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925A -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925A
KR20200079925A KR1020180169637A KR20180169637A KR20200079925A KR 20200079925 A KR20200079925 A KR 20200079925A KR 1020180169637 A KR1020180169637 A KR 1020180169637A KR 20180169637 A KR20180169637 A KR 20180169637A KR 20200079925 A KR20200079925 A KR 20200079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torage device
air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223B1 (en
Inventor
김영준
조남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23B1/en
Priority to CN201910783140.3A priority patent/CN111359113A/en
Publication of KR2020007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mask is stored; a cover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body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arti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body and partitions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mask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rest of the mask is accommodated. The partition unit includes a dust sensor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unit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 마스크 장치를 보관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a mas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Generally, a mask is a device that covers a user's nose and mouth to prevent inhalation and scattering of germs and dust. The mask is pressed against the user's face to cover the user's nose and mouth.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되는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고,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된다.The mask filters germs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ent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allows the filtered air to enter the user's mouth and nose. Air, germs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the body of the mask formed by the filter, and germs and dust are filtered by the body of the mask.

그러나, 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은 마스크의 몸체에 부착되어 있고, 마스크를 재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이 요구된다. 그리고, 청소 시 마스크에 부착된 이물질을 미 제거 시 마스크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는,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하여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마스크를 버릴 수 있지만, 일회용 마스크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However,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mask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mask, and in order to reuse the mask, a cleaning operation for removing the attached foreign matter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mask is not removed during cleaning,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mask is contaminated with bacteria. Alternatively, a disposable mask may be used to discard the mask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but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environment is contaminated by the disposable mask.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992호에는 "마스크 케이스"가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마스크는 마스크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된다. 마스크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스크 케이스의 내부에는 광 촉매제가 제공되며, 광 촉매제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이온으로 마스크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54992 discloses a "mask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ask is stored inside the mask case. In order to remove the contaminants of the mask stored in the mask, a photocatalyst is provided inside the mask case, and a technique for removing contaminants of the mask with anions generated using the photocatalyst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광 촉매제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이온으로 마스크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는 하지만, 마스크에서 생존하는 세균 등을 살균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마스크의 내면에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스크가 마스크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해서 마스크가 마스크 케이스의 내부에서 파손되거나, 살균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lthough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mask with anions generated using a photocatalyst, there is a limit to sterilizing bacteria and the like surviving in the mask.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gro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due to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mask by the user's breathing. In addition, the mask is not stably fixed inside the mask case, and thus the mask is damaged inside the mask case, or there is a problem that sterilization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즉, 마스크를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마스크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That is, development of a mask storage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sterilizing a mask while safely storing the mask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오염도를 판단하여 마스크의 착용이 요구되는 시점을 알려줄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nd notifying when a mask is required to be wor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보관 장치에 먼지센서가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effectively install a dust sensor on the mask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of the mask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마스크에 장착 가능한 최적의 필터를 추천해줄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recommending an optimal filter mountable to a mask in response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에 존재하는 세균, 오염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efficiently removing bacteria and contaminants present in the mas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환경을 개선하여 마스크에서 세균 등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mask storage device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and the like in the mas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가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device, a mask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mask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는, 마스크가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커버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마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마스크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한다.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body and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mask is store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and sealing the receiving space and the body, the receiving space It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mask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rest of the mask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가 포함됨으로써, 공기오염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먼지센서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partment is disposed inside the compartment and includes a dust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ereby accurately measuring air pollution and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ust sensor.

또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먼지센서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센서 흡입구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artment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ward a mask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t this time, the body may include a sensor inlet for air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flow into the dust sensor.

상기 구획부는, 상기 몸체가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몸체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므로, 먼지센서의 센서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mpartmen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where the body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sensor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that external ai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body, so the sensor function of the dust sensor This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마스크의 일면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partitioning unit further includes a sterilizing module that sterilizes one surface of the mask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살균 램프 및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된 살균 광이 투과되는 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광은, 상기 램프 커버를 투과한 후 상기 마스크의 일면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sterilization lamp for generating sterilization light and a lamp cover through which sterilization light generated by the sterilization lamp is transmitted, and the sterilization light can be irradiated to one side of the mask after passing through the lamp cover. have.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first cover coveri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cov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이때,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any on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먼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마스크의 착용이 요구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The display may accurately indicate a time point at which wearing of the mask is required by outputting a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또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의 공기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compart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module for circulating air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에어모듈은,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센서 흡입구로 강제 흡입시키는 팬 모듈과, 상기 팬 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module includes a fan module for forcibly inhaling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sensor inlet, an air duc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an module flows, and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uct flow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can cont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에 구비된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an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a dust sensor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and determining an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and And outputting a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이때,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may be output through a display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또는 상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는,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mask and the mask storage device are in communication,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may be output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mask.

한편, 상기 마스크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mask is wor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k is worn,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may be driven.

또는 상기 마스크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제공해줄 수 있다.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k is wor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provided in the mask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hereby providing comfortable air to the user.

상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마스크에 장착되는 필터를 추천함으로써, 마스크의 필터링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mask and the mask storage device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a filter mounted on the mask is recommended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mask, thereby greatly improving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mas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제어방법은,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a dust amount of air through a dust sensor provided on the mask, determining an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detected dust amount, and determining the air pollution degree. Therefore, it may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ask device, the mask storag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마스크 장치 또는 마스크 보관 장치에 구비된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착용이 요구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dicate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mask is required to be worn by using the dust sensor provided in the mask device or the mask storage device,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둘째, 마스크 보관 장치에 먼지센서가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좋아지고 그에 따라 마스크 보관 장치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dust sensor can be effectively install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mask storage device can be reduced.

셋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환경을 개선하여 마스크에서 세균 등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 inside of the mask storage device can be effectively circulate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mask storage device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and the like in the mask.

넷째, 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마스크에 장착 가능한 최적의 필터를 추천해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optimal filt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mask in response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다섯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가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 수명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fth, since the mask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product life and reliability.

여섯째,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되는 습기로 인해 세균 등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x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and the like due to moisture generated in the mask by the user's breath, there is an advantage to maintain the mask in the best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개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에 보관된 마스크 장치를 살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device is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terilizing the mask device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appearance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개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ask device in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storag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내부에 마스크 장치(8)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 장치(8)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장치(8)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1 to 5, the mask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mask device 8 therei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mask device 8 therein. At this time, the mask device 8 can be understood as a device that covers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관장치 몸체(10)와 보관장치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와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내부에는 마스크 장치(8)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개방되면,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마스크 장치(8)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마스크 장치(8)가 투입되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를 폐쇄하여 마스크 장치(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한다.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body 10 and a storage device cover 11 forming a body.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mask device 8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the storage device cover 11. 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s opened, a mask device 8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When the mask device 8 is pu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s closed to allow the mask device 8 to be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된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에 마스크 장치(8)가 보관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상기 마스크 장치(8)의 일부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부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formed in a basket shape, and a mask device 8 may be stored inside the storage device body 10 formed in a basket shape. That is,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recessed so that a part of the mask device 8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device body 10.

