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25A -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25A
KR20200074525A KR1020180163019A KR20180163019A KR20200074525A KR 20200074525 A KR20200074525 A KR 20200074525A KR 1020180163019 A KR1020180163019 A KR 1020180163019A KR 20180163019 A KR20180163019 A KR 20180163019A KR 20200074525 A KR20200074525 A KR 2020007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information
sea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널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널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널로그
Priority to KR102018016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525A/ko
Publication of KR2020007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특정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좌석 각각마다 접촉센서가 설치되고, 임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 저장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통계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FFICIENCY INFORMATION BASED ON STATUS OF WHETHER USER STANDS OR SIT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의 예약기능뿐만 아니라, 좌석의 상태에 기초하여 능률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석관리시스템은 단순히 좌석을 점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의 자리 배정 시스템의 경우, 특정 좌석을 특정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 기능이 주된 기능이었으며, 배정된 좌석에서 다른 좌석으로 좌석 이동 기능 정도가 제공되는 정도였다.
점차 공간 활용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도서관뿐만 아니라 사무실에서도 좌석을 공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직원 고유의 물리적인 고정좌석이기 보다는 휴대용 컴퓨터 등을 휴대하면서 원하는 자리에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고되면서, 좌석관리시스템은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제어를 넘어, 해당 공간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공간을 배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에서 어떠한 업무가 처리 중인지 까지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한 좌석관리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율적인 좌석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착석된 상태에서 다양한 통계 자료를 수집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특정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좌석 각각마다 접촉센서가 설치되고, 임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 저장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통계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좌석 각각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 저장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통계자료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좌석관리방법 및 좌석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좌석의 착석상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착석 상태에서의 다양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도서관, 독서실 등의 장소에서 학습 능률 정보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거나, 기업 내에서 업무 능률 정보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관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의 센서 및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관리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계자료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관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관리시스템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서버는 임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 및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본 발명에 따르는 임의의 접촉센서는 의자와 같은 좌석마다 한 개 이상씩 배치될 수 있으며, 의자의 경우 엉덩이 받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는 에너지하베스팅 기반으로 제조된 부품으로써, 압전소자 및 통신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압전소자의 경우,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경우에 받게 되는 힘 또는 무게(역학적 에너지)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통신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소자에 입력받는 힘이 일정 세기 이하인 상태에서 일정 세기 이상의 힘을 입력받으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라는 발생신호를 통신센서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계속하여 일정 세기 이상의 힘을 입력받다가 일정 세기 이하의 상태의 힘이 인지되면 사용자가 탈석(좌석에서 이탈)한 상태라는 발생신호를 통신센서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의자에는 접촉센서와 별도로 온도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의자의 엉덩이 받이 부분 또는 등받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한 온도 정보를 통신센서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탈석한 경우에도 온도 센서에서의 측정 값은 일정 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서버는, 측정된 온도값의 차이가 큰 경우에 탈석 또는 착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접촉센서 및 온도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파악된 상태 정보가 모두 착석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에 착석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하는 경우에도 착석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좌석식별정보는 좌석 내에 배치되는 통신모듈의 MAC Address 일 수 있다. 