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778A -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778A
KR20200073778A KR1020180162330A KR20180162330A KR20200073778A KR 20200073778 A KR20200073778 A KR 20200073778A KR 1020180162330 A KR1020180162330 A KR 1020180162330A KR 20180162330 A KR20180162330 A KR 20180162330A KR 20200073778 A KR20200073778 A KR 2020007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ed water
showcase
circulation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창식
Original Assignee
민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창식 filed Critical 민창식
Priority to KR102018016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778A/ko
Publication of KR2020007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트 등의 매장 등지에 배치되어, 냉장물품을 신선한 상태로 냉장 보관하며, 물품 출입구의 별도의 개폐과정 없이 물품의 인출입이 가능하며, 특히 개량된 여과구조에 의해 진열공간 내에 이물질이 제거된 냉기가 순환 공급되어 향상된 위생상태가 확보되도록 한 오픈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Open-type showcase with improved filt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트 등의 매장 등지에 배치되어, 냉장물품을 신선한 상태로 냉장 보관하며, 물품 출입구의 별도의 개폐과정 없이 물품의 인출입이 가능하며, 특히 개량된 여과구조에 의해 진열공간 내에 이물질이 제거된 냉기가 순환 공급되어 향상된 위생상태가 확보되도록 한 오픈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쇼케이스는,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으로, 냉동/냉장 식품이나 상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할수 있음은 물론, 상품의 진열이나 구매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쇼케이스는 입구에 도어가 설치된 폐쇄형과, 입구에 도어가 설치되지 아니한 오픈형이 있으며, 상기 오픈형 쇼케이스는 이용객이 별도로 입구를 개방하지 아니하고도 보관된 상품의 식별과 진출입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오픈형 쇼케이스는, 입구부가 개방된 진열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공기를 냉각 순환시켜 진열공간 내에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냉동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냉동 순환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냉동 싸이클을 연속적으로 구현하여 증발기를 통해 냉기를 발산하는 냉각 장치부와, 상기 냉각 장치부의 증발기를 내설하여 흡기된 공기를 증발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한 다음, 냉각된 공기를 물품 출입구를 통해 하향 토출하는 순환관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로를 통해 입구부에서 떨어진 공기를 흡기한 다음, 증발기를 투과시켜 입구부의 상부에서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여서, 진열공간 내부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오픈형 쇼케이스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증발기가 배치된 순환관로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는 먼지 등 다량의 이물질이 잔류하며, 종래에는 순환관로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정되게 여과하는 여과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오염된 공기가 냉각된 상태로 진열공간 내에 유입되어 진열공간의 오염을 야기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물론, 필터부재를 통해 순환관로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터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면 필터부재의 막힘이 야기되므로, 바람직한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둘째, 상기 공기의 냉각과정에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응결수는 낙하되어 저온상태를 형성하여 저수되므로,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된다.
셋째, 상기 저수된 응결수는 이물질의 혼입과 냉기에 의해 유동성이 저하되어 겔상태로 경화되는 관계로, 저수된 응결수를 배수구를 통한 원활히 배출하기 어려웠다.
넷째, 종래 응축기는 외부공기를 통해 냉매를 응축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폭염기 등 주위 온도가 높은 경우에, 응축된 냉매가 외부에 노출된 냉매 공급관을 통해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이동하는 과정에 기화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야기한다.