또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마스크 장치(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반원, 부채꼴, 활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장치(8)를 꺾어서 겹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되도록 상기 보관장치 몸체(1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ask device 8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fan shape, arch shap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ask device 8 is folded and stored in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without overlapping.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하나 이상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제1커버(12)와 제2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include one or more covers.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include a first cover 12 and a second cover 13.

상기 제1커버(12)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3)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타측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는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수용공간 중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3)는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수용공간 중 나머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1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The second cover 13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The first cover 12 may cover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cover 11. The second cover 13 may cover a portion of the remain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cover 11.

즉, 상기 제1커버(12)와 상기 제2커버(13)가 폐쇄되면,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제1 및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are closed, the receiv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sealed.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overs, but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include at least one cover.

예를 들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제1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에 의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수용공간이 커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제1, 2, 3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3커버에 의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수용공간이 커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ncludes a first cover, and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be covered by the first cover.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ncludes first, 2, and 3 covers,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be covered by the first, 2, and 3 covers.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제1힌지(14)와 제2힌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one or more hinges.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a first hinge 14 and a second hinge 15.

상기 제1힌지(14)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제1커버(1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15)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타측과 상기 제2커버(13)의 일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4)는 상기 제1커버(12)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측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15)는 상기 제2커버(13)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타측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hinge 14 may connect one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one end of the first cover 12. The second hinge 15 may 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one end of the second cover 13. The first hinge 14 may allow the first cover 12 to rotate relative to one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econd hinge 15 may allow the second cover 13 to rotate relative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와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결합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제공되는 제1결합리브(108)와, 상기 제1커버(12)에 제공되는 제2결합리브(121)와, 상기 제2커버(13)에 제공되는 제3결합리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include a coupling rib.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rib includes a first coupling rib 108 provided on the storage device body 10, a second coupling rib 121 provided on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It may include a third coupling rib 131 provided in (13).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차폐하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 및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제공되는 결합리브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차폐하면,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은 상기 제1결합리브(108)에 상기 제2결합리브(121) 및 상기 제3결합리브(131)가 결합되어 밀봉될 수 있다.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shields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torage device cover 11 and the coupling ribs provided on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shields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the first coupling rib 108 and the second coupling rib 121 and The third coupling rib 131 may be coupled and sealed.

상기 제1결합리브(108)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테두리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121)는 상기 제1커버(12)의 테두리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리브(131)는 상기 제2커버(13)의 테두리에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rib 108 may be provided on the rim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econd coupling rib 121 may be provided on an edge of the first cover 12. The third coupling rib 131 may be provided on an edge of the second cover 13.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폐쇄하면, 상기 제2결합리브(121) 및 상기 제3결합리브(131)가 상기 제1결합리브(108)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108)는 상기 제2결합리브(121) 및 상기 제3결합리브(131)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closes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econd coupling rib 121 and the third coupling rib 131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coupling rib 108. have. The first coupling rib 108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rib 121 and the third coupling rib 131.

상기 제1결합리브(108)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테두리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121)는 상기 제1커버(12)의 테두리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리브(131)는 상기 제2커버(13)의 테두리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121)는 상기 제1결합리브(108)의 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3결합리브(131)는 상기 제1결합리브(108)의 나머지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합리브가 끼움 고정되어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이 밀봉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상기 보관장치 몸체(10) 및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의 사이에 패킹(packing)부재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irst coupling rib 108, a part of the rim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recessed. A portion of the rim of the first cover 12 may be recessed in the second coupling rib 121. A portion of the rim of the second cover 13 may be recessed in the third coupling rib 131. The second coupling rib 121 may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rib 108, and the third coupling rib 131 may be coupled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rib 108.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receiv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sealed by fixing the coupling rib, but a pack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erted.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커버(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include a display 20. The display 20 may indicate an operating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display 2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커버(13)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제2커버(13)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은 상기 제1커버(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A display seating groove 129 on which the display 20 is seat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20 is provided in the second cover 13, and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first cover 12.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제2커버(13)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은 상기 제1커버(12)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폐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에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은 상기 디스플레이(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일부가 안착되기에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일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2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ver 13.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12. 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s closed, the display 20 may be seated in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20. In this embodiment, since a part of the display 20 is seated,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display 20.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12)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버(12)의 외면 일부가 상기 제1커버(12)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버(12)의 외면은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커버(12)의 내면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first cover 12 so that a part of the display 20 is seated. For exampl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2 may be reces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2.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2 is defined as a surface exposed to the outer sp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2 may be defined as a surface fac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 및 상기 디스플레이(20) 중 하나 이상에는 자석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129)과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자석부재의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커버(13)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자석부재의 인력 이상의 힘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개방될 수 있다.A magnet memb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and the display 20. The display seating groove 129 and the display 20 may be fixed by the attraction of the magnet member.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is moved with a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member,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be opened.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함몰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9)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차폐하는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9)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9)는 상기 제1커버(12) 또는 상기 제2커버(13)가 결합되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09)는 상기 제1결합리브(108)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부(109)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은 상기 제1결합리브(108)에 끼움 고정된 상기 제2결합리브(121) 및 상기 제3결합리브(131)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a depression 109. The depression 109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to which a user's hand is inserted to op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that shields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recessed portion 109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depression 109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o which the first cover 12 or the second cover 13 is coupled. In addition, the depression 109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rib 108. That is, the user's hand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09 opens any one of the second coupling rib 121 and the third coupling rib 131 fixed to the first coupling rib 108. Can.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접속단자(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06)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9)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선(9)에는 전선포트(91)가 포함되며, 상기 전선포트(91)가 상기 접속단자(10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9)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106. The connection terminal 106 may be connected to a wire (9)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orage device body (10). In detail, the wire 9 includes a wire port 91, and the wire port 91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06. The wire 9 may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rage device body 10.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단자설치홈(1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설치홈(107)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06)는 상기 단자설치홈(107)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설치홈(107)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설치홈(107)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설치홈(107)은 상기 접속단자(106)에 연결되는 전선포트(91)가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a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connection terminal 106 may be loc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may be formed by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recessed upward.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can prevent the electric wire port 9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06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loor.