만약, 각각의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만을 포함하고, 좌석 내에 복수의 접촉센서가 배치되며 하나의 통신모듈이 배치될 경우, 각 접촉센서는 각각의 발생신호를 발생시키고, 통신모듈은 복수의 발생신호와 자신의 MAC Address를 함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좌석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 각각을 식별하는 정보로서 흔히, 도서관 등에서의 좌석 자리 배치에 따르는 좌석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좌석식별정보는 별도의 ID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좌석 배치와 다른 자리에 배치되더라도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석에 착석하기 전에 서버에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으며, 특정 좌석에 착석할 것인지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간 테이블별로 특정 시간에는 특정 좌석에 착석할 것이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는 또한 사용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의 AP(Access Point)에 연결되거나 단말의 MAC address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단말의 사용자를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접촉센서의 발생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의자에는 복수의 접촉센서가 배치되거나, 하나의 접촉센서 내에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센서에 특정한 힘의 변화가 인지될 경우, 각각의 접촉센서는 특정한 극성의 전압값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수신한 발생신호들의 극성과 차이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착석상태인지 탈석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신호들로부터 수신한 전압값들의 마이너스 계산값이 - 1V 에 해당하는 경우 탈석상태로 판단하고, +2V에 해당하는 경우 착석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계산값이나 플러스 계산값이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사소한 자세 고침에 의한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신호를 처리 과정에서 무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이너스 계산값이 -0.5V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는 접촉센서 및/또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석 상태인지 탈석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는 접촉센서 내에 실장되거나, 상기 접촉센서 외부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닿는 좌석 위치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실제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는 착석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자세의 변경을 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한쪽 엉덩이를 드는 경우), 자세의 변경에 따라 접촉센서 또는 온도센서에서는 탈석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로부터 인접한 시점에 수신한 복수의 온도값의 변화정도(온도값의 차이 또는 변화율(dT/dt))를 기초로 착석 또는 탈석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촉센서로부터 수신한 발생신호를 기초로 파악한 좌석 착탈 상태정보와 온도센서를 기초로 판단된 착탈 상태정보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낼 경우, 온도센서를 기초로 판단된 착탈 상태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접촉센서에 기초한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의자에서 자주 들썩이기도 하고 상당히 변칙적인 신호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잘못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데, 설령 접촉센서의 잘못으로 실제 탈착상태와 다른 상태를 판단하더라도, 온도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 경우에는 착석 상태를 탈석 상태로, 탈석 상태를 착석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는, 온도값이 변화가 오히려 없거나 (들썩임 조차 없이) 너무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도 착탈 상태를 보정할 수도 있으며, 특히 책가방 등을 올려놓은 경우에도 탈석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의 착석 시 시각과 착석한 이후 탈석 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다양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S140).
본 발명에 따르는 집중시간은 한번 자리에 앉아서 탈석할 때까지의 시간 즉, 좌석 착탈 상태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세의 변경 등으로 짧은 시간동안 착석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좌석 착탈 상태에 변동이 발생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집중시간에 해당될 수 있다. 집중시간 출입시간(ex. 독서실 최초 출석시간과 최종 퇴장시간의 차이, 또는 회사 출퇴근 시간)에서 탈석 상태의 시간을 뺀 시간으로 계산되며, 탈석 상태의 시간은 탈석 상태 정보 수신 이후 그 다음 착석 정보를 수신하기 까지의 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집중시간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착석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만 집중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5분 정도의 착석 상태가 유지된 경우에는 집중시간으로 결정하지 않거나, 30분 이상 착석 상태가 유지된 경우에만 집중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집중시간에 관한 판단기준은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서버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정보는, 하루(1일)를 기준으로 집중시간의 총 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주간 단위이거나 다양한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젝트 기간이나 시험 준비 기간 등과 같이 특정 주제에 대하여 설정된 기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집중 패턴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중시간의 변화가 반복되는 경우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간 시간표가 반복되는 학생 사용자의 경우, 한 주간 집중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요일에 집중시간이 많이 분포되고, 특정 시간대에는 집중시간이 적게 분포되는 등의 패턴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 정보를 통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정보는, 전체 시간에서의 집중시간의 비율, 즉 집중력에 관한 지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영역은 독서실, 도서관, 학교건물 내 강의실을 포함하는 학업공간 및 기업건물 내 업무공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하여 하루 공부시간(착석시간)이 5시간이며, 이중에서 집중시간(30분 이상 착석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이 2시간 30분인 경우에는, 0.5라는 지수가 집중도에 관한 지수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순공집중도로서 총 착석시간 대비 순공부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된 지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평균집중시간으로서 일주일이나 한달 단위의 순공집중도의 평균값, 평균자리비움시간으로서 하루동안의 자리비움시간의 평균값 등에 관한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단순히 착석 상태에 관한 시간을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오랜 시간 착석하여 집중한 시간 정보를 통계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학업 또는 업무의 양적 통계뿐만 아니라 질적 통계까지도 생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서버는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통계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S150).
