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942A -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942A
KR20200078942A KR1020180168319A KR20180168319A KR20200078942A KR 20200078942 A KR20200078942 A KR 20200078942A KR 1020180168319 A KR1020180168319 A KR 1020180168319A KR 20180168319 A KR20180168319 A KR 20180168319A KR 20200078942 A KR20200078942 A KR 2020007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ding
source code
user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216B1 (ko
Inventor
류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름
Priority to KR102018016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를 온라인에서 선택하여 편리하게 수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진도와 사용자의 수업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웹 브라우저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강하는 내용에 대한 코딩 실습이 가능하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E CODING AND PROGRAMING EDUCATION CONTENTS PLATFORM}
본 발명은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것으로, 동영상과 스크립트 및 실습창을 제공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손 쉽게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를 접하고, 실습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 방법론적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가르침이라는 핵심적인 요소는 절대적 맥락으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컨텐츠 개발 솔루션의 발전은 온라인 형태의 강의를 인터넷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 방법론적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프로그래밍을 위한 코딩의 경우에도 다수의 온라인 강의 서비스가 존재하고 있으나, 직접적인 실습을 위해서는, 학원이나 학교 등의 프로그램이 구비된 공간에 방문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라이선스를 보유하거나, 임시로 체험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여 일시적이고 제한적인 실습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를 온라인에서 선택하여 편리하게 수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진도와 사용자의 수업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웹 브라우저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강하는 내용에 대한 코딩 실습이 가능하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은 (a)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수업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며,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수업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수업에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5 영역에 대한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수업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및 상기 제 4 영역에 입력된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제 5 영역에 결과값 및 오류 내용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교육에 대한 동영상이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강의를 손쉽게 수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플랫폼 내에서 실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폼 내에서 작성한 소스 코드를 공유하여, 다른 커뮤니티나 플랫폼 사용자 이외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거나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빠른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 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의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의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의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의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연결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제공하고,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된 수업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스코드를 제공받아, 이에 대한 결과 값이나 오류 값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결과 값이나 오류 값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특정 강의를 수강하면서, 실습으로 제공된 소스 코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소스 코드를 서버(100)로 제공하고, 서버(100)는 이를 컴파일 하여, 컴파일 한 결과 값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310),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320), 영상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330),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340)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제 1 내지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제 1 영역 및 제 3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및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분에 불과 할 뿐이며, 단일 영역 또는, 다른 구성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분된 제 1 내 지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제 4 영역(24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 코드를 삭제할 수 있는 초기화 버튼,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 및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할 수 있는 실행버튼을 포함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되, 메뉴 영역은, 강의 수업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강 완료 여부에 대한 체크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소스 코드 가이드 정보(360)를 제공하되, 가이드 정보(360)는, 언어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표기 및 각 소스 코드 라인에 주석을 표기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영역(310)은 수업 정보를 표기하여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제 2 영역(3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수업에 대한 동영상 강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330)은 제 2 영역(32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의 내용(즉, 스크립트)을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영역(340)은, 사용자가 해당 수업의 내용을 실습해 볼 수 있도록 소스 코드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5 영역(350)은, 제 4 영역(340)에 사용자가 입력하여 완성한 소스 코드에 대한 컴파일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정보(360)는, 다양한 형태의 강조 표시(예를 들어, 반짝임 효과, 색상, 글꼴, 글자 크기 등) 및 특정 문구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시선을 끄는 가이드 정보(360)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4 영역(340)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코드로 구성된 소스코드 세트가 미완성된 형태로 미리 제공되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을 할 것을 요구하는 가이드 정보(360)가 강조표시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고, 미완성된 소스코드 세트는 중간 소스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영역(340)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입력을 통한 실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미완성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 위치 또는 영역에 대한 가이드 정보(36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정보(3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정보(360)는 반짝임 효과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이드 정보(360)에 대한 예시도 이다.
