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55A -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155A
KR20200076155A KR1020180164983A KR20180164983A KR20200076155A KR 20200076155 A KR20200076155 A KR 20200076155A KR 1020180164983 A KR1020180164983 A KR 1020180164983A KR 20180164983 A KR20180164983 A KR 20180164983A KR 20200076155 A KR20200076155 A KR 2020007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irrigation
irrigation
water
buri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4480B1 (en
Inventor
이상훈
정기열
전현정
최영대
강항원
권순홍
김종순
서정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16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80B1/en
Publication of KR2020007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5Cyclic operations, timing systems, timing valves, impulse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02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mean values, e.g. root means 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first drip irrigation hoses buried in a first buried portion of a field and having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come in and out; one or mor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buried in a second buried portion of a field, and having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come in and out; a first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a first water collect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s; a second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a second water collect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a first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with the water tank; a second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with the water tank; a pump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and the water tank; first and second sensors buried i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portions, respectively, to measure moisture information of soi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of the irrigation valves and operation of the pump by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land according to information measured in each of the sensors.

Description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밭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경작지(밭)의 경우, 배수 및 관개(또는 관개)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배수의 경우 지표 배수와 지하 배수를 이용하고 있다. 지표 배수는 강우 후에 발생한 경작지 내의 과잉수를 지표의 경사를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방법으로 지표배수를 촉진하는 방법에는 주로 경지면에 배수도랑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지하배수는 지표 배수를 한 다음에 남는 지표의 잔류수와 토양 속의 중력수를 개거(open ditch)나 암거에 침출시켜 경지 밖으로 배제하는 방법으로 지하배수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주로 암거(subsurface drainage)가 이용된다.For cropland (field) for growing field crops, drainage and irrigation (or irrigation) are important. In general, surface drainage and underground drainage are used for drainage. Surface drainage is a method of draining excess water in arable land after rainfall by using the slope of the surface. In order to promote surface drainage,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drainage ditch on the ground. Underground drainage is a method that promotes underground drainage by removing residual water from the surface and gravity water in the soil after being drained into open ditch or culvert, and subsurface drainage. Is used.

암거는 토양 수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중에 토관, PVC관 자갈, 볏짚 등과 같은 재료를 묻어 지표배수만으로는 배제할 수 없는 지표 잔류수와 땅속의 중력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지하수위를 낮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The culvert is installed with the purpose of quickly discharging surface residual water and gravitational water in the ground that cannot be excluded by surface drainage only by burying materials such as soil pipe, PVC pipe, gravel, and rice straw in the ground to control soil moisture. It is facility to become.

또한, 관개 방법(또는 관수 방법)에는, 고랑 관개, 호스 관개, 점적 관개, 분수 관개, 살수 관개, 미스트관개, 지중관개 등을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irrigation method (or irrigation method), furrow irrigation, hose irrigation, drip irrigation, fountain irrigation, sprinkler irrigation, mist irrigation, underground irrigation, and the like are used.

고랑 관개는 경작지의 고랑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며, 호스관개는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점적 관개는 튜브나 플라스틱 파이프에 작은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연결된 가느다란 관의 선단 부분에 노즐이나 미세한 수분 배출구를 만들어 물이 방울져 소량씩 스며 나오도록 하여 관개하는 방법이다. 분수관개는 유공튜브에 물을 분출시켜 관개하고, 살수관개는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뿌려 관개하며, 미스트 관개는 미스트장치로 물을 미세한 세무로 만들어 관개하는 방법이다. 지중 점적 관개는 지중에 매설한 관개 파이프로 작물 뿌리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다.Furrow irrigation i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furrows of arable land, and hose irrigation i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using a hose, which is mainly used in Korea. In addition, drip irrigation is a method of irrigating a small hole in a tube or plastic pipe and making a nozzle or a fine water outlet at the tip of a slender pipe connected to this hole so that water drips and seeps in small amounts. Fractional irrigation is irrigated by jetting water into the perforated tube, sprinkler irrigation is irrigated by spraying water using a nozzle, and mist irrigation is a method of irrigating water by fine washing with a mist devic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i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roots of crops with irrigation pipes buried underground.

한편, 밭의 경우, 토양의 상태 및 재배 작물을 고려하여 배수와 관개가 다르게 조절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부분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ield, drainage and irrigation should be adjusted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soil conditions and cultivated crops, but these parts have not been reflected in the past.

