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298A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8298A KR20200078298A KR1020190078374A KR20190078374A KR20200078298A KR 20200078298 A KR20200078298 A KR 20200078298A KR 1020190078374 A KR1020190078374 A KR 1020190078374A KR 20190078374 A KR20190078374 A KR 20190078374A KR 20200078298 A KR20200078298 A KR 202000782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arizing plate
- polarizer
- light
- transmitting substrate
- hard co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스위칭 효과에 의한 편광을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컴퓨터, 노트북, 전자 시계, 휴대용 단말기 등의 중소형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대형 T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용으로 양산 실용화되고 있는 편광판의 상당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고, 붕소 화합물로 가교시킨 후, 연신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편광자)의 양면 혹은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보호필름을 접합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고온 고습과 같은 내구 조건(durability condition)하에서 수축 변형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편광자가 변형되면, 그 응력이 보호필름 및 액정 셀에 영향을 주어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물성 변화, 액정표시장치에서의 빛샘 현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세부 구성층 열수축율 등이 조절되며 양호한 휨 밸런스(balance)를 가지면서 안정된 내부 구조를 구현하여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각각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특정 범위인,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인 편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편광판이 액정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메트)아크릴[(meth)acryl]은 아크릴(acryl) 및 메타크릴(methacryl)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중공 구조의 무기 나노입자라 함은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의 입자를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체는 공중합체(co-polymer) 및 단독 중합체(homo-polymer)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인,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많이 사용중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은 내수성이 약하여 고온/고습 환경에서 뒤틀릴 수 있고 빛샘 등의 불량을 유발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에서는 상술한 특성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함에 따라서 고온 고습 조건에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물성이나 형태에 큰 변화가 없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R)이 0.8 내지 1.2, 또는 0.85 내지 1.1를 만족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편광판은 제조 과정에서 60℃ 이상의 온도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세부 층간의 열수축율 또는 열수축 변형율 등이 조절되고 편광판의 휨 밸런스(balance)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편광판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율(R)은 아래의 일반식1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식1]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R)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및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각각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각각의 최초 길이와 80℃ 내지 120℃의 온도에 80 내지 120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길이값의 차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최초 길이와 100℃의 온도에 96시간 노출 이후 측정된 길이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및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각각은 하기 일반식2 및 일반식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식2]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의 최초 길이 - 80℃ 내지 120℃의 온도에 80 내지 120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측정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 길이
[일반식3]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의 최초 길이 - 80℃ 내지 120℃의 온도에 80 내지 120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 길이
상기 광학 적층체는 80℃ 내외의 온도 구간,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의 범위의 온도 구간에서 변형이 제일 크게 나타날 수 있는데,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광투과성 기재를 구비하고 다른 일면에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을 구비함에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 또는 0.85 내지 1.1를 만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광투과성 기재가 고분자 필름인 경우, 예를 들어 TAC, PET, 아크릴수지,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OP),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인 경우, 80℃ 내외의 온도 구간에서 승온에 따른 변화나 열수축 변형값이 그 이전의 온도 구간에 비하여 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는데, 상기 편광판은 80℃ 내지 120℃의 온도에 80 내지 120시간 노출 이후에 확인되는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일 수 있어서, 열변형 또는 열수축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전에 달려진 다른 구조의 편광판에서 달성하기 어려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보다 얇은 두께를 구현하면서도 세부 층간의 열수축율 및 열수축력 등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견고한 내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전에 알려진 편광판들은 편광자를 중심으로 양쪽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을 위치하는 구조를 가졌는데 반하여,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은 한쪽에 상술한 특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가 위치하고 다른 한쪽에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이 위치하여 PVA필름쪽으로의 수분전달을 차단할 수 있고, 편광필름의 전체 두께를 낮출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MD 방향 (Machine Direction)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TD방향(Transverse Direction)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너무 작거나 큰 경우, 고온 고습에서의 응력전달이 불균일하게 발생하여 세부층간의 밀착력이 하락하고, 편광자와 광학적층체 사이가 들뜨거나, 편광판에 크랙이 발생하고, 액정 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이 나타나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300nm 이상의 파장에서 투과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100)의 일 예를 도1에 나타내었다. 도1에 도시된 편광판(100)은 편광자(20)와 상기 편광자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30) 및 광투과성 기재(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파장 400㎚ 내지 800㎚에서 측정되는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이 3,000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리타데이션을 3,000nm 이상, 4,000 내지 15,000nm, 또는 5,000 내지 10,000nm으로 제어함으로서 상쇄 간섭으로 인한 레인보우 현상이 억제되고,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에 준하게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타데이션은 광투과성 기재의 면 내에서 가장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 d(단위: nm)를,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한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Re = (nx-ny) * d
