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654A -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654A
KR20200079654A KR1020180169017A KR20180169017A KR20200079654A KR 20200079654 A KR20200079654 A KR 20200079654A KR 1020180169017 A KR1020180169017 A KR 1020180169017A KR 20180169017 A KR20180169017 A KR 20180169017A KR 20200079654 A KR20200079654 A KR 2020007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sensing unit
user
integrated circui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에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6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654A/ko
Publication of KR2020007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의 신호 감지 반경은 일반적인 센서의 신호 감지 반경보다 크며, 전위집적회로의 신호 감지 능력은 일반적인 센서의 신호 감지 능력보다 우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 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고, 제스처 인식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장치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Gesture Recognition Method Using An Electric Potential Integrated Circuit Sensor}
본 발명은 전위집적회로(Electric Potential Integrated Circuit)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각종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스처 인식 장치는 특정 거리 이내에서만 제스처 인식이 가능하며, 센서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제스처의 감지가 불가능하거나 정확한 제스쳐 감지가 힘들고, 오류 인식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제스처 인식 장치는 센서 감지의 반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제스처 인식 장치에 장애물이 있거나, 사용자가 먼거리에서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제스처 인식 장치가 작동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21222호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은, EPIC 센서(110)가 구비된 센싱부(3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움직임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부(30)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된 후, 상기 센싱부(30)가 제1 전자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30)가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30)가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의 신호 감지 반경은 EPIC 센서를 응용함에 따라 일반적인 센서의 신호 감지 반경보다 크며, 전위집적회로의 신호 감지 능력은 일반적인 센서의 신호 감지 능력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 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고, 제스처 인식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장치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하, 간단히 제스처 인식 방법이라 함)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0), 제1 전자장치(50),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 제2 전자장치(60),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 및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센싱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위집적회로(Electric Potential Integrated Circuit) 센서(이하, EPIC 센서라 함)(110), 상기 EPIC 센서(110)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120) 및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 또는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로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EPIC 센서(110)들은 EPIC 센서 어레이(110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0)는 미세한 전기장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비접촉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10-1817865호(이하, 간단히 제1 선행특허라 함)에 기재되어 있는 감지부, 전위 집적 회로 센서, 심박 측정부, 모션 측정부, 측정부, 제어부 및 본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3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10-2017-0033266호(이하, 간단히 제2 선행특허라 함)에 기재되어 있는, 전위 집적 회로 센서(EPIC 센서), DSP, 및 송수신부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선행특허 또는 제2 선행특허에 의해 사용자의 모션, 즉,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된 제스처의 종류를 기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정보들과 비교하며, 비교에 의해 판단된 제스처와 매칭되어 있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30)는 EPIC 센서(110), EPIC 센서 어레이(110), 판단부(120) 및 통신부(130)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EPIC 센서(110) 및 상기 판단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선행특허 및 제2 선행특허에서 제시된 구성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120)는 추가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제스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들(40, 61)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RF 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들(40, 61)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모뎀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SMS, MMS, SNS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무선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제1 전자장치(50)는 상기 센싱부(30)와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장치(50)는 텔레비젼(TV)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보일러, 조명, 커튼 구동부, 세탁기, 오디오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제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자장치(50)는 상기 센싱부(30)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제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제어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전자장치(50)가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수신된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는, 상향 이동, 하향 이동, 시계방향 회전, 시계반대방향 회전, 대각선 상향 이동, 대각선 하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제스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장치(50)가 텔레비젼인 경우,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은, 볼륨 제어 동작, 채널 제어 동작, 파워온 제어 동작, 파워오프 제어 동작, 메뉴 이동 동작, 밝기 제어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장치(50)가 조명인 경우,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은, 밝기 제어 동작, 파워온 제어 동작, 파워 오프 제어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제1 전자장치(50)에서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상기 제어부(40)가 제공하는 제스처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센싱부(30)가 제공하는 제스처와 상기 제1 전자장치(50)에서 제공되는 동작을 매칭시킬 수 있고, 새로운 제스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제스처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에서 제공되는 동작과 매칭시킬 수도 있다.
