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974A -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 Google Patents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974A
KR20200074974A KR1020207014368A KR20207014368A KR20200074974A KR 20200074974 A KR20200074974 A KR 20200074974A KR 1020207014368 A KR1020207014368 A KR 1020207014368A KR 20207014368 A KR20207014368 A KR 20207014368A KR 20200074974 A KR20200074974 A KR 20200074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stent
spacer
spacer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996B1 (ko
Inventor
마르틴 지. 폴란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702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3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4Oesophagi or esophagi or gul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6Trach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8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elliptical or 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1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elasticity, stiffness or compress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교차직조된 와이어로 형성된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관형 본체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 및 이들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갖는다. 스텐트는 제1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앵커 부재 및 제2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앵커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관형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제1 앵커 부재와 제2 앵커 부재 사이에 배치된 관형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는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페이서 부재에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 관형 본체의 외경은 저감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76,89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텐트를 이식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외상성 스페이서 부재(atraumatic spacer member)를 갖는 이식 가능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관강내 보철물은 신체 내강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 디바이스이다. 각종 신체 혈관에서의 질환의 복구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관강내 보철물의 하나의 유형은 스텐트이다. 스텐트는 신체 내 각종 내강을 개방하고 지지하는데 유용한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된 대체로 길이방향 관형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스텐트는 혈관 시스템, 비뇨생식관, 위장관, 식도관, 기관/기관지관 및 담관에뿐만 아니라, 신체내 다양한 기타 용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루멘 병치 금속 스텐트가 또한 췌장 유체 수집물을 배출하고 직접 담즙 및 담낭 배액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낭종벽에 인접하여 금속 스텐트를 위치시키는 것은 낭종 용적이 배액으로 인해 저감되어 스텐트의 원위 표면과 낭종벽이 접촉함에 따라서 후속 급성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스텐트의 단부, 예컨대, 다중-말단 뾰족한 스텐트 단부와 낭종벽과의 반복적인 상호작용이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관강내 보철물, 예컨대, 스텐트가 배액에 사용될 경우 이 조직 상호작용을 완화 또는 제거하고 출혈을 무효화하기 위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체형 스페이서 기구를 구비하는 스텐트, 예를 들어, 브레이드 스텐트(braided stent)의 각종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제1 예의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교차직조된 와이어(interwoven wire)로 형성된 관형 본체로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 및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lumen)을 구비하는, 상기 관형 본체; 제1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앵커 부재(anchor member) 및 제2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앵커 부재로서,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관형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제1 앵커 부재와 제2 앵커 부재 사이에 배치된 관형 본체의 외경(outer diameter)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 및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로서, 스페이서 부재에 견인력(pulling force)이 인가된 경우, 관형 본체의 외경은 저감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관형 본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레그(leg)를 갖는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의 외경을 넘어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단일 와이어 루프로 형성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관형 본체의 내벽에 부착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와 교차직조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보다 덜 유연하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는 제1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 및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보다 더 유연하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텐트는 관형 본체, 제1 및 제2 앵커 부재, 및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는 커버(coverin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는 그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 유연성을 갖는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에 인접한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그리고 관형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서 배치된 제2 영역에서 제2 두께를 갖는 테이퍼 형상 와이어(tapered wire)로 형성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아, 제2 영역에서 더 큰 유연성을 초래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텐트는 제2 개방 단부에 배치된 회수 요소(retrieval el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교차직조된 와이어로 형성된 관형 본체로서, 제1 및 제2 대향 개방 단부 및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개방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획정하는, 상기 관형 본체,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어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형 본체의 외경을 넘어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으로서, 제1 길이를 갖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어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형 본체의 외경을 넘어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으로서,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을 포함하되, 스페이서 부재의 제1 및/또는 제2 그룹에 견인력이 인가될 경우, 관형 본체의 외경은 저감되지 않는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앵커 부재가 제1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앵커 부재가 제2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관형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앵커 부재 사이에 배치된 관형 본체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보다 더 유연하다.
상기 예 중 어느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또는 제2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는 관형 본체에 인접한 제1 영역의 제1 두께 및 관형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제2 영역의 제2 두께를 갖는 테이퍼 형상 와이어로 형성되고,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더 작아 제2 영역에서 더 큰 유연성을 초래한다.
또 다른 예는 낭종 내에 스텐트의 제1 개방 단부가 배치되고 낭종 외부에 스텐트의 제2 개방 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조직벽을 통해서 스텐트를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종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며,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교차직조된 와이어로 형성된 관형 본체로서, 제1 및 제2 개방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루멘을 획정하는, 상기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스텐트는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텐트의 루멘을 통해서 낭종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되, 낭종이 배출됨에 따라서 낭종의 벽이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하고,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는 낭종의 벽이 스텐트의 제1 개방 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형태의 상기 발명의 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각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모든 구현예를 기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도면 및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특히 이들 실시형태의 일부를 예시한다.
반드시 일적 축척으로 도시된 것은 아닌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상이한 도면에서 유사한 성분을 기술할 수 있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써 본 문서에 논의된 각종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도 1은 낭종벽에 인접하게 배치된 종래 기술의 스텐트의 측면도;
도 2는 낭종벽에 인접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중공의 관형 스텐트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스텐트의 단부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단부도;
도 5는 조직 구조에 위치된 도 2의 스텐트의 단부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표적 조직 구조에 이식된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측면도;
도 8은 조직 구조에서의 도 7의 스텐트의 단부의 사시도; 및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측면도.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다룰 수 있지만, 이의 세부사항은 도면에 예로써 도시되었고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기재된 특정 실시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와는 반대로, 본 개시내용의 정신과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안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이하에 정의된 용어에 대해서, 본 명세서의 어느 곳인가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상이한 정의가 주어지지 않는 한, 이들 정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모든 수치값은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나타내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용어 "약"을 수식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용어 "약"은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인용된 값(즉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갖는 것)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는 수치의 범위를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용어 "약"은 가장 가까운 유효숫자로 반올림되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종점에 의한 수치 범위의 인용은 그 범위 내의 모든 숫자를 포함한다(예컨대,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및 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일반적으로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형태", "몇몇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 등에 대한 언급은 기재된 실시형태가 하나 이상의 특정한 특성, 구조 및/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언급은 모든 실시형태가 그 특정한 특성, 구조 및/또는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특정한 특성, 구조 및/또는 특징이 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될 경우, 이러한 특성, 구조 및/또는 특징이 또한 달리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 한 명확하게 기재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상세한 기재는 상이한 도면에서 유사한 구조가 동일하게 번호 매겨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읽혀야 한다. 반드시 일정 축척일 필요가 없는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묘사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낭종벽(40)과 같은 조직벽에 인접하여 위치된 종래 기술의 직조된 스텐트(5)를 묘사한다. 낭종 용적이 스텐트 루멘을 통한 배액으로 인해 저감됨에 따라서, 스텐트(5)의 말단 단부(terminal end)(7)는 낭종벽(40)과 접촉할 수 있고, 조직 자극을 초래하여 출혈 및/또는 혈관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단부 및 조직벽의 조기 접촉은 차단되는 디바이스 루멘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는 낭액의 잔류 포켓을 남길 수 있다.