또한, 이러한 리타데이션은 예를 들어 자동 복굴절계(KOBRA-WR, 측정각: 0°, 측정파장: 548.2nm)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리타데이션은 다음 방법에서도 구할 수 있다. 우선 2매의 편광판을 이용하여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배향축 방향으로 구비하고, 배향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두 개의 축 굴절률(nx, ny)을 Abbe식 굴절률계(NAR-4T)에 의해 구한다. 이때,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를 예를 들어 전기 마이크로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앞서 얻은 굴절률을 이용해 굴절률 차이(nx-ny)(이하, nx-ny를 Δn 라 한다)를 산출하고, 이 굴절률 차이(Δn)와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 d(nm)와의 곱에 의해 리타데이션을 구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리타데이션이 3000 nm 이상이므로, 굴절률 차이(Δn)는 0.05 이상, 0.05 내지 0.20, 또는 0.08 내지 0.13일 수 있다. 상기 굴절률 차이(Δn)가 0.05 미만이면 상술한 리타데이션 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한편, 굴절률 차이(Δn)가 0.20을 초과하면, 연신 배율을 과도하게 높일 필요가 발생하므로, 상기 광투과성 기재가 찢어지고 파괴되기 쉬어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고, 내습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에서의 굴절률 (nx)은 1.60 내지 1.80 또는 1.65 내지 1.75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가지는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에서의 굴절률(ny)은 1.50 내지 1.70, 또는 1.55 내지 1.65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로는 내수성이 우수하여 빛샘 현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거의 없고,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파장 400㎚ 내지 800㎚에서 측정되는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이 3,000 ㎚ 이상이면서 낮은 수분투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40˚C, 습도100% 조건에서 24시간 동안의 수분 투과량을 측정하였을 때, 수분 투과량이 100 g/㎡ 이하, 또는 10 내지 100 g/㎡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내지 150㎛, 20 내지 120㎛, 또는 3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보다 지나치게 얇아 휨이 발생하고, 광투과성 기재의 유연성이 떨어져 공정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가 과다하게 두꺼워지면 광투과성 기재의 투과율이 감소하여 광학 물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박막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편광판의 내부 구조가 보다 견고해지고 고온 조건에 노출되어도 휨이 발생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 대비 하드 코팅층의 두께의 비율이 0.02 내지 0.25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가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 대비 너무 적정 범위를 갖지 못하면, 편광판에 휨이 발생할 수 있고, 광투과성 기재의 유연성이 떨어져 공정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은 이전에 알려진 다른 편광판 구조에 비하여 보다 얇은 두께를 통해서도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열에 의해서 내구 구조나 물성이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자; 상기 하드 코팅층; 및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합한 두께가 200 ㎛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는 40 ㎛ 이하, 또는 1 내지 4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10um이하, 또는 1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150 ㎛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드 코팅층은 구체적인 조성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하드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되고, 0.5㎛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1 ㎚ 내지 500 ㎚의 입경을 갖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등의 광이 조사되면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예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군;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폭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필 트리아키를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나, 에폭시기, 지환식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에폭시기 또는 옥세탄기를 포함하는 에폭시기를 포함한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상술한 광경화성 수지와 함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g/mol 이상인 (공)중합체(이하, 고분자량 (공)중합체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스티렌계 폴리머, 에폭사이드계 폴리머, 나일론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및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는 입경의 구체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들 들어 유기 미립자는 1 내지 10㎛의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입자는 1 ㎚ 내지 500 ㎚, 또는 1㎚ 내지 300㎚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는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사이드 수지 및 나일론 수지로 이루어진 유기 미립자이거나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무기 미립자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키고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인 경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예를 들어,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3000, M60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 또는 15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분자 움직임이 자유롭고,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과 유연하게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가 두께는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 내지 20㎛, 또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이나 화상 표시 장치 등의 디바이스의 박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편광자와 대향하도록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1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제2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드 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편광층의 일면 상에서 소정의 광학 특성 또는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드 코팅층은 방현층, 또는 고굴절층, 또는 중굴절층, 또는 통상의 하드코팅층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드 코팅층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2하드 코팅층 또한 "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과 같이,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되고, 0.5㎛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1 ㎚ 내지 500 ㎚의 입경을 갖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제2하드 코팅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380nm 내지 780nm 파장 영역에서의 굴절율이 1.20 내지 1.60인 저굴절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대향하도록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100)의 또 다른 일 예를 도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된 편광판(100)은 편광자(20)와 상기 편광자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30) 및 광투과성 기재(10)를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10)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 필름(40)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380nm 내지 780nm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2%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방사 방지 필름은 1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380nm 내지 780nm 파장 영역에서의 