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068A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068A
KR20200080068A KR1020180169946A KR20180169946A KR20200080068A KR 20200080068 A KR20200080068 A KR 20200080068A KR 1020180169946 A KR1020180169946 A KR 1020180169946A KR 20180169946 A KR20180169946 A KR 20180169946A KR 20200080068 A KR20200080068 A KR 2020008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module
fus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227B1 (ko
Inventor
박도현
곽정민
이영호
정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6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227B1/ko
Priority to CN201980030864.9A priority patent/CN112088444B/zh
Priority to JP2020560152A priority patent/JP7084496B2/ja
Priority to PCT/KR2019/018248 priority patent/WO2020138870A1/ko
Priority to EP19901861.5A priority patent/EP3836247A4/en
Priority to US17/055,368 priority patent/US20210218098A1/en
Publication of KR2020008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01M2/206
    • H01M2/3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케이스, 모듈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들을 구비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버스바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과 연결되며, 복수 개의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에는,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흐를 때, 배터리 셀들의 폭발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허용 전류 이상의 전류 발생 시 배터리 모듈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끊어지는 퓨즈 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퓨즈 유닛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 외측에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퓨즈 유닛으로 배치 위치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팩이나 기타 다른 구조물 등의 장착 시 퓨즈 유닛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공간적 손실이나 공간적 제약 등의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퓨즈 유닛 장착 시 데드 스페이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 유닛 장착 시 데드 스페이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로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들을 구비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은, 상기 퓨즈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 이상의 과전류가 흐를 때 끊어지는 퓨즈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버스바들과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을 구비하는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탑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퓨즈 유닛 장착 시 데드 스페이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레진 주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배터리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진 주입홀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모듈 케이스를 생략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배터리 모듈의 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모듈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레진 주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배터리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진 주입홀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모듈 케이스를 생략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배터리 모듈의 전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모듈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100), 모듈 케이스(200),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 전압 센싱 유닛(400) 및 퓨즈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파우치 외장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는, 2개의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은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2개의 파우치 외주면에는 실링부가 구비되어 실링부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은, 각각, 기존의 배터리 셀들의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 롱셀(Long cell)이다. 예컨대 롱셀은 폭 대비 길이가 대략 3~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에 있어서, 이와 같은 롱셀 타입의 배터리 셀(100)을 채용한 것은,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면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켜 고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자동차의 시트 하부나 트렁크 하부 등의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에는 각각 한 쌍의 전극 리드(150)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150)는, 배터리 셀(100)의 폭 방향 중심부로부터 일 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로 편향되어 위치한다.
이처럼,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151)가 배터리 셀(100)의 폭 방향 중심부로부터 일 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는 것은, 후술할 커넥터 부재(420) 등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모듈 케이스(20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 케이스(200)에는 상기 배터리 셀들(10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듈 케이스(200)는, 사각 관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모듈 케이스(200) 속 공간은 배터리 셀들(100)와 후술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가 억지 끼움될 수 있을 정도의 부피이다. 이러한 상기 모듈 케이스(200)는 배터리 모듈의 중량과 부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일면에는 열전도성 레진(L)을 주액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진 주입홀(210)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일면은 배터리 셀들(100)의 저면부에 대응하는 저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진 주입홀(210)들은,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저면 중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 영역과 양쪽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복수 개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 영역과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체킹홀(220)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킹홀(220)들은 해당 영역까지 레진(L)이 스며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이다. 