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822A -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 Google Patents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822A
KR20200077822A KR1020180167071A KR20180167071A KR20200077822A KR 20200077822 A KR20200077822 A KR 20200077822A KR 1020180167071 A KR1020180167071 A KR 1020180167071A KR 20180167071 A KR20180167071 A KR 20180167071A KR 20200077822 A KR20200077822 A KR 2020007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ne
cutting
tool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692B1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에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6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3Apparatus for shaping or cutting osteosynthesis equipment by medical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접합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골절 형태나 사이즈 또는 시술 조건에 따라 골접합 플레이트의 구멍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와 개수로 쉽게 제거하여 비나사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술 효율 및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골접합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지지구의 이동으로 상기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CUTTING TOOL FOR MEDICALL BONE JOINT PLATE}
본 발명은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 접합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골절 형태나 사이즈 또는 시술 조건에 따라 골접합 플레이트의 구멍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와 개수로 쉽게 제거하여 비나사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술 효율 및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두개골, 늑골, 상완골, 쇄골 등 여러 가지의 뼈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체의 뼈는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질병 등에 의해 골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절이 발생하면 골절된 뼈를 맞추어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치료가 행해진다. 이러한 골절치료는 골유합이 될 때까지 골절된 뼈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거치는데, 고정방법은 골절의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대체로 골절의 정도가 경미한 때에는 깁스(gibs), 부목 등를 통해 뼈를 고정하지만, 골절의 정도가 심하면 수술을 통해 피부 및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된 뼈를 노출시킨 후, 골접합 플레이트(Bone joint plate)를 이용하여 뼈를 고정한다. 도 1은 골 접합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골 접합수술에는 골절된 부위를 절개 한 후, 골절 형태, 크기에 따라 적당한 복수 개의 결합구멍이 형성된 골접합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뼈와 골 접합 플레이트를 스크류로 고정하는 수술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접합 플레이트는 특별히 골절 치료를 촉진하도록 잘 정비되어 있다. 뼈 스크류(뼈 앵커로도 칭함)는 뼈 플레이트 구멍(앵커 구멍으로도 칭함) 속으로 삽입되어 뼈에 나사 결합되어 골절 끝단을 압착, 중립화, 지지, 응력 굴곡 및/또는 연결하고 플레이트에 대해 뼈를 당기게 된다.
예를 들면, 뼈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은 이러한 스크류들(이하, "비-잠금 스크류(non-locking screws)"라 명명함)은 뼈 플레이트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류들이 뼈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와 스크류들 사이의 각도 관계들은 고정되지 않고 수술 중 및/또는 수술 후에 변화될 수 있다. 즉, 생리적 상태들로부터의 뼈와 뼈 플레이트에 대한 동적 하중은 플레이트에 대해 스크류들을 느슨하게 하거나 풀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불충분한 정렬과 불충분한 치료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플레이트에 대한 스크류들의 고정은 스크류들과 플레이트 사이의 고정된 각도 관계를 제공하여 느슨함의 경함을 감소시킨다. 뼈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들의 하나의 알려진 실시예는 스크류헤드의 외면에 있는 스크류 나사산을 가진다. 스크류헤드에 있는 나사산은 뼈 플레이트 구멍의 내면에 있는 상응하는 나사산과 꼭 맞기 때문에 스크류를 플레이트에 잠그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들(이하, "잠금 스크류(locking screws)"라 명명함)은 전형적으로 구멍의 중앙 축과 동축적으로 삽입된다. 잠금 스크류들과 플레이트 사이의 관계는 고정되기 때문에, 잠금 스크류들은 응력, 비틀림 힘, 굴곡 힘들에 대한 높은 저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잠금 스크류들은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뼈 조각들을 압축하는 그들의 능력이 제한된다.
따라서, 잠금 스크류와 뼈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계면은 스크류/플레이트 계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단 응력에 높은 저항을 가지지만, 뼈 조각들을 압착하는 능력의 한계를 가지는 한편, 비-잠금 뼈스크류와 뼈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계면은 뼈 조각들을 효과적으로 압축하지만, 스크류들이 느슨하게 되거나 풀리게 할 수 있는 전단 응력에 낮은 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비-잠금 스크류들과 잠금 스크류들을 결합시키는 뼈 플레이트 시스템은 많은 치료 상황들에 유용할 수 있다.