또한, 가이드 정보(360)는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보다 하단에 배치되는 공백영역에 상기 가이드 정보가 강조 표시되어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소스 코드 입력 시 다음 입력해야 할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제 4 영역(340)에 소스 코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실행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컴파일 결과에 대한 확인을 위해 상기 제 5 영역(350)을 강조하는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 5 영역(350)에는 제 4 영역(340)에서 입력된 소스 코드에 대해 자동 채점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자기주도 학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채점은 결과 값의 일치도(EX. 유닛테스트 함수 만족 여부, 스페셜 펑션 만족 여부 등), 소스코드 문자열의 일치도, 실행시간, 과거 정답률, 시간 복잡도, 코드의 글자수/라인수 등을 기준으로 하여 채점할 수 있으며, 채점 기준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360)는 화살표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형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결과 확인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36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가 제공되는 경우, 제 4 영역(340) 내 사용자에 의해 소스 코드가 기입된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URL 정보를 복사하고 URL에 대한 단축 URL을 제공하며, 단축 URL을 통해 상기 제 4 영역(340) 내 기입된 소스 코드를 공유할 수 있다.
제 4 영역(340)에 대한 페이지를 공유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습을 진행 함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나, 궁금한 점에 대해서 다른 커뮤니티 및 다른 사용자에게 질의하거나 도움을 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질의 응답 시, 사용자 간, 공유 기능을 통해 실시간 협업을 통한 튜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닌 강의자 또는 타 사용자에게도 공유가 가능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강의자가 사용자의 소스 코드를 확인하며, 이를 수정, 보완 하거나 추가적인 설명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제 1 내지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영역(310)에 수업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메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 1 영역(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업을 수강하는 경우, 목록 리스트 내 각 항목의 좌측에 체크표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수업 진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제 1 영역 및 제 3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4 영역(240)은, 사용자의 클릭 또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을 신호를 인식하여 코드를 입력 받는 스크래치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의 수업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스 코드가 표기되어 있는 소스 코드 영역을 포함하되, 소스 코드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스 코드의 실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에서 제공된 제 4 내지 제 5 영역과 달리,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서는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영역 내에 수업정보에 따라 간단한 소스코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소스코드가 표시된 영역에 텍스트나 숫자를 사용자가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실행결과가 노출 될 수 있다.
즉, 단순한 변경을 통해 실습하는 내용의 경우,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에서와 같은 긴 소스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서와 같이 간단히 제 3 영역(330) 내에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며, 사용자 요청에 의해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10).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강의 리스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강의에 대한 이미지, 강의의 제목, 강의 수강 비용, 강의 제공자 및 수강자의 강의 평가 점수에 대한 정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20).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된 수업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메인 카테고리에 대한 리스트 및 어느 하나의 메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것이고, 서브 카테고리에 대해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 날짜, 수강 완료여부에 대한 체크정보가 서브 카테고리 리스트에 표기되며, 수강한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진행도가 메인 카테고리 리스트에 표기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에 대한 계산은, 소스코드 입력 신호, 상기 실행 버튼 입력 신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 코드의 내용, 입력 신호의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된 수업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330).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며,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310),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320), 영상 정보 또는 수업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330),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340)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선택된 수업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5 영역에 대한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4 영역(34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 코드를 삭제할 수 있는 초기화 버튼,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 및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할 수 있는 실행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제 1 내지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제 1 영역 및 제 3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및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가 제공되는 경우, 소스 코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되, 가이드 정보(360)는, 언어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표기 및 각 소스 코드 라인에 주석을 표기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4 영역(340)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코드로 구성된 소스코드 세트가 미완성된 형태로 미리 제공되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을 할 것을 요구하는 가이드 정보(360)가 강조표시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고, 미완성된 소스코드 세트는 중간 소스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 4 영역(340)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보다 하단에 배치되는 공백영역에 가이드 정보(360)가 강조 표시되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소스 코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실행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컴파일 결과에 대한 확인을 위해 제 5 영역(350)을 강조하는 가이드 정보(360)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가 제공되는 경우, 제 4 영역(340) 내 사용자에 의해 소스 코드가 기입된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URL 정보를 복사하고 URL에 