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646A -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646A
KR20200081646A KR1020180171390A KR20180171390A KR20200081646A KR 20200081646 A KR20200081646 A KR 20200081646A KR 1020180171390 A KR1020180171390 A KR 1020180171390A KR 20180171390 A KR20180171390 A KR 20180171390A KR 20200081646 A KR20200081646 A KR 2020008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emitting material
infrared emitting
coat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760B1 (ko
Inventor
박웅재
Original Assignee
(주) 한국레저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레저마케팅 filed Critical (주) 한국레저마케팅
Priority to KR102018017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 A61F2013/00663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acry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71Plasters adhesive containing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와 상기 기재테이프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점착제층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된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10); 상기 기재테이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테이프(10)와 점착제층(20)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점착제층(20)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Functional sports tape containing far-infrared radiation}
본 발명은 스포츠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와 상기 기재테이프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점착제층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된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즉, 운동 또는 일, 바르지 않은 자세,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하여 근육에 무리가 가고, 그로 인해 근육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관절부위의 근육 및 종아리, 허벅지 등의 근육에 무리가 가거나, 혹은 게임과 같은 장시간에 걸친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어깨 근육의 경직, 오래 걷거나 서 있는 경우 다리 근육이 붓는 등 다양한 통증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근육이 긴장하거나 손상되어 근육이 부어올라 혈관이나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이 원할하게 되지 못하고 그로 인해 통증이 생길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근육의 신축성과 유사한 신축성을 가진 테이프를 통증이 있는 부위에 붙이게 되면, 피부와 근육의 공간을 늘려주어 혈액 및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피부적인 자극을 통해 통증의 완화를 도울 수 잇다. 이와 같이 특수 처리된 테이프를 붙여서 통증 완화를 돕는 것을 테이핑 요법이라 한다.
테이핑 요법은 1970년대 일본의 카센겐조 박사가 근육 및 관절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테이핑에 관한 연구 중에 개발된 요법으로, 움직이는 주 동근의 작용을 정상화하기 위하여 해당근육 부위에 테이프를 붙이는 것으로서 근육의 긴장도(tension)를 억제 또는 촉진 시킬 수 있는 방법과 혈액, 림프 및 조직액의 순환을 촉진시켜 근육의 운도기능을 향상시키고,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핑요법은 스포츠분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별히 우려할 만한 부작용 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포츠 테이핑은 근육의 물리적 치료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17874호 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6713호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8811호 4.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2416호 5.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992호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을 더 구비하고,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허브오일 또는 천연물추출물을 연옥분말 표면에 코팅하고, 그 코팅층 위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2차 코팅처리하여 캡슐화 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과 점착제에 포함되는 연옥분말을 코팅하고 있는 허브오일 또는 천연물추출물에 의해 통증의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근육통증에 효과적인 물리적 효과와 동시에 약리물질의 직접 피부 흡수 및 원적외선의 피부침투로 인한 약리학적 효과가 병행하여 스포츠 테이핑에 따른 통증완화를 효율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 테이프는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10); 상기 기재테이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테이프(10)와 점착제층(20)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점착제층(20)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성섬유층(30)은 망사상으로 제직된 신축성원단을 사용하며, 상기 신축성원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발산물질 1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함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성섬유층을 구성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은 3000~50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된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을 5:0.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을 도포한 점착제를 구성하는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은 700~800메쉬의 분말상의 연옥분말의 표면을 고추틴크, 유칼립투스 오일, 캐모마일 오일, 박하오일, 호호바오일, 페퍼민트오일, 라벤다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표면에 코팅처리하여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을 형성하고, 표면이 코팅된 연옥분말을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캡슐화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 2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 층의 투습도는 5,000g/㎡·24시간 내지 7,000 g/㎡·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성섬유층(30)은 신축성섬유를 물과 옥정수를 1:0.5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옥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을 30~50중량부를 혼합한 함침수에 5시간 이상 함침시켜 상기 혼합분말이 섬유층에 충분히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코팅된 신축성섬유를 꺼내어 120±5℃의 온도범위로 열풍건조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옥분말 표면에 1차 코팅된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의 