본 발명은 경작지의 상태, 재배 작물 및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배수와 관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n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growing crops by effectively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arable land, cultivated crops, and weather condition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밭의 제1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와, 밭의 제2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와,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과,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과,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와, 상기 제1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와, 상기 제2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관개밸브와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 및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의 개폐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in the first buried portion of the field, one or more first drip irrigation hoses with holes formed to allow water in and out, and the second buried portion of the field One or mor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that are buried and have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enter and exit, a first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and a first conn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Supply water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the second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and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A water tank to be connected, a first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to the water tank, and a second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to the water tank, and Pump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and the water tank, and first and second sensors buried i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portions to measure moisture in the soil, and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sensor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irrig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irrigation valve opening and closing and operation of the pump.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경작지의 상태, 재배 작물 및 기상 조건을 반영하여 배수 및 관개 조절을 제어함에 따라, 재배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related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ainage and irrigation control by reflecting the condition of cultivated land, cultivated crops and weather conditions, and thus provides an optimal environment for growing cultivated crops. Can provide.

도 1은 두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d to a field having two buried parts.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d to a field having one buried portion.

밭의 위치에 따라 토양의 경사 또는 조성 상태가 상이한 지형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또는 펌프 용량이나 점적 관개 호스의 간격 및 유량 등을 고려할 때 밭의 면적이 커서 한번에 전체 면적을 관개하기가 곤란한 경우, 밭의 매설부를 여러 개로 나누어 설정한다. 본 발명의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매설부가 설정된 밭에 적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따른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여러 개의 매설부의 관개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When there are multiple terrains with different slopes or compositional conditio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eld, or when it is difficult to irrigate the entire area at once due to the large area of the field when considering the pump capacity or the spacing and flow rate of drip irrigation hoses, etc. , Set up the buried part of the field in several. 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eld in which a plurality of buried portions are se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irrigation of several buried par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are exaggerated or reduced. Can be.

본 출원의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2 이상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 제1 분배관(200a), 제1 집수관(300a), 제2 분배관(200b), 제2 집수관(300b), 용수 탱크(400), 제1 관개 밸브(500a), 제2 관개 밸브(500b), 펌프(600), 제1 센서(700a), 제2 센서(700b)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a field having at least two buried parts. 1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d to a field having two buried parts. Referring to FIG. 1, an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gents. 1 drip irrigation hose 100a, one or mor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100b, first distribution pipe 200a, first collection pipe 300a, second distribution pipe 200b, second collection pipe 300b , Water tank 400, a first irrigation valve 500a, a second irrigation valve 500b, a pump 600, a first sensor 700a, a second sensor 700b, and a control unit 800.

구체적으로,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밭의 제1 매설부(A)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를 포함한다. 또한, 밭의 제2 매설부(B)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200a)과,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30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200b)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30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분배관(200a)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500a)와, 상기 제2 분배관(200b)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50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와 용수 탱크(400)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A, B)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700a, 700b)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센서(700a, 700b)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상기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includes one or more first drip irrigation hoses 100a that are buried in the first buried portion A of the field and have holes formed to allow water in and out. In addition, it is buried in the second buried portion (B) of the field, and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100b) is formed with a hole to allow the entry and exit of water. In addition, it includes a first distribution pipe (200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100a), and a first collection pipe (300a)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100a). In addition, it includes a second distribution pipe (200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100b), and a second collecting pipe (300b)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100b). In addition, it includes a water tank 4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200b). In addition, a first irrigation valve 500a connected to the first distribution pipe 200a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with the water tank 400 and a connection to the water tank 400 connect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200b It includes a second irrigation valve (500b) for opening and closing. In addition, the pump 6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and the water tank 400.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parts (A, B) are respectively buried i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700a, 700b for measuring moisture information of the soi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s 500a and 500b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600 by determining irrig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respective sensors 700a and 700b.

상기에서 「토양의 수분 정보」매설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지중의 수분 함량을 의미한다.In the above, "water content of soil" means the moisture content in the ground measured by the embedded sensor.