상세히,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중 일부는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제1높이(H)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제1높이(H)로 이격되며,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일부와 상기 바닥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닥에 상기 보관장치 몸체(1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som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spaced from the floor to a constant first height (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spaced from the bottom at a constant first height (H),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nd the bottom.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 res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such that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supported on the floor.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양측 저면은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중간측 저면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제1높이(H)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단자설치홈(107)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제1높이(H)로 이격된 보관장치 몸체(1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06)와 상기 전선포트(91)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에 바닥에 존재하는 습기 등으로부터 접속단자(106) 및 전선포트(91)를 보호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bottom surfaces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re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middl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spaced from the bottom to a constant first height (H). The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107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first height (H). Since the connection terminal 106 and the wire port 91 ar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he connection terminal 106 and the wire port 91 can be protected from moisture and the like present on the floor.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는 구획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을 제1수용공간(104)과 제2수용공간(105)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include a compartment 16. The compartment 16 may be formed inside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compartment 16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compartment 16 may divide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상기 제1수용공간(104)은 상기 마스크 장치(8)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05)은 상기 마스크 장치(8)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104)은 상기 구획부(16)의 일측과 상기 제1커버(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05)은 상기 구획부(16)의 타측과 상기 제1커버(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mask device 8 is accommodate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the rest of the mask device 8 is accommodated.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compartment 16 and the first cover 12.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compartment 16 and the first cover 12.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6)는 몸체를 형성하는 구획부 몸체(1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획부 몸체(161)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면에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개구된 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 몸체(161)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면 일측에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면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 몸체(161)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partment 16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compartment 16 may include a compartment body 161 forming a body. In this embodiment, the partition body 16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oward the opened one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compartment body 161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interior of the compartment body 161 may be formed hollow.

상기 구획부(16)는 살균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를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모듈(17)은 자외선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살균램프와, 살균램프를 커버하는 램프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rtment 16 may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17.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sterilize the mask device 8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include a sterilization lamp that generates ultraviolet sterilization light and a lamp cover that covers the sterilization lamp.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구획부(1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구획부 몸체(1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구획부 몸체(1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제1수용공간(104) 및 상기 제2수용공간(105)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의 일부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에 의해 살균되는 마스크 장치(8)의 일부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바라보는 마스크 장치(8)의 일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의 구성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partment 16. 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partment body 161. In detail,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partment body 161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sk device 8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sterilize a part of the mask device 8 stor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4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05. Part of the mask device 8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module 17 can be understood as one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facing the user's nose and mouth.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module 1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7.

상기 구획부(16)는 에어모듈(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어모듈(18)은 외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구획부(16)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구획부(16) 및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은 팬과, 모터와, 흡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의 구성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compartment 16 may include an air module 18. The air module 18 may forcibly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air module 18 may suck the inside air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discharge the sucked inside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lternatively, the air module 18 may suck air in the external space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air module 18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partment 16. The air module 18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partment 16 and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air module 18 may include a fan, a motor,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module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7.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상기 마스크 장치(8)가 보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mask device 8 is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상기 마스크 장치(8)를 착용하여 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8)를 사용 후, 사용자는 상기 마스크 장치(8)를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할 수 있다.The user can protect the respiratory system from foreign substances by wearing the mask device 8. After using the mask device 8, the user can keep the mask device 8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사용자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상기 마스크 장치(8)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로부터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를 개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 구비되는 함몰부(109)에 사용자의 손을 투입하여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커버(13)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커버(13)는 상기 제1힌지(14) 및 상기 제2힌지(15)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을 외부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user can op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from the storage device body 10 to store the mask device 8 in the storage device body 10. In detail, one or more of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may be opened by putting a user's hand into the depression 109 provided in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are rotated by the first hinge 14 and the second hinge 15,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an external space. Can be exposed.

상기 마스크 장치(8)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8)의 일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104)에 수용되고, 상기 마스크 장치(8)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수용공간(105)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간(104)과 상기 제2수용공간(105)에 수용된 마스크 장치(8)의 일부는 상기 구획부(16)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8)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되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차폐하면, 상기 마스크 장치(8)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The mask device 8 may be stor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A part of the mask device 8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other part of the mask device 8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In addition, a part of the mask device 8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may be located above the partition 16. When the mask device 8 is stor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storage device cover 11 may be shielded. When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shielded with the storage device cover 11, the mask device 8 may be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폐쇄하면, 상기 보관장치 커버(11)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를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구획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상기 마스크 장치(8)를 상기 구획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마스크 장치(8)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서 밀착되게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밀착되게 보관되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closed with the storage device cover 11, the storage device cover 11 is provided with a mask device 8 stor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in the storage device body. It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artition 16 of (10). 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presses the mask device 8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mpartment 16, the mask device 8 can be sto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have. When the mask device 8 is sto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damage to the mask device 8 due to movement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can be minimiz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에 보관된 마스크 장치를 살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terilizing the mask device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appearance of the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는 상기 살균모듈(17)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는 상기 에어모듈(18)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6 to 8, the mask device 8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module 17. Further, the mask device 8 stored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dried by the air module 18.

상기 마스크 장치(8)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일면과,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타면을 청결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되는 마스크의 타면은 상기 살균모듈(17)을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되는 마스크의 일면은 상기 제1커버(12) 및 제2커버(13)를 마주할 수 있다. The mask device 8 may include one surface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the other surface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characterized by making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clean.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face the sterilization module 17. One surface of the mask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face the first cover 12 and the second cover 13.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타면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은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살균램프(171)와, 상기 살균램프(171)를 커버하는 램프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171)는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램프커버(172)는 투광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공되어 상기 살균램프(171)에서 발생된 광이 효율적으로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타면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구획부(16)의 일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6)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살균모듈(17)이 배치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타면에 상기 살균모듈(17)이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17 can sterilize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include a sterilization lamp 171 for generating sterilization light, and a lamp cover 172 covering the sterilization lamp 171. The sterilizing lamp 171 may be provided as an ultraviolet lamp or the like that generates sterilizing light. The lamp cover 172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so that light genera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171 can be efficiently irradia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mpartment 16. When the sterilization module 17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mpartment 16,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located clos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마스크 장치(8)의 타면을 건조할 수 있다.The air module 18 may dry the other surface of the mask device 8.

또한, 상기 에어모듈(18)은 외부공기,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외부의 공기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module 18 may circulate outside air, that is, air out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air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모듈(18)은 외부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181, 183)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듈(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구획부(16)에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ir module 18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81 and 183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 fan module 186 for forcibly flowing air. The air module 18 may be provided in the compartment 16.

상기 다수의 흡입구(181, 183)는 외부공기를 상기 제1수용공간(104)으로 안내하는 제1흡입구(181)와, 외부공기를 상기 제2수용공간(105)로 안내하는 제2흡입구(1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181 and 183 include a first suction port 181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first receiving space 104 and a second suction port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105 ( 183).