코팅두께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캡슐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의 코팅두께는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은 PCL(Poly(caprolactone)), PLA(Poly(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 및 PLGA(poly(lactate-co-glyco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천연고분자 화합물은 전분(Starch), 키틴(chitin) 및 셀룰로오스(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소금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스포츠 테이프는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으로 구성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성됨으로써, 테이핑에 의한 물리적 효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인체의 혈액 순환 개선과, 그로 인해 몸속을 따뜻하게 열을 가해 주어 근육의 통증완화를 효과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약리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은 그 표면에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허브오일 또는 천연물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통증완화물질이 직접 침투하고, 그 침투된 통증완화물질의 효과를 연옥분말 및 원적외선 발산물질 함유 신축성섬유층의 원적외선 발산으로 극대화 시켜 효율적으로 근육 통증 및 근육의 피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포츠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테이프의 일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포츠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포츠 테이프를 구성하는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10);와 상기 기재테이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테이프(10)와 첨착제층(30)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되어 있는 신축성섬유층(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점착제층(20)을 형성하는 점착제에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40)을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테이핑 요법의 물리학적 효과뿐만 아니라, 약리학적 효과가 병행되는 장점을 가지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10); 상기 기재테이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0)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30)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20)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신축성섬유층(30)은 망사상으로 제직된 신축성원단을 사용하며, 상기 신축성원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발산물질 1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함침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축성섬유층(30)에 포함되는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로는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은 3000~50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된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을 5:0.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함침 또는 코팅하여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상기 신축성원단 대비 10중량부 미만이 포함될 경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양이 매우 적어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출량은 높아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효과는 기대치 이상 얻을 수 있으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자칫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인해 기재테이프(10)와 신축성섬유층(30)의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테이핑의 물리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축성섬유층(30)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함침 또는 코팅은 신축성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신축성 원단을 물과 옥정수를 1:0.5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0~50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된 연옥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을 30~50중량부를 혼합한 함침수를 준비한 다음, 상기 함침수에 상기 신축성원단을 5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시간 함침시켜 상기 혼합분말이 섬유층에 충분히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코팅된 신축성섬유를 꺼내어 120±5℃의 온도범위로 열풍건조 하여 준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건조 후,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안정적으로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함침시간은 5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충분히 흡착 또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어 최종 건조된 신축성원단에 잔존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의 함유량이 신축성원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함침시간은 5시간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함침시간은 20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20시간을 초과한다 하더라도 신축성원단에 흡착 또는 코팅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의 양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으며, 5~20시간 이내에서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의 흡착 또는 코팅되는 함량을 만족할 수준의 범위내로 흡착 또는 코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함침수에 신축성원단을 함침하는 동안에는 상기 함침수에 분산되어 있는 연옥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이 바닥으로 퇴적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저어주면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신축성원단은 통상의 신축성을 가지는 섬유, 예를 들어 나일론섬유, 탄성을 가지는 합성섬유, 고무사, 스판덱스사 등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로 망사상으로 제직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침수에 생산자 또는 제조자의 적의 선택에 따라 신축성 원단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그 첨가제는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의 알려진 첨가제를 적의 선택하여 보통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을 도포한 점착제를 구성하는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은 700~800메쉬의 분말상의 연옥분말의 표면을 고추틴크, 유칼립투스 오일, 캐모마일 오일, 박하오일, 호호바오일, 페퍼민트오일, 라벤다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표면에 코팅처리하여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을 