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745A -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745A
KR20200074745A KR1020180163480A KR20180163480A KR20200074745A KR 20200074745 A KR20200074745 A KR 20200074745A KR 1020180163480 A KR1020180163480 A KR 1020180163480A KR 20180163480 A KR20180163480 A KR 20180163480A KR 20200074745 A KR20200074745 A KR 2020007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lens optical
focal length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513B1 (ko
Inventor
정길수
김유정
정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씨
Priority to KR102018016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5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렌즈 광학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오목한 제4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광학계 {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이 짧으면서도 고해상도와 고배율을 제공하는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입통제시스템, 컴퓨터보안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인간의 신체적 특징을 이용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생체인식기술의 범위도 종래에는 지문인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홍채인식, 음성인식, 정맥인식 등과 같이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눈의 동공을 둘러싸는 홍채는 일란성 쌍둥이도 완전히 다른 패턴을 가질 정도로 개인별 특성이 뚜렷하고 지문에 비해 훨씬 인식정확도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홍채인식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홍채인식을 위해서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홍채의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홍채의 영상데이터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홍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 생성된 홍채코드를 저장된 홍채코드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된다.
한편 홍채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특징을 정확히 추출하기 위해서는 홍채의 직경이 10~11mm, 물체거리가 300mm라고 할 때,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에 맺히는 상이 통상 세로방향으로 200픽셀 이상 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1558139호 “촬영 렌즈 광학계”는 차량용 카메라에 채용되는 촬영 렌즈 광학계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소형의 고해상도 및 고배율의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셀 사이즈가 작은 소형의 높은 해상도를 갖는 상센서와 결합한 고해상도 카메라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초점거리 대비 전장이 매우 짧은 홍채 인식용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여 홍채 영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하고, 홍채 인식용 소형 촬영 렌즈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 휴대 단말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렌즈 광학계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오목한 제4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제1 렌즈
0.75 < | f1/f | < 1.2
여기서, f1는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렌즈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제4 렌즈
-0.85 < | f4/f | < -0.45
여기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상기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오목한 제4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제4 렌즈
-0.85 < | f4/f | < -0.45
여기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렌즈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0.75 < | f1/f | < 1.2
여기서, f1는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상기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의 고해상도 및 고배율의 렌즈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셀 사이즈가 작은 소형의 높은 해상도를 갖는 상센서와 결합한 고해상도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초점거리 대비 전장이 매우 짧은 홍채 인식용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여 홍채 영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하고, 홍채 인식용 소형 촬영 렌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 휴대 단말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렌즈 광학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제1 렌즈(10), 제2 렌즈(20), 제3 렌즈(30), 조리개(40), 제4 렌즈(50)를 포함한다.
이 때,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될 수 있다.
제1 렌즈(10)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제2 렌즈(2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 렌즈(50)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조리개(40)는 제3 렌즈(30)와 상기 제4 렌즈(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70)에는 이미지 센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제4 렌즈(50)와 상면(70) 사이에는 더미 글래스(60)가 위치할 수 있다(60).
더미 글래스(60)는 필터 부재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부재는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주야간 필터 등의 필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렌즈(10) 내지 제4 렌즈(50) 중 적어도 하나는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10) 내지 제4 렌즈(50)가 모두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제1 렌즈(10) 내지 제4 렌즈(5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10) 내지 제4 렌즈(50)가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들 중 비구면으로 형성된 렌즈는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2 내지 A12는 비구면 계수를 각각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10)는 수학식 2의 제1 렌즈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0.75 < | f1/f | < 1.2
여기서, f1는 상기 제1 렌즈(10)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상기 제1 렌즈(10)의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상면만곡의 변동이 커지게 되고 해상도를 만족하기 위해 렌즈 단품의 제작공차와 렌즈 Assembly의 조립공차가 까다로워진다.