즉,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입구(181)를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104)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흡입구(183)를 통해 상기 제2수용공간(1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eiving space 104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81 an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105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183. Can.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흡입구(181) 및 상기 제2흡입구(183)는 상기 구획부 몸체(16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입구(181)와 제2흡입구(18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 몸체(16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81, 183)와 후술될 센서 흡입구(185)가 연통하는 에어덕트(18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ction port 181 and the second suction port 183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partition body 161. At this time, the first suction port 181 and the second suction port 183 may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an air duct 182 in which the suction ports 181 and 183 communicate with the sensor suction ports 185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ormed inside the partition body 161.

한편,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센서 흡입구(185)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흡입구(185)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ensor suction port 185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s formed in the storage device body 10. For example, the sensor inlet 18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여기서,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이라 함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가 지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저면 일부분은 지면과 소정높이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understood as a portion where the storage device body 10 is supported on the ground. At this time,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may be spaced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ccordingly, external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상기 팬모듈(186)은 상기 에어덕트(182)에 배치되어 공기를 강제유동 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듈(186)이 작동하면, 외부공기는 상기 센서 흡입구(185)를 통해 상기 에어덕트(182)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입구(181) 또는 제2흡입구(183)를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104) 또는 상기 제2수용공간(105)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fan module 186 is disposed in the air duct 182 to force the air. When the fan module 186 is operated,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air duct 182 through the sensor suction port 185, and the sucked air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ort 181 or the second suction port 183. Through this,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4 or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05.

상기 에어모듈(18)은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모듈(186)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구획부(16)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에어모듈(18)이 작동되면, 상기 제1수용공간(104) 및 상기 제2수용공간(105)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 air module 18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he filter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fan module 186 based on the air flow direction. The filter may be provided to the compartment 16 interchangeably. In this case, when the air module 18 is operated, the air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04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105 can be circulated to filter the air inside the mask storage device 1. .

또한, 상기 구획부(16)는 먼지센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2)는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artment 16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nsor 22. The dust sensor 22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measur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센서(22)는 상기 구획부(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2)는 상기 구획부(16)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덕트(18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센서(22)는 상기 센서 흡입구(185)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센서(22)는 상기 센서 흡입구(18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센서(2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센서(22)는 상기 센서 흡입구(18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ust sensor 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mpartment 16. The dust sensor 22 may be disposed on the air duct 182 formed inside the compartment 16. At this time, the dust sensor 22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sensor suction port 185. That is, the dust sensor 22 is configured such that air sucked through the sensor suction port 185 flows into the dust sensor 22. Accordingly, the dust sensor 22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nsor intake 185.

상기 먼지센서(22)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센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로의 양측에는 광 송수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송수신부에는 상기 센서유로의 일측에 배치되며 빛을 조사하는 광 송신부와, 상기 센서유로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송신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센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때, 상기 공기 중 포함된 먼지에 의하여 산란된 빛의 감도를 측정하는 광 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A senso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in the dust sensor 22. In addition, optical transceiving unit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nsor flow path. The optic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nsor flow path, and an optical transmiss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nsor flow path and w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transmission unit acts o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nsor flow path, the air A light receiving unit for measuring the sensitivity of light scattered by the contained dust may be included.

일례로, 상기 광 수신부에는 포토 다이오드 감지기(Photodiode detector)가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이 많을수록, 상기 광 수신부로 수신되는 빛의 감도는 낮아지며, 출력 전압값은 높아질 수 있다. 즉, 빛의 감도와 출력 전압값은 반비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hotodiode detector. The greater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lower the sensitivity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output voltage value may be. That is, the light sensitivity and the output voltage value can be inversely proportional.

또한, 상기 구획부(16)의 내부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써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및 회로기판은 상기 구획부(16)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덕트(182)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mpartment 16. Here, the circuit board can be understood a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on the air duct 182 formed inside the compartment 16.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선(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battery may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ic wire 9.

상기 배터리는 상기 팬모듈(186)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먼지센서(22) 또는 후술될 무선충전부(19)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may supply power to the fan module 186 or power to the display 20. In addition, the battery may supply power to the dust sensor 22 or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팬모듈(186), 상기 디스플레이(20) 및 상기 먼지센서(22)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an module 186, the display 20, and the dust sensor 22.

한편,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무선충전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9)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되는 마스크 장치(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19.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can be understood as a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sk device 8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상기 무선충전부(19)는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하는 송신부(191)와, 송신된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부(191)는 상기 보관장치 커버(11)에 제공되고, 상기 수신부(192)는 마스크 장치(8)에 제공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may include a transmitting unit 191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and a receiving unit 192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power.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tting unit 191 is provided to the storage device cover 11, the receiving unit 192 may be provided to the mask device (8).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를 폐쇄하면, 상기 송신부(191)와 상기 수신부(19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9)는 자기 공진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91)에서 상기 수신부(192)로 전달되는 전원은 상기 보관장치 몸체(10)의 내부공간(101)에 보관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When the storage device cover 11 closes the storage device body 10, the transmission unit 191 and the reception unit 192 may face each other.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may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the lik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91 to the receiver 192 may be supplied from a battery stored in the inner space 101 of the storage device body 10.

상기 수신부(192)는 상기 송신부(191)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부(192)로 전달된 전원은 마스크 장치(8)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장치(8)에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수신부(192)로 전달된 전원은 상기 마스크 장치(8)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 장치(8)가 보관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8)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unit 192 may receive power wirelessly from the transmitting unit 191.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ceiver 192 may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ask device 8. For example, the mask device 8 is provided with a battery, and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ceiver 192 can charge the battery of the mask device 8. That is, when the mask device 8 is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a battery provided in the mask device 8 may be charged.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살균모듈(17), 에어모듈(18), 무선충전부(19), 디스플레이(20), 통신부(21), 먼지센서(22) 및 제어부(23)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ask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rilization module 17, an air module 18, a wireless charging unit 19, a display 20, a communication unit 21, and a dust sensor 22 And a part or all of the control unit 23.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된 마스크(8)를 살균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살균모듈(17)은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서 자외선 살균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17 is a device for sterilizing the mask 8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generate ultraviolet sterilization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살균모듈(17)이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자외선 살균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upon detecting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sterilization module 17 may be operated to generate ultraviolet sterilization ligh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고,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살균모듈(17)이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자외선 살균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detecting that the cover of the storage device 11 is closed, the sterilization module 17 operates to generate ultraviolet ligh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generate sterile light.

