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722A -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722A
KR20200081722A KR1020180171535A KR20180171535A KR20200081722A KR 20200081722 A KR20200081722 A KR 20200081722A KR 1020180171535 A KR1020180171535 A KR 1020180171535A KR 20180171535 A KR20180171535 A KR 20180171535A KR 20200081722 A KR20200081722 A KR 2020008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lation
information
gis
management system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호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안동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시 filed Critical 안동시
Priority to KR102018017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722A/ko
Publication of KR2020008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간 또는 공공에서의 각종 사업에 대해 기 수립된 물순환 분담량이 사업의 주체와 장소에 부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상지의 물순환 관련 현황 및 계획 데이터가 구축되어,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함께 물순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 해주는 물순환관리 서버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에 네트워트를 통해 접속하여 물순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물순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버접속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GIS-WEB based Integrated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민간 또는 공공에서의 각종 사업에 대해 기 수립된 물순환 분담량이 사업의 주체와 장소에 부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자 등이 신청서를 제출하는 단계에서 해당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불투수면적에 부합하는 물순환 목표량을 스스로 산정하여 개발 계획 및 설계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협의 담당자는 사전협의와 관련된 제반 정보와 서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와 관련된 통합된 정보체계를 운영하고, 물순환 관련 각종 현황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표나 그래프 등을 사용한 통계정보를 지도상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전체적인 물순환 흐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의 경우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층의 증가로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지 못하여 물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가뭄, 홍수, 지하수 고갈, 하천 건천화, 수질오염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불투수층이란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아스팔트ㆍ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 주차장, 보도 등을 말하며, 물순환이란 강수가 지표수와 지하수로 되어 하천·호수·늪·바다 등으로 흐르거나 저장되었다가 증발하여 다시 강수로 되는 연속된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도시 물순환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빗물의 침투나 저류를 통해 빗물의 표면유출을 억제하고 버려지는 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저영향개발을 유도하여 악화된 도시 물순환과 물환경을 회복하고, 물환경의 오염이나 훼손을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본래의 자연적인 물순환 회복에 기여하기 위하여 법률적인 근거인 물순환 회복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상기 조례에는 물순환 회복률 목표 설정과 모든 공사 때 저영향 개발기법을 도입해 물이 땅속에 스며들고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순환공법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저영향개발기법은 눈 녹은 물이나 빗물이 유출 발생지에서부터 개발사업 등의 불투수층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를 최소화하여 자연 상태의 물순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분산식 빗물관리 기법을 말하며,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시설이란 토양, 식생 등의 자연소재로 구성된 분산식 빗물관리 시설로서 빗물을 땅 속으로 잘 스며들게 하는 기능을 가진 침투시설과 빗물을 유수지 및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시켜 대상지역의 유출량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저류시설을 말한다.
즉,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여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를 물순환을 위한 투수시설로 보완하여 투수층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불투수면적이 늘면서 점점 심화되는 물순환체계 왜곡에 대한 대안으로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를 도입하여 물순환 분담량을 정하여 물순환 회복률에 도달하기 위하여 각종 건설사업 진행시 필요한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시설의 범위와 규모를 정하고 있다.
그러나, 물순환 회복률에 도달하기 위한 각 지역별 물순환 분담량이 각종 건설사업이 진행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저영향개발 기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권고 물순환 분담량에 대한 사전 협의 진행시 분산된 자료 등에 의하여 효과적인 사전 협의가 진행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KR 10-1107890 B1 KR 10-1113296 B1 KR 10-1064539 B1 KR 10-1169712 B1 KR 10-1181304 B1 KR 10-1632138 B1 KR 10-1762720 B1 KR 10-1185543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순환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웹기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민간 또는 공공에서의 각종 사업 수행시 사업자 등이 신청서를 제출하는 단계에서 사업이 진행되는 장소에서 해당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불투수면적에 부합하는 물순환 분담량을 스스로 산정하여 개발 및 설계도에 저영향개발 기법의 계획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전협의 담담자는 사업자가 신청한 물순환 분담량과 저영향개발 계획 등의 사전협의와 관련된 제반 정보와 서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저영향개발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와 관련된 통합된 정보체계를 운영하여 사업자의 사업을 승인 및 반려하는 GIS-WEB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으로 운용가능하게 한다.