도 2는 관형 본체(20) 및 관형 본체(20)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다수의 비외상성 스페이서 부재(30)를 포함하는 스텐트(10)를 도시한다. 관형 본체(20)는 개방 제1 단부(22), 개방 제2 단부(24),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갖는 중공의 관형 구조이다. 관형 본체(20)는 하나 이상의 또는 복수의 와이어(15)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5)는 관형 본체(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조, 브레이드, 권취(wound), 편성(knitted) 및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텐트(10)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 예컨대, 니티놀 또는 니티놀-함유 재료, 또는 기타 니켈-티타늄 합금의 다수의 와이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와이어(15)는 예를 들어 약 0.011 인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와이어(15)의 직경 및 와이어(15)의 수는, 제한적이지 않고, 다른 수의 와이어(15) 및 다른 와이어 직경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짝수개의 와이어(15),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36개의 와이어(15)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15)는, 제한 없이,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코발트계 합금, 예컨대, Elgiloy®, 백금, 금, 티타늄, 탄탈럼, 니오븀, 중합체성 재료 및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이식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중합체성 스텐트 재료의 유용한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L-락타이드)(PLLA), 폴리(D,L-락타이드)(PLA), 폴리(글리콜라이드)(PGA), 폴리(L-락타이드-코-D,L-락타이드)(PLLA/PLA), 폴리(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LA/PGA),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A/PGA), 폴리(글리콜라이드-코-트라이메틸렌 카보네이트)(PGA/PTMC), 폴리다이옥사논(PDS),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T), 폴리(포스파젠) 폴리(D,L-락타이드-코-카프로락톤)(PLA/PCL),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GA/PCL),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터) 등을 포함한다. 중합체성 재료로 제조된 와이어는 또한 중합체성 재료에 혼입될 수 있는 금속-기반 분말, 입상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는 중합체성 와이어가 형성되고 이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텐트(10)로 형성된 중합체성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는 스텐트(10)의 금속 또는 중합체성 와이어(15)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한 없이, 두서너 가지 예를 들면, 비스무스, 바륨 및 이의 염, 예컨대, 황산바륨, 탄탈럼, 텅스텐, 금, 백금 및 티타늄을 비롯한 각종 방사선비투과성 재료 및 이들의 염 및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유용한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는 미국 특허 제6,626,936호(이의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됨)에서 찾을 수 있다.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로서 유용한 금속성 복합체가 또한 상정된다. 스텐트는 와이어를 따라서 목적하는 면적으로 선택적으로 방사선비투과성으로 될 수 있거나 또는 완전 방사선비투과성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와이어(15)는, 개선된 방사선비투과성 또는 가시성을 위한 복합 와이어를 제공하도록 탄탈럼, 금, 백금, 텅스텐, 이리듐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내부 코어 및 니티놀의 외부 부재 또는 층을 구비하는 복합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내부 코어는 백금일 수 있고, 외부 층은 니티놀일 수 있다. 백금의 내부 코어는 전체 단면 백분율에 기초하여 와이어(15)의 약 적어도 10%를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마르텐사이트 상(phase) 및 오스테나이트 상에서 니티놀을 가열, 정형화 및 냉각에 의해 형상 기억을 위하여 처리되지 않은 니티놀은 또한 외부 층으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복합 와이어의 추가의 상세는 미국 특허 제7,101,392호(이의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됨)에서 찾을 수 있다. 와이어(15)는 니티놀, 또는 백금의 중심 코어 및 니티놀의 외부 층을 갖는 복합체 와이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 용착 재료(filling weld material)는, MIG와 같은 용착 과정에 의해 필요하다면,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코발트계 합금, 예컨대, Elgiloy, 백금, 금, 티타늄, 탄탈럼, 니오븀, 및 이들의 조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관형 본체(20)는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하나 이상의 앵커 부재(26, 28)를 가질 수 있다. 앵커 부재(26, 28)는 관형 본체(20)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를 형성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앵커 부재(26, 28)는 스텐트(10)의 길이방향 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관형 본체(20)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앵커 부재(26, 28)는 앵커 부재(26, 28) 사이에 배치된 스텐트 본체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스텐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본체의 제1 단부(22)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비외상성 스페이서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30)는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 둘 다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이 배출되고 낭종벽(40)이 제1 단부(22)를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서 낭종벽(40)으로부터 멀리 스텐트의 제1 단부(22)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의 낭종벽(40)이 스텐트(10)의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를 접촉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낭종이 완전히 배출된 경우에도,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벽과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텐트의 베어(bare) 제1 단부(22)와 접촉함으로써 조직벽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몇몇 경우에, 스페이서 부재(30)는 와이어(15)로 형성되어 관형 본체(20)를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부재(30)는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와이어(15)를 연장시키고 이어서 관형 본체(20)에 그 와이어를 도로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미리 형성된 관형 본체(20)에 추가된 추가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영역(36), 및 스페이서 부재(30)의 길이를 따라서 측정된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로부터 가장 먼 스페이서 부재(30)의 지점인 말단 단부(38)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관형 본체(20)의 와이어(15)에 대해서 위에서 나열된 금속성 및 중합체성 재료와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자체 지지될 수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30)는 이들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로부터 연장 및/또는 캔틸레버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 부재(30)가 루멘 벽에 맞물릴 경우, 스페이서 부재(30)는 스텐트(10)를 고정시키는 불충분한 방사상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각각 미리 형성된 관형 본체(20)에 부착되고 루프로 형성된 단일 와이어(35)로 형성되며, 와이어 루프의 단부는 관형 본체(2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레그(32, 34)를 획정한다. 다른 예에서, 다수의 스페이서 부재(30)는 단일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32, 34)는 관형 본체(20)의 내부에 용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그(32, 34)는 접착, 와이어 래핑(wire wrapping) 또는 다른 적합한 영구 접속으로 부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레그(32, 34)는 관형 본체(20)의 와이어(15)로 직조될 수 있다. 