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804A -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 Google Patents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804A
KR20200072804A KR1020180160800A KR20180160800A KR20200072804A KR 20200072804 A KR20200072804 A KR 20200072804A KR 1020180160800 A KR1020180160800 A KR 1020180160800A KR 20180160800 A KR20180160800 A KR 20180160800A KR 20200072804 A KR20200072804 A KR 2020007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recipe
information
user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재
주재홍
김종한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주)티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디엘 filed Critical (주)티디엘
Priority to KR102018016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804A/ko
Publication of KR2020007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asoning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은, 다수 개의 양념통을 구비하며 특정 레시피에 따라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혼합양념장 제공하는 양념제조기; 및 양념제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양념제조기로 송신하여 양념제조기가 양념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양념 제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리에 서툰 소규모 가구 또는 일인가구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정 내에서 요리를 시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FLATPORM FOR AUTOMATIC MARINADE MAKER, MARINADE MAKER SERVER AND MARINADE MAKER USING THE MARINADE MAKER SERVER}
본 발명은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정보와 식재료의 정보에 따라 레시피를 제공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소금, 설탕, 고춧가루, 간장 등을 배합한 양념을 사용하여 음식의 맛을 결정한다.
이러한 양념은 음식의 종류나 양에 따라 배합되어 양념원료와 배합되는 양 및 배합비율이 다르게 되며,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사회초년생이나 1인 가구, 신혼부부 등과 같이 소규모 가구는 음식을 조리한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음식에 필요한 양념을 정확히 제조하기 어려워 제대로 음식을 조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음식에 필요한 양념을 제조할 수 있도록 서적이나 인터넷 블로그, TV 등을 통해 전문 요리사들의 레시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적이나 블로그, TV 등에서 제공되는 레시피는 취식인원 등에 따른 세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레시피를 참고하여 음식을 조리할 경우 상기 레시피에 따른 음식의 맛을 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시피에 기재된 양을 정확하기 계량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자신의 경험이나 추측을 통해서 음식을 조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적이나 블로그, TV 등에서 제공되는 레시피를 참고할 경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도 주기적으로 상기 레시피를 보면서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증가하며 위생상 청결하게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이나 저장매체, 전송매체를 통해 레시피 정보를 지속적으로 교환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레시피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사용자에게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며, 제공된 레시피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양념을 자동 공급하는 조력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레시피 정보에 따른 양념을 공급하기 때문에 음식을 조리할 경우 레시피에 따라 정확한 양의 메인재료를 준비해야 하며, 별도로 양념을 배합해야 하는 과정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205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949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정보와 식재료의 정보에 따라 레시피를 제공하고, 제공된 레시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양념장을 제조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은, 다수 개의 양념통을 구비하며 특정 레시피에 따라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혼합양념장 제공하는 양념제조기; 상기 양념제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송신하여 상기 양념제조기가 양념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양념 제조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상기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양념제조기와 통신하여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하는 가전기기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에서 연동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쇼핑 서비스부; 및 상기 사용자가 개발한 레시피를 등록하고, 또 다른 사용자와 다수 개의 레시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제조기는,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통신하여 레시피를 수신 받는 원격 조종부; 상기 원격 조종부에서 수신한 레시피에 따라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에 기반하여 양념을 제조하는 양념 제조부; 및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양념 제조 서버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하는 재료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은,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연동되어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이동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는,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양념제조기와 통신하여 상기 양념제조기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하는 가전기기 연동부;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에서 연동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 및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쇼핑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시피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여 상기 양념제조기가 양념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개발한 레시피를 등록하고, 또 다른 사용자와 다수 개의 레시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제조기는,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통신하여 혼합양념장 제조를 위한 레시피를 수신 받는 원격 조종부; 상기 원격 조종부에서 수신한 레시피를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에 따라 양념장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 제조부; 및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양념 제조 서버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하는 재료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조종부는, 상기 레시피에 따라 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양념통을 회전시키고, 상기 양념 제조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조한 혼합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가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 식재료의 정보 및 가전기기에 따라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를 추천해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른 양념장을 제조하여 제공하므로 소규모 가구 또는 요리에 서툰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정 내에서 요리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식재료의 정보 및 가전기기에 따라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천해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른 양념장을 제조하여 제공하므로 소규모 가구 또는 요리에 서툰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정 내에서 요리를 시도할 수 있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10)은 양념 제조 서버(100), 양념제조기(500) 및 이동단말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념 제조 서버(1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양념 제조 서버(100)는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장치 또는 서버의 형태를 가지며 모바일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감정 추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양념 제조 서버(100)는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양념제조기(500)와 통신하여 양념제조기(500)의 다수 개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종류별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하여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양념 제조 서버(100)는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또는 식품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식품 구매 영수증을 분석하여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념 제조 서버(100)는 사용자가 만든 요리를 공유하거나 요리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 또는 핫라인 등의 다수의 사용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양념 제조 서버(100)는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콘텐츠에 게시한 직접 조리한 요리레시피를 요리분야 전문가가 심사하여 추천요리로 선정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양념 제조 서버(10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마트 또는 편의점 등의 식재료를 판매하는 매장에서 판매중인 제품과 관련된 레시피 정보를 추천할 수도 있다.
