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778A -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778A
KR20200081778A KR1020180171633A KR20180171633A KR20200081778A KR 20200081778 A KR20200081778 A KR 20200081778A KR 1020180171633 A KR1020180171633 A KR 1020180171633A KR 20180171633 A KR20180171633 A KR 20180171633A KR 20200081778 A KR20200081778 A KR 2020008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photographing
unit
camera modul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범
윤성복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8017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778A/ko
Publication of KR2020008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촬영부; 케이싱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양단이 각각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며,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요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대중화 및 휴대 전자 기기의 높은 보급률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사진 공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트위터,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면서 다양하고 멋있는 사진 촬영 및 공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2013년에는 옥스퍼드가 선정한 올해의 단어로 자기 스스로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을 일컫는 '셀피(selfie)'가 선정되기도 했다.
즉,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장치는 단순한 촬영 및 저장 매체에서 공유를 위한 매개체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존재하고 있다. 동시에, 촬영한 영상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존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미지 센서 및 광학 기술이 발달하며 카메라는 고화질화, 소형화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557608호에는 촬영모듈이 구비된 플렉서블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는 촬영 모듈에 플렉서블 몸체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소지하면서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렉서블 장치는 촬영모듈과 손잡이부에 플렉서블 몸체를 결합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사용자가 촬영모듈의 작동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 연결부의 양 끝단을 촬영부와 그립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나 전원의 온/오프 및 충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촬영부; 케이싱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양단이 각각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며,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요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1 이상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전원 온/오프,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타입랩스 촬영, 슬로우모션 촬영, 충전중 및 충전완료를 각각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연결부의 양 끝단을 촬영부와 그립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삽입 폭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전원의 온/오프 및 충전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내부 구조 및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촬영부(10)와 그립부(30)와, 상기 촬영부(10) 및 그립부(30)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연결부(20)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코어(21)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는 공지의 수단이다.
즉, 상기 코어(21)는 굽힘(bending)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twisting)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코어(21)에 힘을 가하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일정한 곡률로 굽혀질 수 있다. 역시 힘을 가하여 원상태로 복원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손목이나 가구 또는 기구물 등에 감아서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기 코어(21)의 표면에는 외피(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22)는 실리콘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0)는 하우징(H)의 일측에 메모리수단이 장착되는 슬롯(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촬영부(10)의 하우징(H)에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이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모듈(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플래시모듈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30)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포트(31)와, 카메라모듈(11)을 제어하는 동작버튼(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영부(10)를 설명한다. 상기 촬영부(10)는 하우징(H)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1)과 렌즈(12)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1)에서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은 슬롯(15)에 삽입된 메모리수단(미도시)에 파일형태로 저장된다.
전술한 메모리수단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0)에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이 촬영한 영상은 외부디바이스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1)은 정지영상모드, 동영상모드, 타임랩스모드, 슬로우모션모드, 파노라마모드, 서라운드모드, 근접모드 등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파노라마모드는 360°방향의 모든 경치를 사진 한 장에 담을 수는 없기에 몇 장으로 나누어 촬영을 한 뒤 옆으로 길게 이어 붙여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든다.
서라운드모드는 사진을 단방향이 아닌 4방향(상하좌우)으로 움직이면서 촬영한다.
또는, 미리설정된 계정으로 카메라모듈(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업로드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을 연동하여, 카메라모듈(11)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신 모듈을 통해 바로 미리설정된 계정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1)은 줌 기능(zooming module)을 포함하여, 멀리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에 이웃하여 인디케이터(13)가 구비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광원으로서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3)의 전면에는 표시창(1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창(14)은 전체적으로 비투과면이고, 중앙에만 스팟(spot)형태로 투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색 또는 점멸 여부나 점멸 속도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중 또는 충전 중임을 표시한다.
상기 하우징(H)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12)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표시창(14)이 구비되는데, 이들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둘다 원형의 글래스로서 외관상으로는 매우 흡사하다(도 2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있는 렌즈(12)를 응시하면서 촬영하고, 이 때 렌즈(12)에 바로 이웃하여 구비되는 인디케이터의 표시창(14)을 통해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과 인디케이터(13)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16)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H)의 하부에는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1삽입홈(17)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요성 연결부(20)는 표면에 외피(22)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코어(21)의 일단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외피(22)가 코어(21)의 끝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끝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삽입홈(17)에는 상기 외피(22)의 단부와 맞닿는 걸림턱(17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7a)은 상기 제1삽입홈(17)의 내측벽에 세로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을 상기 제1삽입홈(17)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의 단부가 상기 걸림턱(17a)들에 걸려 삽입 폭(길이)이 용이하게 결정되는 것이다.
즉,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을 촬영부의 하우징(H)에 형성된 제1삽입홈(17)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가 상기 걸림턱(17a)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외피(22)가 없어 노출된 코어(21)의 끝단과 제1삽입홈(17)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외피(22)의 단부와 제1삽입홈(17) 사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20)와 촬영부(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17)에 삽입되는 외피(22)의 폭(길이)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의 케이싱(C)에도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홈(35)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외피(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홈(35)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에 형성된 외피(22)의 단부가 맞닿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을 그립부(30)의 케이싱(C)에 형성된 제2삽입홈(35)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가 상기 걸림턱(33)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는다.
한편, 가요성 연결부의 코어(21)는 통상 금속재로 형성되는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절단할 때 상기 코어(21)의 절단면이 매끄럽지 않고 버(burr, 31a)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코어(21)의 단부에 버(21a)가 형성되면, 상기 제2삽입홈(또는 제1삽입홈)에 평행하게 연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상기 제2삽입홈(35)에 상기 버(21a)가 도피되는 도피홈(34)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코어의 절단면에 버(21a)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버(21a)는 상기 도피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가요성 연결부(20)와 케이싱(C)의 연결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삽입홈에도 상기 버가 도피되는 도피홈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촬영부(10)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도 4의 '13'참조)와 표시창(14) 사이에는 광전달부(18)가 구비된다.
인디케이터의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는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순차적으로 수평하게 배열된다(도 4 참조). 상기 복수의 광원이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배열하는 것은 촬영부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의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는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출사된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전면에 구비된 표시창(14)으로 전달하는 광전달부(18)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에서 상방으로 출사된 광은 광전달부(18)에 의해 굴절(또는 반사)되어 출사부(18a)를 통해 표시창(14)으로 출사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14)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카메라모듈(11) 등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18)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광원(13a~13c)들의 상부에서 광을 집광하는 집광부(18b)에 일체형성된다. 상기 집광부(18b)는 상기 광원(13a~13c)들로부터 조사된 광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고 광전달부(18)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집광부(18b)는 상기 광원(13a~13c)들을 상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된다.
상기 광전달부(18)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지그(19)가 일체형성된다. 상기 지그(19)는 상기 광전달부(18)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0)에 형성된 동작버튼(32)을 3초이상 길게 누르면(터치 포함) 전원이 켜진다. 이 때 백색 LED(13b)가 켜지고, 사용자는 표시창을 통해 백색광을 확인함으로써 전원이 켜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1회 누르면 정지영상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사진을 촬영한다. 사진 촬영시 적색 LED(13c)가 작동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깜박이는 것으로 사진이 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2회 누르면 동영상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비디오를 촬영한다. 동영상모드에서는 적색 LED(13c)가 빠르게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빠르게 점멸되는 것으로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3회 누르면 타임랩스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타임랩스를 촬영한다. 타임랩스모드에서는 적색 LED(13c)가 보통으로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보통으로 점멸되는 것으로 타임랩스가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4회 누르면 슬로우모션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슬로우모션을 촬영한다. 이 때 적색 LED(13c)가 느리게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느리게 점멸되는 것으로 슬로우모션이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 즉, 표시창(14)에 백색광이 보이는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3초이상 길게 누르면(터치 포함) 전원이 꺼진다. 이 때 백색 LED(13b)가 꺼지게 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에 아무런 광을 볼 수 없는 것을 통해 전원이 꺼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충전포트(31)에 충전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충전할 때에는 청색LED(13a)가 점멸을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청색LED(13a)가 점멸없이 켜진상태로 표시된다.
1: 실시예
10: 촬영부
11: 카메라모듈
12: 렌즈
13: 인디케이터
14: 표시창
15: 슬롯
16: PCB
17: 제1삽입홈
18: 광전달부
20: 가요성 연결부
21: 코어
22: 외피
30: 그립부
31: 충전포트
32: 동작버튼
33: 걸림턱
34: 도피홈