예컨대, 상기 체킹홀(220)에서 레진(L)이 확인되면 레진(L) 주입을 멈추도록 하여 레진(L)의 주입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진 주립홀들(210)과 상기 체킹홀들(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진(L)이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에 보다 더 잘 유입될 수 있게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는,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는, 프런트 프레임(310), 리어 프레임(320), 탑 프레임(330) 및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과 상기 리어 프레임(320)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 프레임(330)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 리어 프레임(320) 및 탑 프레임(330)은 각각 배터리 셀들(100)의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해당 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과 리어 프레임(320)은, 탑 프레임(23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는 배터리 셀들(100)과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과 상기 리어 프레임(320)은, 상기 탑 프레임(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과 상기 리어 프레임(320)은 각각 상기 탑 프레임(3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과 상기 리어 프레임(320)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상기 전극 리드들(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상기 전극 리드들(150)과 용접 결합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센싱 유닛(400)은,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전압 정보 등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FPCB 부재(410), 커넥터 부재(420), 온도 센서(430) 및 센싱 단자들(44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PCB 부재(410)는 탑 프레임(330)과 배터리 셀들(100)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FPCB 부재(410)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부재(420)는, 상기 FPCB 부재(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 센서(430) 및 센싱 단자들(440, 450)에서 얻은 데이터 등을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430)는, 상기 FPCB 부재(410)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양쪽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100)은 전극 리드(150)들 주변의 온도가 가장 높으므로 상기 온도 센서(430)는 배터리 셀들(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단자들(440,450)들은 프런트 프레임(310)에 위치한 버스바(350)들 마다에 부착되는 제1 센싱단자(440)들과 리어 프레임(320)에 위치한 버스바(350)들 마다에 부착되는 제2 센싱단자(450)들을 포함하고, 각 버스바(350)들에서의 전압 값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500)은,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허용 전류 이상의 전류 발생 시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끊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 중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350)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350)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 상에서 상기 퓨즈 유닛(5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 유닛(500)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퓨즈 유닛(500)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 및 상기 리어 프레임(3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퓨즈 유닛(500)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310) 및 상기 리어 프레임(320)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퓨즈 유닛(500)은, 연결부재(510), 퓨즈 본체(520) 및 결합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3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퓨즈 본체(520)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510) 사이에 구비되며, 허용 전류 이상의 소정 이상의 과전류가 흐를 때 끊어져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폭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전류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3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버스바들(350)과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들(5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퓨즈 유닛(500)이 상기 배터리 모듈(10) 외부가 아닌 상기 배터리 모듈(10) 내부의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300)의 버스바들(350) 사이에 배치되게끔 구비되므로, 배터리 모듈(10) 외부의 상기 모듈 케이스(200) 외부에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후술하는 배터리 팩(1)이나 기타 다른 구조물 등의 장착 시 상기 퓨즈 유닛(500)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야기될 수 있는 공간적 손실이나 공간적 제약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상기 퓨즈 유닛(500) 장착 시 데드 스페이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1)은 자동차(V)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V)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배터리 팩(1)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1)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V)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자동차(V) 이외에도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1)과 상기 자동차(V)와 같은 상기 배터리 팩(1)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1) 및 이러한 배터리 팩(1)을 구비하는 자동차(V) 등의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퓨즈 유닛(500) 장착 시 데드 스페이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모듈(10), 이러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 팩(1) 및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1)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V)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V: 자동차
1: 배터리 팩
10: 배터리 모듈
100: 배터리 셀
150: 전극 리드
200: 모듈 케이스
210, 215: 레진 주입홀
220, 225: 체킹홀
300: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310: 프런트 프레임
320: 리어 프레임
330: 탑 프레임
350: 버스바
400: 전압 센싱유닛
410: FPCB 부재
420: 커넥터 부재
430: 온도 센서
440, 450: 센싱 단자
500: 퓨즈 유닛
510: 연결부재
520: 퓨즈 본체
530: 결합부재

Claims (10)

  1.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들을 구비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은,
    상기 퓨즈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버스바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 이상의 과전류가 흐를 때 끊어지는 퓨즈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버스바들과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들을 구비하는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탑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80169946A 2018-12-26 2018-12-26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7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46A KR102379227B1 (ko) 2018-12-26 2018-12-26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1980030864.9A CN112088444B (zh) 2018-12-26 2019-12-20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JP2020560152A JP7084496B2 (ja) 2018-12-26 2019-12-20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PCT/KR2019/018248 WO2020138870A1 (ko) 2018-12-26 2019-12-20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19901861.5A EP3836247A4 (en) 2018-12-26 2019-12-2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UCH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SUCH BATTERY PACK
