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813A - Linear evaporation source - Google Patents

Linear evaporation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813A
KR20200079813A KR1020180169393A KR20180169393A KR20200079813A KR 20200079813 A KR20200079813 A KR 20200079813A KR 1020180169393 A KR1020180169393 A KR 1020180169393A KR 20180169393 A KR20180169393 A KR 20180169393A KR 20200079813 A KR20200079813 A KR 2020007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deposition material
deposition
linea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0508B1 (en
Inventor
한경록
강창호
이종찬
장범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8016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508B1/en
Publication of KR2020007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Disclosed is a high temperature linear evaporation source. The high temperature linear evaporation sour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discharging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deposition target; and a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connected to cross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receiving and he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 transfer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e linear discharge unit, and having a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which is disposed at a central region and heats the deposition material.

Description

고온용 선형 증착원{Linear evaporation source}Linear evapora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고온용 선형 증착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증착물질이나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경우라도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함에 있어서도 전기적 쇼트의 위험이 없고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장비 냉각시의 크루시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evapora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and effectively maintain a high temperature state even when heating a large amount of evaporati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evaporation material. There is no risk of electrical short even when heating the evaporation material of metal material, and it is for high temperature that can prevent the crucible deformation during cooling of equipment that can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raw material of the evaporation material and the material of the crucible. It relates to a linear deposition source.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flat panel displays have been spotlighted as display devices. Such flat panel display element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plasma display panel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이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 예컨대 OLED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LCD보다 낮은 소비 전력, 경량성,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각광받고 있다.Among them,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OLED, have very good advantages such as fast response speed,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conventional LCDs, light weight, and the fact that they do not require a separate back light device, making them ultra-thin and high brightness. It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display device.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양극 막, 유기 박막, 음극 막을 순서대로 입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유기 박막에 형성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원리이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 principle in which an appropriate energy difference is formed in an organic thin film and emits light by applying an anode film, an organic thin film, and a cathode film on a substrate in order, and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다시 말해,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며, 남는 여기 에너지가 빛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유기 물질의 도펀트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풀 칼라(full color)의 구현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and the remaining excitation energy is generated as light. At this time, since the wavelength of light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opant of the organic material can be adjusted, full color can be realized.

도 1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애노드(anode),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운송층(hole transfer layer), 발광층(emitting layer), 정공 방지층(hole blocking layer), 전자 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캐소드(cathode) 등의 막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n ano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hole blocking layer on a substrate.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film such as a cathode are formed in order.

이러한 구조에서 애노드로는 면 저항이 작고 투과성이 좋은 ITO(Indium Tin Oxide)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 정공 운송층, 발광층, 정공 방지층, 전자 운송층, 전자 주입층의 다층으로 구성된다.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Alq3, TPD, PBD, m-MTDATA, TCTA 등이 있다. 캐소드로는 Lie-Al 금속막이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이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에 매우 약하므로 소자의 수명(life time)을 증가시키기 위해 봉합하는 봉지막이 최상부에 형성된다.In this structure, ITO (Indium Tin Oxide) having small surface resistance and good permeability is mainly used as the anode. In addition, the organic thin film is formed of a multi-layer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 order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Organic materials used as a light emitting layer include Alq3, TPD, PBD, m-MTDATA, TCTA, and the like. As the cathode, a Lie-Al metal film is used. 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thin film is very weak to moisture and oxygen in the air, an encapsulation film is formed on the top to seal the device to increase the life time of the device.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며, 구동 시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is briefly summariz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n anode, a cathode, and a light emit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when driven, holes are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from the anode, and electrons I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from the cathode. Holes and electron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generate excitons, and these excitons emit light while transitioning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구현하는 색상에 따라 단색 또는 풀 칼라(full color) 유기전계발광소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풀 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빛의 삼원색인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별로 패터닝된 발광층을 구비함으로써 풀 칼라를 구현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vided into a single color or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lor to be implemented. The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red (R), green (G) and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A full color is realized by having a light emitting layer patterned for each blue (B).

