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073A -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073A
KR20220064073A KR1020200150200A KR20200150200A KR20220064073A KR 20220064073 A KR20220064073 A KR 20220064073A KR 1020200150200 A KR1020200150200 A KR 1020200150200A KR 20200150200 A KR20200150200 A KR 20200150200A KR 20220064073 A KR20220064073 A KR 2022006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ecological area
city
area ratio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현
오규식
Original Assignee
(주)한국공간정보통신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공간정보통신,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한국공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15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073A/ko
Publication of KR2022006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에서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은 "광역시도"를 클릭하여 원하는 광역시도 목록을 조회하는 단계, 광역시도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광역시도를 클릭하는 단계, "시군구"버튼과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시군구만 조회하고 싶은 경우 "시군구"버튼을 클릭한 후 시군구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시군구를 클릭하는 단계 및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선택이 끝난 후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을 클릭하여 서버에 결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Methods for automatic calculation of ecological area ratio using GIS and land cover road}
본 발명은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일반 지도와 같은 지형정보와 함께 지하시설물 등 관련 정보를 인공위성으로 수집, 컴퓨터로 작성해 검색,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국토계획 및 도시계획, 수자원관리, 통신, 교통망 가설, 토지관리, 지하매설물 설치 등의 분야에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GIS가 운용되는 분야는 구체적으로 기상항공 정보분석, 상/하수도망, 통신망, 전력망, 도시가스망, 도로 등 지상/지하 시설물 설치 및 관리, 공장부지, 농작물 재배지역, 산업단지선정 등이다.
생태면적률은 1970년대 독일에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고밀화에 대한 제어의 일환으로 1976년 연방자연보호법이 제정되었고 1990년대 환경생태계획을 통해 도심고밀시가회 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한 정량화 기준으로 1994년 Biotope Area Factor(이하 BAF) 혹은 BFF(Biotop Flㅴchenfaktor)제도를 도입하여 시행되었다.
2014년 베를린 비오토프 면적계수를 통해 도시열섬과 도시생태의 영향에 대해 통제를 위해 환경품질 목표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2004년 7월 서울시에서 처음 도입하였고 아파트, 단독주택 등을 지을 때 일정 비율 이상의 녹지를 반드시 확보해야 건축허가를 받게 하였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 및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생태면적율 제도를 도입하였다.
생태면적률 계산 프로그램은 시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 및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생태면적율 제도를 도입하였다. 2005년 환경부에서 처음 생태면적률 적용 지침을 마련하였고 2011년 6월 환경부에서는 생태면적률 개정안을 발표 하였고 2016년 7월 1일 개정 공고 후 2017년 1월 25일 개정공고안을 발표하였다. 2016년 7월 1일 생태면적률 적용 지침을 개정 공고를 하였다. 하지만 이 공고를 통해서는 개별 필지나, 지자체에서는 각각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엔지니어링 회사에 의뢰를 해야 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다.
독일의 BAF는 생태면적률은 도시의 기능 중 생태적 기능과 가치를 정량화해 나타낼 수 있는 계획지표로 개발의 한계만을 규정하는 건폐율과 용적률로 대표되는 기존의 계획지표와 달리 생태적 관점에서 공간계획의 환경수준을 정량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은 환경부에서 공고한 생태면적률을 GIS로 자동 계산을 하고 전국 단위로 적용하여 전국, 광역, 기초단위 별, 위치중심으로 현재 도시별 생태면적률을 구하여 지자체별 생태면적률을 살펴보고 기존에 개별적 사업이나 지구단위로 계산이 되던 생태면적률과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은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에서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은 "광역시도"를 클릭하여 원하는 광역시도 목록을 조회하는 단계, 광역시도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광역시도를 클릭하는 단계, "시군구"버튼과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시군구만 조회하고 싶은 경우 "시군구"버튼을 클릭한 후 시군구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시군구를 클릭하는 단계 및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선택이 끝난 후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을 클릭하여 서버에 결과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한 시군구 면적이 지도에 강조되어 표시되면서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결과가 화면 하단에 그래프로 표시되며 버튼을 클릭하여 그래프 영역을 확대/축소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행정경계를 확인하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 행정경계 표현을 켜고 끌 수 있다.
확대 정도에 따라 광역시/도에서 최대 시/군/구로 경계 확인하며, 지도의 확대/축소는 마우스 휠 또는 지도의 +/- 버튼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지도의 배경지도와 항공사진을 선택하여 기본지도를 먼저 보여주며, 배경지도 선택 버튼을 통해 배경지도를 변경할 수 있다.