KR 20-0144948 Y1 KR 10-1398176 B1 KR 10-0081200 B1 KR 20-0153285 Y1 KR 20-1999-005950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마트 등의 매장 등지에 배치되어, 냉장물품을 신선한 상태로 냉장 보관하며, 물품 출입구의 별도의 개폐과정 없이 물품의 인출입이 가능하며, 특히 개량된 여과구조에 의해 진열공간 내에 이물질이 제거된 냉기가 순환 공급되어 향상된 위생상태가 확보되도록 한 오픈형 쇼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는,
전방에 물품 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진열공간을 갖는 쇼케이스 본체와;
상기 쇼케이스 본체의 내벽 수직면 상에 형성되며, 하부에 흡기부가 형성되고 진열공간의 물품 출입부 상부에 냉기 토출부가 형성된 순환관로와;
상기 순환관로 내에 배치되어, 흡기부를 통해 순환관로 내에 공기를 강제 흡기한 다음 흡기된 공기를 냉기 토출부를 통해 진열공간의 물품 출입구를 따라 하향 토출하는 순환 배기팬과;
상기 순환관로 내에 증발기를 내설하여, 순환관로 내로 흡기된 공기와 증발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부와;
상기 진열공간의 하부에 구획되게 형성되어, 물품 출입구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흡기하여 저수된 여과수에 투과시켜 여과한 다음, 여과된 공기를 순환관로의 입구부로 유입하는 입수 투과형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수 투과형 여과부는 순환관로의 입구부와 연통하며, 여과수를 저수하는 여과조와;
상기 물품 출입구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기하는 급기펌프; 및
상기 급기펌프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여과조에 저수된 여과수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 배기팬은 증발기의 배기측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관로 내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 배기팬의 흡배기 작용에 의해 증발기를 투과 및 냉각되어 배기측으로 배출된 다음, 냉기 토출부를 통해 물품 출입구의 하부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에 배치된 입수관들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환형 배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여과조 내에 저수된 여과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순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에는 여과조 내에 여과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형성된 급수관과, 여과수를 배수하는 드레인 밸브가 형성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에는 기준 수위센서와, 상기 기준 수위센서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와, 상기 기준 수위센서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 센서가 각각 배치되는 한편,
제어부는, 저수위 센서를 통해 저수위가 감지되거나 고수위가 감지되면, 드레인 밸브를 통해 배수구를 개방하여 여과조 내에 잔류된 여과수를 모두 배출한 다음,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급수관을 통해 여과수를 여과조에 급수하여 기준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기준수위의 여과수가 여과조 내에 급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 내에는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 공급관이 여과수 내에 입수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를 통해 공냉과정을 통해 1차 응축된 냉매는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수냉과정을 통해 2차 응축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진열공간 내에 냉각 장치부의 증발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냉기를 순환 공급하여 진열공간의 냉장 보관상태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공기를 여과수에 입수된 상태로 투과시켜 공기중에 잔류된 이물질이 여과수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진열공간에는 여과수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냉각하여 공급되고, 결과적으로 진열공간 내에 항시 안정적인 위생상태의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과조에 입수관들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환형 배치하여, 여과조 내에 저수된 여과수가 일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여과조에 저수된 여과수는 입수관들을 통해 경사지게 환형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와류가 생성되고, 이러한 순환와류에 의해 다량의 이물질과 저온상태의 여과수가 젤상태가 정체되어 경화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여과수의 유동성이 확보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수구의 막힘 발생없이 여구수의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는 관리자가 여과조에 저수된 여과수의 잔류량과 오염도를 확인하는 번거로움 없이, 여과수의 주기적인 교체 및 보충이 이룩되고, 결과적으로 관리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항시 안정적인 위생상태를 확보하여 진열공간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여과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를 기준으로 하는 여과수 자동 교환구조가 마련되어, 여과수의 교환을 통해 안정된 위생상태의 확보가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의 전체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있어, 입수 투과형 여과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있어, 입수 투과형 여과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의 전체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있어, 입수 투과형 여과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에 있어, 입수 투과형 여과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1)는, 마트나 대형 판매장 등지에 배치되어 식품 등의 물품들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 보관장치이다.