양념제조기(500)는 양념장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는 다수 개의 양념통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레시피 정보에 따라 양념장을 이용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념제조기(500)는 양념 제조 서버(100)를 통해 제공 받은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마다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양념제조기(500)는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를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에 따라 종류별 양념장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고,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양념 제조 서버(100)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9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써 이동성을 가지며, 양념 제조 서버(100)와 연동될 수 있고, 스마트폰, 모바일 장치,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 가전기기 연동부(130), 레시피 제공부(150), 쇼핑 서비스부(170) 및 커뮤니티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또는 양념관리 정보는 웹을 통해 수집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시피일 수도 있다.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식재료 관리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한 식재료의 품명, 금액, 수량, 유통기한 및 구매처 등의 식재료를 관리하기 위하여 수집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식재료에 알맞은 관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식재료의 바코드를 촬영하면 해당 식재료를 이용한 레시피 또는 해당 식재료의 정보를 웹을 통해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웹을 통해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마다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새로운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고, 기존의 레시피 정보 중에서 변경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다양한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센싱하는 장치와 연동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가전기기 연동부(1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전기기와 연동할 수 있고, 냉장고 등의 식재료를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로부터 식재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 연동부(130)는 양념제조기(500)와 통신할 수 있고 양념제조기(500)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양념통에 종류 별로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할 수 있다.
레시피 제공부(150)는 가전기기 연동부(130)에서 연동한 가전기기 중 가스렌지, 오븐,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조리가 가능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요리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레시피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식재료와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레시피 정보 중에서 인기순으로 레시피 정보의 랭킹을 제공할 수 있고, 움짤 또는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레시피 제공부(150)는 사용자에게 주간 및 월간 단위의 식사 계획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 중 명절, 생일 또는 기념일 등의 다양한 상황에 어울리는 레시피 정보를 추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식재료의 손질, 조리 도구의 활용 또는 플레이팅 등의 요리를 조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제공부(150)는 데이터베이스부(110)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른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110)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영양소 부족 또는 감기인 경우 사용자에게 3대 영양소를 모두 섭취할 수 있는 레시피를 추천하거나 감기에 효과적인 레시피를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레시피 제공부(150)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레시피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정보를 양념제조기(500)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레시피 정보를 선택하여 양념제조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부(170)는 가전기기 연동부(130)에서 사용자의 가전기기로부터 추출한 식재료 정보와 양념제조기(500)에서 취득한 양념장의 보유량에 따라 식재료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쇼핑 서비스부(170)는 양념제조기(500)로부터 양념장 교체 알림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부(170)는 사용자의 온라인 계정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식재료 또는 양념장을 주문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주변 마트 또는 편의점 등의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는 가게로 식재료 또는 양념장을 주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념제조기(500)는 원격 조종부(510), 양념 제조부(530) 및 재료 요청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종부(510)는 양념 제조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고,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레시피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 수신된 레시피 정보를 양념 제조부(530)로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조종부(510)가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수신 받은 레시피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 정보일 수도 있고, 양념 제조 서버(100)에서 자동적으로 선택한 레시피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원격 조종부(510)는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수신 받은 레시피 정보에 따라 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 개의 양념통을 회전시켜 양념장을 양념 제조부(530)로 제공할 수 있다.
양념 제조부(530)는 원격 조종부(510)로부터 레시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레시피 정보를 현재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 등의 날씨 또는 상황에 따라 양념장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다.
