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793A -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793A
KR20200077793A KR1020180167028A KR20180167028A KR20200077793A KR 20200077793 A KR20200077793 A KR 20200077793A KR 1020180167028 A KR1020180167028 A KR 1020180167028A KR 20180167028 A KR20180167028 A KR 20180167028A KR 20200077793 A KR20200077793 A KR 2020007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unit
exercise
walking
exercis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한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블 디자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블 디자인스 filed Critical (주)에이블 디자인스
Priority to KR102018016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793A/ko
Publication of KR2020007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내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부; 모터 유닛 및 상기 모터 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욕조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서 보행 운동할 수 있는 트레이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및 상기 미리 입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욕조부 및 상기 트리이드 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Underwater walking exercise machine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Disclosure)은,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용 운동 이력을 보호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고, 보행 운동 후에 반려동물을 마사지 하거나 세척 및 건조 시킬 수 있으며, 컨베이어 유닛의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보관중에 컨베이어 유닛을 건조할 수 있고, 반려동물을 정신적으로 안정시켜, 보행 운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보행 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반려동물 인구가 1,000 만명을 돌파했다.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하면서 관련 산업도 급부상하고 있다.
고품질 재로를 이용한 고급 사료도 판매되고 있으며,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기 위한 각종 편의 용품도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많은 수의 반려동물 보호자는, 1인 가구인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나라 주택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60%에 달하고 있다.
보호자가 경제생활을 할 경우에는, 거의 하루종일 반려동물만 좁은 공간에서 홀로 생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용 사료가 판매되고 있으며, 사람이 먹다 남은 음식물을 사료로 급이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운동부족과 영양 과다로 인한 반려동물의 비만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보호되는 공간이 좁은 반면에 주기적인 산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서, 스트레스에 의한 폭식이나, 관련 질병으로 시달리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활환경은, 우선적으로 면역력을 약화시켜, 사소한 질병에도 치명적인 건강 악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서는, 반려동물의 건강유지를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반려동물 운동용 트레이밀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려동물 운동용 트레이밀은, 용도가 한정되어있으며, 부피가 커서 보급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트레이밀을 사용하는 동안에, 보호자 역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3835호
본 발명(Disclosure)은, 반려동물용 운동 이력을 보호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운동을 가능한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보행 운동 후에 반려동물을 마사지 하거나, 세척 및 건조 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컨베이어 유닛의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보관중에 컨베이어 유닛을 건조할 수 있는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반려동물을 정신적으로 안정시켜, 보행 운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보행 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내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부; 모터 유닛 및 상기 모터 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욕조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서 보행 운동할 수 있는 트레이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및 상기 미리 입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욕조부 및 상기 트리이드 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운동 이력과 운동시간 및 운동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보행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욕조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세척과 헹굼과 마사지 및 건조를 포함하는 분사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분사력으로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모터 유닛은,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세로로 세울 수 있는 컨베이어 직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상기 반려동물의 사육 지역 영상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 운동을 지속하도록 상기 반려동물을 독려하는 운동 유도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 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패턴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운동 유도 정보의 표시 시점을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상기 트레이밀의 작동을 비상 정지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표시부를 이용함으로써, 반려동물용 운동 이력을 보호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욕조부에 분사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보행 운동 후에 반려동물을 마사지 하거나, 세척 및 건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직립 유닛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유닛을 세로로 세움으로써,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분사 유닛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면, 컨베이어 유닛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를 이용하여 운동 유도 정보를 반려동물에게 표시함으로서, 반려동물을 정신적으로 안정시켜, 보행 운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 반려동물의 보행 운동과 세척 및 마사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2 실시형태에서 반려동물의 헹굼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3 실시형태에서 트레이밀 세척 및 건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4 실시형태에서 제2 표시부를 이용한 반려견 보행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 반려동물의 보행 운동과 세척 및 마사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욕조부(10)와 트레이밀(20)과 정보표시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욕조부(10)는, 내측에 물(10a)을 수용한다.
욕조부(10) 내측에 반려동물(1)이 수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반려동물(1)이 내측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밀(20)은, 모터 유닛(21) 및 모터 유닛(21)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22a)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22)를 구비한다. 트레이밀(20)은 욕조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려동물(1)이 컨베이어 벨트(22a) 상면에서 보행 운동할 수 있다.