또한, 제4 렌즈(50)는 수학식 3의 제4 렌즈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0.85 < | f4/f | < -0.45
여기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상기 제4 렌즈(50)의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상면만곡의 변동이 커지게 되고 해상도를 만족하기 위해 렌즈 단품의 제작공차와 렌즈 Assembly의 조립공차가 까다로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상기 제1 렌즈(10)의 조건 또는 제4 렌즈(50)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상면만곡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 공차와 렌즈 Assembly의 조립공차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상기 제1 렌즈(10)의 조건 또는 제4 렌즈(50)의 조건을 만족하면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가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 거리 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도 고배율 및 고해상도의 렌즈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홍채 인식용 렌즈에 적용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편하게 촬영할 수 있는 약 300mm의 거리에서도 10~11mm 에 해당하는 홍채 영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홍채 인식용 렌즈 광학계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홍채 인식용 렌즈 광학계의 카메라모듈의 이미지 센서에 맺히는 상이 세로 방향으로 200픽셀 이상이 되도록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수차는 표 1과 같은 렌즈 데이터에 따라 도 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No f D Ratio
제1 렌즈 6.874251 4.5 0.997
제2 렌즈 265.3813 2.798 38.479
제3 렌즈 11.35865 2.0187 1.647
제4 렌즈 -4.59639 2.4961 -0.666
OAL 6.2495 0.906
EFL 6.8968
FNO 2.3447
이 때, f 는 초점거리, D는 두께(mm), Ratio(초점거리 비)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 OAL(OverAll Length)는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mm), EFL(Effective Focal Length)는 유효 초점 거리(mm) 및 FNO(F-number)는 f값(렌즈의 초점 거리/조리개 유효직경)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제1 렌즈(10)의 초점거리 비는 0.997 이고, 제1 렌즈(10)의 조건은 0.75 < | f1/f | < 1.2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 렌즈(50)의 초점거리 비는 -0.666 이고, 제4 렌즈(50)의 조건은 -0.85 < | f4/f | < -0.45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상이 상면(70)에 올바르게 입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0)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데이터는 표 2 및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o f D Ratio
제1 렌즈 5.16584 4.5 0.749
제2 렌즈 -13.8612 2.8739 -2.010
제3 렌즈 9.201263 1.8883 1.334
제4 렌즈 -4.25516 2.5882 -0.617
OAL 6.0141 0.872
EFL 6.8805
FNO 2.3391
이 때, f 는 초점거리, D는 두께(mm), Ratio(초점거리 비)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 OAL(OverAll Length)는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mm), EFL(Effective Focal Length)는 유효 초점 거리(mm) 및 FNO(F-number)는 f값(렌즈의 초점 거리/조리개 유효직경)을 나타낸다.
s R D N ND VD CLH
-1 ******** 350 1 0 100
0 ******** 0 1 0 100
1 2.57703 1.0209 APEL 1.551 0 2.25
2 5.36113 1.274 1 0 100
3 20.12792 0.3862 APEL 1.551 0 100
4 -43.7397 0.6844 1 0 100
5 59.997 0.3406 APEL 1.551 0 100
6 -6.40773 0.1791 1 0 100
7 0 0.2398 1 0 0.75
8 0 1.1 1 0 100
9 -2.76429 0.6 APEL 1.551 0 100
10 11.14241 0.1 1 0 100
11 ******** 0.3 BSC7 1.5168 64.2 100
12 ******** 1.025 1 0 100
13 ******** 0 1 0 100
14 ******** 0 1 0 100
F.L 6.8713 MAG -.020328 BACK.F 1.0250
STOP SUF,DIS 1 .000 ENP= .000 EXP= -4.081
SUM D= 7.250
여기서, 각 면(s)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 물체면
s0: 입사동면 (가상)
s1-s2: 제1 렌즈
s3-s4: 제2 렌즈
s5-s6: 제3 렌즈
s7: 스톱면 (Stop surface)
s8: 더미 글래스(Dummy surface)
s9-s10: 제 4렌즈
s11-s12: 필터 부재(IR Filter)
s13: 더미 글래스(Dummy surface)
s14: 상면
여기서, 면 번호 뒤의 * 표시는 그 면이 비구면 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R은 곡률반경, D는 두께, N은 렌즈의 재질(APEL은 플라스틱 재질의 일 예, BSC7은 유리 재질의 일 예), ND는 렌즈의 굴절률, VD는 아베수 를 나타낼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10)의 초점거리 비는 0.749 이고, 제1 렌즈(10)의 조건은 0.75 < | f1/f | < 1.2 이므로 제1 렌즈(10)의 조건식 하한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상이 상면(70)에 올바르게 입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산출하기 위한 렌즈들의 비구면 계수를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 s2 s3 s4