양념 제조부(530)의 하단에는 사용자에게 제조한 혼합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조종부(51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가 고추장10ml, 간장 5ml, 설탕 5g, 소금 5g 및 후추 3g인 경우, 고추장 양념통으로부터 10ml의 고추장, 간장 양념통으로부터 5ml의 간장, 설탕 양념통으로부터 5g의 설탕, 소금 양념통으로부터 5g의 소금, 후추 양념통으로부터 3g의 후추를 이용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고, 제조한 혼합양념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재료 요청부(550)는 다수 개의 양념통에 종류별로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양념 제조 서버(100)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재료 요청부(550)는 다수 개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할 수 있고, 각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유통기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하거나 식재료의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100)는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1100).
여기서, 레시피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또는 양념관리 정보는 웹을 통해 수집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시피일 수도 있다.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식재료 관리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한 식재료의 품명, 금액, 수량, 유통기한 및 구매처 등의 식재료를 관리하기 위하여 수집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식재료에 알맞은 관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식재료의 바코드를 촬영하면 해당 식재료를 이용한 레시피 또는 해당 식재료의 정보를 웹을 통해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웹을 통해 수집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는 일정 시간 마다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존의 레시피 정보 중에서 변경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정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다양한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양념제조기와 통신하여 양념제조기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할 수 있다(S1300).
연동한 가전기기로부터 추출한 식재료 정보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500).
사용자의 식재료와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레시피 중에서 인기순으로 레시피 정보의 랭킹을 제공할 수 있고, 움짤 또는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식재료의 손질, 조리 도구의 활용 또는 플레이팅 등의 요리를 조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장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레시피 정보 또는 양념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한 레시피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정보를 양념제조기(500)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레시피 정보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양념 제조 서버(100)가 레시피 정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양념제조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S1700).
연동된 가전기기로부터 추출한 식재료의 정보 또는 양념제조기(500)로부터 취득한 양념장의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S1900).
여기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의 온라인 계정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식재료 또는 양념장을 주문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주변 마트 또는 편의점 등의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는 가게로 식재료 또는 양념장을 주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념제조기(500)는 양념 제조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고,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혼합양념장 제조를 위한 레시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0).
양념제조기(500)는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를 현재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 등의 날씨 또는 상황에 따라 양념장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다(S2300).
양념제조기(50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양념통에 종류별로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S2500), 양념 제조 서버(100)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2700).
양념제조기(500)는 다수 개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할 수 있고, 각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유통기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하거나 식재료의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념제조기(500)를 구현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양념제조기(500)는 원격 조종부(510), 양념 제조부(530), 재료 요청부(550) 및 양념통(570a, ..., 570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양념통(570a, ..., 570h)은 다양한 양념장을 담을 수 있고, 원격 조종부(510)는 다수 개의 양념통(570a, ..., 570h)을 제공 받은 레시피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양념 제조부(530)는 양념통(570a, ..., 570h)으로부터 제공되는 양념장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재료 요청부(550)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있는 경우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원격 조종부(510)는 각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종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양념 제조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레시피에 따라 양념통(570a, ..., 517h)의 양념장을 양념 제조부(530)로 제공하기 위해 양념통(570a, ..., 570h)을 회전시킬 수 있다.
양념 제조부(530)는 다양한 레시피에 따라 양념통(570a, ..., 570h)으로부터 제공되는 양념장을 보관할 수 있고, 양념 제조부(530)의 하단에는 양념제조기(500)가 사용자에게 혼합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념 제조부(530)는 레시피에 따라 원격 조종부(510)로부터 양념장을 모두 제공 받아 혼합된 혼합양념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양념 제조부(5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양념제조기(50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양념 제조부(530)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양념통(570a, ..., 570h)에서 제공되는 양념장은 양념제조기(500)의 배출구를 통해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해 양념제조기(500)를 양념통(570a, ..., 570h), 양념 제조부(530) 및 원격 조종부(510)로 한정지었으나 이는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 실제 기준은 보다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식재료의 정보 및 가전기기에 따라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를 추천해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른 양념장을 제조하여 제공하므로 소규모 가구 또는 요리에 서툰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정 내에서 요리를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념 제조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100: 양념 제조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부
130: 가전기기 연동부
150: 레시피 제공부
170: 쇼핑 서비스부
190: 커뮤니티부
500: 양념제조기
510: 원격 조종부
530: 양념 제조부
550: 재료 요청부
900: 이동단말기

Claims (12)

  1. 다수 개의 양념통을 구비하며 특정 레시피에 따라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혼합양념장 제공하는 양념제조기; 및
    상기 양념제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송신하여 상기 양념제조기가 양념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양념 제조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상기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양념제조기와 통신하여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하는 가전기기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에서 연동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쇼핑 서비스부; 및
    상기 사용자가 개발한 레시피를 등록하고, 또 다른 사용자와 다수 개의 레시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제조기는,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통신하여 레시피를 수신 받는 원격 조종부;
    상기 원격 조종부에서 수신한 레시피에 따라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에 기반하여 양념을 제조하는 양념 제조부; 및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양념 제조 서버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하는 재료 요청부;를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연동되어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이동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8. 양념제조기를 이용하는 양념 제조 서버로서,
    레시피 정보, 양념 정보, 사용자의 구매패턴 정보, 식품 선호도 정보, 식재료 관리 정보, 양념제조 정보, 양념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식재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양념제조기와 통신하여 상기 양념제조기의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의 보유량을 취득하는 가전기기 연동부;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에서 연동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한 레시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 및
    상기 가전기기 연동부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자재 또는 양념장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쇼핑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양념 제조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또는 자동으로 선택한 레시피를 상기 양념제조기로 제공하여 상기 양념제조기가 양념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양념 제조 서버.