도 1과 같은 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만들기 위해, 즉 발광층(유기물) 및 전극층(무기물)을 증착하기 위해 평판표시소자용 기판 증착장치가 적용된다.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mak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that is, to deposit a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material) and an electrode layer (inorganic material).

진공 증착 방식(thermal evaporation)이 적용되는 평판표시소자용 기판 증착장치에는 기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Linear evaporation source)이 마련된다.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which a vacuum evaporation method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 linear evapora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spraying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substrate.

최근에는 박막 두께의 균일성(uniformity) 확보, 컨트롤(control) 장치의 단순화, 그리고 챔버(chamber)의 볼륨(volume) 축소를 위해 리니어 타입(linear type)의 선형 증착원이 적용되며, 증착물질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증착하는 증착원일 수 있다.Recently, a linear type linear deposition source is applied to secur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simplify the control device, and reduce the volume of the chamber. It may be a deposition source for depositing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이러한 고온 선형 증착원의 경우는 특정 포인트에만 증착물질을 배출하는 포인트(point) 증착원과 달리 선형(linear)으로 증착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가열하는 증착물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the case of such a high-temperature linear deposition source, since the amount of the deposition material heated to discharge the deposition material in a linear manner, unlike the point deposition source that discharges the deposition material only at a specific point, it occur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o various problems.

먼저, 고온 선형 증착원의 경우는 많은 양의 증착물질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으며, 가열되어 증발된 증착물질을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First,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linear deposition sourc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heat a large amount of deposition material, and the heated evaporated deposition material must be 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t a high temperature.

특히,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증착시키기 위한 고온 선형 증착원의 경우에는 유기물질을 증착시키는 경우 보다 끓는점이 높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며, 증발된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이 히팅 유닛 및 전원이 공급되는 내부 구조물에 흡착된다면 전기적 쇼트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장비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depositing a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the boiling point is higher than that of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and the evaporated metal material deposition material is applied to a heating unit and an internal structure where power is supplied. If adsorbed, an electrical short phenomenon may occur, which may cause fatal damage to the equipment.

또한, 많은 양의 증착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크루시블의 재료를 포인트(point) 증착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라믹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risk of breakage increases when a ceramic material generally used in a point evaporation source is a crucible material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deposition material.

따라서 녹는점 및 끓는점이 아주 높은 탄탈럼(Ta, Tantalum) 등의 메탈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증착물질을 가열하기에 충분한 열을 가할 수 있으면서도 파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따라 크루시블의 내부에 증착물질의 원료가 흡착되는 경우에는 증착이 끝나고 장비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흡착된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식으면서 수축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크루시블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antalum (Ta, Tantalum) having a very high melting point and boiling point, and it is possible to apply sufficient heat to heat the evaporation material while preventing the risk of damage. When the raw material of the deposited material is adsorbed insid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hrinkage while cooling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raw material of the adsorbed deposited material and the material of the crucible occurs while the deposition is over and the equipment is cooled. ,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rucible may be deformed.

대한민국공개공보 출원번호 제10-2004-0011432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04-001143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많은 양의 증착물질이나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경우라도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함에 있어서도 전기적 쇼트의 위험이 없고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장비 냉각시의 크루시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even when heating a large amount of the depositi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deposition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a high temperature state, in particular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of the metal material It is to provide a linear evapora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that has no risk of electrical short and prevents crushable deformation when cooling equipment that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a raw material of a deposition material and a material of a crucib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착물질을 증착 대상을 향해 배출하는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 및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과 교차되게 연결되며,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으로 전달하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구비하는 증착물질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deposition target; And a first built-in heating that crosses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accommodates the deposition material, heats the deposition material, and transfers it to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which is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A linear vapo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may be provided, which comprises a vapor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having a module.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제2 내장형 히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상기 증착물질 가열유닛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가열 후 냉각이 진행될 때 수용되는 상기 증착물질의 흡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The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nd a deformation-proof crucible module that prevents deformation by adsorp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accommodated when cooling is performed after heating. Further included,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may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deformation-resistant crucible module.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은,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되,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의 일영역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제1 크루시블; 및 상기 제1 크루시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크루시블의 일영역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에 의해 가열된 상기 증착물질이 증발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 크루시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formation-preventing crucible module includes: a first crucible that accommodates the deposition material and is provided around the first embedded heating module so as to contact a region of the first embedded heating module; And a movement path tha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a region of the first crucible to accommodate the first crucible, and moves the evaporated material heated by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n an evaporated state. It may include a second crucible.

