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471B1 -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 Google Patents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471B1
KR102024471B1 KR1020180082710A KR20180082710A KR102024471B1 KR 102024471 B1 KR102024471 B1 KR 102024471B1 KR 1020180082710 A KR1020180082710 A KR 1020180082710A KR 20180082710 A KR20180082710 A KR 20180082710A KR 102024471 B1 KR102024471 B1 KR 10202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owcase
evaporation
moisture
water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우
Original Assignee
유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우 filed Critical 유재우
Priority to KR102018008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공간에서 진열물을 진열 전시하는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열물이 다수 진열되는 쇼케이스모듈; 냉기를 열교환시켜 보냉 응축시키는 응축모듈; 상기 쇼케이스모듈에서 배출된 수분을 모으는 소정크기 수조 형태로 형성되어, 모은 수분을 흡수하여 자연적 증발 및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증발에너지를 받아 확산 증발시키는 증발매개체를 구비하는 수분제거모듈; 및, 상기 쇼케이스 냉장고의 각 구성부들과 신호를 상호 전송하면서 전체적인 진열 상태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제거모듈과 증발매개체의 형태와 구조를 새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쇼케이스 냉장고에서 문제시 되었던 수분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냉장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Showcase refrigerater of removing moisture through growing evaporation and diffusion}
본 발명은 소정 공간에서 진열물을 진열 전시 하는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쇼케이스 냉장고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일정 공간으로 배출시켜 모으고, 모은 수분을 흡수하여 자연적 증발 및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외풍 및 증발열 등의 증발에너지를 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냉장효과를 높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열 전시할 수 있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쇼핑센타, 대형 및 각종 중소형 매장, 슈퍼마켓 등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고객이나 소비자가 내부에 진열된 진열품이나 식품을 보면서 구매하거나 먹고 싶은 제품을 선택하면 관리인이 꺼낼 주도록 되어 있는 기계 장치나 시스템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식품이나 기타의 물건을 넣어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도록 냉장이나 냉동 장치제어시스템이 설치되거나 구비되며, 보관되는 식품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쇼케이스로 구분된다.
또한 쇼케이스는 수평으로 설치하여 위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평식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앞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직식 외에도, 입구에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식과 도어를 설치하지 않고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오픈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쇼케이스 냉장고는 냉장이나 냉동을 하면서 내부의 냉기가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해야만 효율 높은 냉장이나 냉동의 효과를 거둘수 있다. 특히 냉장 쇼케이스 냉장고의 경우에는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냉장의 효과를 높이는 데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관련 산업계에서는 쇼케이스 냉장고의 내부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쇼케이스 냉장고 에서는, 쇼케이스 냉장고에 성애가 끼거나 수분이 차게 되더라도 배출튜브를 통해 배출시키고 필요한 경우 열을 가해 모여진 수분을 증발시키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되면 쇼케이스 냉장고 내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 전시하게 되는 음식물이나 각종 전시물품 들을 전시식품 들을 효율적으로 진열 전시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수분제거와 함께 냉장의 효과를 높이는 것은 냉장 자체 뿐만 아니라, 냉장을 위해 소모되는 전기 절감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은 물론, 기능이 우수한 쇼케이스 냉장고 의 구조에도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 상태의 소정 진열공간에서 진열물을 진열 전시 하는 쇼케이스 냉장고에 있어서, 밀폐된 상태로 일정한 공간부터의 진열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진열물이 다수 진열되어 외부에서 전시상태가 확인 가능한 쇼케이스모듈; 상기 쇼케이스모듈;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열교환시켜 보냉 응축시키는 응축모듈; 상기 쇼케이스모듈에서 배출된 수분을 모으는 소정크기 수조 형태로 형성되어, 모은 수분을 흡수하여 자연적 증발 및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증발에너지를 받아 확산 증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체를 구비하는 수분제거모듈; 및, 상기 쇼케이스 냉장고의 각 구성부들과 신호를 상호 전송하면서 전체적인 진열 상태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에 있어, 상기 증발매개체는, 면 구조를 갖는 박형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분체에 의해 형성되거나; 소정의 부피를 갖으며 하나의 몸체를 갖는 부피통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분체에 의해 형성되거나; 바람이 통하기에 좋아 촘촘하지 않는 얼기설기 형태의 스폰지 내지 매시그물 형태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형태에서 상기 수분제거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체가 상기 증발에너지를 받아 수분 확산 증발의 효율을 높이도록, 종횡으로 소정 배열구조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에 있어, 상기 수분제거모듈은, 자체 가열되어 상기 모인 수분이 가열되거나; 상기 응축모듈의 열교환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받아 상기 모인 수분이 가열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모듈에서의 수분의 확산 증발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분제거모듈로 바람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주요한 효과가 있다.