레그(32, 34)는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를 향하여 관형 본체(20)의 길이의 25% 이상, 50% 이상, 또는 75% 이상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레그(32, 34)는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로 관형 본체(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레그(32, 34)는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경사각으로, 따라서 나선형 방향으로 관형 본체(20)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레그(32, 34)는 스텐트(10)의 브레이딩 패턴으로 와이어(15)의 경로를 따를 수 있고 이 경로를 따라 병치될 수 있다.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30)로부터의 레그(32, 34)는 몇몇 경우에 또 다른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를 중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는 관형 본체(20)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제1의 나선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제2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는 관형 본체(20)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대향하는 제2 나선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와 교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든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의 전부는 다른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와 접촉하는 일 없이 관형 본체(20)의 내부를 따라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30)의 레그(32, 34)는 관형 본체(20)의 내부를 따라서 동일한 나선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제1 단부(22)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퍼질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제1 단부(22)의 원주 둘레에 인접한 스페이서 부재(3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30)는 인접한 스페이서 부재(30)와 그의 각 측면 상에서 중첩될 수 있다.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스텐트(10)는 3개의 스페이서 부재(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텐트(10)는 스텐트(10)의 원주 둘레에 균등하게 또는 불균등하게 이격된 2개의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30), 또는 4개, 5개, 6개 이상의 스페이서 부재(30)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35)는 관형 본체(20)를 형성하는 와이어(15)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35)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강직성 또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은 모두 특정 용도를 위하여 맞춤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35)는 스텐트(10)의 관형 본체(20)를 형성하는 스텐트 와이어(15)보다 더 뻣뻣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35)는 스텐트 와이어(15)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35)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는 한편 스텐트 와이어(15)는 니켈-티타늄 합금, 예컨대, 니티놀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 와이어(35)를 형성하는 재료는 관형 본체(20)의 와이어(15)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크거나, 동일하가나 또는 더 작은 강직성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스페이서 부재 와이어(35)를 형성하는 재료는 관형 본체(20)의 와이어(15)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크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탄성률(영률)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35, 15)의 재료, 와이어 직경 및 전처리의 선택 및 스텐트 구성은 특정 스텐트 특서을 달성하도록 달라질 수 있는 인자의 일부이다. 부가적으로, 스페이서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예를 들어, 스텐트 재료의 일부로서 또는 밴드로서 코팅 또는 마무리되는 등의 각종 방법에 의해 방사선비투과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색 또는 상이한 마무리가 또한 스페이서 부재(30)에 부가되어 스텐트 와이어(15)의 나머지로부터 이들을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스페이서 부재(30)에 견인 또는 압착력을 인가하는 것이 관형 본체(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 부재(30)가 미리 형성된 관형 본체(20)에 부착된 추가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예에서, 그 부착은 스페이서 부재(30)에 대한 견인이 관형 본체(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게 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부재(30)를 관형 본체(20)의 내부 표면 상의 1개 이상의 와이어 교차점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 부재(30)를 용착시키는 것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스페이서 부재(30)가 견인 또는 압착될 경우 그의 직경을 저감시키도록 스페이서 부재(30)가 관형 본체(20)의 직조 또는 브레이드 구조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가 관형 본체(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1개 이상의 와이어로부 형성되는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들)의 부분은 스페이서 부재(30)에 대한 견인이 관형 본체(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관형 본체(20)에 대해서 안정화될 수 있다. 일례에서, 안정화는 스페이서 부재(30)를 형성하는 와이어가 관형 본체(20)를 빠져나가는 관형 본체의 제1 단부(22)에서 마지막 와이어 교차점 중 하나 이상을 용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접착제 또는 추가의 와이어 래핑은 관형 본체(20)에 대해서 스페이서 부재(30)를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30)는 제거를 위하여 스텐트(10)의 직경을 저감시키도록 회수 요소(retrieval element)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몇몇 예에서, 별도의 회수 요소(80)가 관형 본체(20)의 제2 단부(24) 및/또는 제1 단부(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스텐트(10)는 관형 본체(20)의 제2 단부(24)에 부착된 회수 요소(80)를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 회수 요소(80)는 관형 본체(20)의 제2 단부(24)에서 관형 본체(20)의 와이어(15)의 루프를 통해서 직조된 와이어 또는 봉합사일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를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페이서 부재(30)는 거리(D)에 대해서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거리(D)는 예를 들어 관형 본체(20)의 전체 길이의 5% 내지 50%, 10% 내지 50%, 10% 내지 30%, 또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제1 단부(22)를 넘어 8㎜ 내지 15㎜ 연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또한 제1 단부(22)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관형 본체(20)의 외경을 넘어서 관형 본체(20)로부터 방사상으로 떨어져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또한 앵커 부재(26, 28)의 외경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부재(30)는 스텐트(10)의 길이방향 축(X)의 약 20도 내지 약 85도, 약 25도 내지 약 75도, 약 30도 내지 약 60도, 또는 약 45도 내지 약 75도의 각도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길이방향 축(X)에 대한 스페이서 부재(30)의 각도는, 예를 들어, 25도 이상, 30도 이상, 35도 이상, 40도 이상, 45도 이상, 50도 이상, 55도 이상, 60도 이상, 65도 이상, 70도 이상, 75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85도 이상, 또는 다른 바람직한 각도일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스페이서 부재(30)는 세장형의 루프로서 정형화된다. 다른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는 원형, 타원형, 눈물방향 모양 등을 비롯하여 임의의 원하는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의 말단 단부(38)는, 낭종벽(40)과 맞물리는 비외상성 단부를 제공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벽(40)으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된 배향으로 스텐트(10)를 유지시키도록 요구되는 강직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와의 접촉으로부터 조직벽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0)의 유연성은 이들의 길이를 따라서 달리한다. 