잠금 및 비-잠금 스크류들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알려진 뼈 플레이트 시스템은 잠금 스크류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플레이트 구멍들과, 비-잠금 스크류들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비-잠금 나사 플레이트 구멍들을 가진 뼈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알려진 골접합 플레이트에 있어서, 비-잠금 스크류들은 잠금 스크류들이 삽입되는 동안 플레이트는 정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데만 사용된다. 비-잠금 스크류들은 잠금 스크류들이 삽입된 후 제거된다. 따라서, 잠금 스크류들과 비-잠금 스크류들의 결합의 장기적 이득을 얻을 수 없다.
한편, 모든 형태의 스크류들을 수용하는 다른 알려진 골접합 플레이트는 부분적인 나사 플레이트 구멍들을 갖는 것이 있다. 부분적인 나사 구멍들은 잠금 스크류들 또는 비-잠금 스크류들을 수납한다. 그러나 플레이트 구멍들은 부분적인 나사산 만을 가지므로, 잠금 스크류들은 생리적인 하중이 미칠 때 스크류들과 플레이트 사이의 고정된 각도 관계를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특히, 플레이트 내부의 잠금 스크류들은 나사산들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둘러싸이게 됨으로써 부분적으로만 고정된다. 높은 응력과 하중 상태에서, 잠금 플레이트 구멍은 변형되어 잠금 스크류와 플레이트 사이의 고정된 각도 관계의 변화를 허용할 수도 있다. 이는 고정 또는 플레이트의 방향성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구멍의 배열 때문에, 비-잠금 스크류에 대한 플레이트의 이동은 일 방향으로만 제한된다. 이는 뼈 골절 정복(reduction) 및 촉진(manipulation)에 불리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들의 모든 형태를 수용하는 또 다른 알려진 골접합 플레이트는 나사 및 비-나사 플레이트 구멍들을 갖는 것이 있다. 나사 플레이트 구멍들은 잠금 스크류들을 수납하고, 비-나사 플레이트 구멍들은 비-잠금 스크류들을 수납하며, 플레이트가 이식되는 동안 각각 삽입된 채 유지되는 것을 의도한다. 그러나 잠금 스크류들은 나사 구멍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에만 유효하기 때문에, 플레이트에 있는 나사류의 삽입을 위한 나사 구멍을 더 선호하는 위치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나사 구멍들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알려진 골접합 플레이트들 외에, 의사는 골접합 플레이트에 대해 의사가 선택한 각도로 골접합 플레이트 구멍을 통해 잠금 뼈 스크류를 삽입할 수 있을 필요가 종종 있다. 많은 수의 소위, "다축" 골접합 플레이트들이 알려져 있다. 플레이트에 대한 스크류 각도를 잠그기 위해 플레이트 구멍에 위치된 부싱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골접합 플레이트에 있어서, 부싱은 플레이트 구멍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소위, "각도 조절 가능한 잠금" 스크류는 부싱과 플레이트 구멍을 통해 뼈에 삽입된다. 스크류가 뼈에 나사 결합될 때, 스크류의 나사 테이퍼진 헤드는 부싱의 나사 내부 표면과 결합하여 플레이트 구멍의 내면 또는 내벽에 대해 부싱을 팽창시킴으로써, 뼈 플레이트에 대해 필요한 각도로 스크류에 마찰 잠금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골 접합수술에 이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는 그 사이즈가 사이즈별로 획일적이고 일률적이고, 또한 그에 형성되는 나사산부 또한 획일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술할 부위나 조건에 따라 보다 최적으로 맞는 의료 골 접합 플레이트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더욱 정밀한 수술을 통해 수술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데도 영향을 주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58483(2010.06.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1678(2015.08.1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60623(2007.06.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7457(2010.07.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37090(2014.03.26.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 접합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골절 형태나 사이즈 또는 시술 조건에 따라 골접합 플레이트의 구멍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와 개수로 쉽게 제거하여 비나사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술 효율 및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골접합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지지구의 이동으로 상기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팅구는 상기 지지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삭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이드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골접합 플레이트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이동으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컷팅하는 컷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 베이스부, 및 상기 판상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 결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통로를 따라 가이드되는 판상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부재는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삭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 결합부는 외면에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반원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 기둥 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이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통로의 단면 형태는 상기 지지부재의 판상 가이드부의 단면 형태와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길이는 반원 기둥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단부의 단면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부는 상기 라운드진 단면의 대향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골절 형태나 사이즈 또는 시술 조건 등에 따라 골접합 플레이트의 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시술자가 원하는 갯수, 위치 및 범위 등으로 용이하고, 정밀하며,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시술 조건에 맞는 최적의 골접합 플레이트를 현장에서 바로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수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수술 조건에 맞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더욱 정밀한 수술을 통해 수술 만족도와 수술 성공률을 증대시키고, 환자에게는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골 접합수술에 사용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 골 접합플레이트의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과 같은 골 접합 플레이트를 블록체 형태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의 컷팅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컷팅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로 이동하여 그 고정구에 고정된 골접합 플레이트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지지구의 이동으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는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합(나사결합)되는 