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529A - 약국 키오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약국 키오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529A
KR20200073529A KR1020180161779A KR20180161779A KR20200073529A KR 20200073529 A KR20200073529 A KR 20200073529A KR 1020180161779 A KR1020180161779 A KR 1020180161779A KR 20180161779 A KR20180161779 A KR 20180161779A KR 20200073529 A KR20200073529 A KR 20200073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user
payment
information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Priority to KR102018016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529A/ko
Publication of KR2020007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국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고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질병에 도움을 주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광고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컨텐츠 또는 처방전 결제 비용의 사용자 인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국 키오스크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t drug store}
본 발명은 약국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고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질병에 도움을 주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광고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컨텐츠 또는 처방전 결제 비용의 사용자 인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처방전은 의사가 환자의 질병을 낫게 하기 위해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종래에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후, 환자는 간호사 등에 의해 프린트된 처방전을 직접 수령하거나 또는 의료기관 내에 처방전 발급을 위해 마련된 특정 장소나 기계로 이동하여 자신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인쇄하여 수령한 후, 통상 의료기관에 인접하여 위치한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전을 제출하고 약조제를 수행하게 된다.
즉, 현재는 의약분업에 따라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후,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에 대해 해당 환자가 병원 등에서 발급하여 주는 종이 처방전 또는 전자 처방전을 위 설명한 절차를 통해 직접 수령한 다음 원하는 약국에 제출하여 약을 조제 받도록 되어 있다.
약사는 환자로부터 처방전을 접수하는 경우,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처방 의약품을 약국에 배치된 약국 단말기를 통해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이하, 건강보험서버라 언급)로 송신하여 건강보험서버로부터 처방전 약품 판매에 따른 결제 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약사는 사용자가 선택된 결제 수단(예를 들어 현금 또는 신용카드 등)에 따라 비용을 결제한다.
한편, 최근에는 공공장소, 병원, 약국, 극장, 식당, 버스터미널, 지하철, 관공서, 쇼핑몰 등에 설치되어 상품 정보 안내, 시설물 이용 안내, 장소 및 관광 정보 안내 등의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동 정산과 결제를 수행하는 무인 키오스크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인 키오스크 내부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PC의 형태로, 이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 프린터, 네트워크, 스피커 등의 다양한 입출력 주변기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약국에 배치되어 있는 무인 키오스크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획득하여 처방전 비용을 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종래 약국 키오스크의 경우 단순히 처방전 비용을 결제하는데만 이용되는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약국 키오스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고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질병에 도움을 주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약국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처방된 약품의 조합에서 사용자 질병을 판단하는 메인 약품 식별자로부터 사용자의 질병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질병에 맞춤형으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약국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여 광고 컨텐츠 또는 처방전 결제 비용의 인지 효과를 극대화한 약국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과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된 시점을 비교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 이전에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처방전 비용과 물품의 구매 비용을 동시에 용이하게 결제할 수 있는 약국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처방전의 약품 정보와 처방전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와,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로부터 처방전 결제 비용을 판단하는 비용 관리부와,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 정보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부와, 처방전 결제 비용과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는 약품 정보에서 처방된 약품의 조합 중 메인 약품 식별자와 보조 약품 식별자를 구별하여 판단하는 약품 구별부와, 판단한 메인 약품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는 질병 판단부와,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매핑되어 있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부와, 검색한 광고 컨텐츠 및 처방전 결제 비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어부는 검색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어부는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재생 중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함께 또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재생 완료 후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선택 아이콘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비용 관리부는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물품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물품 구매에 따른 구매 결제 비용을 판단하며, 컨텐츠 제어부는 구매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비용 관리부는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된 시점과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을 비교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 이전에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생성하며, 컨텐츠 제어부는 합산 결제 내역을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정보 획득부는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처방전의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스캔부이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의 약품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고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질병에 도움을 주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컨텐츠 또는 처방전 결제 비용의 사용자 인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과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된 시점을 비교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 이전에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처방전 비용과 물품의 구매 비용을 동시에 용이하게 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과 제2 분할 화면의 디스플레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광고 컨텐츠에 따라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에 따른 제2 분할화면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 식별자, 질병종류, 사용자 정보 및 광고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약국 키오스크(100), 건강보험 서버(50) 및 카드사 서버(7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약국 키오스크(100)와 건강보험 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약국 키오스크(100)와 카드사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국 키오스크(10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접속될 수 있는데, 약국 키오스크(100)와 사용자 단말기(10)는 NFC,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Wi-Fi 등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병원에서 종이 처방전을 발급받아 소지하거나 전자 처방전을 발급받아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약국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종이 처방전에서 처방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전자 처방전의 처방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약국 키오스크(10)는 처방전의 결제 비용을 사용자에 알려주거나 처방전의 결제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약국 키오스크(100)는 처방전의 처방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건강보험서버(50)로 송신하며 건강보험서버(50)로부터 처방전 결제 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제공한다. 처방전 결제 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방식, 예를 들어 현금 또는 카드 중 어느 1개가 선택되는 경우, 약국 키오스크(100)는 선택된 지급 방식에 따라 현금 결제를 수행하거나 카드사 서버(70)에 접속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을 결제 수행한다.