스페이서 부재(30)는 이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인 두께를 갖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0)는 관형 본체(120)에 인접한 제1 영역(136)에서 제1 두께를 갖는 와이어로부터 더 가늘게 테이퍼링되고/되거나 이행되어 말단 단부(138)에서 제2 두께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두께는 말단 단부(138)에서 더 유연한 스페이서 부재(130)를 달성하도록 제1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더욱 유연한 말단 단부(138)는 낭종벽(40)과 접촉됨에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130)가 말단 단부(138)에서 약간 구부러질 수 있게 되어서, 조직 손상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텐트(10, 100)는 스텐트(10, 100)의 관형 본체(20, 120)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배치된 커버(7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70, 170)는 스텐트(10, 100)의 관형 본체(20, 120)의 전체 길이를 완전히 덮어, 완전히 덮인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레이드된 또는 직조된 패턴에 획정된 간극의 전부가 커버(70, 170)로 덮여서 관형 본체(20, 120)의 루멘 내로 조직 내부 성장 및 유체 누출을 방지한다. 다른 예에서, 커버(70, 170)는 스텐트(10, 100)의 관형 본체(20, 120)의 길이의 일부분만을 덮어서, 부분적으로 덮인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레이드된 또는 직조된 패턴에 획정된 간극의 일부분이 덮이지 않은 채로 유지되어 조직 내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경우에, 스페이서 부재(30, 130)는 커버(70, 170)에 의해 덮일 수 있고, 따라서 전체 관형 본체(20, 120) 및 스페이서 부재(30, 130)를 둘 다 포함하는 스텐트(10, 100)가 커버(70, 17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70, 170)는 인접한 스페이서 부재(30, 130) 사이의 간극이 어떠한 커버 재료가 없을 수 있는 한편 스페이서 부재(30, 130)를 형성하는 와이어(들)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인접한 측면들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이 공간을 채울 수 있어서, 스텐트(10, 100)의 단부 둘레에서 스페이서 부재(30, 130) 사이로 그리고 스텐트(10, 100)의 루멘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스텐트(10, 100)는 실리콘 또는 다른 중합체의 용액에 침지되어 커버(70, 17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중합체 시트 또는 관은 관형 본체(20, 120) 둘레에 그리고/또는 관형 본체(20, 120) 내에 배치되어 커버(70, 17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70, 170)는 관형 본체(20, 120)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 상에, 또는 관형 본체(20, 120)의 내부 및 외부 표면 둘 다 상에 배치됨으로써, 중합체성 재료에 스텐트(10, 100)를 매립시킬 수 있다. 코팅 또는 커버는 중합체 커버,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실리콘 커버일 수 있지만, 다른 커버, 특히 탄성체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용한 중합체성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나프탈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실리콘, 및 이들의 조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도 5는 낭종으로서 표시된 조직 부위에 이식된 도 2의 스텐트(10)의 일단부를 도시한다. 낭종을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텐트(10)의 제1 단부 부분은 제1 앵커 부재(26),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 및 모두 낭종을 나타내는 공동부 내로 조직벽(46)을 통해 돌출하는 3개의 스페이서 부재(30)를 이용해서 조직벽의 개구부를 통해서 이식될 수 있다. 제2 앵커 부재(28)는 조직벽(46)을 가로질러 스텐트(1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직벽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앵커 부재(26)의 더 큰 직경은 스텐트(10)를 적소에 유지시키고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 내에 배치된다. 낭종 용적이 스텐트(10)의 루멘을 통한 배액으로 인해 감소됨에 따라서, 하부 낭종벽(도 2 참조)은,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 대신에, 스페이서 부재(30)와 접촉할 것이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의 벽이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를 수축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스페이서 부재(30)는 낭종벽으로부터 멀리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를 유지시키고 유체가 인접하는 스페이서 부재(30) 사이로 그리고 관형 본체(20)의 루멘에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 둘레로 통과시켜서 낭종으로부터의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모든 유체가 낭종으로부터 배출된 경우에도, 낭종벽은 스페이서 부재(30)에 의해 관형 본체(20)의 제1 단부(22)로부터 멀리 이격된다. 이 이격은 조직 자극 및/또는 결과적인 출혈을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스텐트(200)의 제1 단부(222)가 낭종(242)의 공동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직벽(46)을 통해서 배치된 스텐트(200)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스텐트(200)는 관형 본체(220), 관형 본체(220)의 제1 단부(222)에 인접한 제1 영역(236)으로부터 스페이서 부재(230)의 말단 단부(238)로 연장되는 제1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을 포함한다. 스텐트(200)는 관형 본체(220)의 제1 단부(222)에 인접한 제1 영역(237)으로부터 스페이서 부재(231)의 말단 단부(239)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231)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231)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의 제1 길이보다 더 짧은 제2 길이를 가져,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의 말단 단부(238)보다 관형 본체(220)의 제1 단부(222)에 더 가까운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231)의 말단 단부(239)를 위치시킨다. 낭종(242) 내 유체가 화살표(260)의 방향으로 스텐트(200)의 루멘을 통해서 배출됨에 따라서, 낭종벽(40)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의 말단 단부(238)를 붕괴시켜 맞물리게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낭종이 계속 배출되고, 낭종벽(40)이 관형 본체(220)의 제1 단부(222)를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은 관형 본체(220)의 제2 단부(224)를 향하여 화살표(250)의 방향으로 휘거나 또는 도로 구부러질 수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231)의 말단 단부(239)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낭종벽(40)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231)보다 더 유연할 수 있어서, 낭종벽(40)이 관형 본체(220)의 제1 단부(222)를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230)을 휘게 하거나 구부리게 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접히게 할 수 있다. 위에서 기재된 스페이서 부재(30)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부재(230, 231)의 제1 및 제2 그룹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인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 부재(230, 231)의 제1 및 제2 그룹의 하나 또는 둘 다는 관형 본체(320)에 인접한 제1 영역(236)보다 더 유연한 말단 단부(238)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 기재된 스텐트(10)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부재(230, 231)의 제1 및 제2 그룹이 루멘 벽과 맞물릴 경우, 스페이서 부재(230, 231)는 스텐트(200)를 고정시키는 불충분한 방사상 저항을 제공한다. 