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94A - 다기능 숟가락 - Google Patents

다기능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94A
KR20200074594A KR1020180163170A KR20180163170A KR20200074594A KR 20200074594 A KR20200074594 A KR 20200074594A KR 1020180163170 A KR1020180163170 A KR 1020180163170A KR 20180163170 A KR20180163170 A KR 20180163170A KR 20200074594 A KR20200074594 A KR 2020007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bowl
function
spoon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윤
Original Assignee
(주)제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손 filed Critical (주)제이손
Priority to KR102018016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594A/ko
Publication of KR2020007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호간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요홈 형상을 통하여 스쿠핑 기능을 제공하는 보울과; 네크부에 대향된 보울 단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구성되어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을 제공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다기능 스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숟가락{Spoon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뜨는 스쿠핑 기능을 가지는 헤드부에 음식을 자르는 커팅 기능,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gathering) 기능 및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 등이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스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오목한 보울 형상을 통하여 음식을 뜨는 스쿠핑 기능을 제공하는 헤드부,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네크부로 구분되며, 해당 음식을 헤드부를 통해 떠서 먹을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푼은, 음식을 자르는 기능과 음식을 찍는 기능 등을 가지고 있지 않아, 해당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나이프나 포크 등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물 종류의 음식이나 밥 등과 같이 떠서 먹을 수 있는 종류의 음식과 김치나 깍두기 등과 같이 찍거나 자르거나 또는 집어서 먹을 수 있는 종류의 음식을 동시에 먹고자 하는 경우, 음식을 뜨는 스푼과 음식을 찍거나 집을 수 있는 포크, 나이프 또는 젓가락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꽤 번거로우며, 또한, 단체 생활을 하는 집단에 속한 군인 등의 사용자들 모두에게 스푼, 포크, 나이프 또는 젓가락을 개별적으로 지급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이에, 포크, 나이프나 젓가락 없이 스푼만을 이용하여 해당 음식을 떠서 먹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하지만, 종래의 스푼은, 헤드부에 스쿠핑용 보울(bowl)만이 구성되기 때문에, 밥이나 국을 뜨는 것 이외에, 김치나 깍두기와 같은 찍거나 또는 전이나 계란후라이 등과 같이 찢을 수 있는 반찬을 먹기 위해서는, 보울의 모서리 끝 부분이 그릇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해당 반찬이 찍히거나 잘려야 하는데, 질긴 성질을 가지는 재료가 포함되거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찍거나 자르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푼은, 헤드부의 가장자리가 그릇에 수직하게 옆으로 세워지더라도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만곡되어 오목한 보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음식을 그릇의 한 부분 또는 보울에 긁어 모으거나 스쿠핑하고자 하는 경우 그릇의 바닥에 접촉되는 길이가 짧아 여러 번 해당 작업을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을 뜨는 스쿠핑 기능을 가지는 헤드부에 음식을 자르는 커팅 기능,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gathering) 기능 및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 등이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스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호간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요홈 형상을 통하여 스쿠핑 기능을 제공하는 보울과; 네크부에 대향된 보울 단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구성되어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을 제공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다기능 스푼이 제공된다.
여기서, 헤드부는, 레그로부터 보울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직선상으로 구성되고 보울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데이퍼 형성되어 음식을 자르는 커팅 및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는, 플레이트하게 형상을 가지고, 네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테이퍼지는 테이퍼와; 테이퍼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파지단을 포함하며, 파지단에는, 걸이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을 뜨는 스쿠핑 기능을 가지는 헤드부에 음식을 자르는 커팅 기능,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gathering) 기능 및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 등이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푼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푼은, 스쿠핑 기능 이외에, 커팅 기능, 게더링 기능 및 포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헤드부(110),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120) 및 헤드부(110)와 손잡이부(120)의 상호간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네크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스쿠핑 기능 이외에, 커팅 기능, 게더링 기능 및 포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요홈 형상을 통하여 스쿠핑 기능을 제공하는 보울(111), 네크부(130)에 대향된 보울(111)의 단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복수개가 이격 구성되어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을 제공하는 레그(112) 및 레그(112)로부터 보울(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직선상으로 구성되고 보울(111)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데이퍼 형성되어 음식을 자르는 커팅 및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나이프(113) 등을 포함한다.
보울(111)은, 음식이 떠진 후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홈 형상을 가지며, 밥이나 국 등과 같은 음식물이 떠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레그(112)는, 보울(111)의 단부에 복수개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이격 구성됨으로써, 공지의 포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그(112)는, 음식의 찍힘 거리가 제한되도록 그 길이는 길거나 짧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포크 기능 제공시 과일이나 빵 등의 경우에는 짧은 길이를 통해 해당 음식이 깊이 찍히면서 절단되지 않도록 하고 스테이크나 케이크 등의 경우에는 긴 길이를 통해 해당 음식이 짧게 찍히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이프(113)는, 보울(111)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위치된 레그(112)의 일부분으로부터 네크부(130) 근처의 위치까지 보울(111) 보다 얇은 두께로 테이퍼 구성됨으로써, 보울(111)만을 가지는 종래에 비하여, 해당 음식을 커팅하는 경우 재료가 질긴 성질을 가지거나 두꺼운 경우에도 원활한 커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음식을 그릇의 한 부분으로 긁어 모으거나 긁어 모운 후 보울(111)에 스쿠핑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나이프(113)는, 에지(Edge) 부분이 날카롭지 않게 단면 처리되어 음식을 먹을 때 입술이나 입안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레그(112)와 나이프(113)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보울(111)을 위에서 봤을 때 우측부에 형성되고,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보울(111)을 위에서 봤을 때 좌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스푼을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고 사용시 오른손잡이의 경우 상대적으로 보울(111)의 좌측부에 입이 많이 접촉되고 왼손잡이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측부에 입이 많이 접촉되므로, 레그(112)와 나이프(113)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 당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얇은 두께와 소정의 폭을 통하여 플레이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네크부(13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테이퍼지는 테이퍼(121)와, 테이퍼(121)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파지단(12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지단(122)에는, 걸이공(122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스푼을 해당 위치에 걸어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121)와 파지단(122)의 연장 부분(123)은 그 폭이 테이퍼(121) 및 파지단(122)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파지단(122)의 파지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내측부분이 각각 상기 연장 부분(123)에 지지되도록 하여 테이퍼(121)와 파지단(122)의 두께가 두꺼워져 발생되는 사용중 불편함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20)에 의하면, 파지단(122)이 얇은 두께와 소정의 폭을 가지지면서 플레이트하게 형성됨으로써, 접시나 테이블에 내려놓여질 때 안착 부위에 소정의 폭을 통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이에, 음식이 포크된 상태의 헤드부(110)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음식이 헤드부(110)로부터 튕겨져 주위에 오염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푼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기능 스푼은, 보울(111)의 단부에 복수개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레그(112)가 해당 음식을 상하 방향으로 찍는 동작을 통해, 해당 그릇에 위치된 과일이나 빵 등과 같은 음식을 포크 기능을 이용하여 먹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스푼은, 요홈 형상의 보울(111)의 일측면에 나이프(113)가 구성되어, 음식의 재료가 질긴 성질을 가지거나 두꺼운 경우에도 음식의 커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음식이 위치된 어느 한 그릇의 바닥면으로부터 음식의 하단부를 향해 삽입시키거나 긁는 동작을 통하여 음식을 긁어 모으거나 보울(111)의 공간으로 쉽게 떠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헤드부(110)에, 보울(111)을 이용한 포크 기능 이외에, 레그(112)를 이용한 포크 기능 및 나이프(113)를 이용한 커팅 기능 및 게더링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스푼의 다양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헤드부(110);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120); 및
    헤드부(110)와 손잡이부(120)의 상호간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네크부(130)를 포함하고,
    헤드부(110)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요홈 형상을 통하여 스쿠핑 기능을 제공하는 보울(111)과;
    네크부(130)에 대향된 보울(111)의 단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구성되어 음식을 찍는 포크 기능을 제공하는 레그(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푼.
  2.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110)는,
    레그(112)로부터 보울(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직선상으로 구성되고 보울(111)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데이퍼 형성되어 음식을 자르는 커팅 및 음식을 모으는 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나이프(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푼.
  3. 제2항에 있어서, 손잡이부(120)는,
    플레이트하게 형상을 가지고,
    네크부(13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테이퍼지는 테이퍼(121)와;
    테이퍼(121)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파지단(122)을 포함하며,
    파지단(122)에는,
    걸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푼.
KR1020180163170A 2018-12-17 2018-12-17 다기능 숟가락 KR20200074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70A KR20200074594A (ko) 2018-12-17 2018-12-17 다기능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70A KR20200074594A (ko) 2018-12-17 2018-12-17 다기능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94A true KR20200074594A (ko) 2020-06-25