k 0.00E+00 -2.13E+01 -1.00E+03 -5.00E+00
A4 -1.15524369190E-03 2.02496106850E-02 2.29597428650E-02 1.37938022690E-02
A6 1.31778292100E-04 -2.80885899230E-03 -1.25690496010E-02 -9.94329015570E-03
A8 4.15549031820E-05 7.09761676590E-04 4.35232940390E-03 4.76424386410E-03
A10 -1.85216173150E-05 -1.61567973480E-04 -4.95722286810E-04 -6.66496021180E-04
A12 -8.38383474640E-07 1.50897952940E-05
s5 s6 s9 s10
k 0.00E+00 0.00E+00 -2.77E+01 -1.00E+03
A4 -4.62915796710E-02 -5.65070922240E-02 -2.81337777090E-01 -5.16779766020E-02
A6 -3.00694708090E-02 -2.27695486460E-02 2.55197172350E-01 -8.69467004970E-04
A8 2.03044418470E-03 -1.06680854070E-03 -2.41357222410E-01 1.97334140340E-02
A10 -5.55307620800E-03 1.92501713570E-04 1.41655902960E-01 -1.20722152310E-02
A12 -3.07992019540E-02 2.82365140130E-03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0)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데이터는 표 5 및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o f D Ratio
1 8.199 4.500 1.189
2 25.747 2.922 3.733
3 10.810 2.001 1.567
4 -4.067 2.444 -0.590
OAL 6.225 0.903
EFL 6.8773
FNO 2.338
s R D N ND VD CLH
-1 ******* 350 1 0 100
0 ******* 0 1 0 100
1 2.32489 1.4 APEL 1.551 0 2.25
2 11.39182 0.6082 1 0 100
3 43.52225 0.3409 APEL 1.551 0 100
4 6.33417 0.65 1 0 100
5 33.19695 0.3294 APEL 1.551 0 100
6 -5.77897 0.1571 1 0 100
7 0 0.1014 1 0 0.75
8 0 0.8271 1 0 100
9 -2.87982 1.2 APEL 1.551 0 100
10 12.61871 0.1 1 0 100
11 ******* 0.3 BSC7 1.5168 64.2 100
12 ******* 0.9194 1 0 100
13 ******* 0 1 0 100
14 ******* 0 1 0 100
F.L 6.8742 MAG -.020353 BACK.F .9194
STOP SUF,DIS 1 .000 ENP= .000 EXP= -4.000
SUM D= 6.934
표 5를 참조하면, 제1 렌즈(10)의 초점거리 비는 1.189 이고, 제1 렌즈(10)의 조건은 0.75 < | f1/f | < 1.2 이므로 제1 렌즈(10)의 조건식 상한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상이 상면(70)에 올바르게 입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산출하기 위한 렌즈들의 비구면 계수를 표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 s2 s3 s4
k 0.00E+00 -2.49E+01 -1.00E+03 -5.00E+00
A4 -5.84364522980E-04 1.34771992500E-02 2.52124736170E-02 2.13095387670E-02
A6 -2.76101594210E-04 -2.22217587820E-03 -1.23763717200E-02 -1.02293550440E-02
A8 2.07601633620E-05 7.52024167990E-04 4.45031524640E-03 5.26291483990E-03
A10 6.71484642010E-06 -1.58356763800E-04 -4.96153161870E-04 -4.09672834980E-05
A12 -2.74019740010E-06 1.55340873370E-05
s5 s6 s9 s10
k 0.00E+00 0.00E+00 -2.87E+01 -1.00E+03
A4 -5.49558993140E-02 -5.59252544680E-02 -2.11495616760E-01 -8.28649722820E-03
A6 -2.86445435750E-02 -2.47171896340E-02 1.87199014920E-01 -2.09549456170E-02
A8 4.64963510580E-04 -1.71124088990E-03 -1.95168430190E-01 1.85657391160E-02
A10 -6.85291842000E-03 -1.24729537370E-04 1.16032439930E-01 -8.17893179740E-03
A12 -2.87753108870E-02 1.42062531250E-03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50)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데이터는 표 8 및 표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o f D Ratio
제1 렌즈 7.04973 4.5 1.022
제2 렌즈 -51.9385 2.9136 -7.531
제3 렌즈 9.739889 2.054 1.412
제4 렌즈 -5.76984 2.5032 -0.837
OAL 6.2535 0.907
EFL 6.8217
FNO 2.3191
s R D N ND VD CLH
-1 ******** 350 1 0 100
0 ******** 0 1 0 100
1 2.48495 1.1435 APEL 1.551 0 2.25
2 6.08042 1.2443 1 0 100
3 21.6616 0.3915 APEL 1.551 0 100
4 12.11071 0.6075 1 0 100
5 37.8884 0.3205 APEL 1.551 0 100
6 -6.04382 0.2414 1 0 100
7 0 0.2024 1 0 0.75
8 0 1.1024 1 0 100
9 -3.87207 0.6 APEL 1.551 0 100
10 16.27364 0.1 1 0 100