  10. 제 8 항에서,
    상기 사용자가 개발한 레시피를 등록하고, 또 다른 사용자와 다수 개의 레시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부;를 더 포함하는, 양념 제조 서버.
  11.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로서,
    상기 양념 제조 서버와 통신하여 혼합양념장 제조를 위한 레시피를 수신 받는 원격 조종부;
    상기 원격 조종부에서 수신한 레시피를 시간, 온도, 중량 또는 습도에 따라 양념장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 제조부; 및
    상기 양념통에 담겨있는 양념장이 부족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양념 제조 서버로 양념장 교체 알림을 전송하는 재료 요청부;를 포함하는,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부는, 상기 레시피에 따라 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양념통을 회전시키고,
    상기 양념 제조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조한 혼합양념장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가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양념 제조 서버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KR1020180160800A 2018-12-13 2018-12-13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KR20200072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00A KR20200072804A (ko) 2018-12-13 2018-12-13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00A KR20200072804A (ko) 2018-12-13 2018-12-13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04A true KR20200072804A (ko) 2020-06-23

Family

ID=7113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00A KR20200072804A (ko) 2018-12-13 2018-12-13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2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081A (ko) * 2021-03-19 2022-09-27 박태순 요리 재료 디스펜서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492A (ko) 2010-06-23 2011-12-29 이호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2052A (ko) 2016-11-09 2018-05-17 (주)레몬소프트 자동 양념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492A (ko) 2010-06-23 2011-12-29 이호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2052A (ko) 2016-11-09 2018-05-17 (주)레몬소프트 자동 양념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081A (ko) * 2021-03-19 2022-09-27 박태순 요리 재료 디스펜서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58495B (zh) 一种o2o餐饮的实现方法、服务器及智能烹饪装置
US9619781B2 (en) Conditioning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CN110955692B (zh) 菜谱信息处理方法、处理装置、厨房电器及可读存储介质
CN109884925A (zh) 烹饪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烹饪设备和厨房系统
KR101121647B1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 및 방법
US20100198605A1 (en) Method for Structuring Balanced and Varied Meals
US20060191885A1 (en) System of food storage preparation and delivery in finished cooked state
CN111209482A (zh) 一种菜谱的推送方法和装置
EP2678677A1 (en) Transformation system for optimization of nutritional substances at consumption
MX2014004378A (es) Sistema acondicionador para sustancias nutritivas.
CN106504033A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05023183A (zh) 基于互联网的农产品交易系统
CN110289077A (zh) 一种食谱推送处理方法及装置
CN109829791A (zh) 一种用于生成订单的方法与设备
CN104657868A (zh) 一种厨师网上共享厨艺的方法
AU2022259715A1 (en) Modularized Menu Providing System
KR20200072804A (ko) 자동 양념 제조 플랫폼, 양념 제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양념제조기
KR102358479B1 (ko) 식재료 재고 관리 및 레시피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7742244A (zh) 一种基于智能电陶炉的应用服务系统
KR20170046040A (ko) 가정집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5062194A (zh) 菜谱推荐方法及装置
CN115186141A (zh) 一种数字菜肴运营平台
CN115349133A (zh) 管理服务器
JP2002063254A (ja) 食材受発注供給システム、媒体及び情報集合体
CN113378042B (zh) 基于空调的点餐方法、装置和智能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