정보표시부(30)는, 컨베이어 벨트(22a)의 속도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표시한다. 정보표시부(30)는, 반려동물(1)의 보호자가 욕조부(10) 외부에서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입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욕조부(10) 및 트레으드밀 및 정보표시부(3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욕조부(10)에 수용된 물(10a)에서 반려동물(1)이 보행 운동할 수 있다. 체중이 물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반려동물(1) 보행시에 관절 등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여, 지속적이고 안전한 보행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운동 정보는, 반려동물(1)의 운동 이력과 운동시간 및 운동량을 더 포함한다.
과도한 비만 상태이거나 각종 내, 외과적 질병을 앓고 있는 반려동물(1)은, 관절구조에 대한 압력이 약한 운동이라도, 심장 등에 무리한 운동은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때 우선적으로 확인되어야 하는 것은 운동 시간과 운동량을 포함하는 운동 이력의 관리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종 보행 운동기는, 반려동물용 운동 이력을 보호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트레이밀(20)은, 반려동물(1)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운동 정보는 보행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행 패턴을 이용하면, 보행하는 반려동물(1)의 신체적 문제점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욕조부(10)에 수용되는 물(10a)의 양을 달리하여 동일한 보행 운동을 수행하면, 스스로의 체중이 인가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른 보행 패턴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보행 패턴의 차이를 이용하여, 근육 발달의 문제점이나, 통증 유발 등 다양한 병변 현상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모터 유닛(21)은,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BLDC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소음이 감소하며 반려동물(1)의 보행 운동 주의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2 실시형태에서 반려동물의 헹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욕조부(10)는, 물(10b) 또는 공기(10c)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분사 유닛은 반려동물(1)의 세척과 헹굼과 마사지 및 건조를 포함하는 분사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분사력으로 물(10b) 또는 공기(10c)를 분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반려동물(1)이 물에서 보행 운동을 하거나 보행 운동을 마친 후, 분사 노즐을 통하여 물(10b)을 분사함으로써, 근육을 마사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려동물용 세척액을 이용하면 반려동물(1)을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욕조부(10)에서 물(10a)을 배출한 후에, 분사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면, 반려동물(1)을 헹굴 수 있다. 헹굼이 완료된 후 분사 노즐을 통하여 공기(10c)를 분사함으로써, 반려동물(1)의 털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보행 운동 후에 반려동물(1)을 마사지하거나, 세척 및 건조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3 실시형태에서 트레이밀 세척 및 건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종 보행 운동기의 트레이밀(20)은, 컨베이어 유닛(22)을 세로로 세울 수 있는 컨베이어 직립 유닛(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밀(20)은 욕조부(10) 하측에 배치된다. 각종 기구가 조립되어 작동하는 트레이밀(20)은, 반려동물(1)의 털이나 각종 이물질, 그리고 오물이 침착될 수 있다. 사용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세균이 증식하여, 오히려 반려동물(1)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컨베이어 직립 유닛(23)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유닛(22)을 세로로 세움으로써,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후 물을 배출하고 컨베이어 유닛(22)을 세운 후, 분사 유닛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면, 컨베이어 유닛(22)을 건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의 제4 실시형태에서 제2 정보표시부(30)를 이용한 반려동물 보행 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운동 유도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 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부(31)를 더 포함한다.
운동 유도 정보는, 반려동물(1)의 사육 지역 영상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포함하여, 보행 운동을 지속하도록 반려동물(1)을 독려한다.
반려동물(1)이 보행 운동 과정에서 운동 유도 정보에 집중하면,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보행 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간 동안 반려동물(1)이 산만해지거나 주의력을 잃을 수 있다. 특히, 운동기를 처음 사용하거나, 물에 대한 거부감이나 수중에서 운동하는 것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반려동물(1)은, 운동 자체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제2 표시부(31)를 이용하여 보호자와 함께 산책했던 지역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거나, 보호자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들려주면, 반려동물(1)을 정신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정된 상태에서 보행 운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에서, 트레이밀(20)은 반려동물(1)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미도시)는, 보행 패턴으로부터 반려동물(1)의 보행 속도를 산출하여 운동 유도 정보의 표시 시점을 매칭할 수 있다.