즉, 민간 또는 공공에서의 각종 사업에 대해 기 수립된 물순환 분담량이 사업의 주체와 장소에 부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순환 관련 각종 현황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물순환 목표량과 신청으로 입력된 단위사업별 개요정보를 사용하여 단위유역별 합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표나 그래프 등을 사용하여 통계정보로 제공하고, 지도상에 개략정보를 도시하여 전체적인 물순환 흐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은,
대상지의 물순환 관련 현황 및 계획 데이터가 구축되어,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함께 물순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물순환관리 서버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에 네트워트를 통해 접속하여 물순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물순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버접속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와 서버접속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되는 물순환 관련 서비스는, 대상 사업에 대해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물순환 목표 분담량을 산정하는 물순환 분담량 산정과; 설치할 저영향개발 기법의 종류와 시설 용량을 산정하는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과;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협의를 통하여 사업진행사항을 공유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공간별 사전협의 및 성과관리와;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의 단위유역정보를 지도에 도시하고 해당 지역에 적용해야 하는 목표량 값을 제공하는 임의의 주소에 대한 물순환 목표량 디스플레이와; 물순환 목표량 정보와 신청으로 입력된 단위사업별 정보로부터 단위유역별 통계정보를 제공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위유역별 합계산출; 및 진행되는 물순환 분담 사전 협의내용에 대해 통계를 보여주는 입력정보에 대한 통계산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순환 분담량 산정은, 산정할 대상지의 지번 검색을 통하여 산정하는 지적필지 물순환 분담량과, 시공될 도로의 영역을 직접 지도상에 그린 후 산정하는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간별 사전협의와 성과관리는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협의를 통하여 사업진행사항을 공유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또한, 상기 물순환 분담량 산정은, 토지 피복도, 용도지역, 국가기초구역의 물순환 목적별 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용 프로그램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물순환을 위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표나 그래프로 도시해주고 대상지에 수립된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 및 저영향개발기법을 이용한 분담시설의 필요용량을 산출해주는 지도 서비스와,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의 진행현황의 사전협의 및 성과관리를 통하여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하게 해주는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 가입 후 담담 공무원에게 가입 승인 신청을 하는 단계와;
이후, 신청할 필지의 주소를 탐색하여 물순환 분담량을 계산하고 적용할 분담시설 필요용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저장한 분담량 설정 정보로 사전협의 신청 및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신청 후 담당자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 담당 공무원과 협의하여 내용 수정하고 다시 신청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는 단계와;
승인을 받은 경우 협의 내용에 따른 사업을 실시하고, 대상 필지의 저영향개발 기법의 시공이 완료되면 준공신청 하는 단계와;
준공 신청 후 담당자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순환 관련 현황 데이터로는, 행정경계, 새주소 건물,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토지 피복도, 새주소 도로, 표토 토성, 심토 토성, 유효 토심, 국가기초구역 자료를 포함하여 활용하고, 상기 계획 데이터로는, 지구단위계획, 지적도, 사업지구경계도, 토지이용계획도,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자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민간 또는 공공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각종 건설사업이 진행되는 장소에 기 수립된 물순환 분담량을 사업주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사업계획단계에서부터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도록 하며, 상기 수립된 물순환 분담량과 저영향개발 시설을 통하여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GIS-WEB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으로 사업자 등이 신청서를 제출하는 단계에서 해당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블투수면적에 부합하는 물순환 목표량을 스스로 산정하여 개발 계획 및 설계도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전협의 담당자는 사전협의와 관련된 제반 정보와 서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저영향개발 기법의 계획/설계/시공/유지관리와 관련된 통합된 정보체계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GIS DB 기반으로 지도와 연계하여 빠른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GIS-WEB 기반의 물순환 관련 업무 행정지원체계가 구성되며, 종합적인 행정 업무와 쉽고 빠른 업무가 가능하여 타부서 사업과 연계 및 해당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 산정이 용이하다.
