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631A -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 Google Patents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631A
KR20200079631A KR1020180168968A KR20180168968A KR20200079631A KR 20200079631 A KR20200079631 A KR 20200079631A KR 1020180168968 A KR1020180168968 A KR 1020180168968A KR 20180168968 A KR20180168968 A KR 20180168968A KR 20200079631 A KR20200079631 A KR 2020007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pedestrian
piezoelectric elements
foot pressure
pressur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휴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휴먼텍
Priority to KR102018016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631A/ko
Publication of KR2020007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01L41/0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H10N30/7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nderlying bases, e.g.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은,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충격 흡수부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되는 감지부, 감지부와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 및 감지부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Insole for measuring pedestrian foot pressure information and Sho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직립 보행을 한 이래로 인간의 걸음 걸이의 형태는 건강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측정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걸음 걸이의 형태를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족압분석장치(족저경 : Podoscope)는 압력 분포를 알아볼 수 있는 장치로서, 조명이 일측면에 부착된 투명 유리 위에 발을 올려 놓으면 바닥에 부착된 거울을 통해 발의 무게 중심과 압력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바닥에서 밝게 보이는 부분은 압력이 높은 경우로, 바닥의 거울에 비친 발바닥 압력으로부터 정상, 요족, 평발, 선상족, 첨족, 외반모지발 등 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최근들어, 발바닥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다양한 족압분석장치가 제안되고 있지만, 보행자의 걸음 패턴, 발의 모양, 신발의 종류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정확하게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보행자의 걸음 패턴, 발의 모양, 신발의 종류에 무관하게 정밀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족압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9875호(2014년01월23일)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5962호(2012년08월02일) 특허문헌 3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0759호(공고일 : 2018년06월25일)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걸음 패턴, 발의 모양, 신발 종류 등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사용자가 보행중인 경우에 족압 분포 패턴을 쉽게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족압 분포 패턴과 기 정해진 분포 패턴과의 실시간 비교를 통해서 분포패턴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그 결과를 원격 서버에 저장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은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상기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감지부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면이 상기 신발명의 내부 밑부분과 접착력이 증가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기 결정된 직경을 갖는 복수의 돌기가 기 결정된 간격으로 코팅된다.
한편, 상기 유연 기판은,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이 인쇄 방식으로 미리 인쇄되어 있는 유연한 재질의 기판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전방에 위치하는 4개의 전방 압전 소자, 중간에 위치하는 1개의 중앙 압전 소자 및 후방에 위치하는 4개의 후방 압전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전방 압전 소자는 발가락 및 발바닥의 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4개의 후방 압전 소자는 발바닥의 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1개의 중앙 압전 소자는 발바닥의 중앙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3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을 이용한 신발은,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상기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감지부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족압 분포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걸음 패턴, 발의 모양, 신발 종류 등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사용자가 보행중인 경우에 족압 분포 패턴을 쉽게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족압 분포 패턴과 기 정해진 분포 패턴과의 실시간 비교를 통해서 분포패턴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스스로 개선함으로써 걸음걸이 패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대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솔에 의해서 보행자의 족압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결과에 따라 이상 징후를 분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을 이용하는 신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일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 실시예가 도출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100)은 표면에 복수의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 시에 족압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자의 보행 패턴, 발의 형태, 신발의 형태에 상관없이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대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100)은 베이스부(110), 충격 흡수부(120), 감지부(130), 신호 처리부(140) 및 커버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베이스부(110)는 하부면이 상기 신발명의 내부 밑부분과 접착력이 증가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기 결정된 직경을 갖는 복수의 돌기가 기 결정된 간격으로 코팅되어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부(120)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충격 흡수부(120)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연 기판은 복수의 압전 소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복수의 압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이 인쇄 방식으로 미리 인쇄되어 있으며, 유연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감지부(130)와 충격 흡수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커버부(150)는 감지부(140)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합성 소재이다. 커버부(150)는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복수의 압전 소자(141 내지 143)는, 전방에 위치하는 4개의 전방 압전 소자(141), 중간에 위치하는 1개의 중앙 압전 소자(142) 및 후방에 위치하는 4개의 후방 압전 소자(143)로 구성된다.
4개의 전방 압전 소자(141)는 발가락 및 발바닥의 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고, 1개의 중앙 압전 소자(142)는 발바닥의 중앙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3 압력을 측정하며, 4개의 후방 압전 소자(143)는 발바닥의 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한다. 복수의 압전 소자에 의해서 측정된 압력값은 신호처리부(14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솔에 의해서 보행자의 족압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인솔(100)에 구비된 복수의 압전 소자에 의해서 복수의 지점에 대한 족압이 측정된다((a) 압력 측정). 측정된 압력은 위치 정보 맵에 의해서 기 맵핑된 위치 정보에 매칭처리된다((b) 위치 맵핑). 위치 맵핑된 값에 대해서 기 정의된 맵에 필터링을 통해서 마스킹을 한다((c) 마스킹). 마스킹 처리된 이후에 압력값의 정도에 따라 표현 방식을 달리하여 압력 등고선 분포도를 시각화한다((d) 컬러 맵핑). 컬러 맵핑된 값 중에서 질량 중심 값을 산출하여 질량 중심에 기초하여 압력 중심을 추출하여 시각화한다((e) 압력 중심 추출).
도 5는 도 4의 결과에 따라 이상 징후를 분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일반적인 상태의 질량 중심 분포 변화를 도시하면 왼발과 오른발 방향만 다를 뿐이고, S자 커브를 그린다(도 5(a) 참조). 만약 질량 중심 분포 시각화 결과가 왼쪽 발과 오른 쪽 발이 대칭 분석을 통해서 대비했을 때 비대칭일 경우에는 양발 불균형 상태의 이상 징후로 판단한다(도 5(b) 참조). 또는 질량 중심 분포가 정상적인 질량 중심 분포보다 발뒷꿈치 부분에 집중할 경우에 예를 들어 제2 압력값의 밀도값이 주축을 이루는 경우에는 척추 후만증을 의심할 수 있는 이상 징후로 판단한다(도 5(c) 참조). 또는 질량 중심 분포가 양 발이 불규칙적이고, 발뒷꿈치 부분에 집중할 경우에 예를 들어 제2 압력값의 밀도값이 주축을 전체 족압 분포에 주축을 이루고, 왼발과 오른발의 값이 비대칭적일 경우에는 팔자걸음의 이상 징후로 판단한다(도 5(d)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을 이용하는 신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인솔(100)은 신발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인솔(100)이 장착된 신발을 신고 걸을 경우에 족압이 인솔(100)에 의해서 감지된다. 감지된 값이 센싱값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200)는 미리 정해진 맵핑 방식에 따라 센싱값을 기 결정된 주기로 맵핑시킨다. 사용자 단말(200)는 전체 족압을 분석하되, 질량 중심 흐름 분석을 시행한다. 질량 중심 흐름 분석의 결과에 따라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인솔(100)에 알람값을 전달한다. 인솔(100)은 알람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사운드, 기타의 방식으로 보행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인솔
110 : 베이스부
120 : 충격흡수부
130 : 감지부
140 : 신호처리부
150 : 커버부
200 : 사용자 단말