상기 제1 크루시블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둘러싸며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크루시블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와 함께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rucible includes: a first cylinder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 second cylind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ylinder and disposed to contact the second crucible; And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gether with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It can contain.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이 상기 제1 실린더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의 이격된 거리만큼의 폭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has a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s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and a ring having a width equal to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It can have a shape.

상기 제1 크루시블은 PBN(Pyrolytic Boron Nitr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rucible may be formed of a Pyrolytic Boron Nitride (PBN) material.

상기 제2 크루시블은,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상부 크루시블; 및 상기 제2 상부 크루시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크루시블을 지지하는 제2 하부 크루시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rucible may include: a second upper crucib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And a second lower crucible connected detachab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crucible, and supporting the first crucible.

상기 제2 하부 크루시블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크루시블의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ower crucible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s seated; And a flang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crucible.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의 내측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히터 본체; 및 상기 히터 본체를 감싸는 세라믹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ncludes: a heater body dispos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deformation-preventing crucible module; And a ceramic coating part surrounding the heater body.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크루시블과 연통되어 가열되어 증발된 상태인 상기 증착물질을 전달받는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크루시블에서 전달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further comprises a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rucible and receives the deposition material in a heated and evaporated state, and 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includes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deposition material to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rucible can be heated.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상기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증착물질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in communic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장형 히팅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많은 양의 증착물질이나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경우라도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고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uilt-in heating module, even in the case of heating a large amount of depositi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deposition material can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and effectively maintain a high temperature state.

또한, 분리 가능한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장비 냉각시의 크루시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etachabl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crucible deformation when cooling equipment, which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a raw material of a deposition material and a material of a crucible.

도 1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온용 선형 증착원이 적용된 평판표시소자용 기판 증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온용 선형 증착원의 횡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증착물질 가열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증착물질 가열유닛의 제1 크루시블과 제2 크루시블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크루시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which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in FIG.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material heating uni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rucible and the second crucib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of FIG. 4 are separated.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crucible of FIG. 3.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용 선형 증착원이 적용된 평판표시소자용 기판 증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which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평판표시소자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나 이하에서는 평판표시소자를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용 기판이라 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relative to the drawings,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ke. It will be described as a substrate for a light emitting element (OLED).

도 2를 참조하면 평판표시소자용 기판 증착장치는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공정 챔버(2)와, 공정 챔버(2)의 일측에 마련되어 기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a process chamber 2 in which a deposition process for a substrate proceeds, and a high-temperature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spraying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the substrate (1) is included.

공정 챔버(2)는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장소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를 위해 발광층(유기물) 및 전극층(무기물)을 증착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증착장치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증착하는 증착장치일 수 있다.The process chamber 2 is a place where a deposition process for a substrate is performed. That is, a place for depositing a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substance) and an electrode layer (inorganic substance) is formed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shown in FIG. 1. The vapor deposition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be a vapor deposition apparatus for depositing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증착 공정 시 공정 챔버(2)의 내부는 진공 분위기를 유지한다. 때문에 공정 챔버(2)에는 진공 펌프 등이 연결될 수 있다.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e inside of the process chamber 2 maintains a vacuum atmosphere. Therefore, a vacuum pump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 chamber 2.

한편, 고온용 선형 증착원(1)은 공정 챔버(2)의 일측에 마련되어 기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한다.On the other hand, a linear vapor deposition source 1 for high temperatur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ocess chamber 2 to eject the deposition material toward the substrate.

본 실시예의 고온용 선형 증착원(1)은 공정 챔버(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추가 조립이 필요 없는 일체형 구조를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매 사용 시마다 야기될 수 있는 온도 편차 발생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linear evaporation source 1 for high tempera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an integral structure that is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cess chamber 2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assemb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emperature deviation that may occur with each use. have.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의 고온용 선형 증착원(1)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1) of this embodiment.