지도 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하되, 지도를 일정수준 확대해야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를 축소하는 경우 토지피복지도가 사라질 수 있다.
광역시도를 선택해야 "시군구"와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대한민국 전체의 지도를 기본지도와 항공영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에서 행정경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행정경계를 선택하여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자신이 속한 위치의 행정구역의 생태면적률을 쉽게 알게 하여 편의성과 경제성을 알 수 있으며 건축시행, 도시계획, 지자체의 생태면적 달성, 타지자체 혹은 타지역과의 생태면적률을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알고자 하는 지역의 생태면적률을 쉽게 찾아보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의 생태면적률 산정도.
도 2는 환경부 국토환경공간정보 토지피복지도.
도 3은 생태면적률 계산시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간략하게 사용사례에 따른 케이스별 다이어그램.
도 4는 생태면적률 클래스 다이어그램.
도 5는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모듈 UI/UX 설계 초기 화면 이미지.
도 6은 지자체별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 화면 이미지.
도 7은 토지피복도 오버랩 이미지.
도 8은 경기도 지역의 생태면적률 이미지.
도 9는 원시 기초단체내 구별 생태면적률 이미지.
도 10은 비오톱유형도와 결합한 토지피복도 이미지.
도 11은 지피복도에 자동 계산을 적용한 결과 이미지.
도 12는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 이미지.
도 13은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 메뉴 축소화면 이미지.
도 14는 메뉴별 기능 설명 이미지.
도 15는 광역시도 시군구 선택 화면 이미지.
도 16은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결과 조회 화면 이미지.
도 17은 그래프 영역 축소 화면 이미지.
도 18은 행정경계 표현 기능 끄기 화면 이미지.
도 19는 행정경계 표현 기능 켜기 화면 이미지.
도 20은 지도 확대 축소 버튼 이미지.
도 21은 배경지도 이미지.
도 22는 항공사진 이미지.
도 23은 토지피복지도 켜짐 이미지.
도 24는 토지피복지도 꺼짐 이미지.
도 25는 메인 화면 구성 이미지.
도 26은 현재 생태면적률 계산 화면 이미지.
도 27은 현재 생태면적률 계산 화면 이미지.
도 28은 화면 컨트롤 이미지.
도 29는 화면 컨트롤 이미지.
도 30은 화면 컨트롤 이미지.
도 31은 화면 컨트롤 이미지.
도 32는 화면 컨트롤 이미지.
도 33은 지도 컨트롤 이미지.
도 34는 지도 컨트롤 이미지.
도 35는 지도 컨트롤 이미지.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생태면적률에 대한 간단한 역사]
[해외역사]
생태면적률은 1970년대 독일에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고밀화에 대한 제어의 일환으로 1976년 연방자연보호법이 제정되었고 1990년대 환경생태계획을 통해 도심고밀시가회 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한 정량화 기준으로 1994년Biotope Area Factor (이하 BAF) 혹은 BFF (Biotop Flㅴchenfaktor)제도를 도입하여 시행되었다. 2014년 베를린 비오토프 면적계수를 통해 도시열섬과 도시생태의 영향에 대해 통제를 위해 환경품질 목표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내역사]
국내에서 2004년 7월 서울시에서 처음 도입하였고 아파트, 단독주택 등을 지을 때 일정 비율 이상의 녹지를 반드시 확보해야 건축허가를 받게 하였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 및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생태면적율 제도를 도입하였다. 2005년 환경부에서 처음 생태면적률 적용 지침을 마련하였고 2011년 6월 환경부에서는 생태면적률 개정안을 발표 하였고 2016년 7월 1일 개정 공고 후 2017년 1월 25일 개정공고안을 발표하였다. 2016년 7월 1일 생태면적률 적용 지침을 개정 공고를 하였다. 2017년 1월 25일 권장 달성목표와 저류침투시설 연계면의 가중치를 수정 적용한 개정안을 발표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독일의 BAF는 생태면적률은 도시의 기능 중 생태적 기능과 가치를 정량화해 나타낼 수 있는 계획지표로 개발의 한계만을 규정하는 건폐율과 용적률로 대표되는 기존의 계획지표와 달리 생태적 관점에서 공간계획의 환경수준을 정량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환경부에서 공고한 생태면적률을 GIS로 자동 계산을 하고 전국 단위로 적용하여 전국, 광역, 기초단위 별, 위치중심으로 현재 도시별 생태면적률을 구하여 지자체별 생태면적률을 살펴보고 기존에 개별적 사업이나 지구단위로 계산이 되던 생태면적률과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검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는 크게 제도 도입에 대한 연구와 시스템 적용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진다. 제도 도입의 당위성에 대한 연구는 환경부 적용지침이 생기전에 서울시의 용역을 진행하면서 만들어진 논문과 2005년 환경부의 생태면적률 도입지침이 만들어진 이후의 연구는 계획면적률과 목표면적률에 대한 개발사이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환경부의 적용지침에 대한 연구와 적용을 하는 부분과 각 지자체에 생태면적률을 도입해야 하는 당위성을 주로 연구하였지만 국내 각 도시별 행정구역별로 생태면적률을 직접 비교한 사례는 없었다.