굴절율이 1.20 내지 1.60인 저굴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방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 또한 "상기 편광자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과 같이,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되고, 0.5㎛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 및/또는 1 ㎚ 내지 500 ㎚의 입경을 갖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상기 바인더 수지 및 0.5㎛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1 ㎚ 내지 500 ㎚의 입경을 갖는 무기 미립자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380nm 내지 780nm 파장 영역에서의 굴절율이 1.20 내지 1.60인 저굴절층은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유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광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 및/또는 광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반복단위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페인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MPEOTA),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GPT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불소 화합물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에 포함되는 광반응성 작용기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에폭사이드기, 비닐기(Vinyl) 및 싸이올기(Thi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한 함불소 화합물은 i) 하나 이상의 광반응성 작용기가 치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탄소에 1이상의 불소가 치환된 지방족 화합물 또는 지방족 고리 화합물; ii) 1 이상의 광반응성 작용기로 치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불소로 치환되고, 하나 이상의 탄소가 규소로 치환된 헤테로(hetero) 지방족 화합물 또는 헤테로(hetero)지방족 고리 화합물; iii) 하나 이상의 광반응성 작용기가 치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에 1이상의 불소가 치환된 폴리디알킬실록산계 고분자; 및 iv) 1 이상의 광반응성 작용기로 치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폴리에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은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 솔리드형 무기 나노 입자 및/또는 다공성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는 200㎚ 미만의 최대 직경을 가지며 그 표면 및/또는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의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는 1 내지 200㎚, 또는 10 내지 100㎚ 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미세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는 1.50g/㎤ 내지 3.50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는 표면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 에폭사이드기, 비닐기(Vinyl) 및 싸이올기(Thi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무기 나노 입자 표면에 상술한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함에 따라서, 보다 높은 가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솔리드형 무기 나노입자는 0.5 내지 100nm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 솔리드형 무기 미세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 나노입자는 0.5 내지 100nm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미세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공)중합체 100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나노 입자 10 내지 400중량부; 및 상기 광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한 함불소 화합물 및/또는 실리콘계 화합물 20 내지 3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광투과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고 0.1㎛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접착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편광판용 접착제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양이온계 또는 라디칼계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접하는 하드 코팅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일 구현예의 편광판과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패널의 부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점착제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편광판(100)의 또 다른 일 예를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에 도시된 편광판(100)은 편광자(20)와 상기 편광자를 중심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30) 및 광투과성 기재(10)를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10)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 필름(40)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와 상기 광투과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50)과 상기 편광자와 접하는 하드 코팅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6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도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 내지 5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액정셀의 적어도 일면에 편광판이 형성되는 액정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액정패널(200)의 일 예를 도4에 나타내었다. 도4에 도시된 액정패널(200)은 액정 패널의 일면 상에 상기 편광판(100)의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현예의 액정패널(200)의 다른 일 예를 도5에 나타내었다. 도5에 도시된 액정패널(200)은 액정 패널의 양면 상에 상기 편광판(100)의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액정 패널에서,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제1항의 편광판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편광판은 상기 액정셀의 일면에 형성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MD방향과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MD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 다이오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장치일 수 있다.
하나의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편광판; 상기 1쌍의 편광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박막트랜지스터, 컬러필터 및 액정셀;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관측자측 또는 백라이트측의 최외각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1쌍의 편광판 중에서 상대적으로 백라이트 유닛과 거리가 먼 편광판의 일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광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부 구성층 열수축율 등이 조절되며 양호한 휨 밸런스(balance)를 가지면서 안정된 내부 구조를 구현하여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발명의 구현예의 편광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2은 발명의 구현예의 편광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발명의 구현예의 편광판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4은 발명의 구현예의 액정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발명의 구현예의 액정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2은 발명의 구현예의 편광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발명의 구현예의 편광판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4은 발명의 구현예의 액정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발명의 구현예의 액정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구현예를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1: 광학 적층체의 제조
(1) 하드 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의 제조
하기 표1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하여 광학 적층체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코팅액(B1, B2)을 제조하였다.