한편, 약국 키오스크(100)는 종이 처방전 또는 전자 처방전으로부터 처방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사용자가 처방받은 처방전의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 종류를 판단하며 판단한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한다.
약국 키오스크(100)는 단순히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 중 또는 제공 후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사용자가 구매 요청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함께 물품 구매 비용을 함께 결제 처리한다. 따라서 약국 키오스크(100)를 통해 처방전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경우, 단순히 처방전 비용을 결제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의 질병과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에 따라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질병에 도움을 주는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광고자는 타켓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약국 키오스크(100)는 광고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광고 제공 이력을 관리하며 광고 제공 이력에 따라 광고주에 광고 비용을 과금 처리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광고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와 물품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에 가중치를 달리하여 광고 비용을 과금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획득부(110)는 종이 처방전 또는 전자 처방전으로부터 사용자에 처방된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성별, 나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획득한다. 여기서 약국 키오스크 장치는 처방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구비할 수 있는데, 종이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 RFID 리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NFC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이 사용되거나, Wi-Fi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발급하는 서버로부터 직접 약품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비용 관리부(130)는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에 처방된 약품 정보를 건강보험서버로 송신하여 건강보험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보험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처방된 약품의 수가 정보 등을 수신하며, 건강보험 가입 여부와 처방된 약품의 수가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전의 결제 비용을 계산한다.
한편, 컨텐츠 관리부(150)는 획득한 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 종류를 판단하며 판단한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170)에서 검색한다.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고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데, 컨텐츠 관리부(150)는 다양한 광고 컨텐츠 중 사용자의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관리부(150)는 선택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처방전의 결제 비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0)에 출력 제어한다. 사용자는 처방전의 비용 결제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190)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질병에 도움을 주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광고 컨텐츠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함께 구매할 수 있다.
비용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방식에 따라 현금으로 처방전 비용 또는 물품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하거나 카드를 통해 처방전 비용 또는 물품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비용 관리부(130)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 중 광고 컨텐츠의 물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물품 구매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생성하여 컨텐츠 관리부(150)로 제공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처방전 비용과 물품 구매 비용을 동시에 용이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약품 구별부(151)는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중 사용자의 질병을 결정하는 메인 약품 식별자와 보조 약품 식별자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종류가 A, B, C, D인 경우, 처방받은 약품 중 A, B는 사용자의 질병에 직접 관련된 약품이며 C, D는 보조 약품(예를 들어 소화제, 진통제 등)인 경우 A, B는 메인 약품 식별자로 구별하고 C, D는 보조 약품 식별자로 구별한다.