[생태면적율의 정의 및 주요 용어]
생태면적률의 정의는 전체 개발면적 중 생태적 기능 및 자연순환기능이 있는 토양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첫째: 현재상태 생태면적률은 개발하기 전 토지피복유형을 기준으로 측정한 생태면적률이다. 둘째: 목표생태면적률은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개발 후 목표로 설정하는 생태면적률이다. 셋째: 계획생태면적률은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목표생태면적률을 근거로 토지이용 용도별로 설정하는 생태면적률이다. 넷째: 자연지반녹지률은 개발대상지에서 자연지반녹지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자연지반 또는 자연지반과 연속성을 가지는 절, 성토 지반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녹지로서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공원녹지를 포함한다. 다섯째: 토지피복지도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숲, 습지, 포장면과 같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분류하여 표시한 지도로 현재 상태의 생태면적률을 계산하는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이다.
[생태면적률 계산 모듈 구현]
[현재 상태의 생태면적률]
[생태면적률 계산식]
2017년 1월 환경부 발행 생태면적률 적용지침 최종안에 의하면 사업대상지의 토지피복지도를 바탕으로 유형별 면적을 산출하고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상태의 생태면적률을 산정한다고 되어 있다. 이때 사용하는 자료는 생태면적률은 2000년부터 2018년 수도권 세분류변환 작업을 통해 환경부에서 작업한 중분류 체계와 자료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생태면적률 산정도]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산정도](도면 도 1 참조)
현재 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방법은 아래 수식 1과 같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수식 1의 가중치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위락시설지역, 교통지역, 공공시설지역, 논, 밭, 하우스 재배치에 대한 토지피복 유형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예) 산정결과: 509,362.21m2 / 877,006.00m2 ㅧ 100 = 58.08%
- 환경부 토지피복분류도로 참조하여 토지피복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작성
[토지피복지도와 유형별 가중치]
토지피복지도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면의 상태를 표현한 지도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토지피복분류도(Land Cover Map)라 한다. 토지피복분류(Land Cover Classification)는 원격탐사 자료의 가장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응용방법의 하나로서, 숲, 초지,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분류한 것이다. 1998년 시범사업으로 남한 지역에 대한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를 238도엽을 구축하여 우리나라의 토지 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및 참조자료를 설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토지피복유형은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중분류(22개) 체계를 적용
[토지피복 분류 항목 및 중분류 체계]
토지피복지도의 분류항목은 항목에 따라 3단계로 나뉘는데, 지표면의 상태를 7개 항목으로 나누는 대분류, 22개 항목으로 나누는 중분류, 41항목으로 나누는 세분류로 나뉜다. 원데이터는 SPOT5의 5M해상도 영상과 아리랑위성 영상을 활용하였다.
[생태면적율의 계산 모듈 구현]
[생태면적율 UML]
도 3은 생태면적률 계산시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간략하게 사용사례에 따른 케이스별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각 데이터의 데이터별 상태를 보여주는 다이어 그램이다. 토지피복도와 행정경계도와 각종 데이터의 흐름을 보여주는 클래스별 다이어 그램이다.
[생태면적률 데이터 베이스 설계 및 자료구조]
전국 생태면적률 계산을 하기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한국공간정보통신의 인트라맵이라는 GIS SW이다. 인트라맵서버와 인트라맵웹을 기반으로 설계를 하였고 DBMS는 마리아DB를 활용하였고 운영체계는 래드햇리눅스를 사용하였다.