Family

ID=7140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170A KR20200074594A (ko) 2018-12-17 2018-12-17 다기능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5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365B2 (en) Multifunctional knife accessory
US9392744B2 (en) Fork having tine with retaining feature
US8042274B2 (en) Multifunction scissor
US8959776B2 (en) Knife safety apparatus
US20130125402A1 (en) Feeding Utensil
US20140220200A1 (en) Combined Utensil
US8590877B2 (en) Corralling utensil with associated cutting board
US1991871A (en) Eating implement
US6817937B1 (en) Shellfish-opening tool
Swift Design, function and use-wear in spoons: reconstructing everyday Roman social practice
US5947808A (en) Seafood skin, membrane, bone, cartilage, antennae, leg, shell, beard and/or vein removal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5813120A (en) Food utensil and grate cleaning tool
KR20200074594A (ko) 다기능 숟가락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US6490796B1 (en) Multi-use kitchen tool
JPH09252910A (ja) フォーク形状をした箸
JP4676023B1 (ja) 麺用箸
KR20170002735U (ko) 간편 마늘다지기 식도
US20040064952A1 (en) Multi-use kitchen tool
US20030189346A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US20220095819A1 (en) Multi-functional all in one utensil fork and knife with sharp ridge tines side edge that function as a knife, on both sides. Patent includes all metal, stainless steel, and plastics or PLA. The utensil functions include cutting food, slicing and retrieving food for eating purposes. This design improves the original process of fork to a revolutionary design consolidating fork and knife into one utensil. Commonly used for eating with as well as for splitting food into smaller pieces/portions.
US20140342063A1 (en) Eggshell Extraction Tool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JP2006075571A (ja) すくい具
US20230148776A1 (en) Boiled Egg Handheld Peeler and a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