 수조(200)를 분리하여 들어올리면 수조(200)가 수직을 이루며 보조저수부(240)가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이 구획벽(201)을 넘어 보조저수부(240)로 이동하여 저수되므로, 수조(200)의 주저수부(230) 양측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게 된다.
수위 감지부(250)는 저수부 일측, 구체적으로는 유입구(215)에 설치되어 하부 케이스(220)내의 저수부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수위 감지부(2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위 감지부(250)는 로드(251) 및 부표(252)를 포함한다.
로드(251)는 유입구(215) 측의 하부 케이스(220)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위치하며, 부표(252)가 상기 로드(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표(252)는 물보다 밀도가 낮은 재질, 즉, 물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져, 저수부에 공급된 물의 수면에 위치하여, 물의 수위변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부표(252)의 동작을 통하여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의 수위가 감지될 수 있다.
배수유로(270)는 통풍구의 개구된 부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한다.
가습필터(300)에 물이 많이 흡수되거나, 습도가 높은 경우에 기화되지 않는 여분의 물이 가습필터(300)로부터 낙하하게 되는데, 배수유로(270)가 구비됨에 따라 가습필터(300)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배수유로(270)에 모여 배수될 수 있다.
배수유로(270)에는 다수의 리브(271)가 형성되며, 리브(271)는 배수유로(27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습필터(300) 하부면에 접함으로써, 가습필터(300)에 흡수된 과량의 물이 리브(271)를 타고 배수유로(270)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27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하여, 물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보조저수부(240)로부터 파지부(202) 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배수유로(270)를 통하여 배수된 물이 주저수부(230) 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가습필터(300)로 흡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조의 구조를 통하여 가습필터의 침지개소를 늘려 가습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가습필터에서 낙하하는 물을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분리가 간편하며, 분리시에 물의 누수가 방지되어,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다.
가습필터(300)의 설명
먼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필터(300)는 수조(2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수조(200)의 통풍구 측에 위치하며, 그 둘레측의 2개소 이상 또는 전부가 저수부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저수부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300)에 흡수된다.
하부 하우징(130)으로 흡입된 공기가 연통부(132), 통풍구를 지나 물을 흡수한 가습필터(300)를 지나며 가습되어 제1상부 하우징(110)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도 6을 더 참조하여 가습필터(300)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가습필터(3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300)는, 제1침지부(311), 제2침지부(312) 및 비침지부(320)를 포함한다.
제1침지부(311)는 가습필터(300)의 둘레부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200)의 일측의 주저수부(230)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이 흡수된다.
제2침지부(312)는 가습필터(300)의 둘레부 타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침지부(311)와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조(200)의 타측의 주저수부(230)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제2침지부(312)를 통하여 저수부에 저수된 물이 흡수된다.
비침지부(320)는 상기 제1침지부(311) 및 제2침지부(312) 사이에 위치하여 물에 침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침지부(311) 및 제2침지부(312)를 통하여 흡수된 물이 비침지부(320)까지 흡수되어 수분을 포함하는 상태가 된다.
도 6(b)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300)를 설명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가습필터(300)는 제1필터부(301) 및 제2필터부(302)의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한다.
제1필터부(301)는 제1침지부(311) 및 제1비침지부(321)를 포함하며, 제2필터부(302)는 제1필터부(301)와 마찬가지로 제2침지부(312)및 제2비침지부(322)를 포함한다.
제1침지부(311)는 제1필터부(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200)의 일측의 주저수부(230)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주저수부(230)에 저수된 물이 흡수된다.
제1비침지부(321)는 제1침지부(311)의 타측에서 저수부에 접하지 않도록 위치한다.
제2침지부(312)는 제2필터부(302)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200)의 타측의 주저수부(230)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저수부에 저수된 물이 흡수된다.
제2비침지부(322)는 제2침지부(312)의 타측에서 저수부에 접하지 않도록 위치한다.
즉, 제1침지부(311) 및 제2침지부(312)는 통풍구의 둘레측에서 주저수부(230)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제1비침지부(321) 및 제2비침지부(322)는 통풍구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주저수부(230)에 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침지부(311) 및 제2침지부(312)를 통하여 흡수된 물이 제1비침지부(321) 및 제2비침지부(322)까지 흡수되어 수분을 포함하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필터(300)는 2개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습필터(300)는 3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 필터부에 있어서 통풍구의 둘레측에 위치하여 저수부에 접하는 다수의 침지부와, 통풍구의 중앙부근에 위치하여 저수부에 접하지 않도록 위치하는 다수의 비침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c)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300)를 설명한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습필터(300)는 각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침지부(310)는 각뿔형태를 이루는 가습필터(300)의 하단부분으로서 저수부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비침지부(320)는 각뿔형태를 이루는 가습필터(300)의 꼭지점 부근의 부분으로서 저수부에 접하지 않도록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단의 침지부(310)를 통하여 흡수된 물이 꼭지점 부근의 비침지부(320)까지 흡수되어 수분을 포함하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300)가 사각뿔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각뿔형태 또는 원뿔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습필터(300)의 하단부분은 저수부에 접하며, 꼭지점 부근은 저수부에 접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각뿔형태 또는 원뿔형태의 가습필터(300)가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6(d)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300)를 설명한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습필터(300)는 주름진 형태로 구성된다.
각 침지부(311, 312) 및 비침지부(320)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나, 가습필터(300)가 전체적으로 주름진 형태로 구성되어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므로, 가습필터(300)에 흡수되는 물의 보유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6(d)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가습필터가 주름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의 가습필터 역시 주름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의 가습필터는 기존과 같이 하단부 1개소 만이 물에 침지되는 구조와는 달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는 둘레의 2부분 이상 또는 전부가 저수부에 저수된 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되어 가습필터의 물 흡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습청정기의 가습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습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 및 전원의 소모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수조
300: 가습필터