도 3은 도 2의 고온용 선형 증착원의 횡단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증착물질 가열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증착물질 가열유닛의 제1 크루시블과 제2 크루시블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제1 크루시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in FIG. 2,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material heating unit of FIG. 3, and FIG. 5 is a first crush of the evaporation material heating unit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w and the second crucible are separat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crucible in FIG. 3.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온용 선형 증착원은 증착물질 가열유닛(10)과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10 and a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20.

먼저, 증착물질 가열유닛(10)은 후술할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과 교차되게 연결되며, 증착물질(3)을 수용하고 증착물질(3)을 가열하여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10 is cross-connected with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accommodates the deposition material 3 and heats the deposition material 3 to deposit the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20 It serves to convey.

즉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증착물질(3)을 증착 가능한 상태로 증발시키기 위해 가열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과,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을 포함한다.That is, it serves to heat the evaporation material 3 in a solid or liquid state in order to evaporate it in a vaporizable state, and includes a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and a strain-proof crucible module 300.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은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증착물질(3)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일반적으로 크루시블의 외부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종래의 가열방식과 달리, 증착물질(3)이 준비되는 장소와 증발된 증착물질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중앙영역에서 증착물질(3)을 향해 바깥쪽으로 가열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and serves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3.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heating method which is generally disposed while wrapping the outside of the crucible, toward the deposition material 3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lace where the deposition material 3 is prepared and the moving path where the evaporated deposition material moves. It is to use the method of heating outward.

종래의 크루시블의 외부에서 가열하는 방식은 열이 크루시블에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바깥쪽으로도 빠져나가기 때문에 열손실이 많았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플렉터 등의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장비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heating method of the crucible from the outside, heat is not only transmitted to the crucible but also escapes to the outside, so there is a lot of heat loss, and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reflector is installed to prevent this. There were drawbacks to this complexity.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영역에서 증착물질(3)을 향해 바깥쪽으로 가열함으로써, 불필요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증착물질을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는 많은 양의 증착물질을 증발시키기 위한 선형 증착원에 유리하며, 특히 끓는점이 높은 메탈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eating outwards toward the deposition material 3 in the central region, unnecessary heat loss can be minimized and heating efficiency for he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 high temperature is increased. This is advantageous for a linear evaporation source for evaporating a large amount of evaporation material, and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heating the evapora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boiling point.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은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의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의 제1 크루시블(310) 내부에 수용되는 증착물질(3)을 가열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ures 3 and 4,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300, th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 The deposition material 3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rucible 310 of 300) is heated.

이러한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은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의 내측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히터 본체(110)와, 히터 본체(110)를 감싸는 세라믹 코팅부(120)를 포함한다.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ncludes a heater body 110 dispos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train-proof crucible module 300 and a ceramic coating unit 120 surrounding the heater body 110.

증착과정에서 메탈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메탈소재의 증착물질이 증발된 상태에서 전기가 흐르는 부품에 증착이 되면 전기적으로 쇼트가 일어나는 단락(short circuit) 현상이 발생하여 장비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he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when the deposition material of the metal material is evaporated, when it is deposited on a component that flows electricity, a short circuit phenomenon occurs in which an electrical short occurs, which causes fatal damage to the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본체(110)를 감싸는 세라믹 코팅부(120)를 마련함으로써, 증착물질(3)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내부에 배치된 히터 본체(110)로 증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탈소재의 증착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증착물질의 흡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쇼트가 일어나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4, by providing a ceramic coating unit 120 surrounding the heater body 110, the deposition material (3)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Sinc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posited by the heater body 110 disposed therei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ical short occurs due to adsorp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even if a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s used.

그리고, 세라믹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증착물질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표면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세라믹 소재로서 예를 들어 PBN(Pyrolytic Boron Nitride)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ceramic material,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position material from being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For example, a PBN (Pyrolytic Boron Nitride) material may be used as the ceramic material. .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은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가열 후 냉각이 진행될 때 수용되는 증착물질(3)의 흡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루시블(310)과, 제2 크루시블(320)을 포함한다.Th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300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and prevents deformation by adsorption of the deposited material 3 that is accommodated when cooling is performed after heating. It plays a role, and as shown in detail in FIGS. 4 and 5, includes a first crucible 310 and a second crucible 320.