인트라맵의 특징중 하나인 엑스도메인 테이블을 통해 각 맵 데이터의 영역정보를 담고 공간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를 하는데 토지피복도 중분류 테이블과 가중치 테이블을 구분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엑스도메인과 마테리어, 자료구조를 변환하기 위한 엑티브트랜스테이블을 두어 각 트랜젝션의 정보를 조회할 때 참고하는 자료로 사용하였다.
[표 2]
엑스메타레이어
Figure pat00003
[태면적률 자동계산 모듈 UI/UX 설계]
[초기 화면] (도면 도 5 참조)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모듈은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으로써, 대한민국 전체의 지도를 기본지도와 항공영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에서 행정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행정경계를 선택하여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전체 화면 구성은 ①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②행정경계 표현 ③배경지도 변경 ④메뉴 확대축소로 나누어진다.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 화면]
[지자체별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 화면]
[토지피복도 표현]
생태면적률을 확인하면서 토지피복지도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도 6과 같이 지도를 일기초자치단체 정도로 확대하면 현재의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모듈의 응용]
[경기도 광역단체내 기초단체별 생태면적률]
본 실시예를 통해 만들어진 시스템을 통해서 경기도 지역의 생태면적률을 도면 도 8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가평군은 생태면적률이 93.155%로 가장 높았고 고양시 일산서구의 경우에는 14.887%로 생태적으로 상대적을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지역이다.
[수원시 기초단체내 구별 생태면적률]
수원시의 경우 장안구는 65.289%로 생태면적률이 상당히 높게 나왔다. 반면 도심지인 팔달구의 경우에는 27.383%로 생태면적률을 높여야 하는 지역으로 일목요연하게 생태면적률을 확인할 수 있다(도면 도 9 참조).
[지자체별 응용]
본 실시예를 통해 전국의 지자체별 생태면적률을 구하였다. 이 자료를 활용하게 되면 위치기반으로 자신이 속한 행정동 단위 기초지자체별 생태면적률을 비교 분석하면서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생태면적률을 확인할 수 있어 생태환경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타 지자체들과 비교 분석을 하면서 삶의 지표를 볼 수 있다. 또한 각 지자체에서는 타 지자체와 비교를 하여 각 지자체별 도시 생태면적률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환경영향평가시 활용]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과 결합을 하여 개발사업 단위의 현재 생태면적률을 확인하여 목표생태면적률을 얼마나 끌어 올릴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토지피복도의 한계]
본 실시예를 통해 생태면적률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모듈을 만들고 그 모듈을 바탕으로 전국의 모든 지역을 계산하여 생태면적률을 계산하였다. 하지만 중분류토지피복도를 만들 때 사용한 원자료가 SPOT5 5M해상도 영상과 아리랑 2호영상 위성을 활용하여 해상도의 문제등으로 현재의 생태면적률이 정확하게 토지피복도가 작성이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아래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붉은 표시 부분 1, 2, 3에 대한 식생을 해상도로 인해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1의 경우에는 아파트내 식생에 대한 부분에 대판 표현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2의 경우는 임야와 초지조성지와의 구분이 명확 하지 않았다. 3의 경우에도 조경수 식재 부분과 초지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원천 데이터의 한계로 처음 사용한 아리랑2호 영상의 최고 해상도가 1M급 해상도였지만 향후 국토지리정보원의 사업을 통해 12cm급 영상과 멀티스펙트럴 영상이 보급된다면 지금보다 약70배 이상 정확한 분류의 정확도를 기대 할 수 있겠다.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무감독 분류시 학습을 강화시키고 드론이나 고해상도의 항공사진과 멀티스펙트럴 영상을 통한 좀 더 세밀한 정보를 활용하여 토지피복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면 더욱 정밀한 생태면적률을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면적률을 부동산정보나 도시정책에 반영을 시켜 현재 면적률을 지자체별 비교를 통해 도시의 생태 목표를 건강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화면 설명]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으로써, 대한민국 전체의 지도를 기본지도와 항공영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에서 행정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행정경계를 선택하여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전체 화면 구성은 ①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②행정경계 표현 ③배경지도 변경 ④메뉴 확대축소로 나누어진다(도면 도 12 참조).
[메뉴 별 기능설명]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으로 [도면 도 14]와 같다.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은 [도면 도 15. ③]을 클릭하여 결과 값을 요청할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면 도 14. ①]의 "광역시도"를 클릭하여 원하는 광역시도 목록을 조회한다. [도면 도 15. ①] 광역시도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광역시도를 클릭한다.