상기 오픈형 쇼케이스(1)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물품 출입구(12)가 개방되게 형성된 진열공간(11)을 갖는 쇼케이스 본체(10)를 포함하여, 도어를 통해 물품 출입구를 별도 개폐하는 번거로움 없이 소비자가 개방된 물품 출입구(12)를 통해 냉장 보관 중인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진출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쇼케이스 본체(10)에, 진열공간(11) 내에 냉기를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하는 냉각 순환구조와, 상기 냉각 순환구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구조를 마련하여 항시 청결한 냉기가 진열공간을 순환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된 물품의 안정된 냉장보관과 함께, 위생상태가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쇼케이스 본체(10)의 내벽 수직면 상에 형성되며, 하부에 흡기부(21)가 형성되고 진열공간(11)의 물품 출입부(12) 상부에 냉기 토출부(22)가 형성된 순환관로(20)와; 상기 순환관로(20) 내에 배치되어, 흡기부(21)를 통해 순환관로(20) 내에 공기를 강제 흡기한 다음 흡기된 공기를 냉기 토출부(22)를 통해 진열공간(11)의 물품 출입구(12)를 따라 하향 토출하는 순환 배기팬(30)과; 상기 순환관로(20) 내에 증발기(41)를 내설하여, 순환관로(20) 내로 흡기된 공기와 증발기(41)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부(40)와; 상기 진열공간(11)의 하부에 구획되게 형성되어, 물품 출입구(12)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기하여 저수된 여과수에 투과시켜 여과한 다음, 여과된 공기를 순환관로(20)의 흡기부(21)로 유입하는 입수 투과형 여과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쇼케이스 본체(10)는 진열공간(11)의 전방에 물품 출입부(12)가 개방되게 형성된 'ㄷ'자형의 단면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쇼케이스 본체(10)에는 쇼케이스 본체(10)의 수직면과 상부 수평면을 통과하는 '┏'자형의 순환관로(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배기팬(30)은 복수의 베인들이 형성된 원통체로 구성되어 증발기(41)의 흡기측이 아니라 배기측에 배치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41a는 팽창밸브이고, 43은 냉매 회수관이며, 44. 압축기이고, 45는 응축기임.***
따라서, 상기 순환 배기팬(30)은 증발기(41)의 배기측으로 공기를 흡기하여 투과시킨 다음, 증발기(41)를 투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냉기 토출부(22)를 통해 물품 출입부(12)에 하향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 배기팬(30)에 의해 냉기 토출부(22)를 통해 하향 토출된 냉각된 공기에 의해, 물품 출입부(12)에는 진열공간(11)과 외부를 공압을 통해 차폐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커튼에 의해 진열공간(11) 내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입수 투과형 여과부(5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관로(20)의 흡기부(21)와 연통하며, 여과수를 저수하는 여과조(51)와; 상기 물품 출입구(11)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기하는 급기펌프(52); 및 상기 급기펌프(52)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여과조(51)에 저수된 여과수(W)에 입수하여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입수관(5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수(W)에 입수된 입수관(53)의 단부에 확포기(54)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급기펌프(52)를 통해 급기된 공기는 확포기(54)를 통해 여과수 내에서 미립되게 분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확포기(54)를 통해 입수관(52)을 통해 여과수 내에 급기된 공기가 미립되게 분산되면, 기공이 큰 공기방울이 여과수의 수면에서 터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고, 또 공기와 여과수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잔류된 이물질이 여과수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펌프(52)를 통해 물품 출입구(12)의 하부에서 강제 흡기된 공기는 입수관(53)들을 통해 여과조(51)에 저수된 여과수를 투과하면서 이물질이 안정되게 여과된 다음, 순환관로(20)의 흡기부(2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로(2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41)의 배기측에 배치된 순환 배기팬(30)의 흡기작용에 의해 증발기(41)를 투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냉각이 이루어진 공기는 냉기 토출부(22)를 통해 물품 출입구(12)의 하부로 토출되어서, 진열공간(11)의 냉각과 함께 진열공간(11)과 외부 사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외부공간에 잔류된 이물질이 진열공간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41)는 직립된 순환관로(20)의 직립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51)는 순환관로(20)의 하부에 형성된 관계로, 상기 증발기(41)의 표면에 생성된 응결수는 하부에 형성된 여과조(51)로 저수되므로, 본 발명은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는 응결수를 통해서 여과수의 보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조(51)에 배치된 입수관(53)들을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환형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입수관(53)들을 통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여과조(51) 내에 저수된 여과수(W)는, 정체된 상태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일방향으로 순환한다.