서버는 식별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부모 단말, 사용자의 상사 단말,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좌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예, 독서실 총무, 교사 단말)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와 매칭 저장된 관리자 단말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사용자가 학교에서 공부하는 시간에는 부모 단말이 관리자 단말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저녁 시간부터는 독서실 총무 단말이 관리자 단말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의 센서 및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관리서버(200)는 접촉센서 및 좌석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센서는 접촉센서와 연결된 통신센서를 통해 좌석관리서버(200)와 직접 통신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 라우터를 거쳐서 좌석관리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촉센서 및 통신센서간의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가 바람직하며, 라우터 및 좌석관리서버(200) 간의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가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좌석관리서버(200)는 사용자 식별부(210), 통계자료 생성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식별부(210)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석에서의 착탈 상태를 식별하는 것은 접촉센서 및/또는 온도센서를 통해서 가능하지만, 실제로 누가 앉았는지는 다양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별 무게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으며, 접촉센서의 압전소자에서 입력되는 무게에 따라 사용자를 분별할 수 있다. 온도 정보의 경우에도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좌석에서 측정되는 온도의 경우, 실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옷을 입은 상태에서 좌석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어서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서버는 접촉센서 및/또는 온도센서를 통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경우, 정보간에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서버는 좌석에서의 측정값 이외에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매칭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 공간인 경우, 각 업무자 별 좌석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서로 매칭 저장해두고, 이를 기초로 어느 좌석에 어느 업무자가 매핑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독서실과 같은 학업공간에서, 좌석에 착석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좌석의 이용자가 사용자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도서관과 같은 학업공간의 경우, 좌석 예약 시스템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어느 한 사용자가 좌석을 예약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앉은 것으로 판단된 좌석과 매칭되어 저장된 사용자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누가 그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결정될 수 있다.
통계자료 생성부(220)는 사용자의 착석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계자료 생성부(220)는,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자료 생성부(220)는 순공집중도로서 총 착석시간 대비 순공부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된 지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평균집중시간으로서 일주일이나 한달 단위의 순공집중도의 평균값, 평균자리비움시간으로서 하루동안의 자리비움시간의 평균값 등에 관한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자료는 도 5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특정 학업공간(예를 들어, 독서실이나 도서관 등)에 등록된 특정 학습자(또는 회사 내의 근로자가 될 수 있음)에 관하여 특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수집한 접촉센서의 신호들을 기초로 분석한 통계자료이다.
도 5의 "주간 통계" 표에는, "총 이용시간" (이는, 특정 학업공간에 매일매일 최초 들어간 시점과 최종 나온 시점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이는 해당일자의 접촉센서의 최초 착석 신호와 최종 탈석 신호를 기초로 계산되거나, 특정 학업공간에 설치된 출석체크 시스템에 기록된 신호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총 순공부시간"(접촉센서에서 수신된 착석 신호와 탈석 신호를 바탕으로 계산된 총 앉아있었던 시간), "순공부시간/일"(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순공부시간/일), "자리비움시간/일"(매일매일의 이용시간 중 순공부시간을 제외한 시간의 평균값), "평균 집중시간"(사용자가 한번 착석했다가 탈석하기까지의 시간에 대한 평균값 : 접촉센서의 착석신호와 탈석신호 사이의 시간차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일어난 횟수/일"(접촉센서의 탈석 신호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출석률" 에 관한 정보가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주간 통계표는 지난 기간 동안과의 비교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공부시간 비교 분석"은 "주간 통계"에 포함된 수치들을 그래프로 쉽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과거 특정기간 동안의 순공부시간, 쉬는 시간, 장시간 자리비움 시간을 비교하는 그래프일 수 있다. 이때, 장시간 자리비움시간은 자리비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값(예를 들어, 1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도 5의 "집중시간 비교 분석"과 "쉬는시간 비교 분석"은 "주간 통계"에 나타난 평균 집중시간과 자리비움시간에 대한 과거 특정기간의 수치들과 비교하는 그래프일 수 있다. 그리고, "주간공부패턴"의 경우, 캘린더 형식으로 요일별 집중시간과 자리비움시간을 표기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일 수 있다.