그리하여, 단위사업별 입력정보를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물순환 목표량을 체계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고 이를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 시민에게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관련 지식 습득 및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물순환 관리체계를 할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관리 서버접속 프로그램의 구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주요 서비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 분담량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공간별 사전협의와 성과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 분담량의 검증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관리 서버접속 프로그램의 구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주요 서비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 분담량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공간별 사전협의와 성과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물순환 분담량의 검증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은, 사업자 등이 신청서를 제출하는 단계에서 해당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불투수면적에 부합하는 물순환 목표량을 스스로 산정하여 개발 계획 및 설계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협의 담당자는 사전협의와 관련된 제반 정보와 서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와 관련된 통합된 정보체계를 운영함으로써 물순환 목표량을 체계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고, 물순환 관련 각종 현황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표나 그래프 등을 사용한 통계정보를 지도상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전체적인 물순환 흐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정책자료로도 활용하고 일반 시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관련 지식 습득 및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물순환 관리체계를 운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순환관리 서버(30)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30)에 네트워트(20)를 통해 접속하여 물순환관리 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물순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버접속 프로그램(40)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관리자(11), 서비스 사용자(12), 일반 사용자(13)로 나뉘어진 사용자(10)로 구성된다.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30)는 Web/WAS 서버(31), GIS 서버(32) 및 데이터베이스(33)로 구성되며, 대상지의 물순환 관련 각종 현황 및 계획 데이터가 구축되어,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함께 물순환을 위한 관련 정보를 제공 해주는 역활을 한다.
상기 Web/WAS 서버(31)의 Web 서버로는 Apache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WAS(Web Application Server) 서버로는 Tomcat을 사용하여 구성하여서, Apache를 Web 서버로 이용하여 접속정보를 처리하고 Tomcat은 JSP/서블릿 컨테이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GIS 서버(32)로는 GeoServer를 사용하고 서비스를 발행하기 위한 GIS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툴로는 Q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3)로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PostgreSQL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고 데이터베이스 안에 공간도형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PostGIS를 PostgreSQL에 탑재하여 공간도형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성한다.
한편,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대한 현황 분석과 기존 계획 분석이 필요하며, 대상지의 현황분석을 위해서는 행정경계, 새주소 건물,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토지 피복도, 새주소 도로, 표토 토성, 심토 토성, 유효 토심, 국가기초구역 등의 자료를 활용하며, 기존 계획 분석을 위해서는 지구단위계획, 지적도, 사업지구경계도, 토지이용계획도,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등의 자료를 분석한다.
상기 대상지 현황 및 기존 계획 분석 결과자료를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상기 PostGIS에 탑재하는데, 각각의 데이터의 속성정보는 테이블화하여 정리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는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테이블화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 동작시 지도를 도시하거나, 속성조회 및 입력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상기 서버접속 프로그램(40)의 구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도 서비스(50)와 관리 서비스(60) 및 기타 서비스(70)로 구성된다.
상기 지도 서비스(50)는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30)로부터 제공 받은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물순환을 위한 관련 정보를 표나 그래프 등을 사용하여 도시해주며, 특히 상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지에 수립된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 및 저영향개발기법을 이용한 분담시설의 필요용량을 산출해 주며, 상기 관리 서비스(60)는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의 진행현황의 사전협의 및 성과관리를 통하여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하게 해주는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타 서비스(70)는 사용자 로그인 서비스와 공지사항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도 서비스(50)는 검색 서비스(51)와 배경지도(52)과 지도제어 도구(53) 및 레이어 목록(54)으로 구성된다.
상기 검색 서비스(51)는 지번 검색(51a), 도로명 검색(51b), 경위도 검색(51c)으로 구성되며 검색시 해당 영역으로 지도 화면이 확대된다.
상기 지번 검색(51a)시 지번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검색결과로 지적리스트가 표시되며 검색결과에서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영역으로 지도가 이동되고 선택된 지번에 강조색상이 표시되며 서비스 관리자(11)가 지적 클릭 시 사용자가 입력한 물순환 분담량 설정 정보가 있으면 입력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도로명 검색(51b)시 도로명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검색결과로 새주소 도로 리스트가 표시되며 선택된 새주소 도로를 클릭하면 해당영역으로 지도가 이동된다.