도 1은 2 개의 매설부에 적용되는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출원의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3개, 4개, 그 이상의 매설부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제1 매설부(A), 제2 매설부(B), 제3 매설부(미도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은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매설부, 제2 매설부, 제3 매설부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제1 분배관(200a) 및 제1 집수관(300a)은 제1 매설부(A)에 적용되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 제2 분배관(200b) 및 제2 집수관(300b)은 제2 매설부(B)에 적용되고, 제3 점적 관개 호스(미도시), 제3 분배관(미도시) 및 제3 집수관(미도시)은 제3 매설부(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1 is only an exemplary view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pplied to two buried par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ree, four, or more buried parts have. For example, when there is a first buried portion (A), a second buried portion (B), and a third buried portion (not shown) having different inclined surfaces, the drip irrigation hose, distribution pipe, and water collecting pipe are independent lines. I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buried portion, the second buried portion, the third buried portion. Specifically,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100a, the first distribution pipe 200a and the first collecting pipe 300a are applied to the first buried portion A, and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100b and the second The distribution pipe 200b and the second collection pipe 300b are applied to the second buried portion B, and the third drip irrigation hose (not shown), the third distribution pipe (not shown), and the third collection pipe (not shown) City) may be applied to the third buried part (not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매설부에 각각 적용되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은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매설부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수분 보수 또는 배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토양의 상태는, 토양의 경사각, 토양의 조성 상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을 두 개의 매설부에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토양 상태가 다른 매설부의 효과적인 배수 및 관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rip irrigation hose, the distribution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two buried portions may have independent lines from each other. The buried portion may have different levels of water repair or draina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The state of the soil may correspond to a slope angle of the soil, a composition state of the soil, and the lik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by applying the drip irrigation hoses, distribution pipes and water collecting pipes with independent lines as described above separately to two buried portions, simultaneously controlling effective drainage and irrigation of buried portions with different soil conditions can do.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는 일정한 깊이 및 간격으로 제1 및 제2 매설부(A, 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깊이 및 간격 등은 매설부의 크기, 재배 작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100a and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100b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portions A and B, respectively, at a constant depth and interval. The depth and spacing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uried portion, the type of cultivated crop, and the like.

상기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에 의해 점적 관개 호스 내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매설부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외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다시 말해, 토양이 함유하는 수분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과잉수), 토양의 수분이 홀을 통해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로 유입되고, 배수될 수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100a and 100b,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flows in,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drip irrigation hose rises above a certain level by the introduced water, water is supplied to the buried side. Can supp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drip irrigation hoses 100a and 100b rises above a certain level, that is, whe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oil is more than necessary (excess water), the moisture in the soil drips through the hole. It may be introduced into (100a, 100b), and may be drained.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을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have independent lines from each other,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100a and 100b,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is first And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100a and 100b, respectively.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는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타단에 연결되어, 매설부의 과잉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의 다른 일단에는 배수로와 연결되고, 과잉수는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를 통해 배수로 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pipes 300a and 300b have independent lines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100a and 100b, and serve to drain excess water from the buried portion to the outside.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pipes 300a and 300b may be connected to a drainage channel, and excess water may be drained to the drainage channe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pipes 300a and 300b.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수관(300)은 제1 및 제2 배수 밸브(310a, 310b)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310a, 310b)는, 배수로 측으로 배수되는 과잉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제어부(800)는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배수 여부를 결정하여 배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설부(A)의 작물의 생장에서 요구 수분량보다 수분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제어부(800)는 제1 매설부(A)의 배수를 결정하고, 제1 배수 밸브(310a)를 열수 있다. 제1 배수 밸브(310a)가 열리면, 제1 매설부의 과잉수가 점적 관개 호스(200a)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과잉수의 제거 이외 점적 관개 호스(200a)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서 배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적 관개 호스(200a)는 겨울철과 같이 비재배기간 동안은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점적 관개 호스(200a)의 내부에는 이물질들이 쌓일 수 있다. 제어부(800)는 비재배기간이 지난 후 점적 관개 호스를 사용하기 전에 배수를 결정하여, 점적 관개 호스(200a)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설부(A)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거나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상기 배수 절차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pipes 3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310a and 310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310a and 310b are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excess water that is drained toward the drainage channel, and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whether to drain or no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sensor, and then the drain valve The opening and closing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moisture of the first buried portion (A)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amount of moisture in the growth of the crop, the controller 800 determines the drainage of the first buried portion (A), and the first drainage valve (310a) Can be opened. When the first drain valve 310a is opened, excess water of the first buried portion may be drained out through the hole of the drip irrigation hose 200a. The controller 800 may determine drainag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drip irrigation hose 200a other than removing excess water. For example, as the drip irrigation hose 200a is restricted during use during a non-cultivation period, such as in winter, foreign substances may accumulate inside the drip irrigation hose 200a. After the non-cultivation period has passed, the control unit 800 may determine the drainage before using the drip irrigation hos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drip irrigation hose 200a. In addition, if there is too much moisture in the second buried portion (A) or if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draining procedure may be equally applied.