종래 쇼케이스 냉장고에서 문제시 되었던 수분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냉장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수분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수분제거모듈과 증발매개체의 형태와 구조를 새로 구성하고 있다.
수분의 증발과 확산에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자체 구조, 특히 응축모듈의 열에너지와 바람 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수분 처리와 냉장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에너지도 절약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증발매개체(130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통체형 증발매개체(130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 등은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는, 쇼케이스모듈(110), 응축모듈(120), 수분제거모듈(130), 및 통합 제어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 있어, 쇼케이스모듈(110)은 밀폐된 상태로 일정한 공간부터의 진열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진열물이 다수 진열되어 외부에서 전시상태가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쇼케이스모듈(110)은 외곽이 밀폐된 상태이며, 그 내부에 일정한 부피의 진열공간을 가진다. 둘레측면이 유리창으로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진열되는 진열물이 보관됨과 동시에 외부에서 투명한 창을 통해 진열 전시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 쇼케이스모듈(110)은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쇼케이스모듈(110)의 전면은 투명한 창으로 막혀 있지만, 후면은 미닫이도어(100D)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닫이도어(100D)를 통해 내부에 진열할 진열품을 넣고 빼내게 된다.
내부는 단을 나누어 층간 형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진열분리대(110D)가 있으며, 각 층간 분리된 공간에 진열품을 진열 전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의 냉기는 쇼케이스모듈(110) 내에서 순환하게 되며,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에 진열 전시되는 필요한 음식이나 과일, 기타 진열품들의 냉장이 유지된다.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에는, 응축모듈(120), 수분제거모듈(130)이 위치한다. 또한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는 상태를 센싱하고, 응축모듈(120)과 수분제거모듈(130) 등, 각 구성부들을 전체적으로 통합제어하는 통합 제어모듈(140)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냉장 쇼케이스 냉장고(10)에 있어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의 응축모듈(120)은 냉기를 생성하여 쇼케이스모듈(1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응축모듈(120)은 냉기를 만들어 낸다. 냉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의 열교환 방식에 의해 냉기를 만들어 내며 이렇게 만들어진 냉기를 다시 쇼케이스모듈(110)에 공급하게 된다.
공급된 냉기는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에서 순환 대류 하게 되며, 결국 진열되어 있는 음식이나 과일, 기타 진열품들의 온도를 낮추어 적정한 냉장을 수행함으로써, 쇼케이스 냉장시스템(10)의 냉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냉기를 통한 냉장으로 인해 쇼케이스모듈(110)에서는 습기나 수분이 생기게 되며,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에서 아래로 흘려내려 수분으로 모이게 된다.