상기 경위도 검색(51c)은 경도와 위도 값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현재 설정되어있는 축척이 유지된 상태로 해당지점으로 지도가 이동된다.
상기 배경지도(52)는 벡터형태의 데이터로 구성된 지도가 도시되는 일반지도(52a)와, 항공사진이 도시되는 영상지도(52b) 및 항공지도나 일반지도 위에 지명 등이 중첩되어 도시되는 하이브리드지도(52c)로 구성된다.
상기 지도제어 도구(53)는 지도 확대(53a), 지도 홈으로(53b), 지도 축소(53c), 지도 이동(53d), 거리재기(53e), 면적재기(53f), 초기화(53g), 도구 모음(53h), 도로(53i), 화면인쇄(53j) 및 화면저장(53k)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구 모음(53h)은 마킹, 선, 원, 다각형, 사각형의 도형을 지도상에 사용자가 그릴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의 윤곽선의 두께나 채우기 등의 스타일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로(53i)는 도로 분담량 산정을 위한 툴로 일반 사용자(13)에는 노출되지 않는 기능으로 시설이 적용될 대상 도로를 그리고 분담량을 설정하고 시설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 목록(54)은 레이어를 선택하면 지도에 해당 레이어가 중첩되어 도시되며, 주제별로 레이어는 그룹화되어 있으며 각 주제를 클릭하면 선택할 수 있는 레이어의 목록이 확인된다.
상기 관리 서비스(60)는 회원목록 관리(61)와 회원현황 통계(62)와 사용자 로그관리(63)와 분담량 진행현황(64) 및 관리자 제공통계(65)로 구성된다.
회원목록 관리(61)는 신규 사용자 회원가입에 대한 승인, 정보수정 및 회원탈퇴 등의 관리기능을 수행하며, 회원현황 통계(62)는 일반 사용자(13)와 서비스 관리자(11)의 권한별 접속, 일별 접속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로그관리(63)는 사용자별로 접속한 이력과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할수 있다.
분담량 진행현황(64)은 지번 및 도로의 분담량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별로 신청한 내역과 진행 상태 및 상세한 분담량 산정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서 확인 후 승인 또는 반려처리를 할 수 있으며, 승인 처리를 할 경우 분담량 신청을 한 사용자에게 관리자가 공문을 발송하며, 반려처리를 할 경우 반려사유를 입력하여 알려줄 수 있다.
관리자 제공통계(65)는 지적 및 도로의 분담량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회시점의 상태를 기준으로 도로와 지적의 분담량이 어떠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서비스(70)는 사용자 로그인(71)과 공지사항(72) 및 게시판(73)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로그인(71)의 경우 아이디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조회 및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서비스 관리자(11)는 사용자 승인 및 관리, 지도 서비스(50), 관리 서비스(6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13)는 지도 서비스(50) 및 자료입력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로그인 후 권한별로 페이지에 접속된다.
서비스 관리자(11)만이 공지사항(72)에 글쓰기 권한을 가지고 일반사용자(13)는 조회만 가능하며, 물순환 분담을 위한 협의에 필요한 서류양식 등을 공지사항 게시글에 첨부하여 제공한다.
게시판(73)에는 누구나 글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댓글도 달 수 있으며, 파일을 첨부하여 공유할 수 있고, 협의에 관련된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은 물순환관리 서버(30)와 서버접속 프로그램(40)을 통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순환 분담량 산정(80),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90), 공간별 사전협의(100), 성과관리(110), 임의의 주소에 대한 물순환 목표량 디스플레이(120), 단위유역별 합계산출(130), 입력정보에 대한 통계산출(140), 구축된 GIS DB를 통한 주제도 디스플레이(150)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살펴보면, 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 등 대상 사업에 대해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물순환 목표 분담량을 산정하여야 하며 상기 물순환 분담량 산정(80)은 토지 피복도, 용도지역, 국가기초구역의 물순환 목적별 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지에 대한 물순환 목표 분담량을 산정한다.