형성하고, 표면이 코팅된 연옥분말을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캡슐화 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 2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의 사용량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연옥분말에 코팅된 통완화물질의 함량이 적어 통증완화 물질로부터 기대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통증완화물질과 연옥분말에 의한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으나, 점착제의 점착성을 저하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연옥분말 표면에 코팅되는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의 코팅두께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캡슐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의 코팅두께는 0.5 내지 2㎛인 것을 만족하도록 코팅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의 코팅두께가 0.1㎛ 미만일 경우에는 허브의 용출량이 적어 허브로 인한 통증완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량의 방출로 민감한 피부에는 트러블을 일으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캡슐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의 코팅두께가 0.5㎛ 미만일 경우에는 그 생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 상기 허브층을 형성하는 통증완화물질의 용출이 빠르게 진행되어 그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2㎛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생분해속도가 너무 늦어 상기 허브층의 통증완화물질의 용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슐을 형성하도록 코팅되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은 PCL(Poly(caprolactone)), PLA(Poly(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 및 PLGA(poly(lactate-co-glyco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천연고분자 화합물은 전분(Starch), 키틴(chitin) 및 셀룰로오스(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츠 테이프를 구성하는 상기 점착제 층의 투습도는 5000 g/㎡·24시간 내지 7000 g/㎡·24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소금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소금을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한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에 존재하는 균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방사소금은 그 종류를 크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는 등록특허 제10-0794327호에 개신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등록특허 제10-0603211호에 개시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으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에 의해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소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정수는 동의보감에 나오는 물의 한 종류로서, 산골짜기의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을 말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이 물의 성질은 혼순하고 맛이 달며 깨끗해서 독이 없고 산에 옥이 있으면 풀과 나무에도 윤기가 돈다고 한다. 사람이 오랫동안 먹으면 오장육부가 윤택해지고 체내의 노폐물이 빠져나가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중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옥을 귀하게 여겨 늘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신경을 안정시키고, 오장육부의 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옥정수의 효능은 현대 과학에 의해서 그 효능이 점차 밝혀지고 있는데, 춘천연옥은 물과 접촉하면 Ca++, Mg++, Na+, K+와 같은 양이온과 HCO-, Cl- SO3-와 같은 음이온이 발생하여 물에 용존시킨다. 특히, 옥정수에는 Ca++와 Mg++ 이온이 적절히 존재하여 이온의 작용이 활성화 되어 있고, 음이온에 의한 생체리듬활성화작용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정상혈압으로 강하시키고, 심장활동을 강화시키며, 피로를 회복시키는 등의 음이온에 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또 다른 주요 성분인 연옥분말은 연옥 원석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며, 연옥은 이노규산염(Inosilicates)의 단 사정계 휘섬석 광물체로서 고토질 대리암중 연옥과 사문석화 초염기성 연옥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의 품질은 그의 미세한 구조, 즉, 투각섬석-양기석정자가 속조와 섬유로 되는 조세한 정도로 결정되며 섬유가 가늘수록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연옥은 경옥의 나트륨과 알루미늄 조성분과는 달리, 인체에 유익한 3가지 광물, 즉, 칼슘, 철분,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연옥 착용 시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 장애, 심장병 및 신장장애로 인한 병고의 치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근에 보고된 바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독일의 헤디 부루시우스가 저술한 '보석의 마력'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또한, 동양 의학의 고전인 동의보감에서도 옥을 오미주와 지유주에 넣으면 물로 변하고, 흘장 수에 넣으면 먹기가 좋으며 옥설을 마두대와 같은 크기로 먹으면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키고 옥설 1되와 지유초 1되, 도미 1되, 백로 3되를 같이 섞어서 구리그릇에 넣어 밥을 지으면 옥설이 물로 변하는데 이를 “옥액”이라 하여 이른바 신선옥장이라고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를 도 3에 도신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조하고, 원적외선 방사량,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이하와 같다.
<신축성 테이프의 준비>
1.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흡착 또는 코팅된 신축성원단의 준비
신축성원단을 준비하고, 물과 옥정수를 1:0.5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를 준비한다. 또한, 3000~50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된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을 5:0.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연옥분말과 토르말린 혼합분말을 30~5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함침수를 준비한다.
상기 함침수에 상기 신축성원단을 5~20시간의 범위내로 충분히 함침시켜 성기 혼합분말이 원단에 충분히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한 다음, 상기 흡착코팅된 신축성원단을 꺼내어 120±5℃의 온도범위로 열풍건조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켜 숙성하여 준비하였다.
2. 점착제의 준비
700~800메쉬의 분말상의 연옥분말과, 고추틴크, 호호바오일, 라벤다오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허브오일(제조예1), 고추틴크, 유칼립투스 오일, 캐모마일오일, 페퍼민트오일을 1:1:1:1로 혼합한 제2허브오일(제조예2)과,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로 PGA를,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전분을 준비하였다.