위에서 논의된 스페이서 부재(30)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부재(230, 231)는 스페이서 부재(230, 231) 상에 견인 또는 압착력을 적용하는 것이 관형 본체(2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관형 본체(320) 및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330)를 구비하는 스텐트(300)의 추가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관형 본체(320)는 하나 이상의 스텐트 와이어(315)로 형성되고 앵커 부재 없이 그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330)는 관형 본체(320)의 제1 단부(322), 관형 본체(320)의 제2 단부(324), 또는 둘 다에 부착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30)는 관형 본체(320)를 형성하는 와이어(315)로부터 또는 관형 본체(320)가 형성된 후에 관형 본체(320)에 부착된 와이어(335)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스텐트(10)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와이어(335)는 용착, 접착, 와이어 래핑 또는 기타 적합한 영구 접속에 의해서 관형 본체(32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스텐트(10)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페이서 부재(330)는, 스페이서 부재(330)에 견인 또는 압착력을 적용하는 것이 관형 본체(3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와이어(335)는 스페이서 부재(330)를 따라서 가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335)는 관형 본체(320)에 인접하고 스페이서 부재(330)의 말단 단부(338)의 영역에서 제2의 더 작은 두께로 점차로 테이퍼링되는 제1 영역(336)의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어서, 제1 영역(336)보다 더 유연한 말단 단부(338)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 부재(330)의 말단 단부(338)가 조직벽과 접촉 시 관형 본체(320)의 대향 단부를 향하여 도로 구부리거나 휘게 할 수 있다. 더 뻣뻣한 제1 영역(336)은 조직벽으로부터 멀리 관형 본체(320)의 단부를 유지시켜, 스텐트(300)의 루멘 내로 관형 본체(320)의 제1 단부(322) 둘레의 유체 배출을 허용한다. 스페이서 부재(330)의 말단 단부(338)의 유연성은 스페이서 부재(330)로 하여금 스텐트(300) 아래쪽의 조직벽에 서서히 맞물리게 할 수 있지만, 스페이서 부재(330)는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루멘 벽에 대해서 스텐트(300)를 고정시키는 불충분한 방사상 저항을 제공한다. 더 뻣뻣한 제1 영역(336)은 조직벽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텐트(300)를 고정시키는 길이방향으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조직벽(46)의 개구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관형 본체(320)의 제1 단부(322)를 도시한다. 스텐트(300)의 이 예에서, 스페이서 부재(330)는 조직벽의 개구부 내 적소에 스텐트(300)를 유지시키고 낭종 배출액으로서 조직벽으로부터 스텐트(300)의 관형 본체(320)의 제1 단부(322)를 이격시키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도 9는 관형 본체(420) 내로 직조되거나, 브레이드되거나, 편성되거나 또는 권취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415)로 형성된 관형 본체(420)를 가진 스텐트(4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스텐트(400)는 관형 본체(420)의 제1 단부(422)에 인접한 제1 영역(436)으로부터 스페이서 부재(430)의 말단 단부(438)로 연장되는 제1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430)을 포함한다. 스텐트(400)는 관형 본체(420)의 제1 단부(422)에 인접한 제1 영역(437)으로부터 스페이서 부재(431)의 말단 단부(439)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431)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431)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430)의 제1 길이보다 더 짧은 제2 길이를 가져,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430)의 말단 단부(438)보다 관형 본체(420)의 제1 단부(422)에 더 가깝게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431)의 말단 단부(439)를 위치시킨다.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430)은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431)보다 더 유연할 수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430)을 낭종 배출액 및 조직벽이 관형 본체(420)의 제1 단부(422)를 향하여 진행함에 따라서 휘게 하거나 구부리게 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접히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관형 본체(420)는, 앵커 부재 없이, 그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스페이서 부재(430, 431)의 제1 및 제2 그룹은 관형 본체(420)의 제1 단부(422), 관형 본체(420)의 제2 단부(424), 또는 둘 다에 부착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430, 431)는 관형 본체(420)가 형성된 후에 관형 본체(420)에 부착된 와이어(435) 또는 관형 본체(420)를 형성하는 와이어(415)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스텐트(10)에 의한 것처럼, 스페이서 부재(430, 431)는, 스페이서 부재(430, 431) 상에 견인 또는 압착력을 적용하는 것이 관형 본체(420)의 외경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와이어(435)는 스페이서 부재(430, 431)를 따라서 가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35)는 관형 본체(420)에 인접한 제1 영역(436, 437)에서의 제1 두께 및 말단 단부(438, 439)의 영역에서 제2의 더 작은 두께로 점점 테이퍼링되거나 이행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영역(436, 437)에서보다 더 유연한 말단 단부(438, 439)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조직벽과의 접촉 시에 스페이서 부재(430, 431)의 말단 단부(438, 439)가 관형 본체(420)의 제2 단부(424)를 향하여 도로 접히게 할 수 있다. 더 뻣뻣한 제1 영역(436, 437)은 조직벽으로부터 멀리 관형 본체(420)의 단부를 유지한다. 스페이서 부재(430, 431)의 말단 단부(438, 439)의 유연성은 스페이서 부재(430, 431)가 스텐트(400) 아래쪽의 조직벽과 서서히 맞물리게 할 수 있지만,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루멘 벽에 대해서 스텐트(400)를 고정시키는 불충분한 방사상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뻣뻣한 제1 영역(436, 437)은 조직벽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텐트(400)를 고정시키는 길이방향으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텐트(10)에서와 같이, 스텐트(100, 200, 300 및 400)는, 스텐트(100, 200, 300, 400)의 관형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배치된, 위에서 기재된 커버(70, 170)와 유사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관형 본체 of 스텐트(100, 200, 300, 400)의 관형 본체의 전체 길이를 완전히 덮어서 완전히 덮인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레이드 또는 직조 패턴에 획정된 간극은 모두 커버로 덮여서 관형 본체의 루멘에 조직 내부 성장 및 유체 누수를 방지한다. 다른 예에서, 커버는 스텐트(100, 200, 300, 400)의 관형 본체의 길이의 일부분만을 덮어서, 부분적으로 덮인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레이드 또는 직조 패턴에 획정된 간극의 일부분은 덮이지 않은 채로 있어서, 조직 내부 성장을 허용한다. 몇몇 경우에, 스페이서 부재(130, 230, 330, 430)는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고, 따라서 전체 관형 본체 및 스페이서 부재(130, 230, 330, 430)를 비롯한 전체 스텐트(100, 200, 300, 400)는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스페이서 부재(130, 230, 330, 430)를 형성하는 와이어(들)에 의해서 형성된 루프의 인접한 측면들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이러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한편, 인접한 스페이서 부재(130, 230, 330, 430) 사이의 간극은 임의의 커버 재료가 없을 수 있고, 스텐트(100, 200, 300, 400)의 단부 둘레에서 스페이서 부재(130, 230, 330, 430) 사이로 그리고 스텐트(100, 200, 300, 400)의 루멘에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각종 스텐트 유형 및 스텐트 구성이 스텐트(10, 100, 200, 300, 400)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10, 100, 200, 300, 400)는 자체-확장 스텐트 또는 풍선 확장 가능한 스텐트일 수 있다. 스텐트(10, 100, 200, 300, 400)는 전달용의 압착된 또는 접혀진 구성으로 방사상으로 수축될 수 있고, 이어서 본체 루멘에서 전개 동안 확대된 구성으로 확장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10, 100, 200, 300, 400)는 방사상으로 팽창성이거나 또는 변형 가능한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자체-확장 스텐트는, 스텐트를 방사상으로 확장시키는 스프링-유사 작용을 갖는 것, 또는 소정 온도에서 특정 구성을 위하여 스텐트 재료의 기억 특성으로 인해 확장되는 스텐트를 포함한다. 스텐트의 구성은 또한 기하형태의 호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스텐트는 와이어로 파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또는 이것 없이 연속적인 나선형 패턴으로 체결되어, 방사상으로 변형 가능한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다. 개별적인 링 또는 원형 부재가 예컨대 지주(strut), 봉합사, 링의 용착 또는 인터레이싱(interlacing) 또는 로킹부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어 관형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텐트(10, 100, 200, 300, 400)는 관으로부터 상호접속된 지주의 패턴을 에칭 또는 커팅함으로써 모놀리식 관형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많은 관점에서, 오로지 예시적인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초과하는 일 없이 특히 형상, 크기 및 단계의 배열에 관하여 상세히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적절한 정도로 다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물론 첨부된 청구범위가 표현하는 용어로 정의된다.