여기서, 상기 토지 피복도는 대상지의 토지 피복 구성별 면적을 직접 입력하고, 용도지역은 해당 대상지의 대표 용도지역 값을 말하며, 국가기초구역의 물순환 목적별 주제에 따른 정보는 해당 건물이 속한 국가기초구역의 물순환 분담계수를 반영하여 산정한다.
민간도로의 경우 건물이나 토지 소유주가 건축물 변경 및 사업지구 신축 건설시 토지피복 면적을 도로로 할당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물순환 분담량을 산정할 수 있으나, 공공도로의 경우는 저영향개발 기법시설 적용대상 도로구간을 직접 그려서 물순환 분담량을 별도로 산정한다.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특정 대상지의 물순환 분담량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필지 물순환 분담량(81)과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82)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지적필지 물순환 분담량(81) 산정의 경우, 산정할 대상지의 주소를 상기 지번 검색(51a)을 통하여 검색하여 선택하며, 대상지번은 복수로도 선택가능하다.
검색된 대상 지번을 선택하면(복수의 대상지번을 선택한 경우 대표 지번을 선택함) 해당 주소로 화면이 이동하고 지도상에서 해당 지번을 선택하면 지번의 정보, 해당 지번의 물순환 주제명이 보여지며, 산정할 대상지를 구성하는 세분류 토지피복 면적을 입력하여 분담률을 계산해주는 분담률설정(85) 항목이 선택되는 입력정보(83)와 지번에 건물이 존재할 경우 건물의 정보를 보여주는 건물정보(84) 항목이 존재한다.
상기 건물정보(84)를 선택하면 해당 건물의 유역정보, 토지정보, 건축물정보, 주변토양, 침수 흔적 유무를 보여주며, 유역정보의 국가기초구역 번호를 선택할 경우 해당 국가기초구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담률설정(85)은 용도지역에 따른 토지 피복의 가중치가 입력되어 있는 분담률(85a) 항목과 상기 분담률(85a) 값에 국가기초구역별 분담계수인 유역분담계수를 곱한 분담량 원단위(85b) 항목과 해당 건물이 속한 대표 지번의 기존 토지피복의 면적구성을 보여주는 원면적(85c) 항목과 시공 대상지의 면적을 입력하는 면적(85d)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면적(85d) 항목에 시공 대상지의 면적을 입력하면 입력된 면적(85d)에 해당하는 분담량 원단위(85b)를 곱한 후 모두 합산하여 분담량(85e)을 보여주게 된다.
즉,「분담량 원단위=분담률(토지피복가중치)X유역분담계수(국가기초구역별 분담계수)」이고 「분담량=(각 시공 대상지의 면적X각 분담량 원단위)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82)은 지도 제어도구(53)의 도로(53i)에서 시공될 도로의 영역을 직접 지도상에 그린 후 상기 지적필지를 통한 물순환 분담량(8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분담량(85e)이 계산되어진다.
상기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82)의 경우 서비스 관리자(11) 이상의 사용자만 산정할 수 있고 지도 상에 그린 도형의 꼭지점이 서로 다른 국가기초구역 및 용도지역에 속할 경우 가장 높은 가중치 계수를 취하여 산정하도록 하여 시공 대상 지역의 가장 높은 물순환 가중치에 면적을 곱하여 목표 분담량을 설정한다.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90)은 환경부 고시 환경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 매뉴얼에 따라 시설 용량 계산식을 산정하며 식생체류지, 침투도랑, 식물재배화분, 나무여과상자, 옥상녹화시설, 투수성포장의 저영향개발 기법에 대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그외 다른 저영향개발 기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상기 분담률설정(85)이 완료되면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90)을 위한 분담량설정(91) 화면으로 넘어가며 각 토지피복별로 저영향개발 기법의 어떤 종류를 설치할 지 선택한 후 설치 예정인 시설의 제원을 입력하여 시설 용량을 산정한다.