용수 탱크(400)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로 물을 공급한다. 용수 탱크는 지하수 펌프를 이용하여 지하수를 끌어올려 저장할 수 있다.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지하수는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를 통해 분배관(200a, 200b)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400 supplies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The water tank can be used to pump and store groundwater using a groundwater pump. The ground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may be individually adjusted to the inflow amount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는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에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는 제어부(8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having independent lines, respec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ally adjusted by an operator.

상기, 용수 탱크(400)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200c)이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00c)은 일단이 분지되어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펌프(600)는 상기 배출관(20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c)의 라인은 상기 배출관(200c)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The water tank 400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discharge pipe 200c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discharge pipe 200c may be branched at one end to form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having independent lines. The above-described pump 600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ipe 200c. Unless otherwise stated herein, the 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c are interpreted to include the discharge pipe 200c.

상기 제1 및 제2 센서(700a, 700b)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가 한 개일 경우, 매설부의 대표 지점에 각각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대표 지점은 토양 상태 및 재배 작물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반면, 복수 개일 경우, 매설부의 임의의 지점에 매설되고, 제어부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에서 측정된 수분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700a and 700b may be one or plural.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are one, they may be buried at representative points of the buried part,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point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soil conditions and cultivated crop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lurality, it is buried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buried part, an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mois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제어부(800)는 센서에서 측정된 수분 정보와 작물의 생장 상태를 고려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작물의 생장이 요구하는 수분량에 비해 매설지 내 수분이 부족한 경우, 관개를 결정하고, 수분이 부족한 매설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당 관개 밸브(500a, 500b)를 열고, 펌프(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may determine whether irrigatio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moisture information measured by a sensor and a growth state of a crop.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irrigation when the moisture in the buried land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mount of moisture required by the growth of the crop, and opens the corresponding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buried land having insufficient moisture, and pump ( 600).

하나의 예시에서, 지중 점적 관개 시스템은, 기상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 정보는 예를 들어, 온도, 상대 습도, 풍향, 풍속, 일사량, 강수량, 및 증발산량 등일 수 있다. 제어부는 기상 센서에서 측정된 기상 정보를 고려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system may include one or more weather sensors for measuring weather inform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insolati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irrigation by considering weather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ther sensor.

일 구체예에서, 제어부(800)는 깊이에 따른 토양의 수분 임계치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토양 수분 임계치와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수분 정보를 비교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된 수분 임계치보다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수분 함량이 부족한 경우, 제어부(800)는 관개 밸브(500)를 열고, 펌프(600)를 작동시켜 점적 관개 호스(10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800 may set the soil moisture threshold according to the depth in advance, and compare the set soil moisture threshold with the moisture information of the soil measured by the sensor to determine irrigation.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measured by the sensor is less than the set moisture threshold, the control unit 800 opens the irrigation valve 500 and operates the pump 600 to control water to be supplied to the drip irrigation hose 100. Can.