상기 에어모듈(18)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된 마스크(8)를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에어모듈(18)은 외부공기를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내부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ir module 18 is a device for drying the mask 8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air module 18 supplies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or forcibly circulates the inside air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inside air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Improve it.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에어모듈(18)이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내부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sensed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air module 18 is operated to circulate the internal ai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고,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에어모듈(18)이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내부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detecting that the cover of the storage device 11 is closed, the air module 18 operates to internally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Circulation of air can be achieved.

상기 무선충전부(19)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된 상기 마스크(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선충전부(19)는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9)는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sk 8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may transmit power wirelessly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충전부(19)가 작동하여 전원을 상기 마스크(8)로 전송 또는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sensed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operates to transmit or provide power to the mask 8.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고,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충전부(19)가 작동하여 전원을 상기 마스크(8)로 전송 또는 제공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detecting that the cover of the storage device 11 is close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9 operates to power the mask. (8) can be transmitted or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제1커버(12) 또는 상기 제2커버(13)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20 may indicate an operating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display 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ver 12 or the second cover 13.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먼지센서(22)를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도를 출력하거나 또는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20 may output air pollution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22 or may output a wearing guide of the mask.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마스크(8)와의 통신 연결 상태, 상기 마스크(8)에 대한 정보(예: 배터리 정보, 운전 정보 등) 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20 may output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with the mask 8, information about the mask 8 (eg, battery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etc.).

상기 통신부(21)는, 상기 마스크(8)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통신부(21)는 상기 마스크(8)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 is a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The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8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통신부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전원이 온 되면, 상기 통신부(21)는 페어링 과정을 통해 상기 마스크(8)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mask 8 in a Bluetooth manner. That is,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powered on, the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8 through a pairing process.

또한, 상기 통신부(21)는 상기 마스크(8)와 와이파이(Wifi)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상기 마스크(8)는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sk 8 by Wi-Fi or Zigbee. That is,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the mask 8 may be connected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먼지센서(22)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먼지센서(22)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공기오염도는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23)로 제공될 수 있다.The dust sensor 22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e dust sensor 22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nd measur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23 in real time.

상기 제어부(23)는, 앞서 설명된 살균모듈(17), 에어모듈(18), 무선충전부(19), 디스플레이(20), 통신부(21) 및 먼지센서(22)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 controls some or all of the sterilization module 17, air module 18, wireless charging unit 19, display 20, communication unit 21, and dust sensor 22 described above. Can.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먼지센서(22)를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8)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 may control to output a wearing guide of the mask 8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22.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3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based on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8)는 필터모듈(81), 팬모듈(82), 무선충전부(83), 디스플레이(84), 통신부(85), 먼지센서(86) 및 제어부(8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ask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module 81, a fan module 82, a wireless charging unit 83, a display 84, a communication unit 85, a dust sensor 86, and a control unit (87) may include some or all.

상기 필터모듈(81)은, 상기 마스크(8)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필터모듈(81)은 상기 마스크(8)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81 is a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mask 8. The filter module 8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mask 8.

상기 필터모듈(81)은 다수 개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81)에는 하나의 필터가 삽입될 수 있고, 또는 두 개 이상의 필터가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필터가 삽입될 경우, 사용자는 필터의 무게, 크기 또는 필터링 성능을 고려하여 다수의 필터들 중 어느 하나의 필터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모듈(81)에 다수의 필터들을 함께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모듈(81)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8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at is, one filt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module 81, or two or more filters may be inserted. When one filter is inserted, the user can insert any one of a plurality of filters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size, or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filter. In addition, the user can improve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filter module 81 by mounting a plurality of filters together in the filter module 81.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필터는 프리필터(pre-filter), 복합필터,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filter may include a pre-filter, a composite filter, and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상기 팬모듈(82)은, 외부공기를 상기 마스크(8)의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듈(82)은 상기 필터모듈(81)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8)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모듈(81)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듈(82)이 구동하면,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모듈(81)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fan module 82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external air into the mask 8. The fan module 82 is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module 81, so that air sucked into the mask 8 may pass through the filter module 81. Therefore, when the fan module 82 is driven, a user wearing the mask 8 may receive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 module 81.

상기 무선충전부(83)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선충전부(83)는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83)는 무선으로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is a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may receive power wirelessly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power wirelessly.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충전부(83)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may receive power from the mask storage device 1.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상기 마스크(8)가 안착됨을 감지하고, 상기 보관장치 커버(1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충전부(83)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mask 8 is seat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detecting that the cover of the storage device 11 is closed, 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is connected to the mask storage device 1 ).

상기 디스플레이(84)는, 상기 마스크(8)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4)는 상기 먼지센서(86)를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도를 출력하거나 또는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84 may indicate an operating state of the mask 8. The display 84 may output air pollution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86 or may output a wearing guide of the mask.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84)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의 통신 연결 상태, 상기 마스크(8)에 대한 정보(예: 배터리 정보, 운전 정보 등) 등을 출력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84 may output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with the mask storage device 1, information about the mask 8 (eg, battery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etc.).

상기 통신부(85)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통신부(85)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85 is a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communication unit 85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storage device 1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85)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통신부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8)에 전원이 온 되면, 상기 통신부(85)는 페어링 과정을 통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85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in a Bluetooth manner. That is, when the mask 8 is powered on, the communication unit 85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storage device 1 through a pairing process.

또한, 상기 통신부(85)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와이파이(Wifi)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상기 마스크(8)는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85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sk storage device 1 by Wi-Fi or Zigbee. That is,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the mask 8 may be connected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먼지센서(86)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먼지센서(22)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공기오염도는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87)로 제공될 수 있다.The dust sensor 86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e dust sensor 22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nd measur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87 in real time.

상기 제어부(87)는, 앞서 설명된 필터모듈(81), 팬모듈(82), 무선충전부(83), 디스플레이(84), 통신부(85) 및 먼지센서(86)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7 may control some or all of the filter module 81, the fan module 82, the wireless charging unit 83, the display 84, the communication unit 85, and the dust sensor 86 described above. Can.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87)는 상기 먼지센서(86)를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8)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87)는 상기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팬모듈(82)의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7 may control to output a wearing guide of the mask 8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86.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87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of the fan module 82 based on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또한, 상기 마스크(8)의 제어부(87)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8)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23)가 상기 마스크(8)의 전반적인 제어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7 of the mask 8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That is, when the mask 8 and the mask storage device 1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e control unit 23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control the overall control of the mask 8.

또는 이와는 반대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는, 상기 마스크(8)의 제어부(8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8)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제어부(87)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반적인 제어를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on the contrary,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7 of the mask 8. That is, when the mask 8 and the mask storage device 1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a control unit 87 provided in the mask 8 may control overall control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11, in step S11,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a dust sensor.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먼지센서(22)를 작동시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23 controls the dust sensor 22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그리고 단계 S12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한다.Then, in step S12,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구체적으로,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커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낮아질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detected air in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increase. Conversely, as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sensed air de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decrease.