도 5의 우측 하단에 표기된 "지점내 순공부시간 순위"와 "지점내 집중시간 순위"는 해당 특정 학업공간에 등록된 사용자들의 전체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순공부시간과 집중시간에 대한 순위를 매긴 결과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러한 도 5는 학업공간에 본 발명이 수행되는 예로 한정하여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업무공간에도 도 5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근무시간, 총 순업무시간, 자리비움시간, 집중시간, 등과 같이 정의되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업무공간에 대하여 서비스되는 경우, 부서별 전체 업무 총량, 전체 회사 또는 부서별 집중시간, 집중시간의 분포(이상적인 경우, 집중시간이 가우스 곡선의 형태로 나올 것이므로, 관리자는 이러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직원들의 집중시간 관리가 가능함), 시간대별 업무 집중도와 같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업무환경 및 타임스케쥴링 다각화 정보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에, 업무 공간이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즉, 회의실, 탕비실 등의 공간과 각종 서비스 등은 멤버사들에게 공통으로 제공하되 업무공간은 멤버사들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수행하는 업체)에서도 시간대별 좌석 이용시간, 점유 상태, 이용률 등을 파악하여 멤버사 수를 얼마나 더 늘려도 되는지 파악하거나, 특정 시간대(붐비지 않는)에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저가로 판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비즈니스 모델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계자료 생성부(220)는 단순히 좌석의 착탈정보에 따라서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스케쥴 또는 활동 정보와 연계하여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사용자가 서버에 특정 시간대별로 공부할 과목을 설정해 놓은 경우, 서버는 과목별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학생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확인될 수 있는 활동 정보와 연계하여 집중시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사용자가 2시간 넘게 착석 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학생 사용자의 단말로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채팅을 하거나,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동작 기능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통계자료 생성시 집중시간에서 제외하거나 별도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관리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관리시스템은 좌석 각각에 배치된 센서, 센서 및 서버간의 통신을 중개하는 라우터, 자석관리를 수행하는 서버, 서버에서 생성된 통계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접촉센서, 좌석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기타 온도센서의 정확도를 위한 온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소자의 경우, 사용자가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발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라우터는 다수의 센서들이 서버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보다 라우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단말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센서에서 측정된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는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 및 접촉센서의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양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가 생성하는 통계자료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자 단말은 서버에서 생성된 통계자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집중도 등을 인지할 수 있어, 다양한 학습 전략이나 직원 운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착탈 상태정보는 식별된 사용자별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학생 사용자의 학업을 예로 들어 작성하였으며, 착석이 이루어진 시각 및 탈석이 이루어진 시각에 기초하여 착석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착석 시간동안 어떠한 학업을 수행하였는지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과목시간 정보(학업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저녁 7시부터 8시까지는 국사를 공부하겠다고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고 저녁 8시 이후부터는 수학을 공부하겠다고 일정을 등록 해 놓을 수 있고, 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경우에 첫번째 착석 시간 동안은 국사 공부를 한 것으로 하여, 과목별 시간 통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녁 8시 이후에는 수학을 공부하겠다고 일정을 등록해 놓았지만 실제 착석 시각은 8시 이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등록해 놓은 일정에 따라 과목별 학업 시간을 산정할 것인지, 아니면 착석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목으로 산정할 것인지에 관하여 다양한 기준을 통해서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에 의하여 주간 국사 공부시간으로 4시간을 목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의 주간 국사 공부시간이 3시간인 경우에, 목표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1시간)에 관한 통계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목표에 관한 리마인더 또는 현재 진행 상황을 안내함으로써 학업(업무)에 관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관리자 단말에서는 다양한 시각적 그래프 및 도표를 통해서 사용자의 학업(업무)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업 전략, 직원 운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학생 사용자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업에서의 직원 사용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다양한 업무를 착석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라면 해당되는 것으로 넓게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업무용 솔루션으로 활용될 경우, 회사 내 사무공간에서의 착석상태정보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해주어, 누가 책상에 앉아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학업 솔루션으로 도서관 등에서 활용될 경우, 비어있거나 예약된 좌석에 미등록된 임의의 사용자가 앉아 있게 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좌석관리서버

Claims (16)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a) 특정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좌석 각각마다 접촉센서가 설치되고, 임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와 접촉센서의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접촉센서의 복수의 발생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통계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접촉센서의 복수의 발생신호의 극성과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은, 독서실, 도서관, 학교건물 내 강의실을 포함하는 학업공간 및 기업건물 내 업무공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특정좌석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좌석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추가로 고려하여 판단하되,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인접한 시점에 수신한 복수의 온도값의 변화정도를 기초로 착석 또는 탈석을 판단하는 것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촉센서 내에 실장되거나, 상기 접촉센서 외부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닿는 좌석 위치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인,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석 착탈 상태정보와 상기 온도센서를 기초로 판단된 착탈 상태정보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낼 경우, 상기 온도센서를 기초로 판단된 착탈 상태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접촉센서에 기초한 좌석 착탈 상태정보를 보정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시간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 좌석 착탈 상태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 이내인 것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시간은, 상기 출입시간에서 탈석 상태의 시간을 뺀 시간으로 계산되며,