일 구체예에서, 상기 토양의 수분 임계치는 재배 작물의 요수량 및 토양의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설정된 토양의 수분 임계치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isture threshold of the soil may be set based on the demand for the cultivated crop and the condition of the soil. The control unit 800 may provide an optimal environment for growing crops b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nd operation of the pump 600 based on the moisture threshold of the set soil.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센서(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배출관(200c)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계측 센서(210)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200c)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배출될 때, 라인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센서는 펌프(600)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계측 센서(210)에서 계측된 유량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개량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may further include a measurement sensor 210 that measures a flow rate.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200c. The measurement sensor 210 may measure the flow rate flowing into the line whe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through the discharge pipe 200c. The measurement sens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pump 600 and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210. The irrigation amount may be controlled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and operation of the pump 600.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배출관(200c)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20)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200c)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배출될 때, 라인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20)는 펌프(600)와 계측 센서(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압력 센서(220)에 의해 측정된 유압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개량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220 that measures hydraulic pressure.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200c. The pressure sensor 220 may be a sensor that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ine whe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00c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200a and 200b. have. The pressure sensor 2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ump 600 and the measurement sensor 210.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hydraulic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220. The irrigation amount may be controlled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500a and 500b and operation of the pump 600.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용수 탱크(4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용수 탱크의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고, 지하수 펌프(900)를 이용하여 용수 탱크(400)로 지하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수위는 적정 관개에 필요한 용수 탱크(400)의 물의 최소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용수 탱크(400)의 수위가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지하수 펌프(900)가 작동하여 지하수를 용수 탱크(4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하수 펌프(900)는 제어부(800)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수 탱크(400)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으로 조절됨으로써, 적정 관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0 may compar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with a reference water level, and selectively supply ground water to the water tank 400 using the ground water pump 900. The reference water level is an index indicating the minimum content of water in the water tank 400 required for proper irriga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ground water pump 900 operates to supply the ground water to the water tank 400. The ground water pump 900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800.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00 to a reference level or higher, proper irrig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출원은 또한, 한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밭의 제1 매설부에 적용되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집수관, 용수 탱크, 펌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pplied to a field having one buried portion. 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includes a drip irrigation hose, a distribution pipe, a water collecting pipe, a water tank, a pump, a sensor,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the first buried portion of the field described above, and the related descriptions are duplicated with the foregoing It will be omitted below.

도 2는 한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d to a field having one buried por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밭의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점적 관개 호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점적 관개 호스(100)의 일단에 연결되는 분배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집수관(300)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관(200)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관(200)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관개 밸브(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개밸브(500)와 상기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설부의 임의의 지점에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센서(7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700)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500)의 개폐 및 상기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underground irrigation control system includes one or more drip irrigation hoses 100 buried in a buried portion of a field and formed with holes to allow water to enter and exit. And a distribution pipe 20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p irrigation hose 100. And a water collecting pipe 3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p irrigation hose. It includes a water tank 4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distribution pipe (200). It includes an irrigation valve 500 that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200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with the water tank 400. In addition, it includes a pump 600 disposed between the irrigation valve 500 and the water tank. In addition, it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700 buried at any point in the buried portion and provided to measure moisture information of the soil. It includes a control unit 800 for determining whether irrig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70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rigation valve 500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600.

또한, 상기 지중 점적 관개 시스템은 전술한, 유량 센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system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flow sensor and pressure sensor. Descriptions related thereto will be omitted below.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점적 관개 호스
200: 분배관
210: 계측 센서
220: 압력 센서
300: 집수관
310: 배수 밸브
400: 용수 탱크
500: 관개 밸브
600: 펌프
700: 센서
800: 제어부
900: 지하수 펌프
100: drip irrigation hose
200: distribution pipe
210: measurement sensor
220: pressure sensor
300: catchment pipe
310: drain valve
400: water tank
500: irrigation valve
600: pump
700: sensor
800: control
900: groundwater pump

Claims (11)