Claims (5)

  1.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에 있어서,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상기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감지부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면이 상기 신발명의 내부 밑부분과 접착력이 증가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기 결정된 직경을 갖는 복수의 돌기가 기 결정된 간격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기판은,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이 인쇄 방식으로 미리 인쇄되어 있는 유연한 재질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전방에 위치하는 4개의 전방 압전 소자, 중간에 위치하는 1개의 중앙 압전 소자 및 후방에 위치하는 4개의 후방 압전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전방 압전 소자는 발가락 및 발바닥의 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4개의 후방 압전 소자는 발바닥의 후방 접촉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1개의 중앙 압전 소자는 발바닥의 중앙면에 의해서 가해지는 제3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5. 신발의 내부 밑부분과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상기 충격 흡수부 상에 위치하고, 유연 기판과 상기 유연 기판 상에 미리 인쇄된 위치에 배치되고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로 구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감지부의 상부에 기 결정된 두께로 코팅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족압 분포를 측정하는 신발.
KR1020180168968A 2018-12-26 2018-12-26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20200079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68A KR20200079631A (ko) 2018-12-26 2018-12-26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68A KR20200079631A (ko) 2018-12-26 2018-12-26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31A true KR20200079631A (ko) 2020-07-06

Family

ID=7157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968A KR20200079631A (ko) 2018-12-26 2018-12-26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6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89A (ko) * 2021-02-09 2022-08-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인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962A (ko)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무게감지저항센서를 적용한 지능형 보행훈련시스템 및 보행패턴 분석 방법
KR20140009875A (ko)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학산 족압 분석 및 인솔용 패드 선정 시스템
KR101870759B1 (ko) 2016-04-12 2018-06-25 울산과학기술원 족압 분포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 보정용 깔창의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962A (ko)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무게감지저항센서를 적용한 지능형 보행훈련시스템 및 보행패턴 분석 방법
KR20140009875A (ko)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학산 족압 분석 및 인솔용 패드 선정 시스템
KR101870759B1 (ko) 2016-04-12 2018-06-25 울산과학기술원 족압 분포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 보정용 깔창의 제작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89A (ko) * 2021-02-09 2022-08-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08B1 (ko) 모든 밑창에 통합 가능한 소형 전자 박스
US6836744B1 (en) Portable system for analyzing human gait
US5929332A (en) Sensor shoe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oot
US10024660B2 (en) Method to determin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round
Bamberg et al. Gait analysis using a shoe-integrated wireless sensor system
US20210145318A1 (en) System for detecting a gait disorder of a user and associated methods
US6807869B2 (en) Shoe based force sensor and equipment for use with the same
EP2729067A1 (en) Detection of a force on a foot or footwear
CA3022913C (en) Instrumented orthotic
US20030009308A1 (en) Instrumented insole
US200801331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Displacement Signals
US20160349076A1 (en) Nanopedometer
US10533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JP6644298B2 (ja) 歩行データ取得装置および歩行データ取得システム
CN110495890A (zh) 检测方法、检测装置以及检测系统
EP2757950A1 (en) Stretch sensor device
JP6761549B2 (ja) 速度を使用する足存在信号処理
KR20170019984A (ko) 걸음유형분석장치 및 걸음유형분석방법
Chandel et al. Pi-sole: A low-cost solution for gait monitoring using off-the-shelf piezoelectric sensors and imu
JPH0614803A (ja) 運動情報を収集する運動靴
KR20200079631A (ko)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2214513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인솔 시스템
KR20210156540A (ko) 인솔을 이용한 보행 패턴 분석 시스템
KR102177647B1 (ko) 개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보행패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251104B1 (ko) 착용형 보행 분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