Claims (15)

  1. 스텐트로서,
    하나 이상의 교차직조된 와이어(interwoven wire)로 형성된 관형 본체로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 및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lumen)을 구비하는, 상기 관형 본체;
    상기 제1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앵커 부재(anchor member)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앵커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상기 관형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앵커 부재와 상기 제2 앵커 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관형 본체의 외경(outer diameter)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 및
    상기 제1 개방 단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를 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로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에 견인력(pulling force)이 인가된 경우, 상기 관형 본체의 상기 외경은 저감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상기 관형 본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레그(leg)를 갖는,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관형 본체의 상기 외경을 넘어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스텐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단일 와이어 루프로 형성되는, 스텐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관형 본체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는, 스텐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관형 본체와 교차직조되는, 스텐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관형 본체보다 덜 유연한, 스텐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는 제1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을 포함하는,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제1 그룹은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제2 그룹보다 더 유연한, 스텐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는 커버(covering)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는 그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 유연성을 갖는,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관형 본체에 인접한 제1 영역에서 제1 두께를 그리고 상기 관형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서 배치된 제2 영역에서 제2 두께를 갖는 테이퍼 형상 와이어(tapered wire)로 형성되는, 스텐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아, 상기 제2 영역에서 더 큰 유연성을 초래하는, 스텐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상기 제2 개방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획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텐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 단부에 배치된 회수 요소(retrieval element)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KR1020207014368A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KR10243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9012A KR102614314B1 (ko)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6890P 2017-10-25 2017-10-25
US62/576,890 2017-10-25
PCT/US2018/057308 WO2019084136A1 (en) 2017-10-25 2018-10-24 STENT WITH ATRAUMATIC SPAC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12A Division KR102614314B1 (ko)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974A true KR20200074974A (ko) 2020-06-25
KR102436996B1 KR102436996B1 (ko) 2022-08-26

Family

ID=645004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12A KR102614314B1 (ko)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KR1020207014368A KR102436996B1 (ko)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12A KR102614314B1 (ko) 2017-10-25 2018-10-24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304795B2 (ko)
EP (2) EP4238539A3 (ko)
JP (3) JP6989698B2 (ko)
KR (2) KR102614314B1 (ko)
CN (2) CN115006052A (ko)
CA (1) CA3079094C (ko)
WO (1) WO2019084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2516A1 (en) * 2022-03-31 2023-10-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visual indica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541A2 (en) * 2005-05-13 2006-11-23 Boston Scientific Limited Integrated stent repositioning and retrieval loop
US20070027526A1 (en) * 2005-07-27 2007-02-01 Cook Critical Care Incorporated Stent/graft device and method for open surgical placement
JP2011509124A (ja) * 2008-01-07 2011-03-24 ミクラス エンドバスキュ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放射線不透過性超弾性血管内ステント
KR20170118154A (ko) * 2015-02-20 2017-10-24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인입 가능한 앵커를 가진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4435A (en) 1990-06-28 1991-11-12 Schneider (Usa) Inc. Self-expanding prosthesis having stable axial length
WO1993019803A1 (en) 1992-03-31 1993-10-1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wire
US7101392B2 (en) 1992-03-31 2006-09-05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Tubular medical endoprostheses
US5474563A (en) 1993-03-25 1995-12-12 Myler; Richard Cardiovascular stent and retrieval apparatus
US5632772A (en) * 1993-10-21 1997-05-27 Corvita Corporation Expandable supportive branched endoluminal grafts
US5989280A (en) 1993-10-22 1999-11-23 Scimed Lifesystems, Inc St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RU2089131C1 (ru) 1993-12-28 1997-09-10 Сергей Апполонович Пульнев Стент
US5575816A (en) 1994-08-12 1996-11-19 Meadox Medicals, Inc. High strength and high density intraluminal wire stent
BE1009278A3 (fr) * 1995-04-12 1997-01-07 Corvita Europ Tuteur auto-expansible pour dispositif medical a introduire dans une cavite d'un corps, et dispositif medical muni d'un tel tuteur.