제1 크루시블(310)은 증착물질(3)을 수용하는 열할을 하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일영역과 접촉하도록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을 둘러싸게 마련되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에서 발생된 열이 증착물질(3)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해준다.The first crucible 31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so as to make contact with a region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and performs first heat to accommodate the deposition material 3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module 100 allows the heat to be transferred outward toward the deposition material 3.

이러한 제1 크루시블(310)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311)와, 제2 실린더(312)와, 바닥부(313)를 포함한다.6, the first crucible 310 includes a first cylinder 311, a second cylinder 312, and a bottom portion 313, as shown in detail in FIG. 6.

제1 실린더(311)는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을 둘러싸며 접촉되게 배치되고, 제2 실린더(312)는 제1 실린더(311)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2 크루시블(320)에 접촉되게 배치되며, 바닥부(313)는 제1 실린더(311)와 제2 실린더(312)의 하단부에서 제1 실린더(311)와 제2 실린더(312)를 연결하여 제1 실린더(311)와 제2 실린더(312)와 함께 증착물질(3)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형성하게 된다. The first cylinder 311 is disposed to contact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and the second cylinder 3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ylinder 311 to be disposed in the second crucible 320 Arranged to be in contact, the bottom portion 313 connects the first cylinder 311 and the second cylinder 312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ylinder 311 and the second cylinder 312, and the first cylinder 311 and The second cylinder 312 is formed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3 together.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닥부(313)는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이 제1 실린더(311)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관통공(315)을 구비하며, 제1 실린더(311)와 제2 실린더(312)의 이격된 거리만큼의 폭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The bottom part 3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rough hole 315 so that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311, and the first cylinder 311 and the first 2 It is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 ring shape having a width equal to the spaced distance of the cylinder 312.

제1 크루시블(310)은 PBN(Pyrolytic Boron Nitride)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증착물질(3)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crucible 310 is formed of a Pyrolytic Boron Nitride (PBN)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deposition material 3 from being adsorbed.

제2 크루시블(320)은 제1 크루시블(310)을 수용하도록 제1 크루시블(310)의 일영역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에 의해 가열된 증착물질(3)이 증발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rucible 32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a region of the first crucible 310 to accommodate the first crucible 310 and is heated by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t serves to form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material 3 moves in an evaporated stat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증착물질의 증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positing a deposition material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가열되기 전에 고체 또는 액체의 형태를 가진 증착물질(3)은 제1 크루시블(310)의 수용공간에만 수용되고, 제2 크루시블(320)에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First, before being heated, the deposition material 3 in the form of a solid or liquid is accommodated only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crucible 310 an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econd crucible 320.

이후에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면, 증착물질은 증발된 상태로 제2 크루시블(320)의 내벽과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이동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며, 후술할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의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heating is performed by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the deposition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rucible 320 a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n an evaporated state. It goes upward along the movement path, which is the space, an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of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내장형 히팅 모듈(200)에 의해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보온하므로써 증발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eposition material is heated and kept warm by 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200 provided inside the deposition material transfer cylinder 400 so that it can move while maintaining the evaporated state.

이후에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노즐(500)을 통과하면서 기판을 향해 배출된 증착물질이 기판에 증착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deposition material discharged toward the substr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500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이렇게 증착공정이 진행되어 증착물질을 소모한 이후에는 제1 크루시블(310)에 다시 원료 상태의 증착물질을 보충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분이 분리가 가능한 제2 크루시블(320)을 마련함으로써, 증착물질의 보충이 쉽고 장비의 세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After the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deposition material is consumed, the first crucible 310 must be replenished with the raw material deposit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rucible that can be partially separated By providing the blade 3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plenish the deposition material and to easily clean and maintain the equipment.