상기 연옥분말을 상기 준비된 제1허브오일(제조예1)과 제2허브오일(제조예2)에 상기 각각의 허브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연옥분말 30~50중량부를 혼합용기에 투입하고,상기 연옥분말의 표면에 상기 각각의 허브오일이 코팅되도록 서서히 교반하면서 0.1 내지 1.5㎛의 코팅두께를 만족하도록 허브오일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허브오일코팅층이 형성된 연옥분말에 PGA와 전분을 각각 처리하여 고분자화합물로 0.5 내지 2㎛의 코팅두께를 가지는 외벽을 형성하여 캡슐화하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로 연옥분말 캡슐을 준비하였다.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준비된 연옥분말 캡슐을 2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점착제를 준비하였다.
3. 스포츠 테이프의 제조
상기 1 및 2에서 준비된 신축성원단과, 점착제와 종래의 스포츠 테이프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신축성소재로된 기재테이프를 준비하고, 통상의 스포츠테이프 제조방법으로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기능성 스포츠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스포츠테이프 시료는 제1허브오일(제조예1)과 제2허브오일(제조예2)을 사용한 것을 각각 준비하였으며, 상기 시료를 투습도 시험과 원적외선 방사특성 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대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일반 탄력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제조예 2 일반 탄력 테이프
원적외선 방사율
(5~20㎛파장범위)
0.938 0.916 0.112
방사에너지
(W/㎡·㎛,37℃)
372 348 35
원적외선 방사특성은 37℃에서 FT-IR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흑체 대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제조예 2
투습도
(g/㎡·24시간)
5.872 5.871
상기 투습도는 경피흡수용 투과막(Transdermal Diffusion Test model, size 25mm Discs, Qty:60)을 사용하였으며, 체온과 유사한 온도 35℃에서 24시간 후 물에 흡수되는 허브오일의 양을 측정하였다. 물에 흡수되는 허브오일의 양은 자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일정 파장대의 흡수도를 검정농도와 비교하여 용출되는 허브오일의 양을 결정하였다.
상기 표 1 및 2의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2의 결과로 볼때, 투습성이 높아, 연옥분말에 코팅된 허브오일의 방출이 잘 이루어져 약리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 기재테이프
20: 점착제층
30: 신축성섬유층
40: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
100: 스포츠 테이프

Claims (10)

  1.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재테이프(10); 상기 기재테이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테이프(10)와 점착제층(20)과의 사이에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침 또는 코팅된 신축성섬유층(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점착제층(20)은 통증완화용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섬유층(30)은 망사상으로 제직된 신축성원단을 사용하며, 상기 신축성원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발산물질 1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함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섬유층을 구성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은 3000~50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된 연옥분말과 토르말린을 5:0.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도포한 점착제를 구성하는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은 700~800메쉬의 분말상의 연옥분말의 표면을 고추틴크, 유칼립투스 오일, 캐모마일 오일, 박하오일, 호호바오일, 페퍼민트오일, 라벤다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표면에 코팅처리하여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을 형성하고, 표면이 코팅된 연옥분말을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캡슐화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질 캡슐 2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층의 투습도는 5,000g/㎡·24시간 내지 7,000 g/㎡·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섬유층(30)은 신축성섬유를 물과 옥정수를 1:0.5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옥분말과 토르말린 분말을 혼합한 혼합분말을 30~50중량부를 혼합한 함침수에 5시간 이상 함침시켜 상기 혼합분말이 섬유층에 충분히 흡착 또는 코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코팅된 신축성섬유를 꺼내어 120±5℃의 온도범위로 열풍건조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옥분말 표면에 1차 코팅된 통증완화물질 허브층의 코팅두께는 0.1 내지 1.5㎛이고, 상기 캡슐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천연고분자 화합물의 코팅두께는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은 PCL(Poly(caprolactone)), PLA(Poly(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 및 PLGA(poly(lactate-co-glyco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천연고분자 화합물은 전분(Starch), 키틴(chitin) 및 셀룰로오스(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10. 제 1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유기용제형 아크릴점착제, 수용성 에멀전 점착제 또는 수용성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소금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KR1020180171390A 2018-12-28 2018-12-28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KR102197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390A KR102197760B1 (ko) 2018-12-28 2018-12-28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390A KR102197760B1 (ko) 2018-12-28 2018-12-28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646A true KR20200081646A (ko) 2020-07-08