즉, 이전 단계인 분담률설정(85) 에서 면적이 입력된 토지피복을 선택한 후, 저영향개발 기법의 식생형/침투형을 결정하고, 설치할 저영향개발 기법을 선택(저영향개발 기법 선택(92))하고 이에 따라 해당 저영향개발 기법이 분담할 집수면적, 식재층 토성과 하부토양토성 등의 조건을 설정하고 설치할 시설의 제원 및 시설 개소 수를 입력(저영향개발 조건 설정(93))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목표 분담량을 분담하는 시설 용량이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좌측 하단의 잔여 분담량(94)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시설의 추가 용량 산정을 원할 경우 입력추가를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입력가능 하며 잔여 분담량(94)이 '0' 이하가 되어야 완료된다.
분담량설정(91)이 완료되면 최종 분담량를 조회할 수 있는 결과확인으로 넘어가며, 대상 토지의 피복별 분담량 설정 단계와 분담시설 필요용량 설정단계에서 입력된 모든 결과를 취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하여 마이페이지에서 다시 조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공간별 사전협의(100)와 성과관리(110)는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협의를 통하여 사업진행사항을 공유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에 가입 후 담담 공무원에게 가입 승인 신청을 한다(S10).
이후, 신청할 필지의 주소를 탐색하여 물순환 분담량을 계산하고 적용할 분담시설 필요용량을 설정하고 결과를 저장한다(S20).
저장한 분담량 설정 내용은 마이페이지 메뉴의 지번 분담량 신청 현황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의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지번 분담량 신청페이지의 분담량 신청을 하면 서명이 포함된 작성한 양식과 신청 정보와 부가적인 첨부 파일과 함께 분담량 사전협의 신청 및 승인을 요청한다(S30).
신청 후 담당자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 담당 공무원과 협의하여 내용 수정하고 다시 신청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S40).
승인을 받은 경우 협의 내용에 따른 사업을 실시하고, 대상 필지의 저영향개발 기법의 시공이 완료되면 해당 페이지를 통해 준공신청을 할 수 있다(S50).
준공 신청 후 담당자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60).
사용자는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의 마이페이지의 메뉴의 지번 분담량 신청 현황을 통해 진행단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마이페이지의 메뉴 외에도 지도 서비스 상에서 신청 내역의 위치와 현재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관리자는 모든 사용자가 신청한 지번 분담량의 진행 상황을 지도 상에서 확인가능하고, 관리서비스 메뉴의 지번 분담량 현황 및 도로 분담량 현황 페이지를 통해 분담량 신청건의 현재 진행상황과 신청내용 확인과 승인을 진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 제공 통계 메뉴를 통해 지번과 도로 분담량의 성과를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임의의 주소에 대한 물순환 목표량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여 검색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단위유역정보를 지도에 도시하고 설정해 둔 목표량 등 상세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주소에 적용해야 하는 목표량 값을 손쉽게 볼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단위유역별 합계산출(130)은 GIS 데이터베이스화된 물순환 목표량 정보와 신청으로 입력된 단위사업별 개요정보를 사용하여 단위유역별 합계를 산출하여 표나 그래프 등을 사용하여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지도상에 개략정보를 도시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입력정보에 대한 통계산출(140)은 권한을 부여받은 일반 사용자 및 관리자가 사전 협의 및 자료 입력, 승인 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일정기간 동안 진행한 물순환 분담 사전 협의에 대해 통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의 구축된 GIS DB를 통한 주제도 디스플레이(150)기능은 상기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각각의 공간데이터는 개별적인 주제도의 성격에 맞게 심볼화하여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구성되어 상기 GIS 서버에서 개별적인 주제도 서비스로 발행되며, 지도를 조회하는 화면에서는 상기 개별적으로 구축된 주제도를 레이어를 조회하는 창을 제공하여 개별적인 레이어를 보거나 다중의 레이어를 중첩도시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1)은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되어 건축이 완료된 대상지에 대하여 할당된 물순환 분담량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검증하고 지속적으로 물순환 분담량이 유지되도록 하며,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개선권고할 수 있는 물순환 분담량 검증기능(160)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된 대상지의 지하에 매설되어 물흐름을 감지하고 이를 누적계산하여 그 값을 전송해주는 물센싱박스(161)와, 네트워크를 통해 그 값을 전송받아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된 대상지에 할당된 물순환 분담량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물순환검증부(162)와, 상기 검증부에서 검증된 결과로 대상지 담당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여 물순환 분담량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개선권고하는 물순환개선부(163)로 구성된다.