대한 단축 URL을 제공하며, 단축 URL을 통해 제 4 영역(340) 내 기입된 소스 코드를 공유할 수 있는 버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30)가 제공되는 경우, 제 4 영역(340)은, 사용자의 클릭 또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을 신호를 인식하여 코드를 입력 받는 스크래치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가 제공되는 경우,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의 수업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스 코드가 표기되어 있는 소스 코드 영역을 포함하되, 소스 코드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스 코드의 실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제공 플랫폼은 유닛테스트, GUI테스트, 웹 문제 등 현존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형태를 모두 별도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 없이 실행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5 영역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면에 표기된 각 영역의 크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 일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되, 메뉴 영역은, 강의 수업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강 완료 여부에 대한 체크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제 4 영역(330)에 제공되는 소스 코드 입력을 통한 학습 내용은, 블록을 통한 코딩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치 및 엔트리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블록을 코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강의 화면에서 자기 진도 학습 현황에 관한 그래프를 UI 상에서 보여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강의내용에 대한 PASS/FAIL여부와 해당 강의 접속시간, 프로그래밍 과제 제출시간까지의 총 소요시간, 해당 강의 페이지의 전환수, 과제 총 제출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본인의 것과 타 사용자 것을 대비한 그래프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은 클라우드 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는 물리적인 컴퓨터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로그인만 하면 IDE를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 협업을 위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에서는, 협업 기능을 통해, 코딩에 대한 빠른 피드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IDE는 접근 권한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클라우드 IDE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는 수준 높은 교육 서비스에 대한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 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스템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210: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220: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230: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240: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0: 제 1 영역 320: 제 2 영역
330: 제 3 영역 340: 제 4 영역
350: 제 5 영역 360: 가이드 정보

Claims (17)

  1.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수업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며,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수업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수업에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5 영역에 대한 구성이 달라지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강의 리스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강의에 대한 이미지, 강의의 제목, 강의 수강 비용, 강의 제공자 및 수강자의 강의 평가 점수에 대한 정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수업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메인 카테고리에 대한 리스트 및 어느 하나의 메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 대해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 날짜, 수강 완료여부에 대한 체크정보가 서브 카테고리 리스트에 표기되며, 수강한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진행도가 메인 카테고리 리스트에 표기 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에 대한 계산은,
    상기 소스코드 입력 신호, 상기 실행 버튼 입력 신호,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 코드의 내용, 입력 신호의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계산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스 코드를 삭제할 수 있는 초기화 버튼, 상기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 및 상기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할 수 있는 실행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 1 내지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 1 영역 및 제 3 내지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소스 코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가이드 정보는,
    언어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표기 및 각 소스 코드 라인에 주석을 표기하여 제공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코드로 구성된 소스코드 세트가 미완성된 형태로 미리 제공되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을 할 것을 요구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가 강조표시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미완성된 소스코드 세트는 중간 소스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영역에,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문자나 숫자 및 명령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위치보다 하단에 배치되는 공백영역에 상기 가이드 정보가 강조 표시되어 생성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스 코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실행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컴파일 결과에 대한 확인을 위해 상기 제 5 영역을 강조하는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 4 영역 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스 코드가 기입된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URL 정보를 복사하고 상기 URL에 대한 단축 URL을 제공하며,
    상기 단축 URL을 통해 상기 제 4 영역 내 기입된 소스 코드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 4 영역은,
    사용자의 클릭 또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을 신호를 인식하여 코드를 입력 받는 스크래치 플랫폼으로 구성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수업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스 코드가 표기되어 있는 소스 코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소스 코드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의 실행결과를 제공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5 영역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메뉴 영역은,