(단위: g) | B1 | B2 |
TMPTA | 10.35 | |
PETA | 14.31 | 4.56 |
UA-306T | 4.07 | 4.56 |
SC2152 | 7.58 | 7.25 |
IRG-184 | 1 | 1.26 |
Tego wet 270 | 0.05 | 0.05 |
BYK 350 | 0.05 | 0.05 |
2-butanol | 25.87 | 30.31 |
IPA | 45.82 | 40.41 |
XX-103BQ(2.0㎛ 1.515) | 0.35 | 0.38 |
XX-113BQ(2.0㎛ 1.555) | 0.7 | 0.61 |
MA-ST(30% in MeOH) | 0.2 | 0.21 |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PE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UA-306T: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 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Kyoeisha제품)
SC2152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누레이트(HMDI)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우레탄 결합으로 연결된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20,000 / 제조사: Miwon Chemical]
IRG-184: 개시제 (Irgacure 184, Ciba사)
Tego wet 270: Tego 사 레벨링제
BYK 350 : BYK사 레벨링제
2-butanol 부틸알코올
IPA 이소프로필 알코올
XX-103BQ(2.0㎛ 1.515): 폴리스타이렌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입자(Sekisui Plastic 제품)
XX-113BQ(2.0㎛ 1.555): 폴리스타이렌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입자(Sekisui Plastic 제품)
MA-ST(30% in MeOH) : 크기 10~15nm의 나노실리카 입자가 메틸알코올에 분산된 분산액(Nissan Chemical제품)
(2) 저반사층 형성용 코팅액(C)의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페인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100g, 중공형 실리카 나노 입자(직경범위: 약 42 ㎚ 내지 66 ㎚, JSC catalyst and chemicals사 제품) 283g, 솔리드형 실리카 나노 입자(직경범위: 약 12 ㎚ 내지 19 ㎚) 59g, 제1 함불소 화합물(X-71-1203M, ShinEtsu사) 115g, 제2 함불소 화합물 (RS-537, DIC사) 15.5g 및 개시제 (Irgacure 127, Ciba사) 10g를, MIBK(methyl isobutyl ketone)용매에 고형분 농도 3 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저반사층 형성용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2) 광투과성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 적층체의 제조
1) 열수축율의 비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MD 방향의 열수축율: TD방향의 열수축율의 비율은 각각의 PET 필름을 10cm * 10cm(가로*세로) 크기로 잘라 80℃에 30분간 방치한 후 MD, TD방향 각각에 대하여 열수축율(변형된 길이/초기길이)을 구하여 계산하였다.
PET 1: 열수축율 비(MD/TD)가 약 1
PET 2: 열수축율 비(MD/TD)가 약 0.5
2) 광학 적층체의 제조
하기 표2 및 3에 기재된 각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상기 제조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코팅액(B1, B2) 각각을 #12번 mayer bar로 코팅한 후 하기 표2및 3에 기재된 온도에서 2분 건조하고, UV경화하여 하드코팅층(코팅두께는 5㎛)을 형성했다. UV램프는 H bulb를 이용하였으며, 질소분위기 하에서 경화반응을 진행하였다. 경화 시 조사된 UV광량은 150 mJ/㎠이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 상에, 상기 저반사층 형성용 코팅액(C) 을 #4 mayer bar로 두께가 약 110 내지 120㎚가 되도록 코팅하고, 하기 표2및 3에 기재된 온도에서 1분동안 건조 및 경화하였다. 상기 경화 시에는 질소 퍼징 하에서 상기 건조된 코팅물에 252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2) 광학 적층체의 열수축 변형값의 측정
상기 광학 적층체를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MD 방향 및 TD방향으로 각각 12 ㎝로 재단하여 열수축 변형값 측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샘플을 100℃ 온도에서 96시간 방치한 이후에, 상기 MD 방향 및 TD방향 각각의 길이를 측정하여 각 방향으로의 열수축 변형값을 측정하였다.
[일반식 2-1]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의 최초 길이 - 100℃의 온도에 96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 길이
[일반식 3-1]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의 열수축 변형
=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의 최초 길이 - 100℃의 온도에 96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 길이
그리고, 상기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대비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R)을 구하였다.