나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팅구는 상기 지지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과 같은 골 접합 플레이트를 블록체 형태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접합 플레이트(BP)(도 1 및 도 3 참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 고정부재(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이드되면서 고정부재(100)에 고정된 골접합 플레이트(BP)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부재(200); 및 지지부재(200)에 구비되어 고정부재(100)에 대한 지지부재(200)의 이동으로 골접합 플레이트(BP)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100)는 소정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부(110), 및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골접합 플레이트(BP)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합(나사결합)되는 나사산 결합부(12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10)는 원형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10)와 나사산 결합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00)의 나사산 결합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에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소정 거리 이격되는 단면 반원 형태의 한 쌍의 반원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반원 기둥 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하는 지지부재(200)의 판상 가이드부(220)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통로(121)로서 구성되며, 이 가이드통로(121)의 단면 형태와 하기 지지부재(200)의 판상 가이드부(220)의 단면 형태는 상응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지지부재(200)는 소정 형상의 판상 베이스부(210), 및 상기 판상 베이스부(2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정부재(100)의 상기 한 쌍의 반원 기둥 사이로 가이드되는 판상 가이드부(22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판상 베이스부(210)는 원형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판상 가이드부(220)는 상기 한 쌍의 반원 기둥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그 한 쌍의 반원 기둥 사이로 가이드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상 가이드부(220)는 그 단부(자유단부)에 후술하는 컷팅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판상 가이드부(220)의 길이는 반원 기둥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컷팅부재(300)는 상기 판상 가이드부(220)의 끝단부(자유단부)의 가장자리(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삭날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절삭날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에서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판상 가이드부(220)의 단부의 단면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부는 그 라운드진 단면의 대향 가장자리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삭날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먼저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에 접촉하게 되어, 즉 접촉 초기에 면 전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힘을 분산시키면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그 판상 가이드부(220)의 폭만큼 컷팅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는, 지지부재(200)에 구비되어 그 지지부재(200)의 이동 시 컷팅부재(300)가 골접합 플레이트에 접촉되기 전에 접촉되어 골접합 플레이트를 접촉 지지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200)의 계속되는 이동으로 컷팅부재(300)가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컷팅하도록 하는 면접촉 지지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로, 상기 면접촉 지지수단은 지지부재(200)의 판상 베이스부(210)의 하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 돌기와, 상기 연장 돌기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기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와, 고정부재(100)의 나사산 결합부(120)를 커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가이드슬롯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지지부재(200)의 판상 가이드부(2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의 나사산 결합부(120)가 컷팅할 나사산부의 결합구멍의 위치에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산 결합부(120)가 골접합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200)의 판상 가이드부(220)를 고정부재(100)의 한 쌍의 반원 기둥 사이의 가이드통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그 판상 가이드부(220)의 단부에 형성된 컷팅부재(300)인 절삭날부는 해당 위치에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조정함으로써 컷팅할 위치도 변경되어 해당 위치에서 나사산부를 컷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100)의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에 대한 컷팅 위치, 갯수, 및 범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에 의하면,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골절 형태나 사이즈 또는 수술 조건 등에 따라 시술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용이하고, 정밀하며,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골절된 뼈에 맞는 최적의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현장에서 바로 대상 수술 부위에 최적으로 맞게 조정함으로써 수술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술 부위에 최적으로 맞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더욱 정밀한 수술을 통해 수술 만족도와 수술 성공률을 증대시키고, 환자에게는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P: 골접합 플레이트
100: 고정부재
110: 베이스 플레이트부
120: 나사산 결합부
121: 가이드통로
200: 지지부재
210: 베이스 판상부
220: 판상 가이드부
300: 컷팅부재(절삭날부)

Claims (6)

  1.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골접합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지지구의 이동으로 상기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팅구는 상기 지지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삭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3.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컷팅하기 위한 도구로서,