BE1009277A3 (fr) 1995-04-12 1997-01-07 Corvita Europ Tuteur auto-expansible pour dispositif medical a introduire dans une cavite d'un corps,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H09215753A (ja) 1996-02-08 1997-08-19 Schneider Usa Inc チタン合金製自己拡張型ステント
US5941895A (en) 1996-09-04 1999-08-24 Hemodynamics, Inc. Cardiovascular stent and retrieval apparatus
US6241757B1 (en) 1997-02-04 2001-06-05 Solco Surgical Instrument Co., Ltd.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US6027529A (en) 1997-04-15 2000-02-22 Schneider (Usa) Inc Protheses with selectively welded crossing strands
US5836966A (en) 1997-05-22 1998-11-17 Scimed Life Systems, Inc. Variable expansion force stent
DE69732229T2 (de) 1997-07-17 2005-12-29 Schneider (Europe) Gmbh Sten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6174330B1 (en) 1997-08-01 2001-01-16 Schneider (Usa) Inc Bioabsorbable marker having radiopaque constituents
US6254642B1 (en) 1997-12-09 2001-07-03 Thomas V. Taylor Perorally insertable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implantation thereof
US6626939B1 (en) 1997-12-18 2003-09-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graft with bioabsorbable structural support
US6520983B1 (en) 1998-03-31 2003-02-18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US6264689B1 (en) 1998-03-31 2001-07-24 Scimed Life Systems, Incorporated Low profile medical stent
US5980533A (en) 1998-06-09 1999-11-09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US6120522A (en) 1998-08-27 2000-09-19 Scimed Life Systems, Inc. Self-expanding stent delivery catheter
AU747060B2 (en) 1998-08-31 2002-05-0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nti-reflux esophageal prosthesis
US7018401B1 (en) 1999-02-01 2006-03-2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Woven intravascula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he same
AU6000200A (en) 1999-07-16 2001-02-05 Biocompatibles Limited Braided stent
US6409753B1 (en) 1999-10-26 2002-06-25 Scimed Life Systems, Inc. Flexible stent
US6585758B1 (en) 1999-11-16 2003-07-01 Scimed Life Systems, Inc. Multi-section filamentary endoluminal stent
US6468303B1 (en) 2000-03-27 2002-10-22 Aga Medical Corporation Retrievable self expanding shunt
US6569181B1 (en) 2000-12-20 2003-05-2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retrieval system
US6620122B2 (en) 2001-04-26 2003-09-16 Scimed Life Systems, Inc. Gastric pseudocyst drainage and stent delivery system for use therein
US6663663B2 (en) 2001-05-14 2003-12-16 M.I. Tech Co., Ltd. Stent
US6821291B2 (en) 2001-06-01 2004-11-23 Ams Research Corporation Retrievable st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MXPA03012055A (es) 2001-06-20 2005-07-01 Park Medical Llc Dispositivo anastomotico.
US7175655B1 (en) 2001-09-17 2007-02-13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Avoiding stress-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 nickel titanium alloys used in medical devices
US20030083734A1 (en) 2001-10-25 2003-05-01 Curative Ag Stent
JP2005515829A (ja) 2002-01-28 2005-06-02 オーバ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ク. フレア形の開口挿入人工器具および送出システム
US7001425B2 (en) 2002-11-15 2006-02-21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st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40102855A1 (en) 2002-11-21 2004-05-27 Scimed Life Systems, Inc. Anti-reflux stent
US7608114B2 (en) 2002-12-02 2009-10-27 Gi Dynamics, Inc. Bariatric sleeve
ATE504272T1 (de) 2003-05-23 2011-04-15 Boston Scient Ltd Stents mit angebrachten schlaufen
WO2005060882A1 (en) 2003-12-09 2005-07-07 Gi Dynamics, Inc. Apparatus to be anchored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nchoring method
US20050131515A1 (en) 2003-12-16 2005-06-16 Cully Edward H. Removable stent-graft
US7763011B2 (en) 2003-12-22 2010-07-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riable density braid stent
US20050154447A1 (en) * 2004-01-09 2005-07-14 Medtronic Vascular, Inc. Ostium stent system
US20050228413A1 (en) 2004-04-12 2005-10-13 Binmoeller Kenneth F Automated transluminal tissue targeting and anchoring devices and methods
US8425539B2 (en) 2004-04-12 2013-04-23 Xlumena, Inc. Luminal structure anchoring devices and methods
US7993387B2 (en) 2004-05-14 2011-08-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reduced weld profiles and a closed-end wire configuration
AU2005287010B2 (en) 2004-09-17 2010-04-15 Gi Dynamics, Inc. Gastrointestinal anchor
WO2006053270A2 (en) 2004-11-10 2006-05-18 Boston Scientific Limited Atraumatic stent with reduced deployment forc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nd positioning the stent
JP5260964B2 (ja) * 2005-01-28 2013-08-1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植込み可能な拡張性バンド
US8109962B2 (en) 2005-06-20 2012-02-0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Retrievable device having a reticulation portion with staggered struts
US7670369B2 (en) 2005-10-13 2010-03-02 Cook Incorporated Endoluminal prosthesis
WO2007079153A2 (en) 2005-12-29 2007-07-12 Wilson-Cook Medical Inc. A hybrid intraluminal device with varying expansion force
US8105392B2 (en) 2006-11-08 2012-01-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yloric obesity valve
US8221505B2 (en) 2007-02-22 2012-07-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US20080228256A1 (en) 2007-03-13 2008-09-18 Medtronic Vascular, Inc. Braided Flange Branch Graft for Branch Vessel
BRPI0819217B8 (pt) 2007-10-25 2021-06-22 Symetis Sa válvula de substituição para uso dentro de um corpo humano, sistema para substituir uma válvula dentro de um corpo humano e sistema de liberação da válvula cardíaca com stent
US20090276040A1 (en) 2008-05-01 2009-11-0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mitral valve
US20090281379A1 (en) 2008-05-12 2009-11-12 Xlumen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luminal access
US8454632B2 (en) 2008-05-12 2013-06-04 Xlumena, Inc. Tissue anchor for securing tissue layers
US8114147B2 (en) 2008-06-16 2012-02-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ntinuous double layered stent for migration resistance