상기 물센싱박스(161)는 내부에 물흐름을 누적계산하는 적산유량계(161a)와, 그 값을 전송해주는 전송모듈(161b)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모듈(161b)은 IOT로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그 값을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해주도록 하며, 그 값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언제든지 이동단말기 등으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한 측량을 위하여 상기 물센싱박스(161)는 대상지의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시설 지하부에 설치되고, 유효토심의 여러 깊이에 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설치가 완료된 저영향개발 기법이 적용된 대상지에 할당된 물순환 분담량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검증하고, 제대로 물순환 분담량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대상지 담담자로 하여금 개선하도록 하여, 할당된 물순환 분담량이 잘 수행되고 목표로 정한 물순환 회복률에 도달되도록 한다.
1.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10. 사용자 11. 서비스 관리자
12. 서비스 사용자 13. 일반 사용자
20. 네트워크 30. 물순환관리 서버
31. Web/WAS 서버 32. GIS 서버
33. 데이터베이스 40. 서버접속 프로그램
50. 지도 서비스 51. 검색 서비스
51a. 지번 검색 51b. 도로명 검색
51c. 경위도 검색 52. 배경지도
52a. 일반지도 52b. 영상지도
52c. 하이브리드 지도 53. 지도제어 도구
53a. 지도 확대 53b. 지도 홈으로
53c. 지도 축소 53d. 지도 이동
53e. 거리재기 53f. 면적재기
53g. 초기화 53h. 도구 모음
53i. 도로 53j. 화면인쇄
53k. 화면저장 54. 레이어 목록
60. 관리 서비스 61. 회원목록 관리
62. 회원현황 통계 63. 사용자 로그관리
64. 분담량 진행현황 65. 관리자 제공통계
70. 기타 서비스 71. 사용자 로그인
72. 공지사항 73. 게시판
80. 물순환 분담량 산정 81. 지적필지 물순환 분담량
82.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 83. 입력정보
84. 건물정보 85. 분담률설정
85a. 분담률 85b. 분담량 원단위
85c. 원면적 85d. 면적
85e. 분담량 90.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
91. 분담량설정 92. 저영향개발 기법 선택
93. 저영향개발 조건 설정 94. 잔여 분담량
100. 공간별 사전협의 110. 성과관리
120. 임의의 주소에 대한 물순환 목표량 디스플레이
130. 단위유역별 합계산출 140. 입력정보에 대한 통계산출
150. 구축된 GIS DB를 통한 주제도 디스플레이
160. 물순환 분담량 검증기능 161. 물센싱박스
161a. 적산유량계 161b. 전송모듈
162. 물순환검증부 163. 물순환개선부

Claims (5)

  1. 대상지의 물순환 관련 현황 및 계획 데이터가 구축되어,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함께 물순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물순환관리 서버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에 네트워트를 통해 접속하여 물순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물순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버접속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와 서버접속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되는 물순환 관련 서비스는,
    대상 사업에 대해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물순환 목표 분담량을 산정하는 물순환 분담량 산정과;
    설치할 저영향개발 기법의 종류와 시설 용량을 산정하는 분담시설 필요용량 산정과;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협의를 통하여 사업진행사항을 공유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공간별 사전협의 및 성과관리와;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의 단위유역정보를 지도에 도시하고 해당 지역에 적용해야 하는 목표량 값을 제공하는 임의의 주소에 대한 물순환 목표량 디스플레이와;
    물순환 목표량 정보와 신청으로 입력된 단위사업별 정보로부터 단위유역별 통계정보를 제공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위유역별 합계산출; 및
    진행되는 물순환 분담 사전 협의내용에 대해 통계를 보여주는 입력정보에 대한 통계산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분담량 산정은,
    산정할 대상지의 지번 검색을 통하여 산정하는 지적필지 물순환 분담량과, 시공될 도로의 영역을 직접 지도상에 그린 후 산정하는 공공도로 물순환 분담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공간별 사전협의와 성과관리는 물순환 회복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협의를 통하여 사업진행사항을 공유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용 프로그램은,
    상기 물순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대상지의 지리정보와 물순환을 위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표나 그래프로 도시해주고 대상지에 수립된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 및 저영향개발기법을 이용한 분담시설의 필요용량을 산출해주는 지도 서비스와,
    사업별 물순환 분담량의 진행현황의 사전협의 및 성과관리를 통하여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하게 해주는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KR1020180171535A 2018-12-28 2018-12-28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KR20200081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35A KR20200081722A (ko) 2018-12-28 2018-12-28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35A KR20200081722A (ko) 2018-12-28 2018-12-28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22A true KR20200081722A (ko) 2020-07-08

Family

ID=7160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535A KR20200081722A (ko) 2018-12-28 2018-12-28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722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39B1 (ko) 2009-10-27 2011-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시의 물순환 건전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101107890B1 (ko) 2009-06-25 2012-01-25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도시 물순환 의사결정 시스템