11 ******** 0.3 BSC7 1.5168 64.2 100
12 ******** 0.9966 1 0 100
13 ******** 0 1 0 100
14 ******** 0 1 0 100
F.L 6.8168 MAG -.020091 BACK.F .9966
STOP SUF,DIS 1 .000 ENP= .000 EXP= -4.480
SUM D= 7.250
표 8을 참조하면, 제4 렌즈(50)의 초점거리 비는 -0.837 이고, 제4 렌즈(50)의 조건은 -0.85 < | f4/f | < -0.45 이므로 조건식 하한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상이 상면(70)에 올바르게 입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50)의 조건식 하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산출하기 위한 렌즈들의 비구면 계수를 표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 s2 s3 s4
k 0.00000000000E+00 -2.23032105060E+01 -1.00000000000E+03 -5.00000000000E+00
A4 -7.57E-04 1.64E-02 3.15E-02 2.86E-02
A6 -1.97821973590E-04 -2.29726262290E-03 -1.11319501070E-02 -9.00863520360E-03
A8 7.45E-05 7.39E-04 4.63E-03 5.84E-03
A10 -7.12324559320E-06 -1.59769229530E-04 -4.51787358620E-04 -4.50209454620E-05
A12 -1.85E-06 1.52E-05
s5 s6 s9 s10
k 0.00000000000E+00 0.00000000000E+00 -3.33044406070E+01 -1.00000000000E+03
A4 -4.60E-02 -4.85E-02 -1.52E-01 -2.69E-02
A6 -2.71843261340E-02 -1.91153931550E-02 1.55986283950E-01 -9.30489704750E-03
A8 3.50E-03 -1.28E-04 -1.90E-01 1.51E-02
A10 -4.39814092650E-03 -4.74600819940E-04 1.39329165220E-01 -7.54428229770E-03
A12 -3.89E-02 1.67E-03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10)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데이터는 표 11 및 표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o f D Ratio
제1 렌즈 7.687758 4.5 1.115
제2 렌즈 49.93911 2.7992 7.241
제3 렌즈 7.99693 1.9593 1.160
제4 렌즈 -3.17974 2.5332 -0.461
OAL 6.3668 0.923
EFL 6.9735
FNO 2.3707
s R D N ND VD CLH
-1 ********** 350 1 0 100
0 ********** 0 1 0 100
1 2.59503 1.0283 APEL 1.551 0 2.25
2 6.02931 1.1838 1 0 100
3 22.51499 0.3398 APEL 1.551 0 100
4 140.2541 0.649 1 0 100
5 17.60727 0.464 APEL 1.551 0 100
6 -5.62071 0.1 1 0 100
7 0 0.1652 1 0 0.75
8 0 1.0867 1 0 100
9 -2.15289 0.95 APEL 1.551 0 100
10 9.48512 0.1 1 0 100
11 ********** 0.3 BSC7 1.5168 64.2 100
12 ********** 0.8933 1 0 100
13 ********** 0 1 0 100
14 ********** 0 1 0 100
F.L 6.9669 MAG -.020692 BACK.F .8933
STOP SUF,DIS 1 .000 ENP= .000 EXP= -3.793
SUM D= 7.260
표 11을 참조하면, 제4 렌즈(50)의 초점거리 비는 -0.461 이고, 제4 렌즈(50)의 조건은 -0.85 < | f4/f | < -0.45 이므로 조건식 상한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의 상이 상면(70)에 올바르게 입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50)의 조건식 상한에 해당하는 렌즈 광학계의 수차를 산출하기 위한 렌즈들의 비구면 계수를 표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 s2 s3 s4
k 0.00000000000E+00 -2.14E+01 -1.00E+03 -5.00E+00
A4 -1.67E-03 1.43260896620E-02 1.82721532130E-02 1.12783259390E-02
A6 -2.69609631020E-04 -2.65444651940E-03 -1.23421748480E-02 -1.12312177690E-02
A8 5.37887746430E-05 7.12406493040E-04 4.32552839700E-03 4.59122998130E-03
A10 -1.58471530420E-05 -1.63986465930E-04 -5.50688746220E-04 -5.94170809440E-04
A12 -2.09572898360E-06 1.41954422520E-05
s5 s6 s9 s10
k 0.00E+00 0.00E+00 -2.58E+01 -1.00E+03
A4 -4.65378837560E-02 -5.96574349920E-02 -3.72709041740E-01 -2.23823525710E-02
A6 -3.21631285010E-02 -2.47471220140E-02 4.28987819860E-01 -1.69030080420E-02
A8 1.46395901660E-03 -8.39374303690E-04 -4.38442581080E-01 2.57249202770E-02
A10 -6.81298925440E-03 1.26510474290E-03 2.64720577250E-01 -1.18192631190E-02
A12 -6.23251033650E-02 2.14079303970E-03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제1 렌즈 20: 제2 렌즈
30: 제3 렌즈 40: 조리개
50: 제4 렌즈 60: 더미 글래스
70: 상면

Claims (10)

  1.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오목한 제4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
    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제1 렌즈 조건
    0.75 < | f1/f | < 1.2
    여기서, f1는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제4 렌즈 조건