쇼케이스 냉장고(10)에 있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모듈(120) 표면에 응축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리가 발생하여 착상이 되기도 한다. 수분의 착상은 공기의 유효 통과 면적을 감소시켜 풍량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냉각 효과가 감소한다. 또한 간혹 얼음이 생성되기도 하는데, 얼음은 열저항이 되어 냉동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심할 경우 압축기로 액냉매를 유입시켜 파손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본 쇼케이스 냉장시스템(10)의 냉장 효율이 좋아져 효율적인 냉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는 효율적인 냉장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가동하는 도중 발생되는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에는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를 가동하는 도중 생성되어 모인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튜브(100T)가 형성되어 있다. 본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에 모이는 수분은 이 수분배출튜브(100T)를 통해 배출되어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수분배출튜브(100T)는 일반적인 형태의 튜브로 수분이 흘러내릴수 있는 형태를 하고 있지만, 수분배출튜브(100T)의 첫 시작 부분, 즉 쇼케이스모듈(110) 하부 측 배수 부분은 수분만 흘러나갈수 있을뿐, 기타 공기는 통할 수 없도록 기본적으로 뚫려는 있지만 덧댄 상태로 되어 공기는 차단되고 수분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시스템(10)에서는 아주 효율이 높도록 수분제거모듈(1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수분제거모듈(130)은, 상기 통합 제어모듈(1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쇼케이스모듈(110)에서 배출된 수분을 모으는 소정크기 수조 형태로 형성되어, 모은 수분을 흡수하여 자연적 증발 및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증발에너지를 받아 확산 증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체(130E)를 구비하는 구성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분제거모듈(130)은 다수의 증발매개체(130E)를 구비한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증발매개체(130E)는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이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며, 증발매개체(130E)의 구성 상태에 따라 흡수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증발, 확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통합 제어모듈(140)은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각 구성부들과 신호를 상호 전송하면서 전체적인 진열 상태를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어떠한 작동모드로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선택하고 설정하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작동상태를 나타내 주는 것도 담당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제거모듈(130)에 증발매개체(130E)가 놓이게 되면,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인 수분이 증발매개체(130E)에 흡수된다.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 있어 증발매개체(130E)는 제거하고자 하는 수분의 증발 및 확산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약 3~7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 형태로 증발매개체(130E)를 형성시켜 구비하고 있어 수분제거모듈(130)에 고인 수분을 잘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된 수분은 본 증발매개체(130E)에서 증발되며,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통기구(100Z)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는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이는 수분의 증발 확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수분제거모듈(130)에 외부로부터의 가해주는 증발에너지로 열을 인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는 수분제거모듈(130) 자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여주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모듈(120)에서 열교환시 낮추거나 제거해 주어야 하는 열을 이용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모듈(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증발에너지로 이용하는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응축모듈(120)에서 제거해주어야 할 열(에너지)을 포함하고 있는 출외파이프(120Px)가 수분제거모듈(130)에 잠기기 시작해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지고 있던 열을 수분에 전해주면, 수분은 그 열을 받아 데워지면서 증발과 확산이 더 잘 일어나게 된다. 이후 다시 열을 교환하여 낮아진 인입파이프(120Py)가 응축모듈(120)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구조를 취하므로써, 수분제거모듈(130)에서 열원 교환되어 수분 증발에 이용되며, 응축모듈(120)은 온도가 낮아진 상태를 이용하여,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 순환되는 냉기의 온도를 다시 낮추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는 쇼케이스모듈(110)에서 배출시켜 제거해야 하는 수분의 증발을 위해, 응축모듈(120)에서 제거해야 하는 열원을 증발에너지로 이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력의 사용에도 효율을 기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는 수분의 증발 확산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증발매개체(130E)의 형태나 배열 등도 다양하게 형성하고 있으며, 다음의 설명 이외에도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증발매개체(130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수분제거모듈(130)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하나 혹은 다수의 증발매개체(130E)가 다양한 배열을 이룬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판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워 증발매개체(130E)를 형성하고, 이를 수분제거모듈(130)의 바닥면에서 세우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위해 판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끼우기 위한 'ㄷ'자 혹은 옆으로 누운 'U'자 모양의 지지체(130S)를 세우고 싶은 수만큼을 수분제거모듈(130) 일측면으로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는 증발매개체(130E)의 다양한 형태의 예로 봉(bar) 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워 증발매개체(130E)를 형성하고, 이를 수분제거모듈(130)의 바닥면에서 세우거나, 기타 종횡배열되도록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수의 봉(bar) 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우기 위해서는 수분제거모듈(130)의 바닥에 꽂이침을 꽂아 세우고자 하는 수만큼 꽂아 형성하는 것도 좋다. 또한 b'->b" 방향과 같이 옆으로 장형의 꽂이침(130Ep)을 형성하고 여기서 세로로 평행하게 세움으로써 결과적으로 수분제거모듈(130)의 바닥면에서 서있는 형태로 하여 증발매개체(130E)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의 (c)는 메시 그물 구조로 형성시킨 또다른 형태의 증발매개체(130E)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과 확산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면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 역시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서로 엮기는 형태가 되어, 하나의 몸체는 이루는 형태 역시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입체그물구조로 가로세로높이(xyz) 방향으로 형태로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로 짜여져 구조화되어 하나의 몸체화된 형태 역시 가능하다.