[일반식1-1]
비율(R) =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PET의 TD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PET의 MD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제조예2: 하드코팅층 형성용 코팅액 제조 및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자의 제조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코팅액(A)의 제조
트리메틸로일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8g, KBE-403 2g, 개시제 KIP-100f, 0.1g, 레벨링제(Tego wet 270) 0.06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제조]
(1) 편광판의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광학 적층체의 광투과성 기재 측에 UV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두께:25um, 제조사:엘지화학)를 접합한 후,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반대면에 상기 제조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코팅액(A)을 7um의 두께로 도포하고, 질소 퍼징하에서 건조된 코팅물에 5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2) 열충격 평가용 샘플 제조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상기 편광판을 TV용 유리(가로 12cm, 세로12cm, 두께 0.7mm)의 일면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열충격 평가용 샘플을 제조한다. 이 때, 편광자의 MD방향이 정사각형의 한변과 평행하도록 편광판을 재단한다.
[실험예: 열충격 평가]
상기 제조된 편광판과 편광판이 접합된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열충격 실험을 진행하고 아래 3가지 사항에 대하여 측정 및 확인하였다.
- 측정 조건:
편광판과 평가용 샘플을 열충격 챔버에 수직으로 세워 놓는다. 상온에서 80℃로 승온하여 30분 방치하고, 이후 온도를 -30℃로 낮추어 30분 방치 뒤 상온으로 온도 조절하는 것을 1 Cycle로 하여 총 100 Cycle을 반복하였다.
(1) Crack발생수
상기 평가용 샘플의 편광자 사이에 발생한 Crack과 편광자 사이에 틈이 생긴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길이 1 cm이상의 크랙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2) 기포
상기 평가용 샘플의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발생한 기포 및 편광자와 하드코팅층 사이에 발생한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직경 5mm이상의 기포 수를 확인하였다.
(3)
꼭지점 들뜸(mm), 10x10/film 단품
상기 편광판 샘플의 네 꼭지점을 관찰하여 코팅층과 편광자 사이의 들뜸,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박리, 하드코팅과 점착층간의 박리와 휨을 관찰한다. 들뜸이 발생하여 휨이 나타날 경우, 편평하게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바닥에서부터 휘어진 높이를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
반사 방지 필름 |
저반사층 | - | 코팅액(C) | 코팅액(C) |
저굴절층 건조온도 | - | 40℃ | 40℃ | |
하드 코팅층 | B1 | B1 | B2 | |
하드코팅층의 두께 | 3.8 ㎛ | 4.0 ㎛ | 5.2 ㎛ | |
하드코팅 건조온도 | 60℃ | 60℃ | 60℃ | |
기재 | PET 1 | PET 1 | PET 1 | |
광학 적층체 | PET의 MD 방향 열수축 변형값 (1) |
0.73 ㎜ | 0.63 ㎜ | 0.67 ㎜ |
PET의 TD 방향 열수축 변형값 (2) |
0.7 ㎜ | 0.58 ㎜ | 0.58 ㎜ | |
비율(R)(2/1) | 0.958904 | 0.920635 | 0.865672 | |
열충격 평가결과 (10x10) |
Crack발생수 | 0 | 0 | 0 |
기포 | 0 | 0 | 0 | |
꼭지점 들뜸(mm), 10x10/film 단품 | 0 | 0 | 0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반사 방지 필름 |
저반사층 | - | 코팅액(C) | 코팅액(C) | - |
저굴절층 건조온도 | - | 40℃ | 40℃ | - | |
하드 코팅층 | B1 | B1 | B2 | B2 | |
하드코팅층의 두께 | 4.0 ㎛ | 4.3 ㎛ | 5.3 ㎛ | 5.0㎛ | |
하드코팅 건조온도 | 60℃ | 60℃ | 60℃ | 60℃ | |
기재 | PET 2 | PET 2 | PET 2 | PET 2 | |
광학 적층체 |
PET의 MD 방향 열수축 변형값 (1) |
0.21 ㎜ | 0.21 ㎜ | 0.42 ㎜ | 0.41 ㎜ |
PET의 TD 방향 열수축 변형값 (2) |
0.5 ㎜ | 0.53 ㎜ | 0.67 ㎜ | 0.58 ㎜ | |
비율(R)(2/1) | 2.380952 | 2.52381 | 1.595238 | 1.414634 | |
열충격 평가결과 (10x10) |
Crack발생수 | 0 | 1 | 2 | 2 |
기포 | 1 | 1 | 2 | 2 | |
꼭지점 들뜸(mm), 10x10/film 단품 | 4 | 3 | 4 | 4 |
상기 표1 및 표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편광판은 제조 과정에서 60℃ 이상의 온도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세부 층간의 열수축율 또는 열수축 변형값등이 조절되고, 특히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이내 인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의 편광판의 휨 밸런스(balance)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편광판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10 광투과성 기재
20 편광자
30 하드 코팅층
40 반사 방지 필름
50 접착층
60 점착층
70 액정셀
100 편광판
200 액정 패널
20 편광자
30 하드 코팅층
40 반사 방지 필름
50 접착층
60 점착층
70 액정셀
100 편광판
200 액정 패널
Claims (14)
-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10um이하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 측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의 비율이 0.8 내지 1.2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및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의 열수축 변형값 각각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각각의 최초 길이 대비 80℃ 내지 120℃의 온도에 80 내지 120시간 노출 이후 측정되는 길이값의 차이인, 편광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1방향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MD 방향 (Machine Direction)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2방향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TD방향(Transverse Direction)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파장 400㎚ 내지 800㎚에서 측정되는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이 3,000 ㎚ 이상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40˚C, 습도100%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측정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수분 투과량이 100 g/㎡ 