넷째, 상기 제2 전자장치(60) 역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장치(60)는 상기 센싱부(30)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전자장치(50)와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자장치(50)는 상기 센싱부(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전자장치(60)는 상기 센싱부(30)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섯째,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는 상기 센싱부(3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수신된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자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센싱부(30)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센싱부(3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PC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적용되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전자장치(50)가 텔레비젼이며, 제2 전자장치(60)가 조명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첫째, 상기 EPIC 센서(10)가 구비된 상기 센싱부(3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S202).
즉, 상기 센싱부(30)는 미세한 전기장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와의 비접촉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30초 또는 1분 등의 기간 내에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부(30)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알람 정보를 송신한다(S204).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제스처가 원(0)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원(0)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무단 침입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싱부(30)는 기 설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알람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알람 정보에는 무단 침입이 발생되었다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정상적인 사용자가 실내(90)에 입장하였으나, 상기 제스처를 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해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해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센싱부(30)는 정상 모드로 전환된다.
정상적인 사용자가 외부에 있고,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인이 상기 실내(90)에 입장한 경우,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가 상기 외부인이 상기 실내(90)에 입장한 사실을 알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는 상기 해제 정보를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정보를 수신한 정상적인 사용자가 상기 외부인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는 상기 센싱부(30)를 통해 감시 카메라(70)를 동작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70)를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외부인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는 상기 해제 정보를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할 수 잇다.
상기 감시 카메라(70)를 통해 확인한 결과, 무단 침입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는 경찰서 등에 무단 침입을 신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상적인 사용자는 경보 신호를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한 상기 센싱부(30)는 싸이렌 소리 등을 상기 센싱부(30)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단 침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되거나, 상기 해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EPIC 센서(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한다.
넷째,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EPIC 센서(10)를 통해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한다.
다섯째,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206).
예를 들어,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에 의해 그려지는 시계방향으로의 원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 즉, 텔레비젼을 턴온시키도록 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턴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에 의해 그려지는 좌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직선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팔에 의해 그려지는 우에서 좌측방향으로의 직선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에 의해 그려지는 하에서 상방향으로의 직선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채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팔에 의해 그려지는 상에서 하방향으로의 직선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채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는, 상향 이동, 하향 이동, 시계방향 회전, 시계반대방향 회전, 대각선 상향 이동, 대각선 하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은 볼륨 제어 동작, 채널 제어 동작, 파워온 제어 동작, 파워오프 제어 동작, 밝기 제어 동작, 메뉴 이동 동작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스처의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도 있다(S208).
예를 들어,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에 의해 그려지는 하에서 상방향으로의 직선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팔이 이동하는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지 아니면 늦은지, 또는 기 설정된 복수의 속도들 중 어느 것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속도가 두 가지 경우, 즉, 빠른 경우와 늦은 경우로 설정되어 있고, 판단 결과, 속도가 빠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현재의 채널을, 현재의 채널보다 큰 채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채널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속도가 느린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현재의 채널보다 큰 채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들로 설정되어 있는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섯째, 사용자의 제스처가 센싱되었으나,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부(30)는 음성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스처를 다시 한번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210).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장치(5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센싱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장치(50)가 텔레비젼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제스처의 재수행을 음성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싱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동작이 상기 센싱부(30)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제스처가 상기 센싱부(30)에서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자신의 제스처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제어부(40)는 사용자에게 이전의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은 제스처보다 더 큰 동작의 제스처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스처에 대응되는 신호 파형의 크기를 더 크게 감지하여 신호 파형의 유형을 보다 더 잘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인식 및 동작을 하고 사용자의 제어 의도를 명확히 파악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가 상기 제1 전자장치(60)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제2 전자장치(60)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②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센싱부(30)와 연결된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 제2 전자장치(60)로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장치(60)가 조명인 경우,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는 상기 제2 전자장치(60), 즉, 상기 조명을 턴온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장치(60)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②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센싱부(30)는 이후에 감지되는 제스처가 상기 제2 전자장치(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라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30)는 이후에 감지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2 전자장치(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로 전송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를 위한 제스처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S212).