도 5는 도 3 수분제거모듈(130)에서의 통체형 증발매개체(130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매개체(130E)의 예로 스폰지를 적용한 경우로서, 도 5의 (a)는 사각기둥형 통체를, 도 5의 (b)는 원기둥형 통체를, 채택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스폰지 형태의 증발매개체(130E) 역시 본 발명에서는 의미하는 증발과 확산에 좋은 효율을 보일 수 있는 경우로, 될수 있는 한 외부에서 인가하는 바람이 사이사이를 통하면서 증발이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너무 촘촘하여 바람의 통과가 작은 경우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있어서 증발매개체(130E)의 외형이 육면체 구조이거나 통형구조, 기타 다른 형태이더라도 외형은 크게 상관이 없다.
또한 본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는 하부에서 증발된 이 후 자연적으로 대류되는 상태로 놔두어도 좋으나, 외부에서 바람을 인가해 준다면 증발과 확산의 효율을 높일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모듈(120)에서 작동시키게 되는 동력을 이용 팬(120f)을 작동시켜 바람을 일으키고, 여기서 발생되는 바람을 인가함으로써 증발과 확산을 배가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을 외부로 증발시키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종래 발생되는 수분을 그냥 바닥으로 흘려보냄으로써 지저분해지는 문제도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렇게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은, 모인 수분을 바닥으로 흘러보내게 되면 흘러내린 수분으로 인해 주위가 더럽게 되는 등, 환경적으로 좋지 않게 되는 것 또한 방지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100D : 미닫이도어 100T : 수분배출튜브
100Z : 통기구
110 : 쇼케이스모듈
110D : 진열분리대
120 : 응축모듈
120Px : 출외파이프 120Py : 인입파이프
130 : 수분제거모듈
130E : 증발매개체
130Ea : 증발매개분체 130Ep : 꽂이침
140 : 통합관리 제어모듈

Claims (8)

  1. 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며, 밀폐된 상태로 진열공간이 구비되고 진열물이 복수개 진열되고, 둘레측면이 유리창으로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진열되는 진열물이 보관되며, 전면은 투명한 창으로 막혀 있지만, 후면은 미닫이도어(100D)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미닫이도어(100D)를 통해 내부에 진열할 진열품을 넣고 빼내게 되며, 내부는 단을 나누어 층간 형태로 구분되도록 진열분리대가 있으며, 각 층간 분리된 공간에 진열품을 진열 전시하게 하며, 내부의 냉기는 쇼케이스모듈(110) 내에서 순환하게 되어 내부에 진열 전시되는 진열품들의 냉장이 유지되도록 하는 쇼케이스모듈(110);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에서 냉기를 생성하여 쇼케이스모듈(1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냉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냉매의 열교환 방식에 의해 냉기를 생성하여 냉기를 쇼케이스모듈(110)에 공급하며, 공급된 냉기가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에서 순환 대류 하게 함으로써, 냉기를 통한 냉장으로 인해 쇼케이스모듈(110)에서는 습기나 수분이 생기게 하여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에서 아래로 흘려내려 수분으로 모이게 하는 응축모듈(120);
    응축모듈(120)이 가동하는 도중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쇼케이스모듈(110) 하부의 수분을 수분제거모듈(130)에 전달하여 모이게 하며, 첫 시작 부분인 쇼케이스모듈(110) 하부 측 배수 부분에 있어서 덧댄 구조로 형성되는 수분배출튜브(100T);
    통합 제어모듈(140)의 제어를 받아 쇼케이스모듈(110)에서 배출된 수분을 모으는 미리 설정된 크기 수조 형태로 형성되어, 모은 수분을 흡수하여 자연적 증발 및 외부로부터의 가해지는 증발에너지를 받아 확산 증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체(130E)를 구비하는 수분제거모듈(130); 및
    쇼케이스모듈(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는 상태를 센싱하고, 응축모듈(120)과 수분제거모듈(130)와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진열 상태를 제어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작동모드 중 하나의 작동모드로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선택하고 설정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통합 제어모듈(140); 를 포함하며,
    수분제거모듈(130)에 증발매개체(130E)가 놓이게 되면,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인 수분이 증발매개체(130E)에 흡수되며, 흡수된 수분이 증발매개체(130E) 상에서 증발되면,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분제거모듈(130)에 모이는 수분의 증발 확산을 위해 수분제거모듈(130)에 외부로부터의 가해주는 증발에너지로 열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응축모듈(120)에서 열교환시 낮추거나 제거해 주어야 하는 열을 이용하되, 응축모듈(120)에서 제거해주어야 할 열(에너지)을 포함하고 있는 출외파이프(120Px)가 수분제거모듈(130)에 잠기어 형성되어 출외파이프(120Px)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지고 있던 열을 수분제거모듈(130) 내부의 수분에 전해주어 열을 전달받은 수분에 의한 증발과 확산 수행되며, 수분제거모듈(130) 내부에서 다시 열을 교환하여 낮아진 열을 포함하고 있는 인입파이프(120Py)가 응축모듈(120)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분제거모듈(130)에서 열원 교환되어 수분 증발에 이용되며, 응축모듈(120)이 열원 교환에 따라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10)에서 순환되는 냉기의 온도를 다시 낮추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증발매개체(130E)는,