US20110190662A1 (en) * 2008-10-01 2011-08-04 Beacon Endoscopic Corporation Rapid exchange fna biopsy device with diagnostic and therapeutic capabilities
US8151682B2 (en) 2009-01-26 2012-04-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traumatic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2012522595A (ja) 2009-04-03 2012-09-27 メタモデ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消化管用人工器官
US9173760B2 (en) 2009-04-03 2015-11-03 Metamodix, Inc.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gastrointestinal implants
US20100305590A1 (en) 2009-05-29 2010-12-02 Gi Dynamics, Inc. Transpyloric Anchoring
JP5535313B2 (ja) 2009-05-29 2014-07-02 エックスルミ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隣接する組織層にわたってステントを展開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GB2472603B (en) * 2009-08-11 2011-12-1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8784473B2 (en) 2009-09-10 2014-07-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prosthesis with filament repositioning or retrieval member and guard structure
ES2600863T3 (es) 2009-09-21 2017-02-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ucle integrado de recuperación de stent adaptado para recuperación por agarre y/o ensartado optimizado
EP3153135A1 (en) 2009-12-18 2017-04-12 Coloplast A/S A gastrointestinal implant device
EP2563289B1 (en) 2010-04-30 2017-08-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uodenal metabolic stent
US9526648B2 (en) 2010-06-13 2016-12-27 Synerz Medical, Inc.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US9867725B2 (en) * 2010-12-13 2018-01-16 Microvention, Inc. Stent
WO2012087301A1 (en) 2010-12-21 2012-06-28 Microvention, Inc. Stent
US9028540B2 (en) 2011-03-25 2015-05-12 Covidien Lp Vascular stent with improved vessel wall apposition
WO2013019851A1 (en) 2011-08-04 2013-02-0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Non-woven helical wire stent
CN104114128A (zh) 2011-12-19 2014-10-22 维斯拉生物医药有限公司 内腔假体和胃肠植入装置
FR2984724B1 (fr) 2011-12-23 2014-01-24 Assist Publ Hopitaux De Paris Prothese expansive destinee a etre implantee dans le tube digestif d'un patient.
KR101968885B1 (ko) 2012-03-16 2019-04-15 테루모 코퍼레이션 스텐트 및 스텐트 전달 장치
ES2654189T3 (es) 2012-09-12 2018-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vestimiento adhesivo anti-migración para stent
AU2012258395B1 (en) 2012-11-27 2013-03-2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ssembly of stent grafts with diameter reducing ties
US20140156020A1 (en) 2012-12-04 2014-06-05 Shanda Haley Blackmon St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CA2902775C (en) 2013-02-28 2017-11-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for use along the biliary and/or pancreatic tract
CN105873547B (zh) 2013-11-08 2019-05-03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腔内装置
WO2015157281A1 (en) 2014-04-08 2015-10-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artially coated stents
KR101946222B1 (ko) 2014-05-28 2019-04-17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고주파 절단 팁 및 가열식 풍선을 구비한 카테터를 포함하는 스텐트 전달 시스템
US9801749B2 (en) 2014-09-18 2017-10-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s allowing pyloric sphincter to normally function for bariatric stents
RU2019101908A (ru) 2015-07-20 2019-03-05 Стратака Системз Лимитед Кате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мочевом пузыре пациента
EP3349669B1 (en) 2015-09-18 2020-10-21 Terumo Corporation Vessel prosthesis
US10470904B2 (en) * 2016-05-18 2019-1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retrieval system
WO2018089557A1 (en) * 2016-11-09 2018-05-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including displacement capabilities
KR102271907B1 (ko) * 2017-03-02 2021-07-02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내부 라이너를 포함하는 식도 스텐트
EP3595594A4 (en) * 2017-03-15 2021-04-21 Merit Medical Systems, Inc. TRANSLUMINAL STENTS AND RELATED PROCESSES
KR20230158630A (ko) * 2017-03-30 2023-11-20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조직-벽 고정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
CN107126306B (zh) * 2017-06-27 2024-05-14 杭州糖吉医疗科技有限公司 胃导流器及其支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541A2 (en) * 2005-05-13 2006-11-23 Boston Scientific Limited Integrated stent repositioning and retrieval loop
US20070027526A1 (en) * 2005-07-27 2007-02-01 Cook Critical Care Incorporated Stent/graft device and method for open surgical placement
JP2009502343A (ja) * 2005-07-27 2009-01-29 クック クリティカル ケ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開腹手術で留置するためのステント・グラフト装置と方法
JP2011509124A (ja) * 2008-01-07 2011-03-24 ミクラス エンドバスキュ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放射線不透過性超弾性血管内ステント
KR20170118154A (ko) * 2015-02-20 2017-10-24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인입 가능한 앵커를 가진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9094A1 (en) 2019-05-02
CN115006052A (zh) 2022-09-06
KR102436996B1 (ko) 2022-08-26
JP2021500181A (ja) 2021-01-07
EP4238539A2 (en) 2023-09-06
KR102614314B1 (ko) 2023-12-14
US20190117370A1 (en) 2019-04-25
US20220218461A1 (en) 2022-07-14
KR20220123320A (ko) 2022-09-06
CN111356420A (zh) 2020-06-30
EP3700474A1 (en) 2020-09-02
JP6989698B2 (ja) 2022-01-05
EP3700474B1 (en) 2023-08-23
JP2022019920A (ja) 2022-01-27
EP4238539A3 (en) 2023-10-18
JP2023134841A (ja) 2023-09-27
CN111356420B (zh) 2022-07-08
US11304795B2 (en) 2022-04-19
JP7324267B2 (ja) 2023-08-09
CA3079094C (en) 2022-07-12
WO2019084136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4267B (zh) 用于吻合口旁路的装置
JP5260964B2 (ja) 植込み可能な拡張性バンド
EP3597256B1 (en) Integrated stent repositioning and retrieval loop
US6613079B1 (en) Radially-expandable stent with controllable force profile
JP6197122B2 (ja) 逸脱防止コネクタを備えたステント
KR101937112B1 (ko) 관내 디바이스
US20160113789A1 (en) Stent with flexible hinge
EP2814423B1 (en) Endoprosthesis with varying compressibility
JP2023134841A (ja) 非外傷性スペーサを備えたステント
US9610179B2 (en) Atraumatic stent crowns
US10226323B2 (en) Double cone biodegradable filter
US20090093869A1 (en) Medical device with curved struts
US20190151069A1 (en) Double cone biodegradabl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