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어장치(50)의 상기 제어부(40)는 새로운 제스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제1 제어장치(5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제스처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사용자의 새로운 제스처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새로운 제스처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어장치(50)를 턴오프시키는 제스처를 X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X 제스처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턴오프시키는 동작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하면,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새로운 제스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단계 이후, 상기 센싱부(30)가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 예를 들어 X인 경우,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새로운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턴오프시키도록 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 즉, 상기 제1 전자장치(50)를 턴오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EPIC 센서(1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센서들과 비교할 때,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각종 전자장치들을 하나의 센싱부(3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제스처를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욱 친숙한 방법으로 각종 전자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 적용된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으로도 응용이 가능하여 각종 전자제품에 제스처 인식 동작 장치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30: 센싱부
40, 61: 제어부 50: 제1 전자장치
60: 제2 전자장치 70: 감시 카메라
80: 스피커 90: 실내

Claims (10)

  1. EPIC 센서(110)가 구비된 센싱부(3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움직임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부(30)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기 설정된 제스처가 센싱된 후, 상기 센싱부(30)가 제1 전자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30)가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30)가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는, 상향 이동, 하향 이동, 시계방향 회전, 시계반대방향 회전, 대각선 상향 이동, 대각선 하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은 볼륨 제어 동작, 채널 제어 동작, 파워온 제어 동작, 파워오프 제어 동작, 밝기 제어 동작, 메뉴 이동 동작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어 있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30)와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파악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부(30)가 음성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스처를 다시 한번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장치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센싱부(30)가 센싱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제스처의 이동 속도 또는 회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가 상기 제1 전자장치(60)과 독립적으로 구성된 제2 전자장치(60)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센싱부(30)가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전자장치(60)의 제어부(61)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40)가 새로운 제스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센싱부(30)로부터 사용자의 새로운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싱부(30)로 전송하며, 상기 센싱부(30)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단계 이후, 상기 센싱부(30)가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인 경우, 상기 센싱부(30)가 상기 새로운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스처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전자장치(50)의 제어부(4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스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파악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파악되지 않은 제스처보다 더 큰 동작의 제스처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10. 제 1 항에 따른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이 적용된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KR1020180169017A 2018-12-26 2018-12-26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KR20200079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017A KR20200079654A (ko) 2018-12-26 2018-12-26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017A KR20200079654A (ko) 2018-12-26 2018-12-26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54A true KR20200079654A (ko) 2020-07-06

Family

ID=7157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017A KR20200079654A (ko) 2018-12-26 2018-12-26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6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22A (ko) 2017-04-28 2018-11-07 울산과학기술원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22A (ko) 2017-04-28 2018-11-07 울산과학기술원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372B1 (en)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CN104832446A (zh) 控制风扇方法及装置
US1012135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ocation based awareness of life safety sensors
KR20170004225A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CN104137045A (zh) 用户手势识别
KR101697546B1 (ko)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US10748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CN105469003B (zh) 屏幕保护方法及装置
CN105405249A (zh) 防碰撞方法、装置、测距传感器及终端
WO2016095641A1 (zh) 数据交互方法及系统、移动终端
CN105279897A (zh) 车辆报警方法及装置
KR20160129443A (ko) 사람과 동물의 식별이 가능한 지능형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101650423B1 (ko) 센서 통합 관리에 의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US11537275B2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KR20160053149A (ko) 유무선 듀얼 감지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CN10785136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79654A (ko) 전위집적회로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CN108206881A (zh) 移动终端提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60230446A1 (en) Garage Door Status Indicator System
US20170277888A1 (en) Security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KR20030078410A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200287682Y1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JP6070154B2 (ja) センサ装置及び通信装置システム
KR20170081858A (ko) 음원 위치 판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46421A (ko)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모션 센서 감지 신호 전송 시스템 및 신호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