    상기 강의 수업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상기 수강 완료 여부에 대한 체크정보가 제공되는 것인,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16. 수행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수강 가능한 강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강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강의의 수업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수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수업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된 수업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며, 수업 정보를 표기하는 제 1 영역,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역,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수업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제 3 영역, 소스코드 입력이 가능한 제 4 영역 및 실행 결과 확인 가능한 제 5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수업에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5 영역에 대한 구성이 달라지는 것인, 단말; 및
    상기 제 4 영역에 입력된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제 5 영역에 결과값 및 오류 내용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 항에 따르는,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168319A 2018-12-24 2018-12-24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20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319A KR102206216B1 (ko) 2018-12-24 2018-12-24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319A KR102206216B1 (ko) 2018-12-24 2018-12-24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42A true KR20200078942A (ko) 2020-07-02
KR102206216B1 KR102206216B1 (ko) 2021-01-22

Family

ID=7159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319A KR102206216B1 (ko) 2018-12-24 2018-12-24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081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팔칠구삼 아두이노의 코딩 교육 시스템
KR20220068075A (ko) 2020-11-18 2022-05-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1809A (ko) 2021-10-29 2023-05-09 김준석 사용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챗봇 기반의 코딩 테스트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135B1 (ko) 2023-08-14 2024-01-11 주식회사 루트시스템즈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비대면 프로그래밍 교육 자동화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802A (ko) * 2004-05-06 2004-06-23 (주)와이즈그램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100760961B1 (ko) * 2006-04-06 2007-09-21 이기원 인터넷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KR101333526B1 (ko) 2012-04-30 2013-11-28 강현웅 프로그래밍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80051925A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코드잇 교육 서버
KR101908939B1 (ko) * 2017-08-03 2018-10-17 노상민 코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80134281A (ko) * 2017-05-31 2018-12-18 (주)미래융합정보기술 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802A (ko) * 2004-05-06 2004-06-23 (주)와이즈그램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100760961B1 (ko) * 2006-04-06 2007-09-21 이기원 인터넷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KR101333526B1 (ko) 2012-04-30 2013-11-28 강현웅 프로그래밍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80051925A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코드잇 교육 서버
KR20180134281A (ko) * 2017-05-31 2018-12-18 (주)미래융합정보기술 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08939B1 (ko) * 2017-08-03 2018-10-17 노상민 코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081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팔칠구삼 아두이노의 코딩 교육 시스템
KR20220068075A (ko) 2020-11-18 2022-05-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1809A (ko) 2021-10-29 2023-05-09 김준석 사용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챗봇 기반의 코딩 테스트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16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216B1 (ko) 코딩 및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플랫폼 제공 방법
US8751408B2 (en) Manage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and user portfolios
Nash et al.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US11568506B2 (en) System of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device training and creating, updating, and disseminating micro-learning simulations
Zhou et al. A collaborative and open solution for large‐scale online learning
Batanero et al. Accessible platforms for e‐learning: A case study
Clark Building Mobile Library Applications:(THE TECH SET®# 12)
Ortega García et al. Using App Inventor for creating apps to support m‐learning experiences: A case study
Gharaat et al. ALBA: a model-driven framework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of android location-based apps
Semertzidis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to enhance higher education lectures
KR102201619B1 (ko) 게임형 온라인 코딩 교육 제공 방법
KR20150123013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Kingsley et al. Enhancing E-learning using smart mobile english learning tool (SMELT)
Domenach et al. PASS—A programming assignment submission system
Lutes Cross-platform mobile app software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Byrne et al. Tools with Histories: Exploring NFC-Tagging to Support Hybrid Documentation Practices and Knowledge Discovery in Makerspaces
Bucchiarone et al. Towards Personalized Learning Paths to Empower Competence Development in Model Driven Engineering Through the ENCORE Platform
Goswami et al. Introduction of two new programming tools in Bengali and measurement of their reception among high-school students in Purba Bardhaman, India with the prototypic inclusion of a vector-biology module
Ellul Can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and Data be Used to Underpin a Self‐Paced Tutorial on Spatial Databases?
Moore et al. Guide to developing open textbooks
Marco et al. Accessibility review for web-based learning tools and materials
Xu et al. Evaluating the User Experience
Garg et al. Online Learning App for Lido Learning using React Native
Gamboa et al. Developing contents for t-learning—MADCE-TVD
Simiyu A mobile application for linking talented users to opportunity providers and digitally showcasing talents in the media and entertainment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