밭의 제1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
밭의 제2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
상기 제1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
상기 제2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
상기 제1 및 제2 관개밸브와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 및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의 개폐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One or more first drip irrigation hoses buried in the first buried portion of the field and having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enter and exit;
One or more second drip irrigation hoses buried in the second buried portion of the field and having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enter and exit;
A first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A first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p irrigation hose;
A second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A second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p irrigation hose;
A water tank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A first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with a water tank;
A second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with a water tank;
A pump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rrigation valves and a water tank;
First and second sensors respectively buried i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portions to measure soil moisture information; And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rigation valve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irrig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기상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상 센서를 추가로 측정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weather sensors for measuring weather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깊이에 따른 토양의 수분 임계치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토양 수분 임계치와 센서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분 정보를 비교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re-sets the soil moisture threshold according to the depth, and compares the set soil moisture threshold with the moisture information of the soil measured by the sensor to determine irrigation. 제 3 항에 있어서, 토양의 수분 임계치는 재배 작물의 요수량 및 토양의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oil moisture threshold is set based on the demand for cultivated crops and the condition of the so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은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계측 센서에 의해 계측된 유량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further include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The control unit is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he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은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압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pipes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hydraulic pressure,
The control unit is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irrigation amount based on hydraulic pressure measured by a press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용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용수 탱크의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지하수 펌프를 이용하여 용수 탱크로 지하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with a reference water level, and an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that selectively supplies ground water to the water tank using a ground water pump.
제 7 항에 있어서, 용수 탱크의 수위가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지하수 펌프가 작동하여 용수 탱크로 지하수가 공급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is less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ground water pump is operated to supply ground water to the water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집수관은 제1 및 제2 배수 밸브를 각각 포함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배수 여부를 결정하여 배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ng pipes include first and second drain valves,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drai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senso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valve.
제 9 항에 있어서, 배수 밸브가 열리면, 매설부의 과잉수가 점적 관개 호스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The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of claim 9, wherein when the drain valve is opened, excess water in the buried portion is drained out through the hole of the drip irrigation hose. 밭에 형성된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점적 관개 호스;
상기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분배관;
상기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집수관;
상기 분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
상기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관개 밸브;
상기 관개밸브와 상기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매설부의 임의의 지점에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의 개폐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One or more drip irrigation hoses buried in the buried portion formed in the field and having holes formed to allow water to enter and exit;
A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p irrigation hose;
A water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p irrigation hose;
A water tank supplying water to the distribution pipe;
An irrigation valv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with a water tank;
A pump disposed between the irrigation valve and the water tank;
One or more sensors buried at any point of the buried part and configured to measure soil moisture information; And
Underground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rrig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rigation valve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KR1020180164983A 2018-12-19 2018-12-19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KR102234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en) 2018-12-19 2018-12-19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en) 2018-12-19 2018-12-19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55A true KR20200076155A (en) 2020-06-29
KR102234480B1 KR102234480B1 (en) 2021-03-31

Family

ID=7140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en) 2018-12-19 2018-12-19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39A (en) * 2022-05-07 2022-08-09 南京泰宇环境检测有限公司 Soil moisture control system with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2B1 (en) * 2009-01-02 2011-08-09 대한민국 Underground pipe drainage system
KR101356583B1 (en) * 2011-11-10 2014-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type irrigation method based on soil potential force and irrigation apparatus thereof
JP2015023879A (en) * 2014-11-07 2015-02-05 西日本圃場改良株式会社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JP2015173653A (en) * 2014-03-17 2015-10-05 茂 増田 Supply control method of watering in plant cultivation, and controller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2B1 (en) * 2009-01-02 2011-08-09 대한민국 Underground pipe drainage system
KR101356583B1 (en) * 2011-11-10 2014-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type irrigation method based on soil potential force and irrigation apparatus thereof
JP2015173653A (en) * 2014-03-17 2015-10-05 茂 増田 Supply control method of watering in plant cultivation, and controller of the same
JP2015023879A (en) * 2014-11-07 2015-02-05 西日本圃場改良株式会社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39A (en) * 2022-05-07 2022-08-09 南京泰宇环境检测有限公司 Soil moisture control system with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80B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emmens et al. Irrigation techniques and evaluations
Criddle Methods for evaluating irrigation systems
KR101054882B1 (en) Underground pipe drainage system
RU2346427C1 (en) Irrigation system
KR101702599B1 (en) Supply system of sprinkle wa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09057050A2 (en) Crop irrigation system
KR102234480B1 (en)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CN106376430A (en) Irrigation and water conservancy circulating drainage-irrigating system based on drop irrigation
Heermann et al. Efficiency and uniformity
US6953156B1 (en) Irrigation method for sloping land
Evans et al. Economics of controlled drainage and subirrigation systems
Leib et al. Erosion control practices integrated with polyacrylamide to reduce sediment loss in furrow irrigation
Kemper et al. Cablegation: Automate supply for surface irrigation
Barta et al. Colorado high plains irrigation practices guide
RU2683520C1 (en) Method of irrigation of fruit trees and shrubs on the slopes of ravine
JP2012095621A (en)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Gyasi-Agyei Pond water source for irrigation on steep slopes
Trout et al. On‐farm system design and operation and land management
JP4544611B2 (en) Water level adjustment system
RU2608049C1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a drainage network
JP2732770B2 (en) Water control mechanism in paddy field and water management mechanism in district
Rawitz Sprinkler irrigation
Rawitz Gravity irrigation
Sandler et al. Cranberry irrigation management
Schwankl et al. 11 Irrig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