Claims (10)

  1.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수조(200)로서,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가습필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주저수부(230);
    상기 주저수부(23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보조저수부(240); 및
    상기 주저수부(230)와 상기 보조저수부(240)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벽(201);을 포함하는,
    수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수부(240)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파지부(202)를 더 포함하는,
    수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 일측에 위치하는 수위 감지부(250)를 더 포함하는,
    수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250)는,
    상기 저수부 일측에 위치하는 로드(251); 및
    상기 로드(2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부표(252);를 포함하는,
    수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300) 하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배수유로(270)를 더 포함하는,
    수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27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271)를 더 포함하는,
    수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270)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수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의 둘레 측과 상기 가습필터(300)의 둘레 측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부(260)를 더 포함하는,
    수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KR1020180172237A 2018-12-28 2018-12-28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KR20200082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37A KR20200082061A (ko) 2018-12-28 2018-12-28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37A KR20200082061A (ko) 2018-12-28 2018-12-28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61A true KR20200082061A (ko) 2020-07-08

Family

ID=7160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37A KR20200082061A (ko) 2018-12-28 2018-12-28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0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173A (ko) 2014-12-30 2016-07-12 코웨이 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20180112321A (ko) 2017-04-03 2018-10-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173A (ko) 2014-12-30 2016-07-12 코웨이 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20180112321A (ko) 2017-04-03 2018-10-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17061A (ja)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6397756B2 (ja) 加湿装置
JP6607807B2 (ja) 加湿器
JP6934595B2 (ja) 加湿装置
KR20200082061A (ko)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KR20200082060A (ko) 가습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JP2007285565A (ja) 加湿装置
EP3163190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JP4654839B2 (ja) 加湿装置
JP2015021702A (ja) 空気清浄機
KR20070066142A (ko) 공기청정기
JP2004028412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用ミスト生成機構
KR20160090221A (ko) 휴대용 에어워셔
KR102052177B1 (ko) 증발식 가습기
KR20180067350A (ko) 송풍식 자연 가습기
KR20130074164A (ko) 가습공기청정기
CN106931577A (zh) 加湿装置、具有该加湿装置的净化器、加湿器和暖风机
CN218296082U (zh) 一种新型加湿器
CN216644438U (zh) 一种加湿器
KR20210042488A (ko) 공기청정기
JP6342294B2 (ja) ミスト発生装置
CN214949509U (zh) 用于立式蒸发加湿器的出风口结构
CN218379798U (zh) 一种净化装置
CN208419061U (zh) 一种除尘加湿器
CN209877259U (zh) 一种水壶款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