KR101113296B1 (ko) 2010-04-23 2012-02-29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U-물순환 통합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169712B1 (ko) 2011-03-21 2012-08-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분산형 물순환 개선시설에 의한 물순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181304B1 (ko) 2010-12-14 2012-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비쿼터스 도시의 물순환 건전성 시뮬레이션 방법
KR101185543B1 (ko) 2009-12-16 2012-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역중수를 활용한 호소의 유비쿼터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이용 지수 관리방법
KR101632138B1 (ko) 2015-01-06 2016-06-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웹-gis 기반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물 정보 표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762720B1 (ko) 2016-03-31 2017-07-28 한국수자원공사 포탈 기반 물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890B1 (ko) 2009-06-25 2012-01-25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도시 물순환 의사결정 시스템
KR101064539B1 (ko) 2009-10-27 2011-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시의 물순환 건전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101185543B1 (ko) 2009-12-16 2012-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역중수를 활용한 호소의 유비쿼터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이용 지수 관리방법
KR101113296B1 (ko) 2010-04-23 2012-02-29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U-물순환 통합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181304B1 (ko) 2010-12-14 2012-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비쿼터스 도시의 물순환 건전성 시뮬레이션 방법
KR101169712B1 (ko) 2011-03-21 2012-08-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분산형 물순환 개선시설에 의한 물순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632138B1 (ko) 2015-01-06 2016-06-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웹-gis 기반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물 정보 표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762720B1 (ko) 2016-03-31 2017-07-28 한국수자원공사 포탈 기반 물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A GIS-based evaluation method of underground space resources for urban spatial planning: Part 2 application
US8306836B2 (en) Management of materials on a construction site
KR102164538B1 (ko) 부동산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150154318A1 (en) Computer-implemented land planning system and method with gis integration
Bonin et al. Development of a road asset management system in Kazakhstan
KR101885959B1 (ko)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Omar et al. Determining the suitability trends for settlement based on multi criteria in Kirkuk, Iraq
Chang et al. Development of a road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and augmented-reality technologies
CN102184470A (zh) 地价调查样本点选取信息处理方法及装置
Nasir et al. Geospatial analysis of road distresse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lope factor
Kostesha et al. Geoportal for highways as a basic element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KR20220064073A (ko)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KR20200081722A (ko) Gis-web 기반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
Kusam et al. Spatial proximity and dependency to model urban travel demand
KR102170304B1 (ko)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Zulkifli et al. Conceptual modelling of 3D cadastre and LADM
KR20210059990A (ko) 공실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US20160048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KR102499426B1 (ko) 주차수급실태 조사 및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Espinet et al. Low-budget techniques for road network mapping and road condition assessment that are accessible to transport ag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Kantartzis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web—appl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forest road network
Shoshani et al. Registration of cadastral spatial rights in israel–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deleke Application of gis as support tool for pavement maintenance strategy selection
Rapp et al. Construction Site Planning and Logistical Operations: Site-Focused Management for Builders
CN112463871A (zh) 一种基于城市管理的两违整治信息处理系统及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