KR102197760B1 KR102197760B1 (ko) 2021-01-04

Family

ID=7160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390A KR102197760B1 (ko) 2018-12-28 2018-12-28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4124A1 (en) * 2020-11-05 2022-05-05 Green Energy Nano Technology Co., Ltd. Composite metal far-infrared medical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709Y1 (ko) * 2003-07-15 2003-11-07 황옥순 관절 보호용 밴드
KR20050078811A (ko) 2004-02-03 2005-08-08 권영미 음이온 방출 기능성 테이프
KR100617874B1 (ko) 2005-09-29 2006-09-13 썬시스템즈(주) 스포츠 근육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0836713B1 (ko) 2007-02-01 2008-06-24 썬시스템즈(주) 부위별 스포츠 근육 테이프의 제조방법
KR20160107394A (ko) * 2015-03-03 2016-09-19 (주)황후연 다기능성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81992Y1 (ko) 2016-07-15 2016-12-05 박종석 아로마테라피기능을 가지는 스포츠 테이프
KR101882416B1 (ko) 2016-06-14 2018-08-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톤치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스포츠 테이핑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스포츠 테이핑용 기능성 테이프
KR20180108286A (ko) * 2017-03-24 2018-10-04 (주) 한국레저마케팅 연옥분말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겔 조성물
KR101916141B1 (ko) * 2017-11-22 2018-11-07 주식회사 챔프뷰코리아 보호대 및 보호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709Y1 (ko) * 2003-07-15 2003-11-07 황옥순 관절 보호용 밴드
KR20050078811A (ko) 2004-02-03 2005-08-08 권영미 음이온 방출 기능성 테이프
KR100577926B1 (ko) * 2004-02-03 2006-05-12 권영미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건강 테이프
KR100617874B1 (ko) 2005-09-29 2006-09-13 썬시스템즈(주) 스포츠 근육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0836713B1 (ko) 2007-02-01 2008-06-24 썬시스템즈(주) 부위별 스포츠 근육 테이프의 제조방법
KR20160107394A (ko) * 2015-03-03 2016-09-19 (주)황후연 다기능성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82416B1 (ko) 2016-06-14 2018-08-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톤치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스포츠 테이핑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스포츠 테이핑용 기능성 테이프
KR200481992Y1 (ko) 2016-07-15 2016-12-05 박종석 아로마테라피기능을 가지는 스포츠 테이프
KR20180108286A (ko) * 2017-03-24 2018-10-04 (주) 한국레저마케팅 연옥분말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겔 조성물
KR101916141B1 (ko) * 2017-11-22 2018-11-07 주식회사 챔프뷰코리아 보호대 및 보호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4124A1 (en) * 2020-11-05 2022-05-05 Green Energy Nano Technology Co., Ltd. Composite metal far-infrared medical
JP2022075455A (ja) * 2020-11-05 2022-05-18 ▲緑▼能奈米科技有限公司 複合金属遠赤外線医療用パ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760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607A (ko) 바이오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생체 조절 용도
CN102600021A (zh) 一种纳米银远红外负离子磁疗卫生巾及护垫
CN102085023A (zh) 纳米中药元素负离子远红外防电磁波污染的降压保健衣
KR101653332B1 (ko) 바이오 패드
KR20180055187A (ko) 건강용 기능성 패치 및 그 이용방법
CN102091237A (zh) 纳米磁性负离子远红外功效性衣冠疗法用品
KR20200081646A (ko)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KR20090060981A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CN106037034A (zh) 活性炭抗菌型胸罩及制备方法
CN101357105A (zh) 磁性远红外负离子复合能量面膜
KR100419478B1 (ko)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CN101366853A (zh) 治疗足癣的中药组合物
CN104997177B (zh) 活性炭与负离子矿物质复配的透气型文胸及制造方法
CN205813720U (zh) 一种保健鞋
CN107669767B (zh) 一种中药艾灸的药物组合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JP3212097U (ja) 機能性インソール
KR200395945Y1 (ko) 피티티나이카라 원단에 캡사이신을 특수가공한 발열 혈류 헬스복
CN111053686A (zh) 一种艾灸柱用卷纸
CN106072809A (zh) 一种含植物本草精华的女士内衣
CN101983651A (zh) 一种治疗脚气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0465638Y1 (ko) 연꽃 씨앗을 이용한 배게
JP2000073226A (ja) 人造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100524880B1 (ko) 복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