이러한 제2 크루시블(32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크루시블(321)과 제2 하부 크루시블(322)을 포함한다.5, the second upper crucible 320 includes a second upper crucible 321 and a second lower crucible 322.

제2 상부 크루시블(321)은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의 일측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제2 하부 크루시블(322)은 제2 상부 크루시블(321)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크루시블(3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upper crucible 321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near evaporation unit 20, and the second lower crucible 322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crucible 321. It is connected to serve to support the first crucible 310.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부 크루시블(322)은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이 안착되는 안착홈(323)과, 안착홈(323)의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크루시블(310)의 바닥부(313)를 지지하는 플랜지부(324)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wer crucible 322 is formed in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323 in which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s seated, and the seating groove 323, It was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flange portion 324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313 of the sibling 310.

이렇게 안착홈(323)을 마련함으로써,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을 정확하게 중앙 영역에 배치하여 증착물질을 향해 고르게 가열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providing the seating groove 323 in this way,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s accurately arrang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uniformly heating the deposited material.

또한, 안착홈(323)의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제1 크루시블(310)의 바닥부(313)가 위치하게 함으로써, 제1 크루시블(310)의 하부에 위치한 증착물질에도 충분한 가열을 할 수 있게 되어 증착물질 원료를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bottom portion 313 of the first crucible 310 to be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323, sufficient heating is also provided to the deposition material located below the first crucible 31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sume the raw material of the deposition material.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물질의 원료를 보충하기 위해 제2 상부 크루시블(321)과 제2 하부 크루시블(322)이 분리되기 전에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의 가열동작이 끝나며 장비가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heating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before the second upper crucible 321 and the second lower crucible 322 are separated to replenish the raw material of the deposition material After the operation is over, the equipment is cool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 선형 증착원의 경우는 특정 포인트에만 증착물질을 배출하는 포인트(point) 증착원과 달리 선형(linear)으로 증착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가열하는 증착물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크루시블의 재료를 포인트(point) 증착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라믹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high-temperature linear deposition source, since the amount of the deposition material heated to discharge the deposition material in a linear manner is increased, unlike the point deposition source that discharges the deposition material only at a specific point, When using a ceramic material that is generally used in a point evaporation source of a cruc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damage increases.

따라서 제2 크루시블(320)은 녹는점 및 끓는점이 아주 높은 탄탈럼(Ta, Tantalum) 등의 메탈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증착물질을 가열하기에 충분한 열을 가할 수 있으면서도 파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따라 크루시블의 내부에 증착물질의 원료가 흡착되는 경우에는 증착이 끝나고 장비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흡착된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식으면서 수축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크루시블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second crucible 3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antalum (Ta) having a very high melting point and boiling point,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sufficient heat to heat the deposited material and prevent the risk of damage. However, accordingly, when the raw material of the deposited material is adsorbed inside the crucible, it is cool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raw material of the adsorbed deposited material and the material of the crucible during deposition and cooling of the equip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rac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crucible can be deformed.

이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사용하여 증착공정이 이루어지고 냉각 과정이 진행될 때 제1 크루시블(310)이 과 제2 크루시블(320)이 함께 마련되지 않는 종래의 크루시블을 사용한다면, 가열되어 액체상태로 크루시블의 내부에 존재하던 증착물질의 남은 원료가 크루시블의 바닥 부분에서 식게 되면서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and a cooling process is performed, a conventional crew in which the first crucible 310 and the second crucible 320 are not provided together If a sible is used, adsorption is performed as the remaining raw material of the evaporation material existing inside the crucible in a liquid state by heating is cooled at the bottom of the crucible.

이때, 증착물질과 크루시블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식으면서 수축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크루시블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증착물질과 크루시블이 흡착된 상태에서 제2 상부 크루시블(321)과 제2 하부 크루시블(322)이 분리되는 순간에 증착물질과 크루시블이 서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도 크루시블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evaporation material and the crucibl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raction while cooling occur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rucible may be deformed. In addition, even when the second upper crucible 321 and the second lower crucible 322 are sepa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evaporation material and the crucible are adsorbed, the evaporation material and the crucible are also pulled by each other. The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rucible can be deformed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분리되는 제1 크루시블(310)과 제2 크루시블(320)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제1 크루시블(310)에 수용되는 증착물질(3)이 제2 하부 크루시블(32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증착물질과 크루시블이 흡착되고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루시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first crucible 310 and the second crucible 320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eposit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first crucible 310 ( 3)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lower crucible 322 from being adsorb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rucible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adsorbing and cooling the deposited material and the crucible.