[도면 도 14. ①] 의"시군구"버튼과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된다. 특정 시군구만 조회하고 싶은 경우 [도면 도 14. ①] "시군구"버튼을 클릭한 후 [도면 도 15. ②] 시군구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시군구를 클릭한다.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선택이 끝난 후 [도면 도 15. ③]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을 클릭하여 서버에 결과를 요청한다.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결과]
선택한 시군구 면적이 [도면 도 16. ①]과 같이 지도에 강조되어 표시되며,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결과가 [도면 도 16. ②]와 같이 화면 하단에 그래프로 표시된다. [도면 도 16. ③] 버튼을 클릭하여 그래프 영역을 확대 축소할 수 있다.
"광역시도"를 선택해야 "시군구"와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된다.
[행정경계 표현 기능]
도시생태계 통합 시스템은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행정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도 18. 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 행정경계 표현을 켜고 끌 수 있다.
지도의 확대 정도에 따라 광역시/도에서 최대 시/군/구로 경계 확인이 가능하다. 지도의 확대/축소는 마우스 휠 또는 [도면 도 20. ①]지도의 +/- 버튼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
[배경지도 변경]
지도의 배경지도와 항공사진을 선택해서 볼 수 있다. 기본지도를 먼저 보여주며, [도면 도 21. ①]의 배경지도 선택 버튼을 통해 배경지도를 변경할 수 있다.
[토지피복지도 표현]
지도 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도 23. ①] 과 같이 지도를 일정수준(시군구 범위) 확대해야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를 축소하는 경우 [도면 도 24]과 같이 토지피복지도가 사라진다.
[표 3]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XDOMAIN
Figure pat00004
XDOMAIN 테이블은 각 Map Dataset의 영역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이다.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때 이 테이블에 있는 정보를 사용한다. XMETALAYER와 마찬가지로 이 테이블의 레코드 한 행이 특정 Map Dataset의 영역 정보를 담고 있다.
[표 4]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XTABLE_REGISTRY
Figure pat00005
XTABLE_REGISTRY 테이블은 XMETALAYER에서 설명한 특정 Map Dataset의 정보 중에서 GEOMETRY 필드 명을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GEOMETRY 필드명을 XGEOMETRY 이 외에 다른 이름으로 필드 명을 지정할 경우 XTABLE_REGISTRY에서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다.
[표 5]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XSPATIAL_REF_SYS
Figure pat00006
XSPATIAL_REF_SYS 테이블은 Map Dataset의 투영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해당 Map Dataset 이 어떤 투영법에 의해 계산되어야 하는 지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 6]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ACTIVETRANSTABLE
Figure pat00007
ACTIVETRANSTABLE 테이블은 다수의 IntraMap/Server가 하나의 군을 이루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특정 서버에서 완료된 트랜잭션의 정보를 기록하여 다른 서버에서 완료된 트랜잭션의 정보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
[표 7]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GRID INDEX
Figure pat00008
GRID INDEX 테이블은 맵 데이터 셋의 특정 영역에 대한 조회를 빠른 속도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덱스 테이블이다. 실제 테이블 이름은 GI1, GI2, GI3 형태의 형식이다.
[표 8]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행정경계(시도)
Figure pat00009
Map Dataset 테이블이며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담고 있는 테이블이다. 대한민국 행정경계를 시도 별로 구분한 데이터
[표 9]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토지피복지도(세분류) (1/3)
Figure pat00010
[표 10]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토지피복지도(세분류) (2/3)
속성필드 설명
Figure pat00011
[표 11] 도시 생태계 통합 관리 시스템의 GIS DATABASE 정보 자료
토지피복지도(세분류) (3/3)
토지피복유형은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중분류(22개) 체계를 적용함
Figure pat000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시스템 사용자가 접하는 최초화면에서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은 "광역시도"를 클릭하여 원하는 광역시도 목록을 조회하는 단계,
    광역시도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광역시도를 클릭하는 단계,
    "시군구"버튼과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시군구만 조회하고 싶은 경우 "시군구"버튼을 클릭한 후 시군구 목록 중 계산을 원하는 시군구를 클릭하는 단계 및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선택이 끝난 후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을 클릭하여 서버에 결과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2. 제1항에서,
    선택한 시군구 면적이 지도에 강조되어 표시되면서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결과가 화면 하단에 그래프로 표시되며 버튼을 클릭하여 그래프 영역을 확대/축소하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3. 제2항에서,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광역시도와 시군구에 대한 행정경계를 확인하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 행정경계 표현을 켜고 끄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4. 제3항에서,
    확대 정도에 따라 광역시/도에서 최대 시/군/구로 경계 확인하며, 지도의 확대/축소는 마우스 휠 또는 지도의 +/- 버튼을 통해 조작하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5. 제4항에서,
    지도의 배경지도와 항공사진을 선택하여 기본지도를 먼저 보여주며, 배경지도 선택 버튼을 통해 배경지도를 변경할 수 있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6. 제5항에서,
    지도 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하되, 지도를 일정수준 확대해야 토지피복지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를 축소하는 경우 토지피복지도가 사라지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7. 제1항에서,