    골접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이드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골접합 플레이트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이동으로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나사산부를 부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골접합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 베이스부, 및 상기 판상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 결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통로를 따라 가이드되는 판상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부재는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끝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삭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 결합부는 외면에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반원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 기둥 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이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통로의 단면 형태는 상기 지지부재의 판상 가이드부의 단면 형태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길이는 반원 기둥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판상 가이드부의 단부의 단면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부는 상기 라운드진 단면의 대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KR1020180167071A 2018-12-21 2018-12-21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KR10221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1A KR102210692B1 (ko) 2018-12-21 2018-12-21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1A KR102210692B1 (ko) 2018-12-21 2018-12-21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22A true KR20200077822A (ko) 2020-07-01
KR102210692B1 KR102210692B1 (ko) 2021-02-02

Family

ID=7160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71A KR102210692B1 (ko) 2018-12-21 2018-12-21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69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1801A1 (en) * 1995-09-20 1998-07-08 David L. Hildebrand Removal device for threaded connecting devices
US20020083804A1 (en) * 1996-04-10 2002-07-04 Distasio Robert J. Removal tool for locking nut, bolt and clip systems and assemblies
US20040191016A1 (en) * 2003-02-24 2004-09-30 Wolfgang Hintze Drilling device
KR20070060623A (ko)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KR20100058483A (ko) 2007-08-13 2010-06-03 신세스 게엠바하 자유 자재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뼈 플레이트 시스템
KR20100077457A (ko)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뼈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뼈 결합용 키트
KR101059866B1 (ko) * 2011-04-25 2011-08-29 김기면 보링머신
KR20140037090A (ko) 2011-06-06 2014-03-26 알렉산드르 보르쎌 플레이트와 핀을 갖는 골접합 장치
KR20150091678A (ko) 2014-02-03 2015-08-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접합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접합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1801A1 (en) * 1995-09-20 1998-07-08 David L. Hildebrand Removal device for threaded connecting devices
US20020083804A1 (en) * 1996-04-10 2002-07-04 Distasio Robert J. Removal tool for locking nut, bolt and clip systems and assemblies
US20040191016A1 (en) * 2003-02-24 2004-09-30 Wolfgang Hintze Drilling device
KR20070060623A (ko)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KR20100058483A (ko) 2007-08-13 2010-06-03 신세스 게엠바하 자유 자재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뼈 플레이트 시스템
KR20100077457A (ko)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뼈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뼈 결합용 키트
KR101059866B1 (ko) * 2011-04-25 2011-08-29 김기면 보링머신
KR20140037090A (ko) 2011-06-06 2014-03-26 알렉산드르 보르쎌 플레이트와 핀을 갖는 골접합 장치
KR20150091678A (ko) 2014-02-03 2015-08-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접합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접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692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1899B2 (en) Bone plates with dynamic elements
US11109902B2 (en) Bone plates with dynamic elements
US11452555B2 (en) Bone fracture fixation clamp
AU2005203813B2 (en) Bone fixing device
RU2308897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частей позвонка
US8906075B2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EP1788962B1 (en) Device for securing a spinal rod to the spine
US6595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fixation
EP1740110B1 (en) Sternal reconstruction system
RU2661778C2 (ru) Пластина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варианты), сегмент пластин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варианты) и костный винт
US7883531B2 (en) Multi-axial bone plate system
US9055984B2 (en) Sternal reconstruction system
US20140214090A1 (en) Bone fix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08541970A (ja) 支持体に固定される装置、同装置に用いる組立部品および装置を支持体に固定する方法
KR20140102750A (ko) 골절부를 가로지른 압박용 장치
EP3815637A1 (en) Sublaminar band clamp
KR20200077822A (ko) 의료 골접합 플레이트용 컷팅 도구
KR20150091678A (ko) 골접합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접합 장치
KR101451515B1 (ko)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결속구
US10136931B1 (en)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CN210019583U (zh) 一种骨科环形固定器
US20220031371A1 (en) Bone plates with dynamic elements and screws
KR102048889B1 (ko) 의료 골 접합 플레이트용 벤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골 접합 플레이트 벤딩 키트
WO2023018341A1 (en) Osteotomy set with interconnectable and expandable components
WO2023018340A1 (en) Osteotomy set with interconnectable and expandable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