질병 판단부(153)는 메인 약품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 종류를 판단하며, 컨텐츠 검색부(155)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고 컨텐츠들 중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를 검색한다.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동일한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다수의 광고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데, 컨텐츠 검색부(155)는 다수의 광고 컨텐츠들 랜덤하게 1개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수의 광고 컨텐츠들 중에서 순차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어부(157)는 검색한 광고 컨텐츠와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제어하는데, 바람직하게 컨텐츠 제어부(157)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검색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분할 화면과 결제 비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분할 화면의 크기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분할 화면의 위치와 제2 분할 화면의 위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제어부(157)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분할 화면과 제2 분할 화면을 구분하여 각각 광고 컨텐츠와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 컨텐츠 재생 화면과 비용 결제 화면을 용이하게 구별하여 비용을 결제 수행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인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정산부(159)는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횟수를 카운트하며, 단위 시간 동안 카운트한 광고 횟수에 기초하여 광고 비용을 계산하고 계산한 광고 비용을 광고주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광고 정산부(159)는 디스플레이된 광고 컨텐츠의 재생 중 또는 재생 완료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 요청을 받아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의 결제가 완료되는지 판단한다. 광고 정산부(159)는 물품 구매가 이루어진 광고 컨텐츠와 물품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광고 컨텐츠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광고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90)를 제1 분할 화면(191)과 제2 분할 화면(193)으로 구분하는데, 제1 분할 화면(191)에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분할 화면(193)에는 처방전 결제 또는 물품 구매 결제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약국 키오스크 장치의 관리자를 통해 설정된 명령에 따라 컨텐츠 제어부는 제1 분할 화면(191)과 제2 분할 화면(193)의 위치를 서로 변경하거나 제1 분할 화면(191)과 제2 분할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과 제2 분할 화면의 디스플레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에는 사용자의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2 분할 화면에는 처방전 결제 비용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동영상이거나 정지 이미지일 수 있다.
도 6은 광고 컨텐츠에 따라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에 광고 컨텐츠가 재생 중 제1 분할 화면의 일 부분에 구매 아이콘(I)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사용자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 중 구매 아이콘을 통해 광고 컨텐츠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에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후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별도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부분에 구매 아이콘(I)을 통해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의 재생 완료 후 광고 컨텐츠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광고 컨텐츠의 재생 완료 후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제1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에 따른 제2 분할 화면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처방전 비용 결제 전에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 요청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물품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제2 분할 화면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처방전과 물품을 동시에 용이하게 결제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처방전 비용 결제 후에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 요청하는 경우, 물품 구매 결제 비용을 제2 분할 화면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물품 비용을 결제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국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의 처방전으로부터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110).
처방전의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건강보험서버로 송신하며 건강보험서버로부터 약품 수가 정보를 수신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을 계산한다(S120).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 종류를 판단하며 판단한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고(S130), 선택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과 제2 분할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140).
도 9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 식별자, 질병종류, 사용자 정보 및 광고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질병을 결정하는 약품 식별자와 약품 식별자에 해당하는 질병 종류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결정하는 메인 약품 식별자와 보조적인 보조 약품 식별자를 구별하여 메인 약품 식별자로부터 사용자 질병 종류를 판단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질병 종류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그리고 40대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서로 상이한 광고 컨텐츠가 매핑되어 있는데, 판단한 질병 종류와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동일한 질병 종류에 다수의 광고 컨텐츠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광고 컨텐츠 중에서 랜덤하게 1개의 광고 컨텐츠가 선택되거나 다수의 광고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고로 살펴보면,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여(S150),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물품 구매 요청이 처방전 비용 결제 전에 입력되었는지 아니면 처방전 비용 결제 후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60).
물품 구매 요청이 처방전 비용 결제 전에 입력되는 경우 처방전 결제 비용과 물품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생성하고 생성한 합산 결제 내역을 제2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처방전 결제 비용과 물품 구매 결제 비용을 동시에 결제하도록 한다(S170). 그러나 물품 구매 요청이 처방전 비용 결제 후에 입력되는 경우 물품 구매 결제 내역을 생성하고 생성한 물품 구매 결제 내역을 제2 분할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물품 구매 결제 비용만 결제하도록 한다(S190).