    상기 탈석 상태의 시간은 탈석 상태 정보 수신 이후 그 다음 착석 정보를 수신하기 까지의 시간인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패턴은,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분포 현황에 관한 그래프 또는 표에 관한 정보인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집된 타 사용자의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대적인 집중시간 정보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의 부모 단말, 상기 사용자의 상사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목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압전소자에서 측정된 무게에 따라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좌석 각각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좌석식별정보와 접촉센서의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발생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좌석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접촉센서의 복수의 발생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시 시각과 상기 착석한 이후 탈석시 시각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집중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기간 동안의 집중시간 총 량, 집중 패턴, 상기 특정영역의 출입시간 대비 집중시간에 대한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자료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통계자료를 전송하는 것인, 시스템.
  16. 제 1 항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163019A 2018-12-17 2018-12-17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4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19A KR20200074525A (ko) 2018-12-17 2018-12-17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19A KR20200074525A (ko) 2018-12-17 2018-12-17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25A true KR20200074525A (ko) 2020-06-25

Family

ID=7140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19A KR20200074525A (ko) 2018-12-17 2018-12-17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52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83B1 (ko) * 2020-08-04 2021-03-3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쿠션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234081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체어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234082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381939B1 (ko) * 2021-05-18 2022-04-01 최승해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102381941B1 (ko) 2021-05-18 2022-04-04 최승해 사용자 맞춤형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230033812A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65148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콜 센터의 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83B1 (ko) * 2020-08-04 2021-03-3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쿠션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234081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체어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234082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데스크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381939B1 (ko) * 2021-05-18 2022-04-01 최승해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102381941B1 (ko) 2021-05-18 2022-04-04 최승해 사용자 맞춤형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230033812A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3033288A1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65148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콜 센터의 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4525A (ko)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1394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leveraging crowdsourced data
US20200234220A1 (en) Smart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employee productivity features
US11606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tracking
JP5010985B2 (ja) センサノード
JP5372588B2 (ja) 組織評価装置および組織評価システム
Ghai et al. Occupancy detection in commercial buildings using opportunistic context sources
Liao et al. Agent-based and graphical modelling of building occupancy
JP509202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6675266B2 (ja) センサデータ分析システム及びセンサデータ分析方法
US9058587B2 (en) Communication support device,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Ghahramani et al. Learning occupants’ workplace interactions from wearable and stationary ambient sensing systems
US11270786B2 (en) Context-based personalized activity schedule
US1038111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daptive management of caregivers
US20170372254A1 (en) Event schedule optimizer system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103326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US20200005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rter et al. Prototypes in the wild lessons from three ubicomp systems
CN109857829A (zh) 一种地理信息数据融合系统
KR20200013826A (ko)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JP6533868B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評価システ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評価方法
KR20190127608A (ko) 스마트 학습 경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2100565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loning a target using behavioral insights
JP2002269335A (ja) 営業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