    광역시도를 선택해야 "시군구"와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버튼이 활성화되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8. 제1항에서,
    대한민국 전체의 지도를 기본지도와 항공영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행정경계 버튼을 눌러 지도 내에서 행정경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행정경계를 선택하여 현재상태 생태면적률 계산 결과를 요청할 수 있는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KR1020200150200A 2020-11-11 2020-11-11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KR20220064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200A KR20220064073A (ko) 2020-11-11 2020-11-11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200A KR20220064073A (ko) 2020-11-11 2020-11-11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073A true KR20220064073A (ko) 2022-05-18

Family

ID=8180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200A KR20220064073A (ko) 2020-11-11 2020-11-11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0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4442A (zh) * 2022-11-18 2023-04-21 湖南科大天河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警报鸣响声音覆盖面积及覆盖率算法
CN117570881A (zh) * 2024-01-17 2024-02-20 贵州省第一测绘院(贵州省北斗导航位置服务中心) 一种国土资源调查用土地面积测量系统及测量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4442A (zh) * 2022-11-18 2023-04-21 湖南科大天河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警报鸣响声音覆盖面积及覆盖率算法
CN115994442B (zh) * 2022-11-18 2024-03-19 湖南科大天河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警报鸣响声音覆盖面积及覆盖率计算方法
CN117570881A (zh) * 2024-01-17 2024-02-20 贵州省第一测绘院(贵州省北斗导航位置服务中心) 一种国土资源调查用土地面积测量系统及测量方法
CN117570881B (zh) * 2024-01-17 2024-05-17 贵州省第一测绘院(贵州省北斗导航位置服务中心) 一种国土资源调查用土地面积测量系统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801B1 (ko) 토지피복지도의 부분 갱신을 통한 gis기반의 연단위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용 주제도 제작 방법
KR20220064073A (ko) Gis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자동계산 방법
KR20200064359A (ko) 부동산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00006056A (ko) 토지정보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68094B1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Cazzani et al. Management plans and Web-Gis software applications as active and dynamic tools to conserve and valorize historic public gardens
Yildiz et al. Cadastral updating: the case of Turkey
Medina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based pavement management system: a case study
Reeve et al. Townscape assessment: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tool for monitoring and assessing visual qua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Qhtani et al. Ar Riyadh Geospatial urban information system and metropolitan development strategy for Ar Riyadh
SĂLĂGEAN et al. Aspects regarding the achieving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ecific for real estate domain
CN112990774A (zh) 山地村镇开发边界划定综合绩效评估方法和系统、存储介质
Ziaei et al. A combined model of GIS and Fuzzy multi criteria decision analysis (FMCDA) for suitable evaluation/selection of industrial areas,(Birjand, Iran)
Xiajie et al.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urban green space management system—Taking Wuxi city as an example
Kapoor et al. Spatial suitability assessment for plann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at site level in hill areas
Imchen et al. Assessment of Point-Based Fragmentation Using Geospatial Technology and Markov Chain Analysis: A Case Study of Kamrup Districts (Rural and Metro), Assam, India
Alicandr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source Web-GIS to manage the public works of Abruzzo region: an example towards the digitalization of the management process of public administrations
Schneider et al. Berlin (Germany) Urba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for planning and governance—potentials and problems
El Ayachi et al. Digital cadastral map, a multipurpose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arkar Affordable housing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oodrich Automated Geospatial Watershed Assessment (AGWA) to Aid in Sustaining Military Mission and Training. Guidance Documents for AGWA Tool, AGWA-Facilitator Export Tool, Facilitator Decision Support Tool
Ayuningtias Visualization of condition irrigation building and canal using web GIS application
Robins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and planning in Scotland: The RLUIS project and advances in GIS
Liang et al. Regional development assessment based on POIs and Geotree: a case study in Beijing-Tianjin-Hebei region
El-Ayachi A paradigm of improving land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