즉, 상기 여과조(51)에 저수된 여과수는 입수관(53)들을 통해 경사지게 환형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와류가 생성되고, 이러한 순환와류에 의해 다량의 이물질과 저온상태의 여과수가 젤상태가 정체되어 경화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여과수의 유동성이 확보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수구의 막힘 발생없이 여구수의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는 상기 여과조(51) 내에, 여과수 내에 토출되어 부상되는 기포들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팬(55)을 배치하여, 상기 부상하는 기포들에 의한 교반팬(55)의 회전에 의해 여과수의 일방향 순환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여과수에는 자체 부력에 의해 여과수의 수면에 부양되는 부상패드(56)를 배치하여, 상기 부상패드(56)에 의해 여과수에서 부상하는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부상패드(56)에는 복수의 확산구멍들이 형성된 타공체로 구성되어, 부상되는 기포들은 확산구멍들을 통해 보다 안정되게 확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부상패드(56)를 여과조(51)의 바닥에 일단을 고정한 견인 스프링(56a)에 고정하여, 상기 부상패드(56)는 자체 부력과 견인 스프링(56a)의 탄성에 의해 여과수(W)의 수면, 또는 수중에 탄성 견인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조(51) 내에, 응축기와 증발기(팽창밸브, 41)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41)에 공급하는 냉매 공급관(42)을 여과수 내에 입수(함침)된 상태로 배치하여, 응축기에서 공냉을 통해 1차 응축된 냉매는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수냉과정을 통해 2차 응축된 상태로 증발기(41, 팽창밸브)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폭염기 등 주위 온도가 높은 경우에 냉매 공급관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에 도달하기 이전에 응축된 냉매가 기화되어서,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조(51)에 저수되어 급기되는 공기를 투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수는, 공기 내에 혼입된 이물질들이 잔류하므로 주기적인 교환이 요구되며, 이러한 여과수를 장시간 교환하지 아니하면 유입되는 응결수에 의해 여과조의 넘침이 발생될 수도 있고, 또 안정적인 위생상태를 담보하기 어렵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조(51)에는 여과조(51) 내에 여과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57a)가 형성된 급수관(57)과, 여과수를 배수하는 드레인 밸브(58a)가 형성된 배수구(58)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51)에는 기준 수위센서(59a)와, 상기 기준 수위센서(59a)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59b)와, 상기 기준 수위센서(59b)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 센서(59c)를 각각 배치한다.
또한, 제어부(60)는 기준 수위센서(59a)와 저수위 센서(59b), 및 고수위 센서(59c)를 제공되는 수위값에 따라 드레인 밸브(58a)와 급수밸브(57a)의 개폐를 제어하여 여과수를 자동으로 교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는 저수위 센서(59b)를 통해 저수위가 감지되거나 고수위가 감지되면, 드레인 밸브(58a)를 통해 배수구(58)를 개방하여 여과조 내에 잔류된 여과수를 모두 배출한 다음, 급수밸브(57a)를 개방하여 급수관(57)을 통해 여과수를 여과조(51)에 급수하여 기준 수위센서(58a)에 의해 감지되는 기준 수위의 여과수가 여과조(51) 내에 새로이 급수되도록 한다.
예컨대, 하절기 등 주위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다량의 응결수가 여과수에 유입되어 여과수의 수위가 상승하며, 제어부(60)는 고수위 센서(59c)에 의해 여과수의 고수위가 감지되면 드레인 밸브(58a)와 급수밸브(57a)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여과조(51) 내에 저수된 여과수를 교환한다.
그리고, 동절기 등 주위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여과조(51) 내에 저수된 여과수의 증발이 이루어지며, 제어부(50)는 저수위 센서(59b)에 의해 여과수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드레인 밸브(58a)와 급수밸브(57a)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여과조(51) 내에 저수된 여과수를 교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쇼케이스(1)는 관리자가 여과조(51)에 저수된 여과수의 잔류량과 오염도를 확인하는 번거로움 없이 여과수의 주기적인 교체 및 보충이 이룩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과수의 교환과 응축수의 처리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항시 청결한 여과수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 및 냉각하여 진열공간의 안정적인 냉장상태와 위생상태의 확보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 오픈형 쇼케이스
10. 쇼케이스 본체 11. 진열공간
12. 물품 출입구
20. 순환관로 21. 흡기부
22. 냉기 토출부
30. 순환 배기팬 40. 냉각 장치부
41. 증발기 41a. 팽창밸브
42. 냉매 공급관 43. 냉매 회수관
44. 압축기 45. 응축기
50. 입수 투과형 여과부 51. 여과조
52. 급기펌프 53. 입수관
54. 확포기 55. 교반팬
56. 부상패드 56a. 견인 스프링
57. 급수관 57a. 급수밸브
58. 배수구 58a. 드레인 밸브
59a. 기준 수위센서 59b. 저수위 센서
59c. 고수위 센서
60. 콘트롤러부

Claims (3)

  1. 전방에 물품 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진열공간을 갖는 쇼케이스 본체와;