광고 컨텐츠의 재생 후 광고 컨텐츠별로 광고 컨텐츠의 광고 횟수를 카운트하여 광고 내역을 갱신하는데, 광고 횟수에 따라 광고주에게 정산할 광고 비용을 계산하여 갱신한다(S180). 바람직하게, 광고 비용을 계산시 광고 컨텐츠의 제공 후 광고 컨텐츠의 물품 구매가 이루어진 광고와 물품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광고를 구분하여 서로 상이한 가중치로 광고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광고의 경우 광고 횟수에 따라 100원을 광고 비용으로 계산하며 물품 구매가 이루어진 광고의 경우 광고 횟수에 따라 150원을 광고 비용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50: 건강보험서버 70: 카드사 서버
100: 약국 키오스크 110: 정보 획득부
130: 비용 관리부 150: 컨텐츠 관리부
170: 데이터베이스부 19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처방전의 약품 정보와 상기 처방전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로부터 처방전 결제 비용을 판단하는 비용 관리부;
    상기 처방전의 약품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처방전 결제 비용과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약품 정보에서 처방된 약품의 조합 중 메인 약품 식별자와 보조 약품 식별자를 구별하여 판단하는 약품 구별부;
    판단한 메인 약품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판단하는 질병 판단부;
    사용자 정보와 판단한 사용자의 질병에 매핑되어 있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부; 및
    검색한 광고 컨텐츠 및 처방전 결제 비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검색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화면과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분할 화면으로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분할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재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처방전 결제 비용을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제1 분할 화면에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재생 중 맞춤형 광고 컨텐츠와 함께 또는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재생 완료 후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선택 아이콘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관리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물품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물품 구매에 따른 구매 결제 비용을 판단하며,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구매 결제 비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관리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된 시점과 상기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 결제 비용의 지불 시점 이전에 상기 물품 구매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처방전 결제 비용과 상기 구매 결제 비용을 통합한 합산 결제 내역을 생성하며,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합산 결제 내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처방전의 약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스캔부이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의 약품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국 키오스크 장치.
KR1020180161779A 2018-12-14 2018-12-14 약국 키오스크 장치 KR20200073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79A KR20200073529A (ko) 2018-12-14 2018-12-14 약국 키오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79A KR20200073529A (ko) 2018-12-14 2018-12-14 약국 키오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29A true KR20200073529A (ko) 2020-06-24

Family

ID=7140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79A KR20200073529A (ko) 2018-12-14 2018-12-14 약국 키오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045B1 (ko) * 2020-09-09 2020-11-19 구스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IoT 플랫폼 기반의 광고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위생용품 자동 판매기
KR102428700B1 (ko) * 2021-08-31 2022-08-04 주식회사 셀로맥스 약국 맞춤형 광고 편성표 작성 방법
KR102637905B1 (ko) * 2022-12-02 2024-02-16 서민식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손 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045B1 (ko) * 2020-09-09 2020-11-19 구스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IoT 플랫폼 기반의 광고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위생용품 자동 판매기
KR102428700B1 (ko) * 2021-08-31 2022-08-04 주식회사 셀로맥스 약국 맞춤형 광고 편성표 작성 방법
KR102637905B1 (ko) * 2022-12-02 2024-02-16 서민식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손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2324A1 (ja) 店舗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7469213B1 (en) Prescription dru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US201603645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spital patients with retail pharmacy services
US2014003991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paring healthcare costs, finding providers, and managing prescribed treatments
KR101261042B1 (ko) 개인 맞춤형 의료정보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150562A1 (en) Health care product triage administered closed system
CN103503004A (zh) 电子书阅读器
US1125757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purchase of a health-related product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KR102297333B1 (ko)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18589A1 (en) Dynamic customizable personalized label
KR20200073529A (ko) 약국 키오스크 장치
KR102285820B1 (ko) 유저의 의료 정보를 통한 의료용품 추천 및 판매 장치
CN112308649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3119743A1 (en) Consumer promotion management system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925A (ko) 스마트폰 단말기
KR101684255B1 (ko)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JP2014119824A (ja) 推奨情報提供装置および推奨情報提供方法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Barlas Track-and-trace drug verification: FDA plans new national standards, pharmacies tread with trepidation
US20210241207A1 (en) Method for notifying of expiry date of medicine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633181B1 (ko) 코드 및 상품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18052A1 (en) Dynamic customizable personalized label
JP2022069930A (ja) Nfcタグ利用者限定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