예를 들어, 상기 먼지센서(22)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에 따른 공기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센서(22)는 결정된 공기오염도를 상기 제어부(23)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ust sensor 22 may determine the air pollution degr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detected air based on th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dust sensor 22 may provide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control unit 23.

다음 단계 S13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한다.In the next step S13, the mask storage device 1 outputs a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3)는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할 것을 유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3 may induce the user to wear the mask 8 when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degree is relatively high.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는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3)는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음성 또는 조명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 may output a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20.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3 may output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voice or lighting.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는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와 상기 마스크(8)가 통신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3 may output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in the mask 8. In this case, the mask storage device 1 and the mask 8 may be in communic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 또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84)를 통하여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guide to wear the mask through the mask storage device 1 or the displays 20 and 84 provided in the mask 8.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control method of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되고, 단계 S22 및 S23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12, in step S21,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and in steps S22 and S23,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and detects the amount of dust. Air pollu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is.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먼지센서(22)를 작동시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Specifically,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23 controls the dust sensor 22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이때, 상기 먼지센서(22)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에 따른 공기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센서(22)는 결정된 공기오염도를 상기 제어부(23)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sensor 22 may determine the air pollution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detected air based on th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dust sensor 22 may provide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control unit 23.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커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낮아질 수 있다.As the amount of dust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detected air in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increase. Conversely, as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sensed air de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decrease.

다음 단계 S24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next step S24,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degree exceeds a reference value.

여기서,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공기 중 먼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필요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Here, when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a case tha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relatively large and it is necessary to wear a mask.

반대로,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공기 중 먼지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일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degree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a case in which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relatively small,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wear a mask.

만약,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단계 S22로 진입하여 공기의 먼지량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If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enter step S22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gain.

한편,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 S25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와 통신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25,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mask.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무선으로 통신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k 8.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mask 8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될 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mask 8.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mask 8 is not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sk 8. That is, when the mask 8 is separated from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sk 8.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sk 8 in a Bluetooth mann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8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Wi-Fi method and a Zigbee method.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6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한다.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not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n step S26, the mask storage device 1 wears a mask through the display 20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Print out a guide.

즉, 상기 마스크(8)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신속하게 착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s not made, by outputting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20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wear the mask 8 Can help.

한편,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된 경우, 단계 S27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n step S27, the mask storage device 1 guides the wearing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in the mask 8 Output.

즉, 상기 마스크(8)와 통신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신속하게 착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That is, whe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s made, by outputting a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on the mask 8,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quickly wear the mask 8. .

다음, 단계 S28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28,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ask is wor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에는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 센서, 압력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wear may be installed on the mask 8.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 micro switch.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하는지 또는 미 착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the mask 8 or not through the sensor.

만약,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된 경우, 단계 S29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If it is sensed that the mask is worn, in step S29, the mask storage device 1 controls to drive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는, 상기 마스크(8)의 팬모듈(82)로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는 상기 마스크(8)의 제어부(87)를 제어하여 상기 팬모듈(82)이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the fan module 82 of the mask 8.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control the control unit 87 of the mask 8 so that the fan module 82 is driven.

그리고 단계 S30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Then, in step S30, the mask storage device 1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based on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공기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공기오염도가 낮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는, 공기 중 먼지량이 많을 경우에는 팬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신선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mask storage device 1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increases, and de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decreases. The reason for this is to provide fresh air to the user easily by increasing the fan speed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high.

다음, 단계 S31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S32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31, the mask storage device 1 measur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by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t regular intervals. Then, in step S32,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의 공기오염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교적 청정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낮아지고, 비교적 오염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moves while wearing the mask 8,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round the user may vary.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lean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lowered, and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ontaminated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increased.

이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먼지센서(86)를 통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먼지센서(22)를 통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86 provided in the mask 8. However, unlike this,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22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여전히 초과할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단계 S30으로 진입하여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stil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mask storage device 1 enters step S30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만약,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단계 S33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33,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stop driving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즉,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control to stop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또는,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6) 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상기 마스크(8)의 착용 해제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include the display 86 provided on the mask 8 or the display 20 provid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output a wearing release guide of the mask 8.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41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되고, 단계 S42 및 S43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13, in step S41,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and in steps S42 and S43,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and detects the amount of dust. Air pollu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is.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먼지센서(22)를 작동시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Specifically,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23 controls the dust sensor 22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이때, 상기 먼지센서(22)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에 따른 공기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센서(22)는 결정된 공기오염도를 상기 제어부(23)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sensor 22 may determine the air pollution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detected air based on th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dust sensor 22 may provide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control unit 23.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커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낮아질 수 있다.As the amount of dust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detected air in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increase. Conversely, as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sensed air de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decrease.

다음 단계 S44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와 통신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next step S44,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the mask is in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무선으로 통신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k 8.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mask 8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전원이 온 될 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turn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mask 8.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보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8)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mask 8 is not stor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mask 8. That is, when the mask 8 is separated from the mask storage device 1,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sk 8.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와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sk 8 in a Bluetooth mann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the mask 8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Wi-Fi method and a Zigbee method.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단계 S45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마스크의 필터를 추천한다.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not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n step S45, the mask storage device 1 filters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20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It is recommended.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에는 공기 중 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모듈(81)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는 프리필터(pre-filter), 복합필터,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등이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sk 8 includes a filter module 81 into which a filter for filtering dust or contaminants in the air is inserted. The filter may include a pre-filter, a composite filter, and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또한, 상기 필터모듈(81)에는 다수의 필터들 중 2개 이상의 필터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모듈(81)에 장착된 필터의 수가 증가될수록 상기 마스크(8)의 필터링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Also, two or more filters among a plurality of filters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module 81. That is, as the number of filters mounted on the filter module 81 increases,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mask 8 may be improv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른 최적의 필터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오염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프리필터, 복합필터 및 헤파필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프리필터, 복합필터 및 헤파필터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필터를 사용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recommend the optimal filt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air pollution degree is relatively low,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recommend using any one of a pre-filter, a composite filter, and a hepa filter. Conversely, when the air pollution degree is relatively high,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recommend using at least two filters of a pre-filter, a composite filter, and a hepa filter.

한편,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가 상기 마스크(8)와 통신 연결된 경우, 단계 S46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마스크의 필터를 추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sk storage device 1 i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8, in step S46, the mask storage device 1 recommends the filter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in the mask 8 can do.

따라서, 공기오염도에 따라 현재 환경에 적합한 필터를 자동적으로 추천해 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정화된 공기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a filter suitable for the current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ability is improved and the purified air can be easily provided.