    상기 쇼케이스 본체의 내벽 수직면 상에 형성되며, 하부에 흡기부가 형성되고 진열공간의 물품 출입부 상부에 냉기 토출부가 형성된 순환관로와;
    상기 순환관로 내에 배치되어, 흡기부를 통해 순환관로 내에 공기를 강제 흡기한 다음 흡기된 공기를 냉기 토출부를 통해 진열공간의 물품 출입구를 따라 하향 토출하는 순환 배기팬과;
    상기 순환관로 내에 증발기를 내설하여, 순환관로 내로 흡기된 공기와 증발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부와;
    상기 진열공간의 하부에 구획되게 형성되어, 물품 출입구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흡기하여 저수된 여과수에 투과시켜 여과한 다음, 여과된 공기를 순환관로의 입구부로 유입하는 입수 투과형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투과형 여과부는 순환관로의 입구부와 연통하며, 여과수를 저수하는 여과조와;
    상기 물품 출입구의 하부로 떨어진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기하는 급기펌프; 및
    상기 급기펌프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여과조에 저수된 여과수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 내에는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 공급관이 여과수 내에 입수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를 통해 공냉과정을 통해 1차 응축된 냉매는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수냉과정을 통해 2차 응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KR1020180162330A 2018-12-14 2018-12-14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KR20200073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30A KR20200073778A (ko) 2018-12-14 2018-12-14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30A KR20200073778A (ko) 2018-12-14 2018-12-14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78A true KR20200073778A (ko) 2020-06-24

Family

ID=7140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30A KR20200073778A (ko) 2018-12-14 2018-12-14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7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88A (ko) 2020-08-21 2022-03-02 유재우 가습 및 수분활성도 유지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
KR20220023917A (ko) 2020-08-21 2022-03-03 유재우 공기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클린 쇼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950U (ko) 1997-07-22 1999-02-18 최진호 오픈쇼케이스
KR200144948Y1 (ko) 1995-07-26 1999-06-15 최진호 오픈 쇼케이스의 배수장치
KR200153285Y1 (ko) 1995-12-15 1999-08-02 최진호 오픈쇼케이스의 자동세척장치
KR101398176B1 (ko) 2012-11-06 2014-05-2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온장 겸용 오픈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948Y1 (ko) 1995-07-26 1999-06-15 최진호 오픈 쇼케이스의 배수장치
KR200153285Y1 (ko) 1995-12-15 1999-08-02 최진호 오픈쇼케이스의 자동세척장치
KR19990005950U (ko) 1997-07-22 1999-02-18 최진호 오픈쇼케이스
KR101398176B1 (ko) 2012-11-06 2014-05-2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온장 겸용 오픈쇼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88A (ko) 2020-08-21 2022-03-02 유재우 가습 및 수분활성도 유지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
KR20220023917A (ko) 2020-08-21 2022-03-03 유재우 공기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클린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8208B (zh) 衣物干燥机
CN107289731A (zh) 水分配器
KR20200073778A (ko) 개량된 여과구조를 갖는 오픈형 쇼케이스
JPH03137473A (ja) 冷蔵庫
US20110083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potable water from atmosphere
KR20070093634A (ko) 음료수용 냉장고의 열교환 장치
US20150300716A1 (en) Ice maker
JPH0842960A (ja) 冷蔵庫用野菜貯蔵室加湿装置
US2347905A (en) Waste water humidifier
KR200395163Y1 (ko) 쇼케이스의 결로수 처리장치
JPS605348Y2 (ja) オ−プンシヨ−ケ−ス
US1191017A (en) Cooling apparatus.
JP5219611B2 (ja) 業務用冷蔵庫
KR200359884Y1 (ko) 냉염수 오존처리장치
KR102024471B1 (ko)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JPH04344088A (ja)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の排水処理装置
US2212710A (en) Refrigerator
JPS6216235Y2 (ko)
US1690060A (en) Refrigerator
US11920847B2 (en) Icemaking appliance having a replaceable filter
JPH0645818Y2 (ja) 冷凍コンテナにおける湿度制御装置
US2049799A (en) Refrigerating apparatus
JP5813564B2 (ja) 鮮度保持装置
JP2013221726A (ja) 鮮度保持装置
DE10014343A1 (de) Warenkühlthe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