Claims (3)

  1. 하우징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촬영부;
    케이싱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양단이 각각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며,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요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1 이상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전원 온/오프,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타입랩스 촬영, 슬로우모션 촬영, 충전중 및 충전완료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KR1020180171633A 2018-12-28 2018-12-28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KR20200081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33A KR20200081778A (ko) 2018-12-28 2018-12-28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33A KR20200081778A (ko) 2018-12-28 2018-12-28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78A true KR20200081778A (ko) 2020-07-08

Family

ID=7160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33A KR20200081778A (ko) 2018-12-28 2018-12-28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3646A (ja) カメラシステム、レンズユニット、及びアクセサリ
JP4275643B2 (ja)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
JP4215100B2 (ja) 撮像装置
CN204206295U (zh) 摄像设备
JP4315213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KR1013499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검이경, 및 이에 사용되는 스페큘러 구조
JP2015177334A (ja) 撮像装置
KR101505509B1 (ko) 스마트폰 연결용 멀티카메라뷰모듈을 통한 멀티뷰 생성장치
KR20200081778A (ko)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KR20200081777A (ko)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CN109462725B (zh) 带屏热敏打印相机
JP2007174040A (ja)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KR20200081779A (ko)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
CN211908924U (zh) 便携式火灾现场微小物证显示仪
JP2001281754A (ja) カメラ、画像変換装置、画像変換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変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可読記録媒体
O'Connor Tested: Huawei p30 pro
CN109889698B (zh) 电子场记板
KR20160149556A (ko) 사진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US20100079654A1 (en) Picture frame with internal camera source
JP2011071673A (ja) 撮像装置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JP4315773B2 (ja) カメラ及びアクセサリ
KR200400617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N210670374U (zh) 一种全景镜头和全景拍摄设备
CN201017170Y (zh) 一种立体摄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