다음, 단계 S47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47,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ask is wor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에는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 센서, 압력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wear may be installed on the mask 8.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 micro switch.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하는지 또는 미 착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the mask 8 or not through the sensor.

만약,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된 경우, 단계 S48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If it is sensed that the mask is worn, in step S48, the mask storage device 1 controls to drive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즉,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는, 상기 마스크(8)의 팬모듈(82)로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의 제어부(23)는 상기 마스크(8)의 제어부(87)를 제어하여 상기 팬모듈(82)이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the fan module 82 of the mask 8.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3 of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control the control unit 87 of the mask 8 so that the fan module 82 is driven.

그리고 단계 S49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Then, in step S49, the mask storage device 1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공기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공기오염도가 낮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는, 공기 중 먼지량이 많을 경우에는 팬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신선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mask storage device 1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increases, and de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decreases. The reason for this is to provide fresh air to the user easily by increasing the fan speed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high.

다음, 단계 S50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S51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50,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measur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nd in step S51, the mask storag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의 공기오염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교적 청정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낮아지고, 비교적 오염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moves while wearing the mask 8,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round the user may vary.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lean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lowered, and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ontaminated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increased.

이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먼지센서(86)를 통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먼지센서(22)를 통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86 provided in the mask 8. However, unlike this,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22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1.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여전히 초과할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단계 S49로 진입하여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stil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mask storage device 1 enters step S49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만약,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단계 S52에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52,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stop driving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즉,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control to stop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또는,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6) 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상기 마스크(8)의 착용 해제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storage device 1 may include the display 86 provided on the mask 8 or the display 20 provided on the mask storage device 1.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output a wearing release guide of the mask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as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61에서 상기 마스크(8)의 전원이 온 되고, 단계 S62 및 S63에서 상기 마스크(8)는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한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power of the mask 8 is turned on in step S61, the mask 8 in step S62 and S63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Decide.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마스크(8)의 제어부(87)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먼지센서(86)를 작동시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Specifically, when the power of the mask 8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87 of the mask 8 controls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by operating the dust sensor 86 provided in the mask 8.

이때, 상기 먼지센서(86)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에 따른 공기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센서(86)는 결정된 공기오염도를 상기 제어부(87)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sensor 86 may determine the air pollution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detected air based on th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dust sensor 86 may provide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control unit 87.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커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감지된 공기 중 먼지량 또는 먼지농도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오염도는 낮아질 수 있다.As the amount of dust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detected air in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increase. Conversely, as the amount of dust or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sensed air decreas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ay decrease.

다음 단계 S64에서 상기 마스크(8)는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next step S64, the mask 8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공기 중 먼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필요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Here, when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a case tha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relatively large and it is necessary to wear a mask.

반대로,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공기 중 먼지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일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degree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a case in which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relatively small,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wear a mask.

만약,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스크(8)는 단계 S62로 진입하여 공기의 먼지량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If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level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mask 8 may enter step S62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gain.

한편, 결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 S65에서 상기 마스크(8)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ed air pollu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65, the mask 8 outputs a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in the mask 8.

즉, 공기오염도가 비교적 나쁠 경우에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4)를 통해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신속하게 착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That is, when the air pollution degree is relatively poor, by outputting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through the display 84 provided on the mask 8,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quickly wear the mask 8.

다음, 단계 S66에서 상기 마스크(8)는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66, the mask 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ask is wor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에는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 센서, 압력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wear may be installed on the mask 8.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 micro switch.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하는지 또는 미 착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the mask 8 or not through the sensor.

만약, 마스크의 착용 여부가 감지된 경우, 단계 S67에서 상기 마스크(8)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If it is sensed that the mask is worn, in step S67, the mask 8 is controlled to drive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그리고 단계 S68에서 상기 마스크(8)는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Then, in step S68, the mask 8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8)는 공기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공기오염도가 낮을수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는, 공기 중 먼지량이 많을 경우에는 팬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신선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mask 8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increases, and de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as the air pollution degree decreases. The reason for this is to provide fresh air to the user easily by increasing the fan speed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s high.

다음, 단계 S69에서 상기 마스크(8)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여 공기오염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S70에서 상기 마스크(8)는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69, the mask 8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t regular intervals and measur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n, in step S70, the mask 8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8)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의 공기오염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교적 청정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낮아지고, 비교적 오염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공기오염도는 높아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moves while wearing the mask 8,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round the user may vary.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lean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lowered, and if the user moves to a relatively contaminated area, the air pollution level may be increased.

이때, 상기 마스크(8)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먼지센서(86)를 통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sk 8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86 provided in the mask 8.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여전히 초과할 경우, 상기 마스크(8)는 단계 S68로 진입하여 측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계속적으로 조절한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stil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mask 8 enters step S68 to continuousl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pollution degree.

만약, 측정된 공기오염도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단계 S71에서 상기 마스크(8)는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71, the mask 8 may stop driving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즉,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8)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8 may be controlled to stop driving of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8.

또는,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스크(8)는 상기 마스크(8)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6)를 통해 상기 마스크(8)의 착용 해제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more comfortable area, the mask 8 may output a wearing release guide of the mask 8 through the display 86 provided in the mask 8.

1: 마스크 보관 장치 8: 마스크 장치
10: 보관장치 몸체 11: 보관장치 커버
14: 제1힌지 15: 제2힌지
16: 구획부 17: 살균모듈
18: 에어모듈 19: 무선충전부
20: 디스플레이 21: 통신부
22: 먼지센서 23: 제어부
1: Mask storage device 8: Mask device
10: storage body 11: storage cover
14: first hinge 15: second hinge
16: Compartment 17: Sterilization module
18: air module 19: wireless charging unit
20: display 21: communication unit
22: dust sensor 23: control

Claims (20)