한편,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20)은 증착물질을 증착 대상을 향해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내장형 히팅 모듈(200)과,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와, 다수의 노즐(50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20 serves to discharge the deposition material toward the deposition target, 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200,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and a plurality of nozzles 500 Includes.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는 제1 크루시블(310)과 연통되어 가열되어 증발된 상태인 증착물질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rucible 310 and serves to receive the deposition material that is heated and evaporated.

제2 내장형 히팅 모듈(200)은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증착물질을 가열하며,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크루시블(310)에서 전달되는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보온하므로써 증발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200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and is provided inside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to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rucible 310 It is possible to move while maintaining the evaporated state by heating the insulating material and keeping it warm.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의 내벽과 제2 내장형 히팅 모듈(200)의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증착물질의 이동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던 증착물질은 노즐(500)을 통해 공정 챔버(2, 도 2 참조) 내부의 기판을 향해 분사된다.The deposition material that wa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deposition material formed by the inner wall of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200 is processed through the nozzle 500 through the process chamber (2, 2) is injected toward the substrate inside.

다수의 노즐(500)은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400)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증착물질을 외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하고, 다수의 노즐(500)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시판을 향해 증착물질을 선형(linear)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nozzles 500 are coupled in communication to one side of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400, and serves to spray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nozzles 5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eposited toward the market The material can be discharged linearly.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을 마련함으로써 많은 양의 증착물질이나 메탈 소재의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경우라도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고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even when heating a large amount of deposition material or a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heating efficiency and effectively maintain a high temperature state. do.

이러한 제1 내장형 히팅 모듈(100)은 세라믹 코팅부(120)를 포함함으로써, 메탈소재의 증착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증착물질의 흡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쇼트가 일어나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00 includes a ceramic coating unit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ical short occurs due to adsorp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even if a depositio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s used.

또한, 제1 크루시블(310)과 제2 크루시블(320)로 분리 가능한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300)을 마련함으로써 증착물질의 원료와 크루시블의 재료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장비 냉각시의 크루시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300 separable into the first crucible 310 and the second crucible 320,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raw material of the deposited material and the material of the crucible i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able deformation during cooling of the equip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고온용 선형 증착원 2 : 공정 챔버
100 : 제1 내장형 히팅 모듈 110 : 히터 본체
120 : 세라믹 코팅부 200 : 제2 내장형 히팅 모듈
300 :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 310: 제1 크루시블
311 : 제1 실린더 312 : 제2 실린더
313 : 바닥부 320 : 제2 크루시블
321 : 제2 상부 크루시블 322 : 제2 하부 크루시블
323 : 안착홈 324 : 플랜지부
400 :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 500 : 노즐
DESCRIPTION OF SYMBOLS 1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2 Process chamber
100: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110: heater body
120: ceramic coating unit 200: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300: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310: first crucible
311: first cylinder 312: second cylinder
313: bottom part 320: second crucible
321: second upper crucible 322: second lower crucible
323: seating groove 324: flange
400: deposition material transfer cylinder 500: nozzle

Claims (12)