이하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 대비 하드 코팅층의 두께의 비율이 0.02 내지 0.25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상기 하드 코팅층; 및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합한 두께가 200 ㎛ 이하인,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되고, 0.5㎛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1 ㎚ 내지 500 ㎚의 입경을 갖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편광자와 대향하도록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1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제2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제2하드 코팅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380nm 내지 780nm 파장 영역에서의 굴절율이 1.20 내지 1.60인 저굴절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광투과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고 0.1㎛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 제1항의 편광판이 액정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액정 패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제1항의 편광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편광판은 상기 액정셀의 일면에 형성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MD방향과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MD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액정 패널.
- 제1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80012905.1A CN111712742B (zh) | 2018-06-29 | 2019-07-01 | 偏光板、液晶面板和显示装置 |
PCT/KR2019/007955 WO2020005041A1 (ko) | 2018-06-29 | 2019-07-01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JP2020542567A JP7566630B2 (ja) | 2018-06-29 | 2019-07-01 |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EP19826950.8A EP3734335B1 (en) | 2018-06-29 | 2019-07-01 |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
US16/976,242 US11650362B2 (en) | 2018-06-29 | 2019-07-01 |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
KR1020220119330A KR20220132511A (ko) | 2018-12-21 | 2022-09-21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67778 | 2018-12-21 | ||
KR1020180167778 | 2018-12-2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9330A Division KR20220132511A (ko) | 2018-12-21 | 2022-09-21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298A true KR20200078298A (ko) | 2020-07-01 |
Family
ID=716021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8374A KR20200078298A (ko) | 2018-06-29 | 2019-06-28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119330A KR20220132511A (ko) | 2018-12-21 | 2022-09-21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9330A KR20220132511A (ko) | 2018-12-21 | 2022-09-21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0007829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8729A (ko) * | 2022-03-24 | 2023-10-0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WO2024010224A1 (ko) * | 2022-07-06 | 2024-01-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
2019
- 2019-06-28 KR KR1020190078374A patent/KR20200078298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2
- 2022-09-21 KR KR1020220119330A patent/KR202201325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8729A (ko) * | 2022-03-24 | 2023-10-0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투과율 가변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WO2024010224A1 (ko) * | 2022-07-06 | 2024-01-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KR20240006758A (ko) * | 2022-07-06 | 2024-01-1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2511A (ko) | 2022-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32511A (ko)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90097639A (ko) | 반사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2181559B1 (ko)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
JP7164124B2 (ja) |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
KR20220132510A (ko)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EP3734335B1 (en) |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20160150335A (ko) |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 |
KR102440277B1 (ko) |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28883B1 (ko) |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063203B1 (ko) |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KR20200088170A (ko) |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325975B1 (ko) |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581428B1 (ko) |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20005041A1 (ko) |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51230A (ko) |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
WO2019172651A1 (ko)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
KR20210039367A (ko) | 반사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