US17/055,368 US20210218098A1 (en) 2018-12-26 2019-12-2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uch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uch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46A KR102379227B1 (ko) 2018-12-26 2018-12-26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068A true KR20200080068A (ko) 2020-07-06
KR102379227B1 KR102379227B1 (ko) 2022-03-24

Family

ID=711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946A KR102379227B1 (ko) 2018-12-26 2018-12-26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18098A1 (ko)
EP (1) EP3836247A4 (ko)
JP (1) JP7084496B2 (ko)
KR (1) KR102379227B1 (ko)
CN (1) CN112088444B (ko)
WO (1) WO2020138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720A (ko) *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3394518A (zh) * 2021-05-07 2021-09-14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电池模组
CN113991263B (zh) * 2021-10-09 2023-06-02 广东汇天航空航天科技有限公司 动力系统以及可飞行装置
EP4350861A1 (en) 2022-06-10 2024-04-1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WO2024019420A1 (ko)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WO2024019402A1 (ko)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4019412A1 (ko)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012310A (ko) 2022-07-20 2024-01-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031099A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4049036A1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96A (ko) * 2015-07-13 2017-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구조물
KR20180038253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78778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셀 모듈의 버스바 고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7595B2 (ja) * 1998-09-09 2005-10-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US20120225327A1 (en) * 2011-01-20 2012-09-06 Ma Shanming Battery with embedded detecting units
US8808031B2 (en) * 2011-12-14 2014-08-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EP2698847B1 (en) * 2012-01-03 2020-03-04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connecting bar applied thereto
US9912018B2 (en) * 2012-03-21 2018-03-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ion of a voltage sense trace fuse into a battery interconnect board
KR101873066B1 (ko) * 2012-06-29 2018-06-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5660A (ko) * 2013-01-24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DE102015113374B4 (de) * 2014-08-18 2023-08-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nordnung zum erfassen einer spannung, batteriestapel sowie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elektrischen konnektivität zu einem batteriestapel eines kraftfahrzeugantriebssystems
JP6256326B2 (ja) * 2014-12-17 2018-0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検知モジュール
WO2016137303A1 (ko) * 2015-02-27 2016-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7636857A (zh) * 2015-06-12 2018-01-2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JP6578881B2 (ja) * 2015-10-23 2019-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KR102034208B1 (ko) * 2016-03-03 2019-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124494A2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및 프레임 조립체
KR102209773B1 (ko) * 2017-05-29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9301634B (zh) * 2017-07-24 2020-06-19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IT201800002771A1 (it) * 2018-02-16 2019-08-16 Ferrari Spa Pacco batteria veicolare
CN208000949U8 (zh) * 2018-08-20 2018-12-28 杨立华 一种新能源汽车电池模组
CN209071494U (zh) * 2018-10-15 2019-07-05 苏州炬鸿通讯电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流熔断保护功能的锂电池包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96A (ko) * 2015-07-13 2017-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구조물
KR20180038253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78778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셀 모듈의 버스바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88444B (zh) 2023-08-01
JP2021518984A (ja) 2021-08-05
EP3836247A4 (en) 2021-10-27
KR102379227B1 (ko) 2022-03-24
JP7084496B2 (ja) 2022-06-14
CN112088444A (zh) 2020-12-15
WO2020138870A1 (ko) 2020-07-02
US20210218098A1 (en) 2021-07-15
EP3836247A1 (en)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22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545727B2 (en) Easier to assemble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frame
CN111066173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KR100863729B1 (ko)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US11848432B2 (en) Battery module
KR102250193B1 (ko) 공간 절약형 icb 조립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JP704489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KR102647282B1 (ko) 배터리 모듈
EP400257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1848455B2 (en) Battery module
KR10216762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07220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11767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30097897A (ko) 로지컬 셀,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240062815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03297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30097896A (ko) 로지컬 셀,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210104491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