보행 패턴으로부터 산출된 보행 속도는, 반려동물(1)이 보행 운동에 흥미를 잃어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이때, 보호자의 목소리의 반복 횟수를 늘림으로써, 반려동물(1)로 하여금 보행 운동을 독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트레이밀(20)의 작동을 비상 정지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22)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모터 유닛(21)은 적정한 토크(torque)값을 유지해야 한다. 이때, 반려동물(1)의 발이나 털이 끼는 상황이 발생하면, 반려동물(1)이 생명을 잃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욕조부(10)에 수용된 물 때문에, 반려동물(1)이 익사할 수 있다.
하나의 스위치 작동으로 운동기의 모든 기능 특히 모터 유닛(21)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운동 정보를 보호자가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운동 정보를 토대로 동물 의료 전문의에 전달하여 간단한 진단을 받을 수도 있다.

Claims (10)

  1. 내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욕조부;
    모터 유닛 및 상기 모터 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욕조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서 보행 운동할 수 있는 트레이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및
    상기 미리 입력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욕조부 및 상기 트리이드밀 및 상기 정보 표시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운동 이력과 운동시간 및 운동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보행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수중 보행 운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세척과 헹굼과 마사지 및 건조를 포함하는 분사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분사력으로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은,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세로로 세울 수 있는 컨베이어 직립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사육 지역 영상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 운동을 지속하도록 상기 반려동물을 독려하는 운동 유도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 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밀은,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패턴으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보행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운동 유도 정보의 표시 시점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밀의 작동을 비상 정지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KR1020180167028A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KR20200077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28A KR20200077793A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28A KR20200077793A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793A true KR20200077793A (ko) 2020-07-01

Family

ID=7160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28A KR20200077793A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2A (ko) * 2020-05-22 2021-11-30 (주)가온솔루션 동물용 수중 재활치료 기기
KR20220077391A (ko) 2020-12-02 2022-06-09 류문성 반려견 수중재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35B1 (ko) 2008-09-03 2011-05-13 정다은 애완동물용 수중러닝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35B1 (ko) 2008-09-03 2011-05-13 정다은 애완동물용 수중러닝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2A (ko) * 2020-05-22 2021-11-30 (주)가온솔루션 동물용 수중 재활치료 기기
KR20220077391A (ko) 2020-12-02 2022-06-09 류문성 반려견 수중재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assian et al. The human central pattern generator for locomotion: does it exist and contribute to walking?
Capaday The special nature of human walking and its neural control
Levine Nonexercise activity thermogenesis–liberating the life‐force
KR102014162B1 (ko) 하지 재활용 보행 밸런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72790B1 (ko) 부정 조작이 없이 신체의 전기 자극을 위한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00077793A (ko) 반려동물용 수중 보행 운동기
Gal et al. Sensory differences and stereotyped movements in children with autism
US8372207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hygiene for upper extremity amputation or hemiplegia
CN101822501B (zh) 智能化沐浴器及其工作方式
Shuman et al. Modafinil and memory: effects of modafinil on Morris water maze learning and Pavlovian fear conditioning.
JPWO2011114977A1 (ja) 歩行用靴
US2012000251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nsuring the appropriate duration for handwashing
KR20180007446A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Ji et al. The effect of mirror therapy integrat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gait of stroke patients
US20200205619A1 (en) Automatic System for Providing Full Body Shower to a User
US20210227791A1 (en) Physical training device for animals with a therapeutical and entertaining component
WO2015115328A1 (ja) 子牛の疑似グルーミング装置及び飼育管理方法
KR20180027324A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Ahn et al. Pet Buddy: A wearable device for canine behavior recognition using a single IMU
Kang et al. Views of physiatrists and physical therapists on the use of gait-training robots for stroke patients
KR20080099752A (ko) 낙상 방지 보조 장치
KR100521902B1 (ko)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JP2011162352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ハンドレール用の殺菌消毒液噴射装置
KR200309642Y1 (ko) 애완동물 질병예방 및 치료 의복
JP2008264019A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