증착물질을 증착 대상을 향해 배출하는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 및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과 교차되게 연결되며,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으로 전달하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구비하는 증착물질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a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deposition object; And
A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that is cross-connected to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accommodates the deposition material, heats the deposition material, and transfers it to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which is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por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제2 내장형 히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1,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And a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물질 가열유닛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가열 후 냉각이 진행될 때 수용되는 상기 증착물질의 흡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1,
The deposition material heating unit,
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nd further includes a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that prevents deformation by adsorption of the deposited material that is accommodated when cooling is performed after heating,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s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he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deformation-resistant crucible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은,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되,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의 일영역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제1 크루시블; 및
상기 제1 크루시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크루시블의 일영역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에 의해 가열된 상기 증착물질이 증발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 크루시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3,
Th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A first crucible accommod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but surrounding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so as to contact a region of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nd
I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an area of the first crucible to accommodate the first crucible, and forms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deposited material heated by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moves in an evaporated state.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omprising a second crucib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루시블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을 둘러싸며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크루시블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와 함께 상기 증착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rucible,
A first cylinde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 second cylind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ylinder and disposed to contact the second crucible; And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accommodat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gether with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이 상기 제1 실린더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의 이격된 거리만큼의 폭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portion,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so as to be dispos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irst cylinder, and having a ring shape having a width equal to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Characterized by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루시블은 PBN(Pyrolytic Boron Nitrid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rucible is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PBN (Pyrolytic Boron Nitride)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루시블은,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상부 크루시블; 및
상기 제2 상부 크루시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크루시블을 지지하는 제2 하부 크루시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crucible,
A second upper crucib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And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crucible and includes a second lower crucible supporting the first cruci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크루시블은,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크루시블의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lower crucible,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is seated; And
I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nge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irst cruci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변형방지 크루시블 모듈의 내측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히터 본체; 및
상기 히터 본체를 감싸는 세라믹 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built-in heating module,
A heater body dispos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ng crucible module; And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ramic coating surrounding the heater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크루시블과 연통되어 가열되어 증발된 상태인 상기 증착물질을 전달받는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장형 히팅 모듈은 상기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크루시블에서 전달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According to claim 3,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Further comprising a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rucible to receive the deposition material is heated and evaporated,
The second built-in heating module is provided inside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ed from the first crucible, a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물질 선형 배출유닛은,
상기 증착물질 전달 실린더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증착물질을 외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선형 증착원.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position material linear discharge unit,
Linear deposition source for high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deposition material delivery cylinder,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e outside.
KR1020180169393A 2018-12-26 2018-12-26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160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93A KR102160508B1 (en) 2018-12-26 2018-12-26 Linear evaporation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93A KR102160508B1 (en) 2018-12-26 2018-12-26 Linear evaporation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813A true KR20200079813A (en) 2020-07-06
KR102160508B1 KR102160508B1 (en) 2020-09-28

Family

ID=7157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393A KR102160508B1 (en) 2018-12-26 2018-12-26 Linear evaporation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432A (en) 2000-11-13 2004-02-05 토마스 이. 주니어. 대니얼스 Beverage mixer
KR20120015123A (en)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야스 Evaporator with heater inserted
KR20140017730A (en)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야스 Bulk type high temperature source
KR20140148035A (en)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thin layers deposition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629463B1 (en) * 2013-12-18 2016-06-1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Linear type evaporator an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432A (en) 2000-11-13 2004-02-05 토마스 이. 주니어. 대니얼스 Beverage mixer
KR20120015123A (en)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야스 Evaporator with heater inserted
KR20140017730A (en)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야스 Bulk type high temperature source
KR20140148035A (en)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thin layers deposition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629463B1 (en) * 2013-12-18 2016-06-1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Linear type evaporator an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08B1 (en)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743B1 (en) Organic thin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479942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thin layers deposition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180114953A1 (en) Method of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by using vapor deposition device
JP5512881B2 (en) Vapor deposition processing system and vapor deposition processing method
KR102160508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020768B1 (en) Glass Deposition Apparatus
KR102076994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20220052190A (en) Crucible for point evaporation source
KR102190640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104307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190641B1 (en)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62592B1 (en) Evaporation material feeding apparatus
KR102339763B1 (en) Box type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229164B1 (en) High temperature evaporation source
KR20190080372A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229161B1 (en) Glass deposition apparatus
KR102252624B1 (en) Depositio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074436A (en) Source and glass deposition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649739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2074675B1 (en) A evaporation source for deposition material
KR102150453B1 (en) Evaporation source for deposition device
WO2012108363A1 (en) Crucible,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462594B1 (en) Evaporation material feeding apparatus
KR101696768B1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KR101462593B1 (en) Evaporation material fee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