마스크가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커버;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마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마스크의 나머지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mask is stored;
A co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t is provided on the body, and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mask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rest of the mask is accommodated,
The compartment, the mask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compartment and includes a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rtment, the mask storage devic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ward the mask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먼지센서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센서 흡입구가 포함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the mask storage device including a sensor inlet for the outside air of the receiving space to flow into the dust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몸체가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흡입구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tition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e body is supported on the ground,
The sensor suction port, a mask storage devi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마스크의 일면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rtment, the mask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rilizing module for sterilizing one surface of the mask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살균 램프; 및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된 살균 광이 투과되는 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광은, 상기 램프 커버를 투과한 후 상기 마스크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rilization module,
A sterilizing lamp that generates sterilizing light; And
It includes a lamp cover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light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lamp is transmitted,
The sterilizing light, the mask storage device is irradiated to one side of the mask after passing through the lamp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 first cov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veri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mask storage devi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including a second cover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mask storage device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ask storage device in any on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먼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the mask storage device for outputting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의 공기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모듈이 더 포함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partment, the mask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ir module for circulating the air outside the receiving space, and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모듈은,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센서 흡입구로 강제 흡입시키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module,
A fan module for forcibly sucking the outside air into the sensor intake;
An air duc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an module flows; And
A mask storage devic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uct flow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마스크가 보관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에 구비된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ask storage device in which the mask is stored,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Determining an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And
And outputting a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는,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storage device output through a display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controlling the mask and the mask storage device to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는,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wearing guide of the mask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mask storage device output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mask.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sk is wor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k is worn, a control method of the mask storage device for driving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mask.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송풍팬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k is worn, the control method of the mask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provided on the mask is adjusted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보관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마스크에 장착되는 필터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nd when the mask and the mask storage device are in communication connection, recommending a filter mounted on the mask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mask.
마스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구비된 먼지센서를 통해 공기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먼지량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기오염도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의 착용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ask,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rough the dust sensor provided in the mask;
Determining an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dust; And
And outputting a wearing guid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air pollution.
KR1020180169637A 2018-12-26 2018-12-26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34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37A KR102534223B1 (en) 2018-12-26 2018-12-26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910783140.3A CN111359113A (en) 2018-12-26 2019-08-23 Mask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37A KR102534223B1 (en) 2018-12-26 2018-12-26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25A true KR20200079925A (en) 2020-07-06
KR102534223B1 KR102534223B1 (en) 2023-05-19

Family

ID=7119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637A KR102534223B1 (en) 2018-12-26 2018-12-26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4223B1 (en)
CN (1) CN111359113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364B1 (en)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Disinfection device
KR102294479B1 (en) * 2020-08-28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case
KR20220014469A (en) * 2020-07-28 2022-0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drying device for electrostatic mask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45442A1 (en)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씨에이랩 Multifunctional cradle and mask cradle kit comprising same
KR20220027602A (en)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case for mask
KR20230013351A (en)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US11707097B2 (en) 2020-06-05 2023-07-25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KR20230121359A (en) * 2022-02-11 2023-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anaging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nd controll method for the same
US11931604B2 (en) 2020-06-30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51337B2 (en) 2020-06-30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98769B2 (en) 2020-06-05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23742U (en) * 2017-02-27 2018-05-08 奥利加(天津)智能科技有限公司 Mask stores disinfection box
KR20180092363A (en) * 2017-02-09 2018-08-20 목상수 Wearable Air Purifier and Mask Including I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258A (en) * 1989-05-30 1990-04-24 Perretta Christine R Protective case for a diver's face mask
US5881877A (en) * 1997-08-01 1999-03-16 Adams; Darrell D. Container for safety equipment
JP3916342B2 (en) * 1999-04-20 2007-05-1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Substrate storage container
CN1740692A (en) * 2004-08-24 2006-03-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Air purifier pollution display device
JP2011103940A (en) * 2009-11-13 2011-06-02 Yasuko Numata Mask storage case
JP2012078562A (en) * 2010-10-01 2012-04-19 Toppan Printing Co Ltd Mask case and mask cleaning method
CN202289260U (en) * 2011-11-01 2012-07-04 东台市东方船舶装配有限公司 Storage box for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es
CN203403037U (en) * 2013-06-14 2014-01-22 陈明生 Light cover conveying box
CN103607490B (en) * 2013-10-19 2017-02-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ir quality
CN204306234U (en) * 2014-12-21 2015-05-06 浙江省人民医院 Extraction-type gauze mask box
CN204363022U (en) * 2015-01-26 2015-06-03 昆明纳太能源科技有限公司 Portable intelligent monitoring spray mask
CN104921343A (en) * 2015-06-05 2015-09-23 深圳市华盛奥莱实业有限公司 Anion mask with PM2.5 monitoring function
CN205441401U (en) * 2015-12-24 2016-08-10 天津冠博科技有限公司 Novel portable foreign trade merchant quality control surveys storage device
CN105810121A (en) * 2016-03-13 2016-07-27 林丽芳 Advertising lamp box capable of adsorbing and removing dust in air
CN105866036A (en) * 2016-04-18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etection device
CN206407338U (en) * 2016-12-08 2017-08-15 江苏盾王科技集团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mouth mask holder
CN206861746U (en) * 2017-05-05 2018-01-09 上海工程技术大学 A kind of portable negative ion air purifier
CN208053938U (en) * 2018-03-13 2018-11-06 钟国英 A kind of Medical respirator storage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363A (en) * 2017-02-09 2018-08-20 목상수 Wearable Air Purifier and Mask Including It
CN207323742U (en) * 2017-02-27 2018-05-08 奥利加(天津)智能科技有限公司 Mask stores disinfection box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8769B2 (en) 2020-06-05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707097B2 (en) 2020-06-05 2023-07-25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31604B2 (en) 2020-06-30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51337B2 (en) 2020-06-30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KR20220014469A (en) * 2020-07-28 2022-0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drying device for electrostatic mask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45442A1 (en)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씨에이랩 Multifunctional cradle and mask cradle kit comprising same
KR20220026667A (en)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씨에이랩 Multi-functional stand and mask standing kit including the same
KR20220027602A (en)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case for mask
KR102294479B1 (en) * 2020-08-28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case
US12005147B2 (en) 2020-08-28 2024-06-11 Lg Electronics Inc. Sterilization case
WO2022085867A1 (en)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Sterilizer
KR102279364B1 (en)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Disinfection device
KR20230013351A (en)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KR20230121359A (en) * 2022-02-11 2023-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anaging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nd controll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23B1 (en) 2023-05-19
CN111359113A (en)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223B1 (en) Mask apparatus, mask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15015B (en) Mask storage device
KR102436183B1 (en) Mask storage apparatus
US11666787B2 (en) Mask apparatus
KR102320204B1 (en)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25966B1 (en) Air Conditioner
KR102132859B1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1460942B1 (en) mask
KR101688292B1 (en) Self-traveling electronic apparatus
ES2356525T3 (en) SECURITY WORK BANK.
EP3666292A1 (en) Mask storage apparatus
KR102134284B1 (en) a air purifier of multi type
US20200085262A1 (en) Dryer stand
KR20180073760A (en) Air cleaner
KR20190014605A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KR20220030170A (en) Mask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73980B1 (en) Robot air cleaner combined with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ead connected thereto
KR102289353B1 (en) Portable air cleaner using disposable dust mask as a filter
KR102485200B1 (en) Hand type vacuum cleaner with ionizer
KR10198803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08579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40111819A (en) Robot Cleaner
KR20190060265A (en) Air Purifier Automatic Moving Apparatus
KR20180080403A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purifier using a life pattern
JP6435171B2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