    봉(bar) 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워 형성하고, 봉(bar) 형태의 증발매개분체(130Ea)들을 세우기 위해서는 증발매개분체(130Ea)들에 꽂이침(130Ep)을 꽂아 수분제거모듈(130)의 바닥면에서 서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증발매개체(130E)는,
    판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분체(130Ea)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해, 각 증발매개분체(130Ea)를 끼우기 위한 'ㄷ'자 혹은 옆으로 누운 'U'자 모양의 지지체(130S)를 이용해 각 증발매개분체(130Ea)를 세워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4. 삭제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모듈(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발매개체(130E)가 상기 증발에너지를 받아 수분 확산 증발의 효율을 높이도록, 종횡으로 소정 배열구조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모듈(130)은,
    상기 응축모듈(120)의 열교환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받아 상기 모인 수분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8. 삭제
KR1020180082710A 2018-07-17 2018-07-17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KR10202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10A KR102024471B1 (ko) 2018-07-17 2018-07-17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10A KR102024471B1 (ko) 2018-07-17 2018-07-17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471B1 true KR102024471B1 (ko) 2019-09-23

Family

ID=6806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10A KR102024471B1 (ko) 2018-07-17 2018-07-17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953A (ko) * 1996-12-26 1998-09-25 배순훈 수분 흡수용 섬유를 이용한 증발명
KR20000011227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쇼케이스의 제상수 증발장치
JP2000230772A (ja) * 1999-02-08 2000-08-22 Toyo Kogyo Kk 凝縮水蒸発装置
KR20110100086A (ko) * 2010-03-03 2011-09-09 (주)보광훼미리마트 제상수 집수증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953A (ko) * 1996-12-26 1998-09-25 배순훈 수분 흡수용 섬유를 이용한 증발명
KR20000011227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쇼케이스의 제상수 증발장치
JP2000230772A (ja) * 1999-02-08 2000-08-22 Toyo Kogyo Kk 凝縮水蒸発装置
KR20110100086A (ko) * 2010-03-03 2011-09-09 (주)보광훼미리마트 제상수 집수증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특1998-052953호(1998. 9. 25.)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327A (en) Air curtain for open-fronted, refrigerated showcase
US3364694A (en) Refrigerator apparatus
ES2223575T7 (es) Aparato de almacenamiento en frío
US6901767B2 (en) Use of heat in cold storage appliances
RU2110738C1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360548B1 (en) Open-fronted, refrigerated showcase with dual evaporators and dissipater pans
AU2002238775A1 (en) Use of heat in cold storage appliances
CN106605111A (zh) 冰箱
US2345453A (en) Refrigeration
RU2290576C2 (ru) Холодильная камера (варианты)
IL157833A (en) Use of heat in refrigerated storage facilities
KR102024471B1 (ko) 증발확산증대 수분제거 쇼케이스 냉장고
US6301916B1 (en) Air curtain for open-fronted, refrigerated showcase
KR200395163Y1 (ko) 쇼케이스의 결로수 처리장치
CN101424471B (zh) 冷却装置
CN210220351U (zh) 单系统冰箱
JPH1073366A (ja) 冷却貯蔵庫
CN111156775A (zh) 一种风冷冰箱加湿结构及风冷冰箱
KR101886578B1 (ko) 결로방지 및 위생향상형 냉장용 쇼케이스
RU175940U1 (ru) Быстрозамораживатель
EP3171106B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use of a refrigerated display case
JPH04344088A (ja)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の排水処理装置
CN111609611A (zh) 利用离心风机进行散热的冰箱
RU2767864C1 (ru) Холодильная витрина
JPH03294776A (ja) 花用冷却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