    -0.85 < | f4/f | < -0.45
    여기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 거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6.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렌즈들이 배열된 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상기 물체측으로 오목한 제4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
    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제4 렌즈 조건
    -0.85 < | f4/f | < -0.45
    여기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0.75 < | f1/f | < 1.2
    여기서, f1는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 거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KR1020180163480A 2018-12-17 2018-12-17 렌즈 광학계 KR10218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80A KR102180513B1 (ko) 2018-12-17 2018-12-17 렌즈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80A KR102180513B1 (ko) 2018-12-17 2018-12-17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745A true KR20200074745A (ko) 2020-06-25
KR102180513B1 KR102180513B1 (ko) 2020-11-18

Family

ID=7140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480A KR102180513B1 (ko) 2018-12-17 2018-12-17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5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7984A (ja) * 2005-07-07 200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撮像用光学系
JP2007219079A (ja) * 2006-02-15 2007-08-30 Fujinon Corp 撮像レンズ
KR20110137627A (ko) * 2010-06-17 2011-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40020466A (ko) * 2012-08-08 2014-0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KR20160038266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20160147046A1 (en) * 2014-11-25 2016-05-26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7984A (ja) * 2005-07-07 200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撮像用光学系
JP2007219079A (ja) * 2006-02-15 2007-08-30 Fujinon Corp 撮像レンズ
KR20110137627A (ko) * 2010-06-17 2011-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40020466A (ko) * 2012-08-08 2014-0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KR20160038266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20160147046A1 (en) * 2014-11-25 2016-05-26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513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4748B2 (en) Optical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109669258B (zh) 成像用光学镜头、取像装置及电子装置
US11249283B2 (en)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112444944B (zh) 摄像镜头
US20190033556A1 (en) Imaging lens system,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106526801B (zh) 摄像镜头及摄像装置
CN107229105B (zh) 光学摄像镜头、取像装置及可携式装置
CN110133830B (zh) 取像用光学镜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CN109324387B (zh) 光学图像撷取系统、取像装置及电子装置
JP6550787B2 (ja) 撮像光学系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装置
TW201827878A (zh) 影像擷取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717208B1 (ko) 소형 촬영 렌즈계
US11163134B2 (en) Imaging lens system, identifica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W201314251A (zh) 攝像鏡頭
KR102004423B1 (ko) 촬상 광학계
CN113156618A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07322839A (ja) 結像レンズ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2388071B1 (ko) 렌즈 광학계
CN113534408B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9817217B2 (en) Imaging optical system, camera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KR20190080526A (ko) 촬상 광학계
KR101724270B1 (ko) 전장이 짧은 홍채인식용 광학계
JP2010262218A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2180513B1 (ko) 렌즈 광학계
CN211528803U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